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누드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누드 6세는 1182년 덴마크 국왕으로 즉위하여 1202년 사망한 에스트리센 왕조 출신의 덴마크 국왕이다. 그는 즉위 후 스코네 농민 봉기를 진압하고, 신성 로마 제국의 지배 시도를 거부했으며, 포메라니아를 정복하여 덴마크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슐레스비히 주교를 반역 혐의로 체포하고, 홀슈타인 백작과의 분쟁에서 승리하는 등 영토를 확장하며 덴마크 역사상 최대 영토를 이룩했으나, 자녀 없이 사망하여 동생 발데마르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3년 출생 - 호조 요시토키
    호조 요시토키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유력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거병을 도와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요리토모 사후 싯켄으로서 막부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고 조큐의 난을 진압하며 호조씨의 권력을 확고히 했다.
  • 1163년 출생 - 서하 신종
    서하 신종은 1211년부터 1223년까지 서하의 황제였으며, 쿠데타로 즉위하여 몽골에 종속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남송과 연합하여 금나라에 대항하려 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칭기즈 칸의 파병 요구를 거부하다가 아들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 1202년 사망 - 조영인
    조영인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과거 급제 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동지추밀원사까지 올랐고, 금나라 사신에게 거짓으로 대응하여 외교적 위기를 넘겼으며, 문경이라는 시호를 받고 신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 1202년 사망 - 미에슈코 3세
    미에슈코 3세는 폴란드 분열 시대에 비엘코폴스카 공작이었고, 형의 죽음으로 폴란드 대공이 되었지만, 아들 오돈의 반란과 잦은 폐위로 권력 유지가 불안정했으며, 여러 번의 복위 시도 끝에 사망했다.
  • 에스트리센가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스트리센가 - 발데마르 4세
    발데마르 4세는 에스트리센 왕조 출신으로 덴마크 국왕(1340~1375)이며, 파산하고 분할된 덴마크를 재건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나 과도한 세금 정책과 한자 동맹과의 갈등을 겪어 덴마크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크누드 6세
기본 정보
1190년대 크누드 6세의 인장.
1190년대 크누드 6세의 인장. 이 인장은 덴마크의 문장 중 가장 오래된 예시이다. 유일하게 알려진 이 휘장의 사본은 1879년 독일 슈베린에서 발견되었다. 왕의 닫힌 왕관은 그의 후계자들의 인장에 보이는 열린 왕관과는 다르다.
이름크누드 6세
다른 이름크누드 발데마르손 (Knud Valdemarsøn)
통치
칭호덴마크 국왕
벤드인의 왕
재위 기간1182년 – 1202년
대관식1170년 6월 25일
선임발데마르 1세 (덴마크 국왕)
벤드인의 왕 (신설)
후임발데마르 2세
결혼과 가족
배우자게르트루데 폰 바이에른 (1177년 결혼, 1197년 사망)
왕조
가문에스트리센
출생과 사망
출생1163년경
사망1202년 11월 12일
매장지성 벤츠 교회
가계
아버지발데마르 1세
어머니민스크의 소피아

2. 생애

크누드 6세는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발데마르 1세와 그의 아내 민스크의 소피아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다. 1182년 덴마크 의회에서 덴마크의 국왕으로 추대되었다.[14] 즉위 직후 스코네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를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1184년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 황제는 덴마크를 신성 로마 제국에 예속할 것을 요구했지만, 크누드 6세는 이를 거절했다. 같은 해 포메라니아의 보구스와프 1세(Bogusław I) 공작이 덴마크를 침공했지만, 크누드 6세가 이끄는 덴마크 군대에게 패배했다. 1185년 크누드 6세는 두 차례에 걸쳐 포메라니아를 침공하여 자신의 영지로 삼았다.

1192년에는 슐레스비히 주교 발데마르 크누드센(Valdemar Knudsen)을 반란 혐의로 체포하여 13년 동안 윌란반도 북부의 쇠보르(Søborg) 성에 감금했다. 1197년에는 이교를 믿는 에스토니아에 십자군을 보냈다.

1199년 홀슈타인의 아돌프 3세 백작이 덴마크 남부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1201년 스텔라우 전투에서 패배하고 포로로 잡혔다. 1203년 아돌프 3세 백작은 엘베강 북쪽의 모든 토지를 양도해야 했다.

