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연맹은 아랍 국가 간의 경제 개발, 분쟁 해결, 정치적 목표 조정을 목표로 1945년에 창설된 지역 기구이다. 알렉산드리아 의정서 채택 이후 1945년 3월 22일에 창설되었으며, 현재 22개 회원국과 7개의 참관국을 두고 있다. 아랍 연맹은 이스라엘과의 관계, 팔레스타인 문제, 경제 통합, 회원국 간의 사회적, 문화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고 결정 기구는 이사회이며, 사무총국, 상임위원회, 공동 방위 이사회 등을 산하에 두고 있다.
아랍 연맹은 1945년 3월 22일 알렉산드리아 의정서 채택 이후 창설되어, 경제 개발, 분쟁 해결, 정치적 목표 조정을 위한 아랍 국가들의 지역 기구로 기능했다.[8][9] 이후 다른 국가들도 연맹에 가입했으며,[10] 첫 주요 활동은 유엔 총회의 결정에 따른 팔레스타인 분할에 반대하는 공동 개입이었다. 그러나 트란스요르단이 이 제안에 동의하자 이집트가 이를 막았다.[11] 1965년에는 공동 시장이 설립되었다.[12]
아랍 연맹은 회원국 간의 경제적 통합을 지원하고, 회원국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는 정치 기구이다. 아랍 연맹 헌장[4]은 범아랍주의 원칙을 지지하며, 회원국의 주권을 존중한다. 1951년 10월에는 리그 이사회[30]와 위원회[31]의 내부 규정이, 1953년 5월에는 사무총국 규정이 합의되었다.[32]
2. 역사
아랍 연맹은 아랍 지도자들의 정권 유지에 대한 개별적인 우려 때문에 큰 협력을 이루지 못했다.[5] 마이클 바넷과 에텔 솔린겐에 따르면, 아랍 연맹은 "본국에서 정치 지도자들을 약화시킬 수 있는 더 큰 협력과 통합을 생산하는 데 실패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는데, 이는 아랍 민족주의와 공유된 정체성을 명분으로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주권 제약을 우려했기 때문이다.[5]
2. 1. 창설 배경
1944년 알렉산드리아 의정서 채택 이후, 아랍 연맹은 1945년 3월 22일에 창설되었다.[8] 연맹의 공식 본부는 카이로의 부스탄 궁이었다.[9] 아랍 국가들의 지역 기구로서 경제 개발, 분쟁 해결, 정치적 목표 조정을 목표로 했다.[9] 각 국가에게는 의회에서 1표가 주어졌다.
20세기에 들어 아랍 민족주의가 고조되면서 아랍 국가 간의 지역 협력 기구 설립이 요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아랍 국가들이 추축국 편에 서는 것을 막기 위해 1941년 5월 29일부터 영국의 앤서니 이든이 이 구상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아랍 각국의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1943년 2월에 이든은 다시 비슷한 제안을 했고, 이에 아랍 각국이 적극적인 찬성을 표명하면서 이 구상은 구체화되었다.[76]
하지만 이 기구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제각각이었다. 이집트의 무스타파 엘 나하스 총리는 적극적인 찬성을 표명하며 연맹 설립의 주도권을 쥐었지만, 이집트의 입장은 이 기구를 느슨한 국가 간 협력 기구로 유지하려는 것이었다. 트란스요르단과 시리아는 모두 대 시리아(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의 통합을 주장하고 그 위에 아랍 연합을 요구하는 입장을 보였지만, 요르단은 하심가의 군주제를, 시리아는 공화제를 구상했다. 이라크는 여기에 이라크를 더한 통합 구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라크와 요르단은 각 국가의 완전한 통합까지는 이르지 않고 다소 통제가 강한 국가 연합을 지향했다. 이에 반해 시리아는 아랍 통일에 가장 적극적이었으며, 창설 7개국 중 유일하게 주권 포기에도 응할 자세를 보였다. 이러한 적극적인 국가들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와 레바논은 주권 이양에 강하게 반대했다. 레바논은 앞서 언급한 대 시리아에 포함된 지역이었지만, 다른 지역과는 달리 기독교의 마론파가 주도권을 쥐고 있었고, 대 시리아가 통합될 경우 주변의 수니파에 흡수될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주권 이양의 움직임에 강하게 반대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원래 고립주의적인 경향이 강해 연맹 설립 자체에 회의적이었고, 예멘도 이에 따랐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집트가 주체가 되어 타협이 이루어졌고, 어떠한 강제력도 갖지 않는 느슨한 지역 협력 기구로 유지함으로써 소극적인 국가들을 묶어 연맹이 설립되었다.[76]
2. 2. 창설 과정
1944년 알렉산드리아 의정서 채택 이후, 아랍 연맹은 1945년 3월 22일에 창설되었다.[8] 연맹의 공식 본부는 카이로의 부스탄 궁이었다.[9] 아랍 국가들의 지역 기구로서 경제 개발, 분쟁 해결, 정치적 목표 조정을 목표로 했다.[9] 이후 다른 국가들도 연맹에 가입했다.[10] 각 국가에게는 의회에서 1표가 주어졌다.
