맨위로가기

쿠웨이트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웨이트 공화국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이라크가 쿠웨이트에 수립한 꼭두각시 정권이다. 이라크는 쿠웨이트에서 혁명이 일어나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고 주장하며 군대를 파병했지만,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8월 7일, 쿠웨이트 임시 자유 정부는 공화제를 선포하고 쿠웨이트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했으나, 이라크는 8월 8일 쿠웨이트를 자국 영토로 합병하며 공화국은 소멸했다. 이라크는 걸프 전쟁에서 패배한 후 쿠웨이트에서 철수했고, 쿠웨이트는 해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쿠웨이트 관계 - 쿠웨이트 침공
    쿠웨이트 침공은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하여 점령한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규탄과 다국적군의 개입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쿠웨이트가 해방되었다.
  • 이라크-쿠웨이트 관계 - 나이라 증언
    나이라 증언은 1990년 쿠웨이트인 나이라가 이라크군의 잔혹 행위를 증언한 사건으로, 걸프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후 조작으로 밝혀져 정보 조작과 홍보 윤리에 대한 논란을 일으켰다.
쿠웨이트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쿠웨이트 공화국
로마자 표기Jumhūrīyat al-Kuwayt
일반 명칭쿠웨이트
시대걸프 전쟁
상태괴뢰 국가 (이라크)
존속 기간1990년
건국일1990년 8월 4일
멸망일1990년 8월 28일
수도쿠웨이트 시티
공용어아랍어
정부 형태단일 임시 바트당 공화국
국기
쿠웨이트 국기
쿠웨이트 국기
정치
지도자 칭호총리
총리알라 후세인 알리
실질적 지도자 (멸망 시점)알리 하산 알마지드
역사
건국수립
멸망 원인쿠웨이트 주와 사다미야트 알미틀라' 구역으로 변환
선행 국가쿠웨이트
후행 국가쿠웨이트 주 및 사다미야트 알미틀라' 구역
통화
통화이라크 디나르
기타 정보
현재 국가쿠웨이트

2. 역사적 배경

이라크는 쿠웨이트 침공 이전부터 쿠웨이트와 역사적, 영토적 분쟁을 겪었다. 특히 국경 문제와 유전 지대를 둘러싼 갈등이 심각했다. 이라크는 역사적 주장을 내세워 쿠웨이트 영토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16]

1990년 8월,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침공하여 정부를 전복시키고, "자유 쿠웨이트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 그러나 이 임시 정부는 국제적인 지지를 얻지 못했고, 이라크의 꼭두각시 정부라는 비판을 받았다.[11][12] 이라크는 쿠웨이트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1][12]

이라크는 쿠웨이트 침공의 명분으로 "사회의 자유, 민주주의, 정의"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임시 정권의 안보가 확보되면 철수하겠다고 약속했다.[13] 그러나 국제 사회의 비난과 쿠웨이트 시민들의 저항으로 이라크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

임시 정부의 외교 담당자 왈리드 사우드 압둘라는 임시 정부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하는 국가들에게 보복을 경고했다.[9] 사담 후세인의 이복형제인 사바위 이브라힘 알 티크리티(Sabawi Ibrahim al-Tikriti)는 쿠웨이트에 이라크와 유사한 안보 시스템을 구축하려 했다.[10]

1990년 8월 7일, "자유 쿠웨이트 임시 정부"는 공화국을 선포하고,[15] 다음 날 이라크는 쿠웨이트와의 "합병"을 선언했다.[16] 알리 하산 알 마지드(Ali Hassan al-Majid)가 쿠웨이트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사담 후세인은 터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위협이 없었다면 쿠웨이트 합병 결정을 내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8]

1990년 8월 28일, 쿠웨이트는 이라크의 쿠웨이트 주(Kuwait Governorate)와 바스라 주(Basra Governorate)의 사다미야트 알 미틀라 지역(Saddamiyat al-Mitla' District)로 분할되어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19]

2. 1. 쿠웨이트 침공과 임시 정부 수립 (1990년 8월)

1990년 8월 2일, 이라크는 쿠웨이트 내부 반정부 세력의 요청을 받았다는 명분으로 쿠웨이트를 침공하여 쿠웨이트 정부를 전복시키고, 같은 날 "쿠웨이트 임시 자유 정부" 수립을 선포했다.[23][24][25] 그러나 임시 정부의 상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고, 처음부터 이라크의 꼭두각시 정부로 여겨졌다.[26][27] 이라크 국영 방송은 쿠웨이트의 자비르 3세 정권 타도와 자유 쿠웨이트 혁명의 성공을 선포했다. 같은 날 오후 2시, 쿠웨이트 반정부 세력에 의한 "쿠웨이트 임시 자유 정부" 수립을 선언하고, 임시 정부의 성명서를 낭독했다.[24][34]

