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화제는 '공공의 것'을 의미하는 라틴어 '레스 푸블리카'에서 유래한 용어로, 국가의 형태 중 하나이다. 이는 국민의 동의를 기반으로 정부가 운영되며, 세습이나 신권이 아닌 헌법에 권위의 원천을 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시작되어 중세 이탈리아, 근대 유럽, 그리고 미국 독립 혁명을 거치며 발전했다. 공화제는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이원집정부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헌법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민주주의와 밀접하지만 동일하지 않으며, 권력 독점이나 독재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화제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공화제 - 가나상가
    가나상가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로 부족을 의미하며 고대 인도의 부족 공화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라자와 의회, 총회를 통해 국정을 운영했고 불교 교단의 조직에도 영향을 미쳤다.
  • 일본제 한자어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일본제 한자어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정치 제도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정치 제도 - 정치 체제
    정치 체제는 사회적 가치의 배분 과정과 그에 관여하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포괄하며, 데이비드 이스턴의 정치 시스템 이론은 입력, 출력, 피드백의 순환 과정을 통해 설명되고, 비중앙집권적, 중앙집권적 체제로 분류되며, 서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군주제 및 혼합 체제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는 특정 사회 계급의 "독재"로 이해된다.
공화제
정치 체제
정의군주가 없는 국가 형태
특징국민 또는 그 대표자가 권력을 행사하는 국가
주요 특징선출되거나 임명된 대통령이 국가 원수
다른 의미때로는 민주적이지 않은 독재 국가를 지칭하기도 함
정치 이념
핵심 개념군주제 폐지론
공화국
레스 푸블리카
자유주의
사회 계약
국민주권
학파고전적 공화주의
연방 공화주의
케말주의
나세르주의
신 공화주의
베니젤로스주의
유형자치 공화국
기독교 공화국
민주 공화국
자본주의 공화국
기업 공화국
연방 공화국
연방 의회주의 공화국
의회 공화국
자매 공화국
혁명 공화국
인민 공화국
소비에트 공화국
자마히리야
이슬람 공화국
주요 학자폴리비오스
키케로
제임스 해링턴
앨저넌 시드니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존 로크
장자크 루소
샤를 드 몽테스키외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한나 아렌트
필립 페팃
마이클 샌델
퀜틴 스키너
캐스 선스타인
역사
주요 사건아테네
로마 공화정
가나 상가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네덜란드 연방 공화국
영국 청교도 혁명
미국 독립 혁명
프랑스 혁명
히스파노아메리카 독립 전쟁
스페인 입헌 혁명
프랑스 2월 혁명
포르투갈 공화 혁명
신해혁명
러시아 혁명
독일 혁명
터키 혁명
몽골 혁명
그리스 혁명
그리스 8월 4일 체제
스페인 내전
이탈리아 왕정 폐지
이집트 혁명
이라크 혁명
북예멘 내전
잔지바르 혁명
리비아 쿠데타
캄보디아 쿠데타
그리스 공화정 이행
이란 혁명
피지 쿠데타
네팔 내전
관련 주제
관련 개념군주주의
공동체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평등주의
각국의 공화주의
주요 국가영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네덜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모나코
스페인
터키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바베이도스
자메이카
일본

2. 어원

영어로 '공화국'(republic)은 '공공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의 '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에서 나왔다. 키케로는 이 표현을 '국민의 것'을 일컫는 '레스 포풀리'(res populi)로 풀이했다.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la는 문자 그대로 '공공의 문제'로 번역될 수 있다.[4] 로마 제국 시대에도 국가와 정부를 지칭하는 데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5]

한자 문화권에서 쓰는 번역어 ‘공화(共和)’는 미쓰쿠리 쇼고/箕作省吾일본어의 《곤여도식(坤輿図識)》(1845)에서 republic의 번역어로 처음 쓰였다.[92][93] ‘공화(共和)’란 말은 주나라 때의 공화시대에서 따왔다. 《사기》에 따르면 당시 반란으로 왕좌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제후들이 추대한 사람이 왕 대신 나라를 다스렸다고 한다.[145]

키케로의 흉상


이 용어는 그리스어 단어 ''폴리테이아''의 라틴어 번역에서 유래한다. 키케로를 비롯한 다른 라틴어 작가들은 ''폴리테이아''를 라틴어로 ''레스 푸블리카''로 번역했고, 이는 다시 르네상스 학자들에 의해 'republic'(혹은 여러 유럽 언어의 유사한 용어)로 번역되었다.[3] 플라톤의 주요 정치 철학 저술 중 하나로,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국가''로 알려진 저서의 제목이 바로 ''폴리테이아''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 제3권에서 "시민들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통치할 때, 그것은 모든 정부(to koinon onoma pasōn tōn politeiōn)에 공통적인 이름인 정부(politeia)라고 불린다."라고 주장했다. [7]

중세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많은 도시 국가들이 코뮌이나 시뇨리아 기반 정부를 가지고 있었다. 15세기에 고대 로마 저술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지면서, 작가들은 고전적인 용어를 선호하게 되었다. 비군주제 국가를 묘사하기 위해 작가들(가장 중요한 인물은 레오나르도 브루니)은 라틴어 구절 ''레스 푸블리카''를 채택했다.[8]

올리버 크롬웰의 보호령 기간 동안 '공화국'이라는 단어는 새로운 무군주 국가를 부르는 데 가장 일반적인 용어였지만, 'republic'이라는 단어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10]

영어로 공화제나 공화국을 의미하는 "republic" (리퍼블릭)의 어원은 라틴어의 res publicala[87], "공공재, 공익, 공법" 등을 의미하며, "사적인 것"을 의미하는 res privatala의 반의어로 사용되었고,[88] 나아가 "공공의 정부를 가진 국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일본어에서는 주로 정체의 경우 "공화정", 제도의 경우 "공화제", 국가의 경우 "공화국", 사상의 경우 "공화주의"(republicanism)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하지는 않다. 각각의 반의어는 군주정, 군주제, 군주국(monarchy), 군주주의(monarchism)이다.

현용되는 의미에서의 "공화"라는 한자어는 일본에서 유래한다.[89] 기작성오(箕作省吾)가 그의 저서 『곤여도식(坤輿図識)』(1845년)에서 "republic"의 번역어로 처음 사용했다.[92][93] 중국 역사의 "공화" 시대는 서주(西周)의 려왕(厲王)이 폭정을 행하여 국인(제후와 도시 주민)에게 추방된 후 14년간으로, 『사기(史記)』·주본기(周本紀)에 따르면 재상인 소공(召公)과 주공(周公)이 공동으로(함께 화하여) 통치에 임했다고 여겨졌다. 한편, 이는 잘못으로, "공백화(共伯和)"(공이라는 나라의 백작인 화라는 인물)가 제후에게 추대되어 왕의 직무를 대행한 것(『구본죽서기년(古本竹書紀年)』의 기록)에서 그렇게 부른다는 설도 있다.[94]

그 외에 "공화국"과 같은 의미의 번역어로 '''민국'''이 있으며, 일부 국가의 국호에 사용되고 있다(중화민국, 대한민국).