20세기에 들어 아랍 민족주의가 고조되면서 아랍 국가 간의 지역 협력 기구 설립이 요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아랍 국가들이 추축국 편에 서는 것을 막기 위해 1941년 5월 29일부터 영국의 앤서니 이든이 이 구상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아랍 각국의 지지를 받지 못했지만 이든은 1943년 2월에 다시 비슷한 제안을 했고, 이에 아랍 각국이 적극적인 찬성을 표명하면서 이 구상은 구체화되었다. 하지만 이 기구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제각각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집트가 주체가 되어 타협이 이루어졌고, 어떠한 강제력도 갖지 않는 느슨한 지역 협력 기구로 유지함으로써 소극적인 국가들을 묶어 연맹이 설립되었다.[76]
2. 3. 중동 전쟁과 아랍 연맹
아랍 연맹이 가장 먼저 착수한 문제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아랍인과 유대인의 대립, 즉 팔레스타인 문제였다.[77] 1947년 11월 국제 연합에서 팔레스타인 분할 결의안이 채택되자 아랍 연맹은 이에 반대했다. 1948년 5월 14일 영국군이 팔레스타인에서 철수하고 같은 날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자, 레바논, 시리아, 트란스요르단, 이라크, 이집트 등 아랍 연맹 5개국은 이스라엘에 즉시 선전 포고를 하고 팔레스타인으로 진격하여 제1차 중동 전쟁이 발발했다.[77] 아랍 연맹군은 병력으로는 우세했으나 공동 보조를 취할 수 없었고, 이스라엘에 반격당하여 1949년 사실상 패배라는 형태로 정전 협정을 맺었다.[77]
패전 후, 아랍 국가들은 제1차 중동 전쟁에서 연대를 강화하지 못한 경험을 바탕으로 아랍 연맹 내에서 더욱 강한 통합을 요구했고, 1950년 공동 방위 이사회와 상임 군사위원회가 연맹에 설립되어 가맹국 간의 군사 연계가 깊어졌다.[77] 1951년에는 다마스쿠스에 이스라엘 보이콧 사무국이 설립되어 이스라엘과의 무역을 금지하는 보이콧 운동이 시작되었다.[78] 1956년 수에즈 위기에서 연맹은 이집트를 전면적으로 지지하고,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 대항했다.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아랍 측이 이스라엘에 대패하자, 같은 해 9월 아랍 수뇌 회의에서 이스라엘에 대해 "평화하지 않고, 교섭하지 않고, 승인하지 않는다"는 결의를 했다.[82] 1970년에는 요르단 내전이 발발했고,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와 요르단의 중재에 나서, PLO는 본부를 요르단의 수도 암만에서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로 이전했다.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에서 이집트와 시리아는 이스라엘을 공격했고, 연맹은 이들을 지원했다. 아랍 석유 수출국 기구(OAPEC)는 비우호국에 대한 석유 공급 감축을 실시하고, 석유 수출국 기구도 이에 동조하면서 제1차 석유 파동이 발발했다. 1974년 아랍 수뇌 회의에서 PLO는 팔레스타인의 유일한 대표가 되었으며, 1976년 정식으로 연맹에 가맹했다.[83] 레바논 내전에서는 1976년 평화 유지 활동을 결정했다.
1978년 3월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서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과 이스라엘 총리 메나헴 베긴 간에 양국의 휴전과 상호 승인이 체결되자, 아랍 연맹은 이집트를 강하게 비판하고 1978년 11월 이집트를 연맹에서 추방했다.[84] 아랍 연맹 본부도 튀니지의 튀니스로 이전했다.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어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아랍 연맹은 이라크를 지지했다.[86] 1987년 제1차 인티파다에 대해서는 지원 결의를 채택했다.[87] 1989년 5월, 이집트가 연맹에 복귀하고 본부도 다시 카이로로 돌아왔다.
2. 4. 걸프 전쟁과 아랍 연맹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이라크는 원유 가격 인상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 했으나, 석유 수출국 기구와 쿠웨이트를 비롯한 아랍 국가들의 증산으로 인해 실패했다. 이라크는 쿠웨이트와 루마이라 유전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다가 1990년 8월 2일 쿠웨이트 침공을 감행했다.[88]
아랍 연맹은 긴급 정상 회담을 열어 이라크 비난 결의를 채택했지만, PLO와 리비아는 이라크를 지지했고 예멘은 태도 보류, 요르단은 기권하는 등 아랍 연맹 내 심각한 균열이 발생했다.[89]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많은 아랍 국가들이 대 이라크 공격에 참전했다. 걸프 전쟁은 이라크의 패배로 끝났지만, 아랍 연맹의 약함과 내부 균열을 드러냈다.
1993년 이스라엘과 PLO 간의 오슬로 협정을 승인했다.[90] 2003년 이라크 전쟁에서는 쿠웨이트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미국과 영국군의 즉시 철수를 요구했다.[91][92]
2. 5. 아랍의 봄과 현재
이집트는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체결로 인해 아랍 연맹에서 자격이 정지되었으나, 1989년에 재가입했다.[22] 리비아는 제1차 리비아 내전 발발 이후인 2011년 2월에 자격이 정지되었다가[23] 그해 8월 리비아 국민전이위원회가 대표로 인정받으며 회원 자격을 회복했다.[24]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 발발 직후인 2011년 11월에 자격이 정지되었다.[25] 2013년 아랍 연맹은 시리아 국민 연합에게 시리아의 자리를 부여했으나,[25] 2014년 시리아 자리는 공석으로 유지되었다.[26] 2021년 시리아와 다른 아랍 국가들 간의 관계 정상화가 시작되었고,[27] 2023년 5월 시리아의 회원 자격 복귀가 합의되었다.[28]
2011년 아랍의 봄에 대해 아랍 연맹은 초기에는 신중한 입장이었으나, 점차 개혁파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이는 시리아 내전에 대한 아랍 연맹의 입장에서 잘 드러난다. 2011년 10월, 아랍 연맹은 시리아 정부에 반정부 시위 무력 탄압 중단을 요구하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11월에는 시리아와 폭력 중단에 합의했지만 탄압이 계속되자, 시리아의 회원 자격을 정지시켰다.[93]
이후 아랍 연맹은 시리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결의했다. 제재 내용은 아랍 국가와 시리아 정부 간 관계 단절, 시리아에 대한 투자 금지, 시리아 자산 동결, 시리아 정부 고위 관리[94] 여행 금지, 민간 항공 운항 금지[95] 등이었다.
2015년 3월, 아랍 연맹은 지역 불안정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합동 군대 창설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99]
시리아가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을 받아 내전에서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면서, 2023년 5월 시리아의 아랍 연맹 복귀가 결정되었다.[100][101]
3. 조직
아랍 연맹의 통치는 초국가적 기구와 회원국의 주권이라는 이중성에 기반한다. 각국 통치 엘리트의 권력 유지, 부유한 국가의 재산 공유 우려, 아랍 냉전 시기 아랍 통치자 간 불화, 외부 강대국의 영향 등은 아랍 연맹의 통합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팔레스타인 아랍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조약 입안자들은 리그 창설 초기부터 팔레스타인을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33] 1964년 카이로 정상 회담에서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창설이 시작되었고, PLO는 곧 아랍 연맹에 가입했다. 현재 팔레스타인 국가는 아랍 연맹의 정회원국이다.
2002년 베이루트 정상 회담에서 아랍 평화 구상이 채택되어,[34]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제안했다. 이 구상은 이스라엘이 골란 고원 등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철수하고,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을 인정하며,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에 대한 공정한 해결책을 요구했다. 2007년 리야드 정상 회담에서 재확인되었으며, 요르단과 이집트 외무 장관이 이스라엘에 파견되어 구상을 홍보했다.