이라크 정부는 임시 정부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임시 정부의 요청이 있으면 수일 또는 수주 내에 군대를 철수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24][34] 쿠웨이트에 제3국이 개입할 경우 공격을 가할 것이라는 방침도 발표했다.[34]

2. 2. 쿠웨이트 공화국 선포와 이라크 합병 (1990년 8월)

1990년 8월 7일, "자유 쿠웨이트 임시 정부"는 쿠웨이트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국명을 "쿠웨이트 공화국"으로 변경했다.[29][30][31] 이는 사바흐 가문의 수장제를 영구히 폐지하고, 공화제를 도입하겠다는 선언이었다.[29][30][31] 같은 날, 알라 후세인 알리 임시 정부 총리는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를 방문, 사담 후세인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알리는 쿠웨이트 국민의 봉기에 대한 이라크의 지원에 감사를 표했고, 후세인은 쿠웨이트를 아랍 사회에 복귀시킨 임시 정부의 공적을 치하하며 양국 간의 협력을 다짐했다.[46][47] 또한 이라크는 쿠웨이트 임시 정부와 통화 통합을 추진한다고 밝혔다.[48]

8월 8일, 이라크 혁명 평의회는 "쿠웨이트 임시 정부가 위대한 이라크로의 복귀를 원했다"는 명분을 내세워 쿠웨이트 합병을 결정했다.[32][33] 이로써 쿠웨이트 공화국은 소멸되었다.[32][33] 이라크는 쿠웨이트가 자국 영토의 일부임을 역사가 증명한다고 주장하며 "전면적 통일"을 선언했다.[33] 국제 사회는 임시 정부를 승인하지 않았고, 이라크 측도 승인을 요청하지 않았다.[23]

3. 임시 정부의 구성과 성격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자비르 3세 정권이 타도되고, "쿠웨이트 임시 자유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라크는 쿠웨이트 내 "젊은 혁명가들"의 요청에 따라 군대를 파병했다고 주장했다.[23][24][25] 임시 정부는 성명을 통해 사바흐 가문을 부패하고 억압적인 왕조로 규정하고, 제국주의와 시온주의자에 봉사하는 앞잡이라고 비난했다.[35] 또한 자비르 3세와 사드 총리를 축출하고 의회를 해산하며, 치안 회복 후 자유 선거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24]

이라크는 임시 정부를 지지하며, 요청이 있으면 수일 또는 수주 내에 군대를 철수할 수 있다고 밝혔다.[24][34] 그러나 임시 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원이나 정책은 발표되지 않아, 국제 사회는 처음부터 이라크의 괴뢰 정부로 간주했다.[26][27] 8월 4일 밤, 알라 후세인 알리 대령을 수반으로 하는 각료 명단이 발표되었으나, 각료 9명 전원이 쿠웨이트 육군 소령급 장교였고, 쿠웨이트 국민에게 생소한 이름인데다 TV 출연이나 사진 공개도 없어 실체가 불분명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8][36] 이름도 쿠웨이트식보다는 이라크식에 가까웠고,[28] 요르단의 쿠웨이트 대사관은 각료 전원이 이라크인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쿠웨이트 임시 자유 정부 각료[28]
직책이름
총리, 국군 최고 사령관, 국방부 장관, 내무부 장관 대리알라 후세인 알리 대령
외무부 장관왈리드 모하메드 아브드라 중령
석유부 장관, 재무부 장관 대리파드 후세인 아흐메드 중령
정보부 장관, 통신부 장관 대리파델 알와피크 소령
보건주택부 장관무샤르 사아드 알하답 소령
사회문제노동부 장관, 공공사업부 장관 대리후세인 알시마리 중령
교육부 장관, 고등교육부 장관 대리나세르 망수르 알민델 소령
법무부 장관, 종교부 장관 대리이삼 아브둘 마지드 후세인 소령
무역전력기획부 장관야쿠브 모하메드 샤랄 소령



결국 알라 후세인 알리는 이라크인으로 밝혀졌고,[52][53] 나머지 각료들도 이라크인으로 추정되었다.[52] 왈리드 사우드 압둘라 외무장관은 임시 정부에 대한 처벌 조치를 취하는 국가들에 대해 "쿠웨이트에 이해관계와 국민을 두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공격을 고집하면 대응 방식을 재고할 것이라고 위협했다.[9]