3. 역사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철학적 용어가 발전했지만, 이미 아리스토텔레스가 지적했듯이 그리스뿐 아니라 근동에서도 다양한 헌법을 가진 도시 국가의 역사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고전 시대 이후 중세에는 베네치아와 같은 많은 자유 도시들이 다시 발전했다.

혁명 시대 이후로 "공화정"이라는 용어는 정부의 권위 원천이 헌법[59]이고, 그 관리들의 정당성이 세습이나 신권이 아닌 국민의 동의에서 비롯되는 정부 체제를 의미하게 되었다.[11]

=== 고대 ===

아테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들은 공화정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었다.[12][13] 로마 공화정은 집정관, 원로원, 민회로 구성된 혼합 정부 형태(혼합 정체)를 발전시켰지만, 우민 정치를 의미하는 데모크라티아라는 명칭을 피하고 레스 푸블리카(공화국)라고 자칭했다.[99]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전 공화정들은 제국이 되었거나 제국에 정복당했다.[4]

로마 공화정의 영역 지도


인도 아대륙에서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가나 상가(가나상가)와 같은 초기 공화제 기관이 존재했다.[29] 는 '부족'을, 는 '의회'를 의미한다.[29] 이들은 '가나 묵햔'(수장)과 심의 의회를 가지고 있었으며, 의회는 정기적으로 소집되어 모든 주요 국가 결정 사항을 논의했다.[27]

고대 근동의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집단 통치 체제를 발전시켰다.[16][17] 기원전 11세기부터 레반트 해안을 따라 페니키아에서 샵펫(Shophet)이라는 개념은 로마의 집정관과 매우 유사했다. 페르시아 지배(기원전 539~332년)하에서 티레와 같은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왕정을 폐지하고 "6년의 짧은 임기 동안 권력을 유지하는 수페테스(suffetes, 재판관)의 체제"를 채택했다.[16][17]

=== 중세 및 근세 유럽 ===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네프투누스가 베네치아에 바다의 부를 바친다'', 1748–1750. 이 그림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유럽에서는 중세 후기에 지중해 해상 공화국과 한자 동맹처럼 작지만 부유한 무역 국가들을 중심으로 공화정 체제가 등장했다.[9]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고 중앙 정부가 약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많은 도시들이 자치권을 얻어 코뮌(comune) 형태의 정부를 채택했다.[100] 베네치아 공화국제노바 공화국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다.[9] 루카의 바르톨로메오, 브루네토 라티니 등은 중세 도시 국가들을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유산을 계승한 것으로 보았다.[9]

오귀스트 미게트의 ''메스 공화국의 시작. 최초의 수석 시장 선출''(1862년). 당시 메스는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 제국 도시였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가장 큰 51개 도시가 자유 제국 도시가 되어, 대부분의 권력이 지역적으로 행사되었고 많은 도시들이 공화정 형태의 정부를 채택했다.[101][9] 스위스 지역은 지리적 특성 덕분에 중앙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으며, 농민들과 도시 상인들이 연합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항해 승리함으로써 스위스 연방이 수립되었고 현재까지 공화정을 유지하고 있다.[21][102]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프스코프 공화국도 공화정 형태였으나 모스크바 대공국에 정복당했다.[35][103]

이러한 초기 공화국들은 엘리트 원로원 의원들의 제한된 의회에 의해 통치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선거가 있는 경우에도 재산 자격 등으로 투표권이 제한되었고, 하층 계급의 불만이 폭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9]

북유럽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특히 칼뱅주의 신학이 새로운 공화국 건설의 정당성으로 사용되었다.[36][37][9] 네덜란드 독립 전쟁 동안 네덜란드 공화국이 등장했다.[104] 처음에는 군주를 대체하려 했으나, 1588년 삼부회가 국가 주권을 선언했다. 잉글랜드 내전에서 청교도 혁명이 성공하여 잉글랜드 연방이 성립되었지만,[105] 곧 군주제가 복고되었다.[106] 17세기에는 공화주의 사상이 성행하여 군주제에 의존하지 않는 정치 체제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108]

=== 근대 공화국의 발전 ===

미국 독립 전쟁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공화주의 이념에 기반하여 시작되었으며, 1776년 미국 독립 선언을 통해 최초의 근대 민주 공화국을 탄생시켰다.[109][110] 혁명 지도자들은 프랑스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저술과 고전 공화국의 역사에 정통했으며, 특히 존 애덤스는 공화국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토마스 페인의 소책자 상식은 공화주의적 이상과 독립에 대한 주장을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1789년 발효된 미국 헌법은 비교적 강력한 연방 공화국을 만들었으며, 미국 권리장전은 혁명을 정당화했던 공화주의적 이상에 근본적인 특정한 자연권을 보장했다.[111] 그러나, 초기 미국은 의회를 견제할 세력이 없어 권력 분립을 도입하여 정치 엘리트 간의 상호 견제를 통해 정치적 안정을 추구했다.[112] 19세기에 들어 보통선거 도입 등으로 민주주의와 결합하여 민주공화제가 발전했다.

프랑스 혁명1789년에 발발하여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정을 수립했다.[113] 프랑스 루이 16세가 처형되고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나폴레옹 시대에 제정으로 전환되었다.[114]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해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 유럽의 오래된 공화국들이 소멸되었다.[115][116][117]

1848년에는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나폴레옹 3세에 의해 다시 제정으로 바뀌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1870년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오노레 도미에의 ''공화국'' (1848)


19세기 라틴 아메리카의 독립 국가들은 대부분 공화정을 채택했다.[118] 시몬 볼리바르는 자유주의적 이상에 공감했지만, 사회적 응집력 부족으로 독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멕시코는 제정을 잠시 채택하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20세기 말까지 독재 공화국 형태를 유지했다.[39]

유럽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군주제가 지배적이었으나, 1910년 포르투갈에서 혁명으로 포르투갈 제1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08년 리스본 암살 사건이후 1910년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1920년대 중화민국 포스터


동아시아에서는 쑨원의 삼민주의에 기반하여 1912년 중화민국이 선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제국이 붕괴하면서 아일랜드, 폴란드, 핀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등 많은 국가가 공화정을 채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후, 1946년 이탈리아 제도 국민투표를 통해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다.[45][46][47][48] 이탈리아 헌법은 이탈리아 제헌 의회에서 반파시스트 세력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다.[49]

=== 20세기 이후 ===

20세기 들어 신해혁명으로 중국이 공화제를 수립했지만, 공화제 국가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한다. 이 전쟁에서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3개국에서 군주제가 붕괴되었고[120], 민족자결을 내세워 전후 독립한 유럽 국가들은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등의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 공화제를 채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이탈리아와 동유럽 국가들에서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공화제 국가는 더욱 증가했다[121]. 또한, 그동안 동군연합제를 채택했던 영국 연방에서 독립한 인도가 공화제를 채택하면서도 영국 연방에 남기를 희망했기 때문에, 1949년에 국왕에 대한 충성 조항이 폐지되고, 영연방 왕국과 영국 연방이 제도적으로 분리되었다. 이로써 군주제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영국 연방에 잔류할 수 있게 되어[122], 구 영국 식민지들이 공화제를 채택하기 쉬워졌다.