아랍 연맹은 중국-아랍 국가 협력 포럼(CASCF)의 회원으로,[36] 아랍 국가와 중국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37] 철도, 원자력 발전, 사해 계획 등 여러 국가가 관련된 프로젝트에서 아랍 연맹은 조정 역할을 통해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36]
2015년 예멘 내 사우디 아라비아 주도 개입을 지지했으며,[38] 2018년 터키의 시리아 북부 침공에 대해 터키군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9] 2019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요르단 계곡 병합 계획을 비난했고, 2019년 터키의 시리아 북동부 공세를 '침략'으로 규정하며 국제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41] 2020년 이스라엘-아랍에미리트 평화 협정에 대한 비난은 거부했지만,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는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1967년 국경 내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42] 20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 이스라엘 (집단 학살 협약) 국제사법재판소 집단 학살 소송을 지지했다.[43]
아랍 연맹은 공동 방위 및 경제 협력 조약에 따라 집단 안보를 조정하기 위해 공동 방위 위원회를 설립했다.[49][50] 자체 군대는 없지만, 2007년 정상 회담에서 공동 방위 재활성화와 평화 유지군 창설을 결정했고, 2015년 정상 회담에서 공동 군사력 창설에 합의했다.[51]
3. 1. 이사회
아랍 연맹의 최고 결정 기관은 각국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이다. 이사회 아래에는 집행 기관인 사무총국, 상임위원회, 공동 방위 이사회, 사회 경제 이사회, 팔레스타인 문제 총본부, 이스라엘 보이콧 본부 등의 부서와 전문 기관이 있다.[70] 이사회는 1년에 2회 개최되며, 가맹 2개국 또는 통상 이사회의 요청에 따라 긴급 이사회를 열 수 있다.[70]
1963년부터 개최된 아랍 정상 회담은 2000년에 정식으로 아랍 연맹의 회의가 되었다. 정상 회담은 1년에 한 번 가맹국 도시에서 열린다. 이사회가 각료 수준의 각국 대표로 구성되는 반면, 정상 회담은 각국의 원수가 모여 논의를 진행하기 때문에, 정상 회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71]
3. 2. 사무총국
아랍 연맹의 사무총국은 집행 기관이며, 최고 결정 기관인 이사회의 아래에 있다. 사무총국 외에도 상임위원회, 공동 방위 이사회, 사회 경제 이사회, 팔레스타인 문제 총본부, 이스라엘 보이콧 본부 등의 부서와 전문 기관이 존재한다.[70]
본부는 이집트 카이로에 위치해 있다. 역대 사무총장 8명 중 7명이 이집트 출신일 정도로[72] 이집트의 영향력이 강하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이에 반발하기도 하며, 이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슬람 협력 기구 설립에 적극적이었던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1979년 3월, 이집트가 이스라엘과 단독 평화를 맺자 연맹에서 추방되었고, 본부는 일시적으로 튀니지의 튀니스로 이전되었다.[73] 1989년 5월, 이집트가 연맹에 복귀하면서 본부도 카이로로 돌아왔다.[74]
역대 사무총장은 다음과 같다.
대 | 성명 | 생몰년 | 취임일 | 퇴임일 | 출신국 |
---|---|---|---|---|---|
1 | Abdul Rahman Hassan Azzam|압드 알 라흐만 아잠영어 | 1893-1976 | 1945년 3월 22일 | 1952년 9월 | مصر|이집트ar |
2 | Mohamed Abdul Khalek Hassouna|무함마드 압드 알 할렉 하쑤나영어 | 1898-1992 | 1952년 9월 | 1972년 6월 1일 | مصر|이집트ar |
3 | Mahmoud Riad|마흐무드 리야드영어 | 1917-1992 | 1972년 6월 1일 | 1979년 3월 | مصر|이집트ar |
4 | Chedli Klibi|셰들리 클리비영어 | 1925-2020 | 1979년 3월 | 1990년 9월 | تونس|튀니지ar |
대행 | 아사드 알 아사드 | 1920- | 1990년 9월 | 1991년 5월 15일 | لبنان|레바논ar |
5 | Ahmed Asmat Abdel-Meguid|아흐메드 아스마트 압델마기드영어 | 1924-2013 | 1991년 5월 15일 | 2001년 5월 15일 | مصر|이집트ar |
6 | 암르 무사 | 1936- | 2001년 5월 15일 | 2011년 7월 1일 | مصر|이집트ar |
7 | 나빌 엘 아라비 | 1935- | 2011년 7월 1일 | 2016년 7월 3일 | مصر|이집트ar |
8 | Ahmed Aboul Gheit|아흐메드 아불게이트영어 | 2016년 7월 3일 | مصر|이집트ar |
3. 3. 정상 회담

아랍 연맹 정상 회담은 1963년부터 개최되었으며, 2000년에 정식으로 아랍 연맹의 회의가 되었다. 1년에 한 번 가맹국 도시에서 열리며, 각국 원수들이 모여 논의를 진행한다.[71] 각료 수준의 각국 대표로 구성되는 이사회와 달리, 정상 회담은 각국 원수가 모여 논의를 진행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71]
번호 | 날짜 | 개최국 | 개최 도시 |
---|---|---|---|
1 | 1964년 1월 13일–17일 | 카이로 | |
2 | 1964년 9월 5일–11일 | 알렉산드리아 | |
3 | 1965년 9월 13일–17일 | 카사블랑카 | |
4 | 1967년 8월 29일 | 하르툼 | |
5 | 1969년 12월 21일–23일 | 라바트 | |
6 | 1973년 11월 26일–28일 | 알제 | |
7 | 1974년 10월 29일 | 라바트 | |
8 | 1976년 10월 25일–26일 | 카이로 | |
9 | 1978년 11월 2일–5일 | 바그다드 | |
10 | 1979년 11월 20일–22일 | 튀니스 | |
11 | 1980년 11월 21일–22일 | 암만 | |
12 | 1982년 9월 6일–9일 | 페스 | |
13 | 1985년 | 카사블랑카 | |
14 | 1987년 | 암만 | |
15 | 1988년 6월 | 알제 | |
16 | 1989년 | 카사블랑카 | |
17 | 1990년 | 바그다드 | |
18 | 1996년 | 카이로 | |
19 | 2001년 3월 27일–28일 | 암만 | |
20 | 2002년 3월 27일–28일 | 베이루트 | |
21 | 2003년 3월 1일 | 샤름 엘 셰이크 | |
22 | 2004년 5월 22일–23일 | 튀니스 | |
23 | 2005년 3월 22일–23일 | 알제 | |
24 | 2006년 3월 28일–30일 | 하르툼 | |
25 | 2007년 3월 27일–28일 | 리야드 | |
26 | 2008년 3월 29일–30일 | 다마스쿠스 | |
27 | 2009년 3월 28일–30일 | 도하 | |
28 | 2010년 3월 27일–28일 | 시르테 | |
29 | 2012년 3월 27일–29일 | 바그다드 | |
30 | 2013년 3월 21일–27일 | 도하[44] | |
31 | 2014년 3월 25일–26일 | 쿠웨이트 시티[45] | |
32 | 2015년 3월 28일–29일 | 샤름 엘 셰이크[46] | |
33 | 2016년 7월 20일 | 누악쇼트 | |
34 | 2017년 3월 23일–29일 | 암만[47] | |
35 | 2018년 4월 15일 | 다란 | |
36 | 2019년 3월 31일 | 튀니스[48] | |
37 | 2022년 11월 1일 | 알제 | |
38 | 2023년 5월 19일 | 제다 | |
39 | 2024년 5월 16일 | 마나마 | |
번호 | 날짜 | 개최국 | 개최 도시 |
---|---|---|---|
1 | 1970년 9월 21일–27일 | 카이로 | |
2 | 1976년 10월 17일–28일 | 리야드 | |
3 | 1985년 9월 7일–9일 | 카사블랑카 | |
4 | 1987년 11월 8일–12일 | 암만 | |
5 | 1988년 6월 7일–9일 | 알제 | |
6 | 1989년 6월 23일–26일 | 카사블랑카 | |
7 | 1990년 5월 28일–30일 | 바그다드 | |
8 | 1990년 8월 9일–10일 | 카이로 | |
9 | 1996년 6월 22일–23일 | 카이로 | |
10 | 2000년 10월 21일–22일 | 카이로 | |
11 | 2016년 1월 7일 | 리야드 | |
12 | 2023년 11월 11일 | 리야드 |
모로코 페스에서 열린 12차 정상 회담은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 1981년 11월 25일: 5시간 동안의 회의는 합의 없이 종료.