8월 7일, 임시 정부는 국명을 "'''쿠웨이트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공화제를 선포했다.[29][30][31] 그러나 8월 8일, 이라크는 쿠웨이트 합병을 결정하고 쿠웨이트 공화국을 소멸시켰다.[32][33]

1990년 8월 7일, 바그다드에서 회담하는 사담 후세인 대통령(오른쪽)과 알라 후세인 알리 총리(왼쪽)

3. 1. 인민군 창설

1990년 8월 4일, 쿠웨이트 임시 정부는 기존의 쿠웨이트 정규군과는 다른 새로운 국방 조직으로 인민군을 창설한다고 발표했다.[41][42] 인민군은 쿠웨이트인 병사가 중심이었지만, "다른 아랍인" 등 어느 국적이든 참가할 수 있었다.[41][43] 여기서 "다른 아랍인"은 주로 이라크인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41] 이는 이라크군의 쿠웨이트 철수가 겉치레일 뿐이고, 이름을 바꾸어 주둔을 계속하려는 이라크의 의도를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었다.[42][43]

실제로 인민군에는 이라크군 예비역 병사와 퇴역 군인을 중심으로 14만 명 이상이 지원했다.[28] 당시 쿠웨이트에 주둔한 이라크군 병력은 10만 명으로, 인민군은 이보다 4만 명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쿠웨이트에서 정치, 경제 요직을 맡은 지배 계급 1급 시민이 약 6만 명 규모였던 것을 고려하면, 인민군 창설은 이라크에서 쿠웨이트로의 대량 이주라는 측면도 있었다.[43]

4. 대한민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반응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한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جابر الأحمد الصباح)는 정권 유지를 주장했고,[35] 사드 알압둘라 알살림 알사바(سعد العبد الله السالم الصباح) 총리는 저항을 촉구했으며, 쿠웨이트군의 산발적인 저항이 계속되었다.[54]

초기에는 쿠웨이트 국민들의 단결력이 부족했고, 지도층에 대한 반발이 있었기 때문에 임시정부에 대한 본격적인 저항 운동이 발생할지 의문시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27] 불복종 운동을 통한 저항이 나타났다.[45]

이라크의 쿠웨이트 임시정부 수립 선언 직후, 미국의 조지 H. W. 부시(George H. W. Bush) 대통령은 임시정부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승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으며,[24] 긴급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이라크에 대해 쿠웨이트에서 즉각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660호)를 채택했다. 또한 결의 제661호에서는 쿠웨이트 임시정부를 괴뢰 정권으로 규정하고 승인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44]

일본에서도 구리야마 쇼이치(栗山尚一) 외무심의관이 라시드 무함마드 사이드 알리파이(ラシード・ムハンマド・サイード・アッ=リファーイー, Rashid Muhammad Said Al-Rifai) 주일 이라크 대사를 외무성으로 불러 유감을 표명했지만, 알리파이는 침공이라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으며 쿠웨이트 혁명으로 수립된 신정부의 요청에 따른 행동이라는 이라크의 입장을 설명했다. 그러나 구리야마는 혁명이 일어났다는 인식은 잘못되었다고 지적했고, 알리파이는 쿠웨이트 신정부가 외부 간섭을 받지 않게 되면 이라크는 군대를 철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며 일본 정부의 의향을 본국에 전달하겠다고 했다.[55]

아랍 연맹은 8월 4일 카이로에서 긴급 외무장관 회담을 개최하고 이라크의 괴뢰 정권을 승인하지 않겠다고 성명을 발표했다.[56]

8월 4일, 유럽 공동체(EC)는 로마에서 긴급 회의를 개최하고 쿠웨이트 임시정부를 인정할 수 없다고 성명을 발표했다.[57]

8월 8일, 요르단의 무다르 바드란(ムダル・バドラン, Mudar Badran) 수상은 쿠웨이트 공화국을 승인하지 않겠다고 표명했다.[58]

5. 걸프 전쟁과 쿠웨이트 해방 (1991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합병은 걸프 전쟁 발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강제로 점령하고 자국의 19번째 주로 선포했지만,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라크의 침략에 대한 국제적인 비난과 쿠웨이트 시민들 사이에서의 저항은 거셌다.[13][14]