1202년 11월 12일 크누드 6세는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덴마크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남쪽으로는 엘베강, 북쪽으로는 북극, 동쪽으로는 에스토니아스웨덴에 이르는 역사상 최대 영토를 확보했다. 그는 작센의 하인리히 사자공의 딸인 게르트루트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다. 왕위는 동생인 발데마르 2세가 계승했다.

2. 1. 왕위 계승과 농민 봉기 진압

크누드 6세는 에스트리센가 출신으로, 발데마르 1세와 그의 아내 민스크의 소피아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이다. 1182년 덴마크 의회에서 덴마크의 국왕으로 추대되었다.[14] 왕위에 오르자마자 스코네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나 위기를 맞았지만, 이를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농민들은 압살론 주교에게 십일조를 내는 것을 거부했고, 스코네 의회에서 크누드 6세의 친구인 하랄 스크렝을 대표로 보내 자신들의 주장을 왕에게 전달하려 했다. 그러나 크누드 6세는 이를 거부했고, 군대를 소집하려 했다. 왕이 군대를 소집하기도 전에 할란드와 스코네의 귀족들이 먼저 군대를 모아 되셰브로 전투에서 농민들을 격파했다. 이후 크누드 6세가 군대를 이끌고 도착하여 농민들에게 가혹한 처벌을 내렸고, 압살론 주교가 중단을 간청할 정도였다.[15]

118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는 크누드 6세에게 자신을 군주로 인정하라는 요구를 했지만, 크누드 6세는 이를 거절했다. 압살론 주교는 크누드 6세를 대신하여 "크누드는 황제만큼 자유로운 왕이며, 황제가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해 갖는 권리와 마찬가지로 덴마크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황제는 이곳에서 충성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라고 답했다.[15] 이에 분노한 프리드리히 1세는 포메라니아의 보고슬라프 1세 공작에게 덴마크를 침공하라고 명령했다. 보기슬라프 1세는 500척의 배를 모아 덴마크를 침공했지만, 뤼겐의 야로마르 1세의 경고를 받고 준비한 덴마크 군대에게 패배했다.[15]

2. 2. 신성 로마 제국과의 갈등

1184년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 황제가 덴마크를 신성 로마 제국에 예속할 것을 요구했지만, 크누드 6세는 이를 거절했다. 프리드리히 1세는 크누드 6세의 아버지 발데마르 1세에게 자신을 군주로 인정하도록 강요했으나, 크누드 6세는 황제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황제는 이에 격분하여 신하인 포메라니아 공작 보기슬라프 1세에게 덴마크 침공을 명령했다.

보기슬라프 1세는 즉시 500척의 배를 모았고, 뤼겐 공작 야로마르 1세가 이 소식을 덴마크에 알렸다. 당시 왕은 윌란 반도에 있었고, 압살론 주교가 6일 안에 함대를 모아 뤼겐 섬으로 출항하여 적을 기다렸다. 적이 나타나지 않자 압살론은 정찰병을 보냈고, 부활절 이튿날 예배 중에 적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압살론은 "신을 찬양하기 위해 칼로 미사곡을 부르자!"라고 외치며 덴마크 함대를 이끌고 포메라니아 함대를 향해 항해했다.

덴마크 함대는 안개 속에서 포메라니아 함대를 기습했고, 공포에 질린 포메라니아군은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패주했다. 덴마크군은 35척의 적선을 나포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로 인해 황제는 한동안 덴마크 지배를 단념했다.[15]

1185년 크누드 6세는 두 차례에 걸쳐 포메라니아를 침공했고, 보기슬라프 1세는 크누드 6세를 자신의 군주로 인정해야 했다. 이후 1972년까지 덴마크 왕들은 "벤드인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5]

2. 3. 포메라니아 정복

1184년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 황제가 덴마크를 신성 로마 제국에 예속할 것을 요구했지만 크누드 6세는 이를 거절했다. 같은 해 포메라니아의 보구스와프 1세(Bogusław I) 공작이 프리드리히 1세의 명령을 받고 해군을 동원하여 덴마크를 침공했지만, 크누드 6세가 이끄는 덴마크 군대에게 패배했다. 1185년 크누드 6세는 두 차례에 걸쳐 포메라니아를 침공했고 포메라니아를 자신의 영지로 삼았다.[6]

이후 1972년까지 덴마크 왕들은 "벤드인의 왕"(De Venders Koning)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 덴마크 군주가 통치한 공국, 백작령 및 지역 중 하나였다.[15]