- 1982년 9월 6일–9일.
3. 4. 기타 기구
각국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가 최고 결정 기관이며, 그 아래 집행 기관인 사무총국, 상임위원회, 공동 방위 이사회, 사회 경제 이사회, 그 외 팔레스타인 문제 총본부와 이스라엘 보이콧 본부 등의 부서와 전문 기관이 있다. 이사회는 1년에 2회 개최되며, 가맹 2개국 또는 통상 이사회의 요청에 따라 긴급 이사회를 열 수 있다[70]。 또한, 위의 조직과는 별도로, 1963년부터 개최된 아랍 정상 회담은 2000년에 정식으로 아랍 연맹의 회의가 되었다. 정상 회담은 1년에 한 번 가맹국 도시에서 열린다. 이사회가 각료 수준의 각국 대표로 구성되는 반면, 정상 회담은 각국의 원수가 모여 논의를 진행하기 때문에, 정상 회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71]。본부가 카이로에 있으며, 역대 7명의 사무총장이 이집트 추방 시기의 튀니지인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이집트인[72]인 것처럼, 이집트의 주도권이 강하며, 사우디 아라비아 등을 중심으로 반발도 있다. 이는 사우디 아라비아가 이슬람 협력 기구 설립에 적극적이었던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4. 회원국
아랍 연맹 헌장은 아랍 연맹의 창립 조약으로, 아랍 국가 연맹 조약이라고도 불린다. 1945년에 채택되었으며, "아랍 국가 연맹은 이 조약에 서명한 독립 아랍 국가들로 구성된다"고 규정하고 있다.[13]
현재 아랍 연맹은 22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이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집트는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조약 체결로 인해 회원 자격이 정지되었다가 1989년에 복귀했다. 리비아는 제1차 리비아 내전으로 2011년에 자격이 정지되었다가 리비아 국민전이위원회를 통해 회원 자격을 회복했다. 시리아는 시리아 내전으로 2011년에 자격이 정지되었다가 2023년에 복귀했다.
아랍 연맹에는 정회원국 외에 7개의 참관국이 있다. 참관국은 아랍 연맹 회의에 초청되어 참여하지만 투표권은 없다. 참관국은 다음과 같다: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아랍 연맹 회원국은 13000000km2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며 아프리카와 아시아 두 대륙에 걸쳐 있다.
4. 1. 창립 회원국
아랍 연맹의 창립 회원국은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이집트, 예멘 7개국이다.[13] 1945년 창립 당시에는 7개 회원국이었으나,[14] 현재는 팔레스타인을 포함하여 22개국이 가입해 있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나라는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는 나라이다.
- 이집트는 1979년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는 이유로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지만 1989년에 복귀하였다.
- 시리아는 2011년 11월 16일에 시리아 내전으로 인하여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았다가 2023년 5월 7일에 복귀했다.
4. 2. 추가 회원국
1945년 3월 23일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이집트 6개국이 창립 회원국으로 참여하였고, 1945년 5월 5일 예멘이 추가로 가입하였다.[13][14] 이후, 팔레스타인을 포함하여 22개국으로 늘어났다.- 이집트는 1979년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는 이유로 자격이 정지되었다가 1989년에 복귀하였다.
- 시리아는 2011년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자격이 정지되었다가 2023년에 복귀하였다.
- '''굵은 글씨'''로 표시된 나라는 이스라엘을 국가로 인정하는 나라이다.
현재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4. 3. 참관국
5. 정치 및 외교
1944년 알렉산드리아 의정서 채택 이후, 아랍 연맹은 1945년 3월 22일에 창설되었다.[8] 연맹의 공식 본부는 카이로의 부스탄 궁이었다.[9] 아랍 국가들의 지역 기구로서 경제 개발, 분쟁 해결, 정치적 목표 조정을 목표로 했다.[9] 이후 다른 국가들도 연맹에 가입했으며, 각 국가에게는 의회에서 1표가 주어졌다.