1990년 8월 7일, 이라크는 "자유 쿠웨이트 임시 정부"를 통해 쿠웨이트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15] 다음 날 이라크와 쿠웨이트의 "합병"을 선언했다.[16] 사담 후세인은 쿠웨이트를 이라크의 일부로 간주하고, 쿠웨이트 영토를 쿠웨이트 주(Kuwait Governorate)와 바스라 주(Basra Governorate)의 사다미야트 알 미틀라 지역(Saddamiyat al-Mitla' District)로 나누어 공식적으로 합병했다.[19]

사바위 이브라힘 알 티크리티(Sabawi Ibrahim al-Tikriti)는 이라크의 안보 시스템을 쿠웨이트에 구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0] 알리 하산 알 마지드(Ali Hassan al-Majid)는 쿠웨이트 주지사로 임명되었고, 후세인 알리는 이라크 부총리가 되었다.[18]

이라크가 쿠웨이트에서 철수를 거부하면서 국제 연합군은 걸프 전쟁을 시작했다. 1991년 2월 26일, 이라크는 걸프 전쟁에서 패배하고 쿠웨이트에서 철수했으며, 쿠웨이트는 주권을 회복했다.[61][62]

쿠웨이트 합병 이후의 이라크의 주 (도)

6. 평가와 영향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괴뢰 정부 수립은 국제법과 국제 질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었다. 왈리드 사우드 압둘라는 쿠웨이트 제재에 참여하는 국가들에 보복을 시사하며 국제사회의 우려를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9]

이라크는 쿠웨이트 내 반대 세력을 괴뢰 정부에 참여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는데, 이는 이라크의 주장이 쿠웨이트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지 못했음을 보여준다.[11][12] 이라크는 초기에 쿠웨이트 주둔이 "자유, 민주주의, 정의"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13] 국제사회의 비난과 쿠웨이트 국민들의 저항으로 인해 이는 실현 불가능했다.

이라크는 "자유 쿠웨이트 임시 정부"를 통해 공화국을 선포하고,[15] 쿠웨이트와의 "합병"을 선언하며 역사적 주장을 내세웠다.[16] 그러나 이는 국제법 위반이었으며, 사담 후세인은 뷜렌트 에제비트에게 미국이 없었다면 이러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국제 정세에 따라 입장을 바꿀 수 있음을 시사했다.[18]

이라크는 쿠웨이트 영토를 자국 영토로 편입시키고 쿠웨이트 주를 설치했지만,[19]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라크의 철수 거부는 결국 걸프 전쟁으로 이어졌고, 1991년 쿠웨이트는 주권을 회복했다.