영연방 공화국 지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몇 년 동안, 남아 있던 대부분의 유럽 식민지는 독립을 얻었고, 대부분 공화국이 되었다. 두 개의 가장 큰 식민지 지배국은 프랑스와 영국이었다. 공화국인 프랑스는 전 식민지에 공화국 수립을 장려했다. 영국은 초기 이주민 식민지에서 시행했던, 동일한 군주 하에 여전히 연결된 독립 영연방 왕국을 만드는 모델을 따르려고 시도했다. 대부분의 이주민 식민지와 카리브해 및 태평양의 소규모 국가들은 이 시스템을 유지했지만,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새로 독립한 국가들은 이를 거부하고 헌법을 개정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 제정이 러시아 혁명으로 붕괴되었다. 러시아 임시 정부가 자유주의 공화국 형태로 수립되었지만, 볼셰비키에 의해 전복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이 건설되었다.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 하에 수립된 최초의 공화국이었다. 공산주의는 군주제에 완전히 반대했으며, 20세기 많은 공화주의 운동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러시아 혁명은 몽골로 확산되어 1924년 신정 군주제를 전복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자들은 루마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알바니아를 점차 장악하여 이들 국가가 군주제가 아닌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재건되도록 했다.

탈식민화 과정에서 많은 민족 해방 운동에 공산주의 이념이 받아들여졌다. 베트남에서는 공산주의 공화파가 응우옌 왕조를 몰아냈고, 1970년대 이웃 국가인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군주제도 공산주의 운동에 의해 전복되었다. 아랍 사회주의는 일련의 봉기와 쿠데타에 기여하여 이집트, 이라크, 리비아, 예멘의 군주제를 타도했다. 아프리카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아프리카 사회주의가 군주제의 종식과 부룬디와 에티오피아와 같은 국가에서 공화국의 선포로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과정에서 식민지 시대에 보호국이나 간접 통치로 군주제가 남아 있던 국가나 일부 영연방 왕국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국가가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군주제가 남아 있던 국가에서도 이집트 왕국, 이라크 왕국, 예멘 왕국, 리비아 왕국, 그리고 이란 제국처럼 혁명의 발발로 군주제가 폐지되는 경우가 많았던[123] 반면, 새롭게 군주제를 도입하는 국가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20세기 중반 이후로는 군주제 국가보다 공화제 국가의 수가 더 많아졌다.

영국은 중동에서 다른 모델을 따랐다.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 예멘, 리비아를 포함한 여러 식민지와 위임통치 지역에 현지 군주제를 설치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혁명과 쿠데타가 여러 군주를 전복하고 공화국을 수립했다. 여러 군주국이 남아 있으며, 중동은 거의 완전한 정치적 통제권을 가진 군주가 여러 대규모 국가를 통치하는 세계 유일의 지역이다.[50]

군주제 국가에서 큰 정체 변동이 적어진 21세기에 들어서도 이러한 흐름은 미약하게나마 계속되고 있으며, 2008년에는 네팔이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이 되었다[124]. 또한 영국 연방 내 군주국에서도 2021년 11월 29일 바베이도스가 공화제로 이행했다[125].

현재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에서도 일부 국가에서는 공화제를 요구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영국 연방 내 군주국에서는 공화제 이행의 움직임이 여러 차례 나타났으며,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군주제 폐지 움직임이 강해 1999년에는 공화제 이행을 요구하는 1999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지만, 반대표가 55%에 달해 부결되었다[126]. 또한 자메이카, 그레나다, 벨리즈 등에서도 공화제 이행 움직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27]. 2022년 9월 엘리자베스 2세의 서거를 계기로 공화제를 요구하는 여론이 더욱 강해졌고[128], 앤티가 바부다에서는 군주제 폐지를 위한 국민투표가 검토되었으며[129], 바하마에서도 유사한 움직임이 있는 한편, 오스트레일리아의 공화제 논의도 재점화되었고[130], 뉴질랜드에서도 재신다 아던 총리가 미래의 공화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31].

3. 1. 고대

아테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들은 공화정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었다.[12][13] 로마 공화정은 집정관, 원로원, 민회로 구성된 혼합 정부 형태(혼합 정체)를 발전시켰지만, 우민 정치를 의미하는 데모크라티아라는 명칭을 피하고 레스 푸블리카(공화국)라고 자칭했다.[99]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전 공화정들은 제국이 되었거나 제국에 정복당했다.[4]

인도 아대륙에서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가나 상가(가나상가)와 같은 초기 공화제 기관이 존재했다.[29] 는 '부족'을, 는 '의회'를 의미한다.[29] 이들은 '가나 묵햔'(수장)과 심의 의회를 가지고 있었으며, 의회는 정기적으로 소집되어 모든 주요 국가 결정 사항을 논의했다.[27]

고대 근동의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집단 통치 체제를 발전시켰다.[16][17] 기원전 11세기부터 레반트 해안을 따라 페니키아에서 샵펫(Shophet)이라는 개념은 로마의 집정관과 매우 유사했다. 페르시아 지배(기원전 539~332년)하에서 티레와 같은 페니키아 도시 국가들은 왕정을 폐지하고 "6년의 짧은 임기 동안 권력을 유지하는 수페테스(suffetes, 재판관)의 체제"를 채택했다.[16][17]

3. 2. 중세 및 근세 유럽



유럽에서는 중세 후기에 지중해 해상 공화국과 한자 동맹처럼 작지만 부유한 무역 국가들을 중심으로 공화정 체제가 등장했다.[9] 이탈리아는 유럽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고 중앙 정부가 약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많은 도시들이 자치권을 얻어 코뮌(comune) 형태의 정부를 채택했다.[100] 베네치아 공화국제노바 공화국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지중해 무역을 장악했다.[9] 루카의 바르톨로메오, 브루네토 라티니 등은 중세 도시 국가들을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유산을 계승한 것으로 보았다.[9]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가장 큰 51개 도시가 자유 제국 도시가 되어, 대부분의 권력이 지역적으로 행사되었고 많은 도시들이 공화정 형태의 정부를 채택했다.[101][9] 스위스 지역은 지리적 특성 덕분에 중앙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으며, 농민들과 도시 상인들이 연합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항해 승리함으로써 스위스 연방이 수립되었고 현재까지 공화정을 유지하고 있다.[21][102]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프스코프 공화국도 공화정 형태였으나 모스크바 대공국에 정복당했다.[35][103]

이러한 초기 공화국들은 엘리트 원로원 의원들의 제한된 의회에 의해 통치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선거가 있는 경우에도 재산 자격 등으로 투표권이 제한되었고, 하층 계급의 불만이 폭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9]

180px


180px


180px


180px


180px


북유럽에서는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특히 칼뱅주의 신학이 새로운 공화국 건설의 정당성으로 사용되었다.[36][37][9] 네덜란드 독립 전쟁 동안 네덜란드 공화국이 등장했다.[104] 처음에는 군주를 대체하려 했으나, 1588년 삼부회가 국가 주권을 선언했다. 잉글랜드 내전에서 청교도 혁명이 성공하여 잉글랜드 연방이 성립되었지만,[105] 곧 군주제가 복고되었다.[106] 17세기에는 공화주의 사상이 성행하여 군주제에 의존하지 않는 정치 체제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다.[108]

3. 3. 근대 공화국의 발전

미국 독립 전쟁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공화주의 이념에 기반하여 시작되었으며, 1776년 미국 독립 선언을 통해 최초의 근대 민주 공화국을 탄생시켰다.[109][110] 혁명 지도자들은 프랑스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저술과 고전 공화국의 역사에 정통했으며, 특히 존 애덤스는 공화국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토마스 페인의 소책자 상식은 공화주의적 이상과 독립에 대한 주장을 대중에게 널리 알렸다. 1789년 발효된 미국 헌법은 비교적 강력한 연방 공화국을 만들었으며, 미국 권리장전은 혁명을 정당화했던 공화주의적 이상에 근본적인 특정한 자연권을 보장했다.[111] 그러나, 초기 미국은 의회를 견제할 세력이 없어 권력 분립을 도입하여 정치 엘리트 간의 상호 견제를 통해 정치적 안정을 추구했다.[112] 19세기에 들어 보통선거 도입 등으로 민주주의와 결합하여 민주공화제가 발전했다.