2. 4. 슐레스비히 주교와의 갈등

1192년, 슐레스비히 주교이자 크누드 6세의 동생인 발데마르 크누드센(Valdemar Knudsen)이 크누드 6세에 대한 반란을 일으킨 혐의로 체포되었다. 발데마르 주교는 야심찬 인물로, 왕에 대항하여 독일 귀족들의 지지를 모으고 있었다.[7] 그는 어린 발데마르 공작의 이익을 위장하여 홀슈타인의 아돌프 3세 백작과 공모하여 크누드 왕을 전복하고 스스로 왕이 되려고 했다.[16]

발데마르 주교가 의 대주교로 선출되자 자신의 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어린 발데마르 공작은 1192년 오벤로에서 발데마르 주교를 만나자고 요청했고, 주교가 도착하자 부하들에게 체포를 명령했다.[16] 발데마르 주교는 이후 13년 동안 윌란반도 북부의 쇠보르(Søborg) 성에 감금되었다.[7]

1199년에는 홀슈타인의 아돌프 3세 백작이 덴마크 남부에서 발데마르 공작에 반대하는 반란을 일으켰다.[7] 1201년 스텔라우 전투에서 아돌프 3세 백작의 군대가 발데마르 공작의 군대에게 패배하면서 아돌프 3세는 포로로 잡혀 3년 동안 쇠보르 성에 수감되었다.[16] 1203년 아돌프 3세 백작은 자유를 얻는 대가로 엘베강 북쪽의 모든 토지를 발데마르 공작에게 양도해야 했다.[16][17]

2. 5. 에스토니아 십자군

1197년, 크누드 6세는 직접 이교를 믿는 에스토니아인들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이끌었다.[6]

2. 6. 홀슈타인 백작과의 분쟁

1199년 홀슈타인의 아돌프 3세 백작은 덴마크 남부에서 발데마르 공작에 반대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1201년 스텔라우 전투에서 아돌프 3세 백작의 군대는 발데마르 공작의 군대에게 패배했고, 아돌프 3세 백작은 발데마르 공작에게 포로로 잡혀 3년 동안 쇠보르 성에 수감되었다.[7] 1203년 아돌프 3세 백작은 엘베강 북쪽의 모든 토지를 발데마르 공작에게 양도했다.[8][9]

2. 7. 사망과 유산

1202년 11월 12일 크누드 6세는 향년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가 사망했을 당시 덴마크의 영토는 남쪽으로는 엘베강, 북쪽으로는 북극, 동쪽으로는 에스토니아, 스웨덴에 이르렀을 정도로 덴마크 역사상 최대의 영토를 차지했다.[7] 작센의 하인리히 사자공의 딸인 게르트루트와 결혼했지만 자식은 낳지 못했다.[10][11] 그의 왕위는 동생인 발데마르 2세가 승계받았다.

참조

[1] 서적 Et dansk Flag fra Unionstiden i Maria-Kirken i Lübeck C.A. Reitzel 1882
[2] 웹사이트 Canute VI.
[3] 웹사이트 Knud 4 Valdemarssøn https://snl.no/Knud_[...] Store norske leksikon 2018-08-01
[4] 서적 Coronations: Medieval and Early Modern Monarchic Ritual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5] 웹사이트 Canute VI (king of Denmark)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03-04
[6] 문서 Danmarks Riges Krønike
[7] 웹사이트 Danmarks Historie II www.perbenny.dk
[8] 웹사이트 Valdemar (Knudsen), 1158-1236, Biskop af Slesvig https://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8-08-01
[9] 서적 Adolf III. (Graf von Holstein und Stormarn)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2018-08-01
[10] 웹사이트 Gertrud, 1154-1197, Knud VI's Dronning https://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8-08-01
[11] 웹사이트 Valdemar 2 Sejr https://snl.no/Valde[...] Store norske leksikon 2018-08-01
[12] 웹사이트 Canute VI.
[13] 웹사이트 Knud 4 Valdemarssøn https://snl.no/Knud_[...] Store norske leksikon 2018-08-01
[14]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15] 문서 Danmarks Riges Krønike
[16] 웹사이트 Valdemar (Knudsen), 1158-1236, Biskop af Slesvig http://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8-08-01
[17] 서적 Adolf III. (Graf von Holstein und Stormarn)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2018-08-01
[18] 웹사이트 Gertrud, 1154-1197, Knud VI's Dronning http://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8-08-01
[19] 웹사이트 Valdemar 2 Sejr https://snl.no/Valde[...] Store norske leksikon 2018-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