이 사건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주권을 침해하고 무력으로 합병을 시도했을 때 국제사회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또한, 강대국의 이익에 따라 국제 질서가 좌우될 수 있다는 현실을 보여주며, 대한민국에게는 주권 수호와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Routledge
[2] 잡지 Newsweek
[3] 서적 The History of Kuwait Greenwood Press
[4] 간행물 Daily Report: Soviet Union
[5] 서적 Saddam's War of Words: Politics, Religion, and the Iraqi Invasion of Kuwait University of Texas Press
[6] 서적 Desert Shield to Desert Storm: The Second Gulf War iUniverse, Inc.
[7] 간행물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1992: Events of 1991 Human Rights Watch
[8] 서적 Middle East Contemporary Survey Westview Press
[9] 서적 Between States: Interim Governments and Democratic Transi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Iraq's Armed Forces: An Analytical History Routledge
[11] 서적 The Middle East and South Asia: 2008 Stryker-Post Publications
[12] 서적 Gulf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Emirates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and Research
[13] 서적
[14] 서적 Saddam Hussein: A Political Biography Grove Press
[15] 서적 The 1990s Facts on File, Inc.
[16] 서적 World Book Focus on Terrorism World Book, Inc.
[17] 서적 A Choice of Enemies: America Confronts the Middle East PublicAffairs
[18] 서적 The Demonic Comedy Farrar, Straus and Giroux
[19] 웹사이트 The Gulf War, 1991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2020-10-17
[20] 서적 The Iraq-Kuwait Dispute Archive Editions
[21] 웹사이트 rulers.org - Kuwait http://rulers.org/ru[...] 2015-11-28
[22] 뉴스 (일본어) 読売新聞 1990년 8월 3일 조간 3면 読売新聞 1990-08-03
[23] 뉴스 (일본어) 不透明な暫定自由政府 毎日新聞 1990년 8월 5일 조간 5면 毎日新聞 1990-08-05
[24] 뉴스 (일본어) イラク軍 クウェートを武力制圧 朝日新聞 1990년 8월 3일 조간 1면 朝日新聞 1990-08-03
[25] 뉴스 (일본어) イラク軍、クウェート制圧 読売新聞 1990년 8월 3일 조간 1면 読売新聞 1990-08-03
[26] 뉴스 (일본어) 「力の論理」イラク暴走 アラブの団結に亀裂 毎日新聞 1990년 8월 3일 조간 3면 毎日新聞 1990-08-03
[27] 뉴스 (일본어) イラク、覇権への野心 侵攻の最終目標は? 読売新聞 1990년 8월 4일 조간 4-5면 読売新聞 1990-08-04
[28] 뉴스 (일본어) クウェート暫定政権、無名の顔ぶれ 毎日新聞 1990년 8월 6일 석간 2면 毎日新聞 1990-08-06
[29] 뉴스 (일본어) 新国名「クウェート共和国」と声明 毎日新聞 1990년 8월 8일 조간 1면 毎日新聞 1990-08-08
[30] 뉴스 (일본어) クウェート「暫定政府」共和制を宣言 朝日新聞 1990년 8월 8일 조간 1면 朝日新聞 1990-08-08
[31] 뉴스 (일본어) 共和国を宣言 暫定自由政府 読売新聞 1990년 8월 8일 조간 5면 読売新聞 1990-08-08
[32] 뉴스 (일본어) クウェートを統合 イラク宣言 朝日新聞 1990년 8월 9일 조간 1면 朝日新聞 1990-08-09
[33] 뉴스 (일본어) イラク、クウェートを併合 読売新聞 1990년 8월 9일 조간 1면 読売新聞 1990-08-09
[34] 뉴스 (일본어) イラク軍、クウェート制圧 毎日新聞 1990년 8월 3일 조간 1면 毎日新聞 1990-08-03
[35] 뉴스 (일본어) アラブ穏健派に強い衝撃 読売新聞 1990년 8월 3일 조간 5면 読売新聞 1990-08-03
[36] 뉴스 イラクが撤退発表 毎日新聞 1990-08-06
[37] 뉴스 イラク軍「あすから撤退開始」 毎日新聞 1990-08-04
[38] 뉴스 イラク 条件付き撤兵を声明 朝日新聞 1990-08-04
[39] 뉴스 現指導部帰国しないなら「5日から撤退開始」 読売新聞 1990-08-04
[40] 뉴스 イラク、条件付き撤退表明 日本経済新聞 1990-08-04
[41] 뉴스 クウェート暫定政府 人民軍創設を発表 毎日新聞 1990-08-05
[42] 뉴스 イラク軍居座り? クウェートに「人民軍」創設 朝日新聞 1990-08-05
[43] 뉴스 クウェート人民軍 イラク軍14万人が参加 読売新聞 1990-08-05
[44] 뉴스 国連も経済制裁決議 安保理 読売新聞 1990-08-07
[45] 뉴스 不服従運動で抵抗 クウェート市民 読売新聞 1990-08-07
[46] 뉴스 イラク、和戦両様の構え 毎日新聞 1990-08-08
[47] 뉴스 暫定政府首相 イラクを訪問 読売新聞 1990-08-08
[48] 뉴스 イラクのクウェート統合 アラブ諸国の間げきつく 日本経済新聞 1990-08-09
[49] 뉴스 暫定政権トップに元国民議会議長ら浮上 読売新聞 1990-08-05
[50] 뉴스 新指導部内に首長の兄弟? 朝日新聞 1990-08-04
[51] 뉴스 クウェート暫定政府は軍事政権 読売新聞 1990-08-06
[52] 뉴스 暫定政府首相はイラク人 読売新聞 1990-08-08
[53] 뉴스 「暫定自由政府」首相はイラク人 毎日新聞 1990-08-08
[54] 뉴스 クウェート 散発的抵抗続く 日本経済新聞 1990-08-04
[55] 뉴스 「力の論理」イラク暴走 アラブの団結に亀裂 毎日新聞 1990-08-03
[56] 뉴스 アラブ連盟、イラクを非難 日本経済新聞 1990-08-04
[57] 뉴스 イラク原油を禁輸 朝日新聞 1990-08-05
[58] 뉴스 ヨルダン、クウェート共和国を承認せず 日本経済新聞 1990-08-08
[59] 뉴스 暫定政府首相がイラク副首相に 毎日新聞 1990-08-09
[60] 뉴스 「自由政府」首相がイラクの副首相に 朝日新聞 1990-08-09
[61] 뉴스 クウェートを19番目の州に イラクが布告 毎日新聞 1990-08-29
[62] 뉴스 クウェートを自国州に イラク既成事実化狙う 朝日新聞 199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