프랑스 혁명1789년에 발발하여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정을 수립했다.[113] 프랑스 루이 16세가 처형되고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나폴레옹 시대에 제정으로 전환되었다.[114] 나폴레옹 전쟁으로 인해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 유럽의 오래된 공화국들이 소멸되었다.[115][116][117]

1848년에는 프랑스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나폴레옹 3세에 의해 다시 제정으로 바뀌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1870년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세기 라틴 아메리카의 독립 국가들은 대부분 공화정을 채택했다.[118] 시몬 볼리바르는 자유주의적 이상에 공감했지만, 사회적 응집력 부족으로 독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멕시코는 제정을 잠시 채택하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20세기 말까지 독재 공화국 형태를 유지했다.[39]

유럽에서는 19세기 후반까지 군주제가 지배적이었으나, 1910년 포르투갈에서 혁명으로 포르투갈 제1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08년 리스본 암살 사건이후 1910년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되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쑨원의 삼민주의에 기반하여 1912년 중화민국이 선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제국이 붕괴하면서 아일랜드, 폴란드, 핀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등 많은 국가가 공화정을 채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후, 1946년 이탈리아 제도 국민투표를 통해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다.[45][46][47][48] 이탈리아 헌법은 이탈리아 제헌 의회에서 반파시스트 세력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다.[49]

1815년[40]1914년[41]1930년[42]1950년[43]2015년[44]
군주국 (55), 공화국 (9)군주국 (22), 공화국 (4)군주국 (20), 공화국 (15)군주국 (13), 공화국 (21)군주국 (12), 공화국 (35)


3. 4. 20세기 이후

20세기 들어 신해혁명으로 중국이 공화제를 수립했지만, 공화제 국가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한다. 이 전쟁에서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3개국에서 군주제가 붕괴되었고[120], 민족자결을 내세워 전후 독립한 유럽 국가들은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등의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 공화제를 채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이탈리아와 동유럽 국가들에서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공화제 국가는 더욱 증가했다[121]. 또한, 그동안 동군연합제를 채택했던 영국 연방에서 독립한 인도가 공화제를 채택하면서도 영국 연방에 남기를 희망했기 때문에, 1949년에 국왕에 대한 충성 조항이 폐지되고, 영연방 왕국과 영국 연방이 제도적으로 분리되었다. 이로써 군주제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영국 연방에 잔류할 수 있게 되어[122], 구 영국 식민지들이 공화제를 채택하기 쉬워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몇 년 동안, 남아 있던 대부분의 유럽 식민지는 독립을 얻었고, 대부분 공화국이 되었다. 두 개의 가장 큰 식민지 지배국은 프랑스와 영국이었다. 공화국인 프랑스는 전 식민지에 공화국 수립을 장려했다. 영국은 초기 이주민 식민지에서 시행했던, 동일한 군주 하에 여전히 연결된 독립 영연방 왕국을 만드는 모델을 따르려고 시도했다. 대부분의 이주민 식민지와 카리브해 및 태평양의 소규모 국가들은 이 시스템을 유지했지만,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새로 독립한 국가들은 이를 거부하고 헌법을 개정하여 공화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 제정이 러시아 혁명으로 붕괴되었다. 러시아 임시 정부가 자유주의 공화국 형태로 수립되었지만, 볼셰비키에 의해 전복되었고, 이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이 건설되었다.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 하에 수립된 최초의 공화국이었다. 공산주의는 군주제에 완전히 반대했으며, 20세기 많은 공화주의 운동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러시아 혁명은 몽골로 확산되어 1924년 신정 군주제를 전복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자들은 루마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 헝가리, 알바니아를 점차 장악하여 이들 국가가 군주제가 아닌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재건되도록 했다.

탈식민화 과정에서 많은 민족 해방 운동에 공산주의 이념이 받아들여졌다. 베트남에서는 공산주의 공화파가 응우옌 왕조를 몰아냈고, 1970년대 이웃 국가인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군주제도 공산주의 운동에 의해 전복되었다. 아랍 사회주의는 일련의 봉기와 쿠데타에 기여하여 이집트, 이라크, 리비아, 예멘의 군주제를 타도했다. 아프리카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아프리카 사회주의가 군주제의 종식과 부룬디와 에티오피아와 같은 국가에서 공화국의 선포로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과정에서 식민지 시대에 보호국이나 간접 통치로 군주제가 남아 있던 국가나 일부 영연방 왕국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국가가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군주제가 남아 있던 국가에서도 이집트 왕국, 이라크 왕국, 예멘 왕국, 리비아 왕국, 그리고 이란 제국처럼 혁명의 발발로 군주제가 폐지되는 경우가 많았던[123] 반면, 새롭게 군주제를 도입하는 국가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20세기 중반 이후로는 군주제 국가보다 공화제 국가의 수가 더 많아졌다.

영국은 중동에서 다른 모델을 따랐다.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바레인, 오만, 예멘, 리비아를 포함한 여러 식민지와 위임통치 지역에 현지 군주제를 설치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혁명과 쿠데타가 여러 군주를 전복하고 공화국을 수립했다. 여러 군주국이 남아 있으며, 중동은 거의 완전한 정치적 통제권을 가진 군주가 여러 대규모 국가를 통치하는 세계 유일의 지역이다.[50]

군주제 국가에서 큰 정체 변동이 적어진 21세기에 들어서도 이러한 흐름은 미약하게나마 계속되고 있으며, 2008년에는 네팔이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이 되었다[124]. 또한 영국 연방 내 군주국에서도 2021년 11월 29일 바베이도스가 공화제로 이행했다[125].

현재 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들에서도 일부 국가에서는 공화제를 요구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영국 연방 내 군주국에서는 공화제 이행의 움직임이 여러 차례 나타났으며,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군주제 폐지 움직임이 강해 1999년에는 공화제 이행을 요구하는 1999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지만, 반대표가 55%에 달해 부결되었다[126]. 또한 자메이카, 그레나다, 벨리즈 등에서도 공화제 이행 움직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27]. 2022년 9월 엘리자베스 2세의 서거를 계기로 공화제를 요구하는 여론이 더욱 강해졌고[128], 앤티가 바부다에서는 군주제 폐지를 위한 국민투표가 검토되었으며[129], 바하마에서도 유사한 움직임이 있는 한편, 오스트레일리아의 공화제 논의도 재점화되었고[130], 뉴질랜드에서도 재신다 아던 총리가 미래의 공화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31].