아랍 연맹은 회원국 간의 경제적 통합을 돕고, 외국의 지원 없이 회원국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는 정치 기구이다. 외교 문제는 종종 유엔의 감독하에 수행된다.[29] 아랍 연맹 헌장[4]은 개별 회원국의 주권을 존중하면서 범아랍주의의 원칙을 지지했다. 1951년 10월에는 리그 이사회[30]와 위원회[31]의 내부 규정이 합의되었으며, 1953년 5월에는 사무총국 규정이 합의되었다.[32]
아랍 연맹의 통치는 초국가적 기구와 회원국의 주권이라는 이중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개별 국가 유지는 통치 엘리트가 의사 결정에서 권력과 독립성을 유지하려는 선호에서 그 힘을 얻었다. 아랍 민족주의라는 이름으로 부를 공유할 수 있다는 부유한 국가의 두려움, 아랍 냉전에서 아랍 통치자 간의 불화, 아랍 연합에 반대하는 외부 강대국의 영향은 리그의 통합을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아랍 연맹은 중국과의 협력을 위해 2004년에 결성된 중국-아랍 국가 협력 포럼(CASCF)의 회원이다.[36] CASCF 내에서 아랍 연맹은 회원국을 대표하여 철도, 원자력 발전, 사해 계획 등 여러 프로젝트를 협상한다.[36]
2015년, 아랍 연맹은 예멘 내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개입을 지지했다.[38] 2018년 터키의 시리아 북부 침공에 대해 터키군 철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9] 2019년 10월 12일, 아랍 연맹은 2019년 터키의 시리아 북동부 공세를 논의하기 위해 카이로에서 회동하여 터키의 공세를 '침략'이자 '공격'으로 규정하고 비난했다.[41]
5. 1. 팔레스타인 문제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의 아랍인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며, 조약 입안자들은 리그 창설부터 팔레스타인을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33] 이는 팔레스타인이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연맹 헌장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정부 체계를 결정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팔레스타인의 존재와 독립성은 다른 아랍 국가의 독립성과 마찬가지로 ''de jure''(법률상)로 인정되었다.[4] 아랍 연맹 조약에 서명한 국가는 팔레스타인의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여, 팔레스타인이 실제 독립을 누릴 때까지 리그 이사회가 팔레스타인에서 아랍 대표를 지명하여 업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4]1964년 카이로 정상 회담에서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대표하는 기구 창설을 시작했다. 1964년 5월 29일 동예루살렘에서 제1차 팔레스타인 국민 평의회가 소집되었고, 1964년 6월 2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창설되었다. 팔레스타인은 곧 PLO가 대표하여 아랍 연맹에 가입했으며, 오늘날 팔레스타인 국가는 아랍 연맹의 정식 회원국이다.
2002년 베이루트 정상 회담에서 리그는 아랍-이스라엘 분쟁에 대한 사우디 주도의 평화 계획인 아랍 평화 구상을 채택했다.[34] 이 구상은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제안하며, 이스라엘은 골란 고원을 포함한 모든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철수하고,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서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을 인정하며, 팔레스타인 난민에 대한 "공정한 해결책"을 요구받았다. 이 평화 구상은 2007년 리야드 정상 회담에서 다시 지지되었다.
1987년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난 제1차 인티파다에 대해 아랍 연맹은 지원 결의를 채택했다.[87]
2019년 9월, 아랍 연맹은 베냐민 네타냐후가 요르단 계곡으로 알려진 점령된 서안 지구의 동쪽 부분을 병합하려는 계획을 비난했다.[40]
2020년 9월 9일, 아랍 연맹은 아랍에미리트가 이스라엘-아랍에미리트 평화 협정에 따라 이스라엘과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비난하기를 거부했다.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는 "예외 없이 모든 아랍 국가가 추구하는 목표는 점령을 종식시키고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1967년 국경 내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42]
2024년 1월, 아랍 연맹은 이스라엘에 대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 이스라엘 (집단 학살 협약) 국제사법재판소 집단 학살 소송을 지지했다.[43]
5. 2. 이스라엘과의 관계
1964년 카이로 정상 회담에서 아랍 연맹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대표하는 기구 창설을 시작했다. 1964년 5월 29일 동예루살렘에서 제1차 팔레스타인 국민 평의회가 소집되었으며, 1964년 6월 2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가 창설되었다. 팔레스타인은 곧 PLO를 통해 아랍 연맹에 가입했으며, 현재 팔레스타인 국가는 아랍 연맹의 정식 회원국이다.[33][4]
2002년 3월 28일 베이루트 정상 회담에서 아랍 연맹은 아랍-이스라엘 분쟁에 대한 사우디 주도의 평화 계획인 아랍 평화 구상을 채택했다.[34] 이 구상은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완전히 정상화하는 것을 제안했다. 그 대가로 이스라엘은 골란 고원을 포함한 모든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철수하고,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에서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을 인정하며, 팔레스타인 난민에 대한 "공정한 해결책"을 요구받았다. 2007년 리야드 정상 회담에서 평화 구상은 다시 지지되었다. 2007년 7월, 아랍 연맹은 요르단과 이집트 외무 장관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이스라엘에 파견하여 이 구상을 홍보했다.
2019년 9월, 아랍 연맹은 베냐민 네타냐후가 요르단 계곡으로 알려진 점령된 서안 지구의 동쪽 부분을 병합하려는 계획을 비난했다.[40]
2020년 9월 9일, 아랍 연맹은 아랍에미리트가 이스라엘-아랍에미리트 평화 협정에 따라 이스라엘과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비난하기를 거부했다.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는 "예외 없이 모든 아랍 국가가 추구하는 목표는 점령을 종식시키고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1967년 국경 내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42]
2024년 1월, 아랍 연맹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 이스라엘 (집단 학살 협약) 국제사법재판소 집단 학살 소송을 지지했다.[43]
1978년 3월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통해 이집트의 사다트 대통령과 이스라엘 총리 메나헴 베긴 간에 양국의 휴전과 상호 승인이 체결되면서, 아랍 국가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이집트는 아랍 연맹의 대 이스라엘 공통 정책인 "평화하지 않고, 교섭하지 않고, 승인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강하게 비판받았고, 같은 해 11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열린 회의에서 주도국임에도 불구하고 아랍 연맹에서 추방당했다.[84]
1987년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난 제1차 인티파다에 대해서는 지원 결의를 채택했다.[87]
1993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간 합의된 오슬로 협정은 승인되었다.[90]
2009년 3월 30일과 31일, 카타르 도하에서 제21회 아랍 연맹 수뇌 회담이 개최되었다. 최종 선언에서는 핵무기를 보유한 이스라엘에 대해 핵 확산 금지 조약(NPT)에 서명하고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감시를 받도록 국제 사회가 압력을 가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중동 평화 문제와 관련하여 최근 팔레스타인 자치구 가자 지구에 대한 공격을 "야만적인 침략"이라고 비난했다.
5. 3. 국제 관계
아랍 연맹은 회원국 간의 경제적 통합을 돕고, 외국의 지원 없이 회원국 간의 분쟁을 해결하려는 정치 기구이다. 외교 문제는 종종 유엔의 감독하에 수행된다.[29] 아랍 연맹 헌장[4]은 개별 회원국의 주권을 존중하면서 범아랍주의의 원칙을 지지했다.팔레스타인의 아랍인에 대한 지원을 위해, 리그 창설부터 팔레스타인을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33] 1964년 카이로 정상 회담에서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창설을 시작했고, PLO는 곧 아랍 연맹에 가입했다. 오늘날, 팔레스타인 국가는 아랍 연맹의 정식 회원국이다.