4. 형태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4a8d4db_68eeab95.svg|thumb|right|350px|공화제 국가는 다음과 같은 색으로 분류된다.

빨강, 연보라, 보라는 군주제 국가]]

형태에 따라 대체로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이원집정부제, 공화제를 표방한 독재제도 등을 들 수 있다.[137]


  • 민주공화국
  • 연방공화국

  • ---

대통령제: 정부 수반(대통령)은 국민에 의해 선출되며, 입법부로부터 독립적이다.

  • ---

의원내각제: 정부 수반은 입법부가 선출하거나 지명하며, 입법부에 책임을 진다.

  • ---

혼합형 제도:

  • ---

기타 제도:군주가 없는 대부분의 현대 공화국에서는 국가원수의 직함으로 대통령을 사용한다. 원래는 영국에서 위원회 또는 통치 기구의 의장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던 이 용어는 일부 13개 식민지(원래 1608년 버지니아)의 지도자를 포함한 정치 지도자들에게도 적용되었는데, 전체적으로는 "평의회 의장"이었다.[51] 이 직함을 채택한 최초의 공화국은 미국이었다. 위원회의 장으로서의 용례를 유지하며 대륙 의회 의장은 원래 의회의 지도자였다. 새로운 헌법이 작성되었을 때 미국 대통령이라는 직함은 새로운 행정부의 수장에게 부여되었다.

공화국의 국가원수가 동시에 정부 수반인 경우 이를 대통령제라고 한다. 대통령 정부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완전 대통령제는 상당한 권한과 중앙 정치적 역할을 가진 대통령을 갖는다.

다른 국가에서는 입법부가 우세하고 대통령의 역할은 독일, 이탈리아, 인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같이 거의 의례적이고 비정치적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국가들은 의원내각제 공화국이며, 군주의 권력이 크게 제한되는 의원내각제를 가진 입헌군주국과 유사하게 운영된다. 의원내각제에서는 정부 수반(대부분 총리라는 직함을 가짐)이 가장 실질적인 정치적 권력을 행사한다. 준대통령제는 중요한 권한을 가진 적극적인 국가원수인 대통령과 중요한 권한을 가진 정부 수반인 총리를 모두 갖는다.

일부 공화국에서는 대통령과 정부 수반의 임명 규칙에 따라 상반되는 정치적 신념을 가진 대통령과 총리가 임명될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 집권 내각의 구성원과 대통령이 상반되는 정파 출신일 때 이 상황을 공존이라고 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산마리노, 스위스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원수가 한 사람이 아니라 그 직책을 맡는 여러 사람으로 구성된 위원회(평의회)이다. 로마 공화국에는 시민권을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성년 남성으로 구성된 ''센투리아 집회''에 의해 1년 임기로 선출된 두 명의 집정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공화제는 주권을 의미하는데, 국민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는 외세의 지배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외도 있는데, 예를 들어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들은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만 공화국으로 명명될 수 있었다.

# 소비에트 연방의 변방에 위치하여 탈퇴할 수 있는 이론적 권리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탈퇴 후 자급자족할 수 있을 정도로 경제적으로 강해야 한다.

# 해당 공화국의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민족 집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어야 한다.

|thumb|러시아의 공화국]]

소련의 구성국들이 서로 다른 국가였기 때문에, 전 소련이 초국가적 공화국이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6개의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체였다. 각 공화국은 의회, 정부, 시민권 제도, 헌법 등을 가지고 있었지만, 특정 기능(군대, 통화 문제)은 연방에 위임되었다. 각 공화국은 AVNOJ 제2차 회의의 결론과 연방 헌법에 따라 자결권을 가지고 있었다.

|thumb|upright=0.9|left|연방궁전 돔에 새겨진 스위스 주]]

스위스에서는 모든 주가 헌법,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를 갖춘 공화정 형태의 정부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많은 주들이 원래 주권 국가였다. 그 결과, 여러 로망스어권 주들은 스위스 연방 내에서의 역사와 독립 의지를 반영하여 여전히 공식적으로 공화국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예로 제네바 공화국 주와 티치노 공화국 주가 있다.[58]

|thumb|미국의 주인 캘리포니아주의 깃발, 하위 국가 단위]]

미국의 주들은 연방 정부와 마찬가지로 공화정 형태여야 하며, 최종 권한은 국민에게 있다. 이는 주들이 연방 정부에 위임된 영역과 주에 금지된 영역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내법을 제정하고 집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건국자들은 대부분의 국내법을 주들이 처리하기를 의도했다. 주들이 공화정 형태를 갖추도록 하는 것은 시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주가 독재국가나 군주국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원래 13개 주(모두 독립 공화국)가 공화국이 아닌 다른 주들과 연합할 의사가 없었음을 반영했다. 또한 이러한 요건은 공화국만이 연방에 가입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미국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13개의 영국 식민지는 미국 혁명 후 각각 공화정 형태의 정부를 가진 독립 국가가 되었다. 이들 독립국은 처음에 미국이라는 느슨한 연합을 형성한 후, 현재의 미국 헌법을 비준하여 현재의 미국을 형성하고, 공화국인 연합을 만들었다. 이후 연방에 가입하는 모든 주는 공화국이어야 했다.

공화제 국가의 체제는 완전한 권위주의 체제와 명목적으로나마 민주주의 체제를 채택하는 것으로 이분된다. 공화제 독재 정치 체제는, 문민이 지배하는 문민 독재와 군부가 지배권을 쥐는 군사 정권의 두 가지로 나뉘며, 문민 독재는 다시, 독재자 개인이 큰 권한을 쥐는 개인 지배 체제와 하나의 지배 정당이 전권을 쥐는 일당 독재제로 구분된다.[137]

민주 공화제 국가의 체제는, 행정부 수반과 의회와의 관계에 따라, 대통령제·반대통령제·의원내각제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대통령제는 유권자가 직접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을 선출하며, 의회가 대통령을 탄핵하는 것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가능하다. 이에 반해 의원내각제에서는, 행정부 수반인 총리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의회에서 선출되며, 마찬가지로 의회가 총리를 탄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통령제의 경우, 대통령은 유권자에 의해 직접 선출되고,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된다. 반대통령제에서는 의회가 대통령을 탄핵할 수는 없지만, 대통령이 총리를 탄핵할 수 있는 국가와 불가능한 국가의 두 종류가 있다.[138]

대통령이 항상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독일처럼 대통령의 권한이 의례적인 것에 그치는 국가도 있다.[139] 또한 행정부 수반의 명칭이 대통령이라 하더라도 국민으로부터 직접 선출되는 것은 아니며, 남아프리카처럼 의회에서 선출되는 의원내각제의 대통령도 있다.[140]

근대 이후 공화제의 분류에는 건국의 이념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이 있지만, 자칭하는 국호와는 다른 경우가 많으며, 그 정의와 범위는 모호하다.