2002년 베이루트 정상 회담에서 아랍 평화 구상을 채택하여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제안했다.[34] 이스라엘은 모든 이스라엘 점령지에서 철수하고,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을 인정하며,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에 대한 공정한 해결책을 요구받았다.
아랍 연맹은 중국과의 협력을 위해 2004년에 결성된 중국-아랍 국가 협력 포럼(CASCF)의 회원이다.[36] CASCF 내에서 아랍 연맹은 회원국을 대표하여 철도, 원자력 발전, 사해 계획 등 여러 프로젝트를 협상한다.[36]
2015년, 아랍 연맹은 예멘 내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개입을 지지했다.[38] 2018년 터키의 시리아 북부 침공에 대해 터키군 철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9] 2019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요르단 계곡 병합 계획을 비난했다.[40] 같은 해 터키의 시리아 북동부 공세를 '침략'으로 규정하고 비난했다.[41]
2020년 아랍에미리트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 결정을 비난하지는 않았지만,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 아랍 연맹 사무총장은 모든 아랍 국가의 목표는 점령을 종식시키고 동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독립 팔레스타인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42] 2024년, 아랍 연맹은 이스라엘에 대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제사법재판소 집단 학살 소송을 지지했다.[43]
6. 경제
아랍 연맹은 일부 회원국에 막대한 석유와 천연 가스 자원과 같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걸프 협력 회의(GCC)와 같은 소규모 아랍 기구가 달성한 성과보다 덜 인상적이었다.[52] 그중 하나는 아랍 가스 파이프라인으로, 이집트와 이라크의 가스를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터키로 수송할 예정이다. 2013년 현재 알제리, 카타르,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와 같은 개발된 산유국과 코모로, 지부티, 모리타니, 소말리아, 수단, 예멘과 같은 개발 도상국 간에는 상당한 경제적 격차가 존재한다.
아랍 연맹은 또한 수단 남부에 비옥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곳은 아랍 세계의 식량 창고로 불리며, 남수단의 독립을 포함한 이 지역의 불안정성은 관광 산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레바논, 튀니지, 요르단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또 다른 산업은 통신 산업이다.
GCC와 같은 다른 소규모 아랍 기구가 연맹보다 더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최근 아랍 가스 파이프라인은 2010년까지 이집트와 이라크의 가스를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으로 연결한 다음 터키를 거쳐 유럽으로 연결하는 등 여러 주요 경제 프로젝트가 완료될 예정이다. GAFTA는 2008년 1월 1일까지 완료되어 모든 아랍 제품의 95%가 관세가 면제될 예정이다.
6. 1. 경제 자원
아랍 연맹은 일부 회원국에 막대한 석유와 천연 가스 자원과 같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52]아랍 연맹이 회원국 간에 추진한 경제적 성과는 걸프 협력 회의(GCC)와 같은 소규모 아랍 기구가 달성한 성과보다 덜 인상적이었다.[52] 그중 하나는 아랍 가스 파이프라인으로, 이집트와 이라크의 가스를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터키로 수송할 예정이다. 2013년 현재 알제리, 카타르,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와 같은 개발된 산유국과 코모로, 지부티, 모리타니, 소말리아, 수단, 예멘과 같은 개발 도상국 간에는 상당한 경제적 격차가 존재한다.
아랍 연맹은 또한 수단 남부에 비옥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 이곳은 아랍 세계의 식량 창고로 불리며, 남수단의 독립을 포함한 이 지역의 불안정성은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으로 여겨지는 관광 산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레바논, 튀니지, 요르단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아랍 연맹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또 다른 산업은 통신 산업이다.
회원국 내의 경제적 성과는 연맹 역사상 낮았으며, GCC와 같은 다른 소규모 아랍 기구가 연맹보다 더 많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최근 아랍 가스 파이프라인은 2010년까지 이집트와 이라크의 가스를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으로 연결한 다음 터키를 거쳐 유럽으로 연결하는 등 여러 주요 경제 프로젝트가 완료될 예정이다. GAFTA는 2008년 1월 1일까지 완료되어 모든 아랍 제품의 95%가 관세가 면제될 예정이다.
7. 사회 및 문화
아랍 연맹 회원국에는 다양한 민족, 종교, 언어 집단이 존재한다.
아랍인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이지만, 베르베르인, 쿠르드족, 소말리아인 등 다른 여러 민족 집단도 이 지역에 거주하며,[56] 각자 고유한 문화, 언어, 전통을 가지고 있다.
시민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따르며, 기독교는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이집트, 이라크 등에 최소 1,500만 명의 기독교인이 거주하고 있다.[67] 드루즈, 야지디 등 소규모 종교 집단도 존재한다. 퓨 리서치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약 1%가 "무종교"라고 한다.[67]
공식 언어는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한 문어 아랍어이다. 그러나 회원국 중 일부는 소말리어, 코모로어, 프랑스어, 영어와 같은 다른 공용어를 사용한다.
범아랍 경기 대회는 모든 아랍 국가 선수들이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 참가하는 가장 큰 아랍 스포츠 행사이다. 아랍 축구 연맹 연합은 아랍 컵과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을 주관한다.
7. 1. 인구
아랍 연맹 회원국에는 2013년 7월 1일 기준으로 약 3억 5,90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의 인구는 다른 대부분의 세계 지역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인구가 가장 많은 회원국은 이집트로 1억 명이 넘으며,[56] 인구가 가장 적은 국가는 코모로로 약 85만 명이다.아랍 연맹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은 아랍인이지만, 베르베르인, 쿠르드족, 소말리아인, 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누비아인, 만다이인, 체르케스인을 포함한 다른 여러 민족 집단도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7. 2. 민족
아랍 연맹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은 아랍인이지만, 베르베르인, 쿠르드족, 소말리아인, 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누비아인, 만다이인, 체르케스인 등 다른 여러 민족 집단도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56] 이들은 각자 고유한 문화, 언어, 전통을 가지고 있다. 2013년 7월 1일 기준으로 아랍 연맹 국가에는 약 3억 5,900만 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대부분의 세계 지역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인구가 가장 많은 회원국은 1억 명이 넘는 이집트이고,[56] 가장 적은 회원국은 약 85만 명이 거주하는 코모로이다.7. 3. 종교
아랍 연맹 시민의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따르며, 기독교는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팔레스타인, 수단, 시리아에 최소 1,500만 명의 기독교인이 거주하고 있다.[67] 그 외에도 소규모지만 상당수의 드루즈, 야지디, 샤바크, 만다교 신자들이 있다. 종교가 없는 아랍인의 수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퓨 리서치 센터의 연구에 따르면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약 1%가 "무종교"라고 한다.[67]7. 4. 언어
아랍 연맹의 공식 언어는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한 문어 아랍어이다. 그러나 아랍 연맹 회원국 중 일부는 소말리어, 아파르어, 코모로어, 프랑스어, 영어, 베르베르어 및 쿠르드어와 같은 다른 공동 공용어 또는 국어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는 문법화되지 않은 아랍어 방언이 존재한다.7. 5. 스포츠
범아랍 경기 대회는 모든 아랍 국가의 운동선수들이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 참가하는, 가장 큰 아랍 스포츠 행사이다.아랍 축구 연맹 연합은 아랍 컵(국가대표팀)과 아랍 클럽 챔피언스컵(클럽)을 주관한다. 아랍 스포츠 연맹은 농구, 배구, 핸드볼, 탁구, 테니스, 스쿼시, 수영을 포함한 여러 종목에도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population.u[...]
2021-05-16
[2]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1-05-16
[3]
백과사전
Arab League
[4]
웹사이트
Pact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22 March 1945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2012-07-15
[5]
논문
Designed to fail or failure of design? The origins and legacy of the Arab Leagu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12-22
[6]
서적
Globalization
ABC-CLIO
[7]
웹사이트
The Joint Arab Force – Will It Ever Work?
https://chronicle.fa[...]
2015-07-13
[8]
웹사이트
Arab League formed – History.com This Day in History – 3/22/1945
https://web.archive.[...]
2018-11-16
[9]
저널
The Pan-Arab League
https://www.jstor.or[...]
2022-04-03
[10]
웹사이트
Arab League
https://web.archive.[...]
2011-08-15
[11]
서적
Collusion Across the Jordan; The Best of Enemies; King Abdullah and Palestine
Clarendon Press, Frank Cass, Macmillan Press; St. Martin's Press
[12]
서적
The League of Arab States: A Study in Regional Organiz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Pact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March 22, 1945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2016-07-09
[14]
웹사이트
Arab League
https://www.britanni[...]
2024-05-26
[15]
웹사이트
Armenia invited as observer for Arab League
http://azad-hye.blog[...]
Azad Hye
2014-05-20
[16]
웹사이트
Brazil must be a facilitator in the Middle East, says VP
https://anba.com.br/[...]
Brazil-Arab News Agency
2020-04-10
[17]
웹사이트
Chad to join Arab League as observer
https://www.aljazeer[...]
2023-11-20
[18]
웹사이트
Nile dam still raging, despite global pause for COVID-19
https://www.theafric[...]
2020-09-25
[19]
웹사이트
Greece to become observer member of the Arab League
https://greekcitytim[...]
2024-01-03
[20]
웹사이트
India and the Arab League: Walking the Trade Talk
https://thediplomat.[...]
2020-09-25
[21]
웹사이트
Arab League Fast Facts
http://www.cnn.com/2[...]
2017-08-21
[22]
뉴스
Timeline: Arab Leagu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30
[23]
뉴스
Libya suspended from Arab League sessions
http://www.ynetnews.[...]
2014-04-28
[24]
뉴스
Arab League Recognizes Libyan Rebel Council
http://www.rttnews.c[...]
2011-08-25
[25]
웹사이트
Syrian opposition takes Arab League seat
https://www.theguard[...]
2014-11-20
[26]
웹사이트
Syria opposition 'not yet ready for Arab League seat'
http://www.dailystar[...]
2014-11-20
[27]
웹사이트
Saudi Arabia: Talks underway on Syria's return to Arab League
https://web.archive.[...]
2023-03-25
[28]
웹사이트
Arab foreign ministers agree to readmit Syria to the Arab League
https://english.alar[...]
Al Arabiya
2023-05-07
[29]
웹사이트
The Arab League Educational, Cultural and Scientific Organization (ALESCO)
http://portal.unesco[...]
2024-03-31
[30]
웹사이트
Internal Regulations of the Council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http://faculty.winth[...]
Ed Haynes, Winthrop University
2008-07-09
[31]
웹사이트
Internal Regulations of the Committees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http://faculty.winth[...]
Ed Haynes, Winthrop University
2008-07-09
[32]
웹사이트
Internal Regulations of the Secretariat-General of the League
http://faculty.winth[...]
Ed Haynes, Winthrop University
2008-07-09
[33]
서적
[34]
웹사이트
The Arab Peace Initiative, 2002
http://www.al-bab.co[...]
al bab
2008-07-09
[35]
뉴스
Kuwaiti MP calls to move Arab league to Venezuela
http://www.caribbean[...]
2009-01-16
[36]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37]
서적
China's rise in the Global South : the Middle East, Africa, and Beijing's alternative world order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38]
뉴스
Arab League's joint military force is a 'defining moment' for region
http://www.latimes.c[...]
2016-07-05
[39]
뉴스
Turkey slams Arab League resolution on Afrin operation
https://www.yenisafa[...]
Yeni Safak
2018-04-30
[40]
뉴스
Arab nations condemn Netanyahu's Jordan Valley annexation plan
https://www.bbc.com/[...]
2019-09-18
[41]
뉴스
Turkey's Syria offensive an 'invasion': Arab League secretary general
https://www.reuters.[...]
2019-10-13
[42]
웹사이트
Arab League: Ministers agree not to condemn UAE-Israel deal
https://www.aljazeer[...]
2020-09-11
[43]
뉴스
Genocide case against Israel: Where does the rest of the world stand on the momentous allegations?
https://english.ahra[...]
2024-01-13
[44]
웹사이트
Arab League Summit 2013
http://qatarconferen[...]
2023-02-10
[45]
웹사이트
Summit hit by new rifts
https://www.aljazeer[...]
2023-02-10
[46]
웹사이트
Opposition fail to get Syria Arab League seat
https://www.aljazeer[...]
2023-02-10
[47]
웹사이트
الأردن يستضيف القمة العربية في مارس
https://www.alarabiy[...]
2016-11-02
[48]
웹사이트
Tunisia to host next Arab summit
http://www.egypttoda[...]
2020-05-23
[49]
웹사이트
Arab-Israeli Wars: 60 Years of Conflict
http://www.historyan[...]
ABC-CLIO
2014-06-30
[50]
서적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Routledge
[51]
뉴스
Arab summit agrees on unified military force for crises
https://www.reuters.[...]
2021-07-10
[52]
뉴스
Reuters.com
https://www.reuters.[...]
2014-11-20
[53]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Field Listing – Literacy
https://www.cia.gov/[...]