  • (일반적인 공화제) - 자유주의, 민주주의 등을 표방하는 공화제. 18세기,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에 의해 탄생했다. 후술하는 사회주의 공화국 등과 대비시켜 자유주의(부르주아, 자본주의) 국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 사회주의 공화제 -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공화제. 일반적으로 헌법 등 기본법에 일당제(당의 지도성)를 명기한 공화국이다. 1917년 러시아 혁명에 의해 제정이 타도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탄생했다.
  • 이슬람 공화제 - 이슬람 국가의 공화제. 1979년 이란 혁명에 의해 왕정이 타도된 이란 이슬람 공화국 등에서 채택되었다.
  • 연방 공화제 - 연방을 주체로 한 공화제.


국가가 표방하는 사상이나 종교에 의한 공화국의 분류에서는, 사회주의 국가는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공화국이며, 많은 국가는 “사회주의 공화국”이나 “인민 공화국”을 내걸고,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입장에서 공산당에 의한 지도를 정했다.

또한 1977년부터 2011년까지의 리비아는 “대중에 의한 공화국”을 의미하는 자마히리야를 내걸었고, 이란 혁명 이후의 이란은 종교 지도자에 의한 지도를 중시하여 이슬람 공화국을 내걸고 있다.

공화제 중에서 특히 민주주의를 국가의 기본적인 원칙으로 중시하는 제도를 '''민주 공화제'''라고 하며, 이 제도를 채택하는 국가를 '''민주 공화국'''이라고 한다. (독일 민주 공화국 등 예외 있음)

일반적으로 다수(민주주의, 합의제 등)에 의한 통치 체제에서 1인 또는 소수가 권력을 독점하여 지배를 확립하는 것을 “독재”라고 부른다. 따라서 민주제나 공화제에서 발생한 권력 독점은 “독재”라고 불리지만, 군주국에서 발생한 권력 독점은 “전제”라고 불리고 “독재”라고는 부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독재자의 대부분은 공화제나 민주제의 실현이나 방어를 주장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공화국에서의 독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또한 사실상의 세습 군주제(혹은 그에 준하는 권위주의 체제)이면서 “공화국”을 자칭하는 국가도 존재한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리아 등).

이란은 이슬람 공화국이지만 권력(대통령) 위에 상징적인 권위(종교 지도자)를 두는 정체는 입헌군주제와 유사하다.

=== 대통령제 ===

대통령제에서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거나, 미국과 같이 선거인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선출된다.[52] 미국의 대통령은 주에서 선출한 선거인단에 의해 공식적으로 선출되며, 1832년 이후 모든 주에서는 인민 투표를 통해 선거인단을 선출해왔다.[52] 이러한 간접 선출 방식은 간접 선출 제도를 가진 공화국의 개념에 부합한다. 어떤 이들은 직접 선출이 대통령에게 정당성을 부여하고 상당한 정치적 권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52] 그러나 이러한 정당성에 대한 개념은 9개 주의 헌법 서명으로부터 대통령의 정당성이 발생한다고 규정한 미국 헌법과는 다르다.[53] 또한 직접 선출이 정당성에 필요하다는 생각은 대타협의 정신과도 모순되는데, 작은 주의 유권자들에게 대통령 선출에서 더 많은 대표성을 제공하는 결과로 이어진다.[54] 예를 들어, 2016년 와이오밍 주 시민들은 캘리포니아주 시민들보다 3.6배나 많은 선거인단 대표성을 가졌다.[55]

=== 의원내각제 ===

의원내각제는 의회에서 선출된 총리가 행정부의 수반이 되는 형태이다. 총리는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진다.

=== 이원집정부제 ===

이원집정부제는 대통령과 총리가 권한을 분담하는 형태이다. 대통령은 국민이 선출하고,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된다.

4. 1. 대통령제

대통령제에서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선출하거나, 미국과 같이 선거인단을 통해 간접적으로 선출된다.[52] 미국의 대통령은 주에서 선출한 선거인단에 의해 공식적으로 선출되며, 1832년 이후 모든 주에서는 인민 투표를 통해 선거인단을 선출해왔다.[52] 이러한 간접 선출 방식은 간접 선출 제도를 가진 공화국의 개념에 부합한다. 어떤 이들은 직접 선출이 대통령에게 정당성을 부여하고 상당한 정치적 권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52] 그러나 이러한 정당성에 대한 개념은 9개 주의 헌법 서명으로부터 대통령의 정당성이 발생한다고 규정한 미국 헌법과는 다르다.[53] 또한 직접 선출이 정당성에 필요하다는 생각은 대타협의 정신과도 모순되는데, 작은 주의 유권자들에게 대통령 선출에서 더 많은 대표성을 제공하는 결과로 이어진다.[54] 예를 들어, 2016년 와이오밍 주 시민들은 캘리포니아주 시민들보다 3.6배나 많은 선거인단 대표성을 가졌다.[55]

4. 2. 의원내각제

의원내각제는 의회에서 선출된 총리가 행정부의 수반이 되는 형태이다. 총리는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진다.

4. 3. 이원집정부제

이원집정부제는 대통령과 총리가 권한을 분담하는 형태이다. 대통령은 국민이 선출하고,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된다.

5. 헌법과 공화주의

공화국은 권력 분립을 제공하는 일련의 제도에 의해 구성된다는 의미에서 종종 헌법주의적인 의미를 지닌다.[67] 헌법 공화국이라는 용어는 특정 공화국에서 권력 분립을 강조하는 방식이다.

“공화국(republic)”이라는 용어는 르네상스 시대 작가들이 군주제가 아닌 국가를 묘사하는 용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정부와 사회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상을 고전 공화주의 또는 시민 인본주의라는 이데올로기의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이 이데올로기는 로마 공화정과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를 기반으로 하며 시민적 미덕, 법치주의, 혼합 정부와 같은 이상에 초점을 맞춘다.[67]

자유민주주의와 구별되는 정부 형태로서의 공화국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케임브리지 학파 역사 분석의 주요 논제 중 하나이다.[68] 이는 1975년 J. G. A. 포콕의 연구에서 비롯되었으며, 마키아벨리, 밀턴, 몽테스키외, 그리고 미합중국 건국자들이 일관된 공화주의적 이상을 표현했다고 주장했다. 포콕은 이것이 자유주의와는 구별되는 역사와 원칙을 가진 이데올로기라고 주장했다.[69] 이러한 사상은 퀸틴 스키너, 필립 페티트[70], 캐스 선스타인을 포함한 많은 작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6. 공화제와 민주주의의 관계

공화주의(군주제 폐지)와 민주주의(대중 지배, 인민 지배)는 역사적, 개념적, 제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65] 민주주의는 조직의 지배자가 다수임을 의미하며, 중요 문제의 최종 결정권, 즉 주권이 국민(시민)에게 있다는 사상, 체제, 국가를 가리킨다. 프랑스 혁명에서 자코뱅은 독재를 통해 테러 정치를 행했지만, 정체는 공화제였다.[65] 영국은 현재 일반적으로 민주 국가로 불리지만 군주제(입헌군주제)이다.[65]

공화주의 입장에서는 군주는 본래 국가의 사적인 소유자, 지배자이기 때문에 국민이 선출하는 대통령 등이 원수가 되는 것이 민주주의 및 평등주의를 철저하게 한 형태라고 생각한다.[65] 반면, 입헌군주제 입장에서는 형식적으로는 군주국이라도 헌법 등에 의해 군주의 권한을 대폭 또는 전부 제한하면 실질적인 민주주의(국민 주권)는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65]

독립 후 미국 공화주의에서 공화주의자는 주로 중도우파나 보수파로서 대의제(간접 민주주의)를 중시하여 공화당으로 흐름을 형성했고, 민주주의자는 선거권의 확대와 직접 민주주의를 중시하여 민주당으로 흐름을 형성했다.[65]

몽테스키외는 그의 1748년 저서 『법의 정신』에서 "제비뽑기는 민주주의의 본질이고, 선택에 의한 투표는 귀족 정치의 본질이다."라는 아리스토텔레스가 2천 년 전에 표현했던 통찰을 반복했다. 루소, 로베스피에르, 그리고 마라는 새로운 프랑스 공화국에 대해 "귀족의 귀족 정치를 무너뜨렸는데, 그것이 부자들의 귀족 정치로 대체된다면 우리에게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말했다.[66]

7. 비판과 논쟁

일부 공화국은 명목상 공화제이지만, 실제로는 독재 또는 권위주의 체제로 운영되기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시리아 아랍 공화국에서는 세습적인 지도자에 의한 강권적인 독재가 계속되고 있으며, 국명과 실태의 불일치를 비판하는 목적으로 "김씨 왕조[141]""아사드 왕조[142]"라는 조롱이 있다. 이러한 국가들은 권력이 한 가족 내에서 계승되어야 한다는 헌법적 요구 사항은 없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일어났다.[56]

일반적으로 다수(민주주의, 합의제 등)에 의한 통치 체제에서 1인 또는 소수가 권력을 독점하여 지배를 확립하는 것을 “독재”라고 부른다. 따라서 민주제나 공화제에서 발생한 권력 독점은 “독재”라고 불리지만, 군주국에서 발생한 권력 독점은 “전제”라고 불리고 “독재”라고는 부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독재자의 대부분은 공화제나 민주제의 실현이나 방어를 주장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공화국에서의 독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공화제와 군주제의 구분은 항상 명확하지 않다. 입헌군주제 국가들은 대부분의 실질적인 정치 권력이 선출된 대표자들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군주는 이론적인 권력만 갖거나, 권력이 없거나, 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예비 권력만 가지고 있다. 정치적 결정에 대한 실질적인 정당성은 선출된 대표자들에게서 나오며 국민의 의지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이러한 국가들은 때때로 왕관을 쓴 공화국으로 불린다.[56]

공화제는 군주가 존재하지 않는 정체이지만, 군주의 정의와 범위는 모호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공식적으로는 공화제이지만 세습적인 군주적 존재를 국가원수로 하는 경우나, 반대로 공식적으로는 군주제이지만 군주가 의례적인 권한만 가지는 경우도 있어 그 경계와 용어는 모호하다.