2023-02-10
[54]
서적
Compact Atla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Penguin
2023-03-22
[55]
웹사이트
Family Ties: Remittances and Livelihoods Support in Puntland and Somaliland
http://www.fsnau.org[...]
FSNAU
2016-12-11
[56]
웹사이트
Central Agency for Public Mobilization And Statistics
http://www.capmas.go[...]
2020-06-06
[57]
웹사이트
Official Egyptian Population clock
http://www.msrintran[...]
[58]
웹사이트
الجهاز المركزي للإحصاء
http://www.cbs.gov.s[...]
2011-10-17
[59]
웹사이트
Site institutionnel du Haut-Commissariat au Plan du Royaume du Maroc
http://www.hcp.ma/
2011-10-17
[60]
웹사이트
Saudi Census 2022
https://portal.saudi[...]
2024-01-18
[61]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of Tunisia
http://www.ins.nat.t[...]
2014-11-20
[62]
웹사이트
المركز الوطني للإحصاء: المواطنون 947.9 ألفاً– جريدة الاتحاد
http://www.alittihad[...]
Alittihad.ae
2011-08-16
[6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1-01-24
[64]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able A.1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0-09-22
[65]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in the Palestinian Territory Mid-Year by Governorate,1997-2016
http://www.pcbs.gov.[...]
State of Palestine
2014-06-08
[66]
웹사이트
Bahraini Census 2010 – تعداد السكــان العام للبحريــن 2010
http://www.census201[...]
2014-04-28
[67]
웹사이트
Religious Diversity Around The World
http://www.pewforum.[...]
2014-09-09
[68]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population.u[...]
2021-05-16
[69]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1-05-16
[70]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71]
서적
国際機構 第四版
世界思想社
2009-10-30
[72]
서적
現代アラブを知るための56章
明石書店
2013-06
[73]
서적
イスラーム世界事典
明石書店
2002-03-25
[74]
서적
世界がわかるデータブック 世界国勢図会
財団法人 矢野恒太記念会
2005-09-01
[75]
서적
アラブの人々の歴史
第三書館
2003-12-31
[76]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77]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78]
웹사이트
サウジアラビア-貿易管理制度
https://www.jetro.go[...]
2017-04-16
[79]
서적
岩波講座 現代 別巻1 各国別世界の現勢Ⅰ
岩波書店
1964-09-14
[80]
서적
新版世界各国史8 西アジア史I
山川出版社
2002-03
[81]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82]
서적
サウジアラビア現代史
文春新書
1990-06-20
[83]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8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Arab-Israeli Conflict: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2008-05-12
[85]
논문
Iraq: New Power in the Middle East
1980
[86]
서적
1979: The Year That Shaped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2001
[87]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88]
웹사이트
Cairo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re
http://7awalaya.com/[...]
7awalaya
2018-07-29
[89]
서적
パレスチナ紛争史
集英社新書
2004-05-19
[90]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91]
서적
国際機構 第四版
世界思想社
2009-10-30
[92]
서적
アラブ連盟 ナショナリズムとイスラームの交錯
山川出版社
2015-02-20
[93]
뉴스
アラブ連盟、シリアの資格停止…制裁へ
https://web.archive.[...]
2011-11-12
[94]
문서
精鋭部隊の共和国防衛隊を率いるアサド大統領の弟マーヘル等シリア要人19人
[95]
문서
50%削減
[96]
뉴스
アラブ連盟、シリアへの経済制裁決定 在外資産を凍結
http://www.asahi.com[...]
2011-11-28
[97]
뉴스
アラブ連盟:シリア経済制裁
http://mainichi.jp/s[...]
2011-11-28
[98]
뉴스
アラブ連盟がシリア制裁決定、資産凍結や投資打ち切りへ
http://jp.reuters.co[...]
2011-11-28
[99]
뉴스
アラブ連盟:合同軍の創設で原則合意-首脳会議で
http://www.bloomberg[...]
2015-03-30
[100]
뉴스
シリア、アラブ連盟に復帰 7日付で全会議に参加可
https://www.sankei.c[...]
2023-05-08
[101]
뉴스
シリアのアラブ連盟復帰、加盟国外相会合が決議
https://jp.reuters.c[...]
2023-05-08
[102]
웹사이트
Arab League Summit 2013
http://qatarconferen[...]
2014-04-28
[103]
웹사이트
Arab League summit hit by new rifts - Features
http://www.aljazeera[...]
2014-04-28
[104]
웹사이트
Opposition fail to get Syria Arab League seat - Middle East
http://www.aljazeera[...]
2014-04-28
[105]
웹사이트
https://www.alarabiy[...]
[106]
웹사이트
Tunisia to host next Arab summit
https://www.egypttod[...]
[107]
웹아카이브
Official Egyptian Population clock
http://www.msrintran[...]
2012-10-30
[108]
웹사이트
Official Moroccan Population clock
http://www.hcp.ma
[109]
웹사이트
2008 Sudanese census
http://www.cbs.gov.s[...]
[110]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of Tunisia
http://www.ins.nat.t[...]
2014-11-20
[111]
웹사이트
المركز الوطني للإحصاء: المواطنون 947.9 ألفاً - جريدة الاتحاد
http://www.alittihad[...]
Alittihad.ae
2011-08-16
[11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7-03-18
[113]
웹사이트
Estimated Population in the Palestinian Territory Mid-Year by Governorate,1997-2016
http://www.pcbs.gov.[...]
State of Palestine
2014-06-08
[114]
논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able A.1
http://www.un.org/es[...]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2010-09-22
[115]
웹사이트
Bahraini Census 2010 - تعداد السكــان العام للبحريــن 2010
http://www.census201[...]
2014-04-28
[116]
웹인용
Arab League
https://www.questia.[...]
2013-12-17
[117]
웹인용
Pact of the League of Arab States, 22 March 1945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2012-07-15
[118]
웹인용
The Arab League Educational, Cultural and Scientific Organization (ALESCO)
http://portal.unesco[...]
[119]
서적
Globalization
ABC-CLIO
[120]
웹인용
The Joint Arab Force—Will It Ever Work?
https://chronicle.fa[...]
2015-07-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프랑스에 이어 영국·캐나다·몰타도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동참
이스라엘, 휴전 협상 중 가자 맹폭 뒤 대규모 지상작전
아랍국가들, 자체 팔레스타인 재건 계획 채택…“팔레스타인인 자신들의 땅에 남을 수 있도록”
“라마단·유월절까지 휴전하자” 미국 새 중재안…이스라엘 수용
트럼프 중동 특사 “가자 주민 퇴거 계획 없다”…투자용 립 서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