참조

[1] 웹사이트 Republic {{!}} Definition of Republic by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22-05-10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Republic https://www.merriam-[...] 2017-02-18
[3] 웹사이트 Republic https://www.merriam-[...] Merrium-Webster Inc. 2019-06-05
[4] 서적 "Republic" Charles Scribner's Sons
[5] 백과사전 res, II.K https://www.perse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14
[6] 서적 The Republic Basic Books
[7] 웹사이트 Republic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18-10-20
[8] 서적 Machiavelli and Florentine Republican Exper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Republicanism Blackwell
[10] 서적
[11] 서적 Common Sense https://press-pubs.u[...] 1776
[12] 서적 Ancient and Modern Republic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republic
[14] 서적 The Machiavellian Moment: Florentine Political Thought and the Atlantic Republican Tradition
[15] 서적 Republics, Ancient and Moder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6] 서적 TYRE Through The Ages (3rd ed.) Beirut: Librairie Orientale 2018
[17] 서적 Tyre and its history Beirut: Anis Commercial Printing Press s.a.l. 2010
[18] 서적 Black Athena Writes Back: Martin Bernal Responds to His Critics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Holy Bible Containing the Old and New Testaments: The Text Printed from the Most Correct Copies of the Present Authorized Translation Including the Marginal Readings and Parallel Texts with a Commentary and Critical Notes Designed as a Help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acred Writings https://books.google[...] N. Bangs and J. Emory 1825
[20] 서적 The End of Kings: A History of Republics and Republica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서적
[22] 웹사이트 Concepts of Democracy and Democratization in Africa Revisited http://upress.kent.e[...]
[23] 문서 Diodorus 2.39 2024-12
[24] 문서 2024-12
[25] 문서 2024-12
[26] 문서 2024-12
[27] 문서 2024-12
[28] 서적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29]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University of Calcutta
[30] 서적 Republics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Kautilya and the Arthashastra Leiden
[34] 뉴스 Iceland seeks to become sanctuary for free speech http://www.latimes.c[...] 2011-04-02
[35] 서적 Law in Medieval Russia IDC Publishers
[36] 서적 Republicanism Encyclopedia of the Enlightenment
[37] 서적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Republicanism Encyclopedia of the Enlightenment
[39] 서적 Latin American Republicanism Charles Scribner's Sons
[40] 문서 Ottoman Empire, Russian Empire, Europe, Swiss Confederation, Free Cities of Hamburg, Bremen, Lübeck, Frankfurt, San Marino, Republic of Cospaia, Septinsular Republic, German Confederation
[41] 문서 Ottoman Empire, Russian Empire, Europe
[42] 문서 Republic of Turkey, Europe, Soviet Union, Irish Free State, Vatican City, Kingdom of Hungary
[43] 문서 Republic of Turkey, Europe, Soviet Union, Free Territory of Trieste, Vatican City, Spanish State
[44] 문서 Republic of Turkey, Europe, Russian Federation, Republic of Kosovo, Vatican City, Kazakhstan, 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
[45] 백과사전 Italia Treccani
[46] 서적 Histoire de l'Itali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47] 서적 Donna Italia. L'allegoria della Penisola dall'antichità ai giorni nostri https://www.academia[...] Angelo Colla Editore
[48] 서적 Storia della Repubblica italiana Rizzoli
[49] 학술지 Italy: From Fascism to the Republic (1943–1946) 1948-09
[50] 학술지 Absolutism and the Resilience of Monarchy in the Middle East
[51] 사전 OED
[52] 서적 Presidential Systems Macmillan Reference USA
[53] 법률 Article VII,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54] 법률 Article II, Para 2,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55] 웹사이트 Voters In Wyoming Have 3.6 Times The Voting Power That I Have. It's Time To End The Electoral College https://www.huffingt[...] 2016-11-10
[56] 문서 H. G. Wells, A Short History of the World, Alfred, Lord Tennyson, Idylls of the King
[57] 서적 The Identity of the Bourgeois Liberal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웹사이트 République https://hls-dhs-dss.[...] Historical Dictionary of Switzerland 2021-02-01
[59] 웹사이트 republic https://www.britanni[...] 2021-12-15
[60] 서적 Medieval Latin: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ical Guide https://books.google[...] CUA Press
[61] 서적 Politics and History in the Tenth Century: The Work and World of Richer of Reim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Making of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European Unity CUA Press
[63] 서적 The History of the European Union: Constructing Utopia Bloomsbury Publishing
[64] 서적 Ethnography After Antiquity: Foreign Lands and Peoples in Byzantine Literatu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5] 서적 Against Elections Seven Stories Press
[66] 서적 Against Elections Seven Stories Press
[67] 웹사이트 Republicanism http://plato.stanfor[...] 2006-06-19
[68] 학술지 Machiavelli against Republicanism: On the Cambridge School's 'Guicciardinian Moments
[69] 서적 The Machiavellian Moment: Florentine Political Thought and the Atlantic Republican Tradition Princeton
[70] 서적 Republicanism: A Theory of Freedom and Gover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71] 웹사이트 Democracy - Democracy or republic? https://www.britanni[...] 2021-06-27
[72] 웹사이트 What Is a Democracy? [ushistory.org] https://www.ushistor[...] 2021-06-27
[73] 웹사이트 SEARCHING -word- for [republic] :: Search the 1828 Noah Webster'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REE) :: 1828.mshaffer.com https://1828.mshaffe[...] 2021-06-27
[74] 서적 Harvcoltxt 2000
[75] 웹사이트 1593. Benjamin Franklin (1706–1790). Respectfully Quoted: A Dictionary of Quotations. 1989 http://www.bartleby.[...] 2022-06-25
[76] 법률 In re Duncan, Minor v. Happersett null
[77] 서적 GOVERNMENT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Black's Law Dictionary, Sixth Edition null
[78] 논문 Republicanism in Political Rhetoric Before 1776 1970-09
[79] 논문 Classical Republicanism and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scholarship.[...] 1990-04
[80] 웹사이트 Founded on a Set of Beliefs - Creating the United States Exhibitions https://www.loc.gov/[...] 2021-06-27
[81] 서적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82] 서적 Republicanism and Bourgeois Radicalism: Political Ideology in Late Eighteenth-Century England and Ameri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0
[83] 웹사이트 republic -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84] 웹사이트 republic -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85] 서적 법의 정신 1748
[86] 웹사이트 republic - Encyclope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87] 백과사전 国民百科事典2 平凡社 1961-04-30
[88]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小学館 null
[89] 논문 英華辞典と英和辞典との相互影響 : 20世紀以降の英和辞書による中国語への語彙浸透を中心に https://doi.org/10.1[...] null
[90] 서적 近代知の翻訳と伝播 null
[91] 서적 近代知の翻訳と伝播 null
[92] 서적 法窓夜話 岩波文庫 null
[93] 논문 合衆国はなぜ合州国と書かないか http://rnavi.ndl.go.[...] 1971
[94] 서적 古代中国の虚像と実像 講談社 2009
[95] 백과사전 Monarchy Charles Scribner's Sons 2005
[96] 서적 The History of Government from the Earliest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97] 논문 Ancient and Modern Republic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98] 서적 南アジア史 山川出版社 2004-03-30
[99] 서적 古代インド 講談社学術文庫 2004-09-10
[100] 서적 ヨーロッパ封建都市 講談社学術文庫 1994-12-10
[101] 서적 ヨーロッパ封建都市 講談社学術文庫 1994-12-10
[102] 서적 物語 スイスの歴史 中公新書 2000-07-25
[103] 서적 図説 ロシア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0-05-30
[104] 서적 物語 オランダの歴史 中公新書 2017-05-25
[105] 서적 イギリス史10講 岩波新書 2013-12-10
[106] 서적 イギリス史10講 岩波新書 2013-12-10
[107] 서적 イギリス史10講 岩波新書 2013-12-10
[108] 서적 代議制民主主義 中公新書 2015-11-25
[109] 서적 代議制民主主義 中公新書 2015-11-25
[110] 서적 植民地から建国へ 19世紀初頭まで 岩波新書 2019-04-19
[111] 서적 代議制民主主義 中公新書 2015-11-25
[112] 서적 代議制民主主義 中公新書 2015-11-25
[113] 서적 はじめて学ぶフランスの歴史と文化 ミネルヴァ書房 2020-03-31
[114] 서적 ヨーロッパ封建都市 講談社学術文庫 1994-12-10
[115] 서적 ヨーロッパ封建都市 講談社学術文庫 1994-12-10
[116] 서적 物語 オランダの歴史 中公新書 2017-05-25
[117] 서적 物語 オランダの歴史 中公新書 2017-05-25
[118] 서적 代議制民主主義 中公新書 2015-11-25
[119] 서적 物語 ベルギーの歴史 中公新書 2014-08-25
[120] 서적 現代社会の陛下たち デモクラシーと王室・皇室 ミネルヴァ書房 2018-09-20
[121] 서적 現代社会の陛下たち デモクラシーと王室・皇室 ミネルヴァ書房 2018-09-20
[122] 서적 イギリス帝国の歴史――アジアから考える 中公新書 2012
[123] 서적 現代社会の陛下たち デモクラシーと王室・皇室 ミネルヴァ書房 2018-09-20
[124] 웹사이트 ネパール制憲議会で宣誓式、君主制廃止へ https://www.afpbb.co[...] 2020-06-30
[125] 웹사이트 バルバドス、共和国に移行 英女王の君主制を廃止 https://www.bbc.com/[...] 2023-02-25
[126] 웹사이트 https://nichigopress[...] 2023-02-25
[127] 웹사이트 英連邦、王室離反の動き 共和制移行の加盟国も―「代替わり」で絆にほころび https://web.archive.[...] 2023-02-25
[128] 웹사이트 「女王の死が転換点に」カリブ海諸国でイギリス王室離れが活発化 元植民地、共和制への意向表明続々 https://www.tokyo-np[...] 2023-02-25
[129] 웹사이트 英連邦アンティグア・バーブーダ、共和制への移行問う国民投票を検討 https://www.bbc.com/[...] 2023-02-25
[130] 웹사이트 エリザベス女王死去で揺らぐ「君主制」、英連邦で「共和制」論議が活発化 https://www.yomiuri.[...] 2023-02-25
[131] 웹사이트 NZ首相「将来的に共和制移行も」、早期の措置は否定 https://jp.reuters.c[...] 2023-02-25
[132] 문서 18세기 유럽의 국가 목록
[133] 문서 18세기 유럽의 국가 목록
[134] 문서 18세기 유럽의 국가 목록
[135] 문서 18세기 유럽의 국가 목록
[136] 문서 18세기 유럽의 국가 목록
[137]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138]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139] 서적 代議制民主主義 中公新書 2015-11-25
[140] 서적 比較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14-09-30
[141] 웹사이트 김씨 왕조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23-04-25
[142] 웹사이트 【地図で読む】「アサド朝シリア」を支えるロシア軍基地 {{!}} 中東・イスラーム学の風姿花伝 http://ikeuchisatosh[...] 2015-09-29
[143] 웹사이트 【産経抄】「習おじさんを熱烈に愛する」と合唱 中国共産党大会に改革派長老の姿はなかった 10月25日(2/2ページ) https://www.sankei.c[...] 2017-10-25
[144] 문서 표준국어대사전
[145] 웹사이트 republic과 공화제(共和制) http://weekly1.chosu[...] 2018-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