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로이노와 FT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로이노와 FT는 일본의 로봇 공학자 타카하시 토모타카가 개발한 소형 로봇이다. 크로이노는 2004년 타임지에 최고의 발명품으로 소개되었으며, 무선 조종, 기록 동작 재생, PC 연결 모드를 지원한다. FT는 크로이노와 비슷한 크기의 여성형 로봇으로, 23개의 모터와 자이로 센서를 통해 신 워킹 보행법으로 움직인다. 타카하시 토모타카는 가정용 로봇 발전을 위해 친숙한 디자인의 로봇 개발과 동아시아 국가 간의 협력을 통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적용을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로봇 - HRP-4C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에서 개발한 여성형 휴머노이드 로봇 HRP-4C는 패션쇼 모델 데뷔와 보컬로이드 음성 합성 시스템을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로봇으로 활동했으나, 동일본 대지진 이후 개발이 중단되어 현재는 연구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 일본의 로봇 - 가쿠텐소쿠
    1928년 니시무라 마코토가 제작한 일본 최초의 로봇 가쿠텐소쿠는 공압으로 움직이며 표정을 변화시키고, 머리 위의 새 모양 장치가 울면 명상 후 글을 쓰는 예술적인 기능을 지향했으나, 현재는 복원되어 전시되고 다양한 창작물에 등장한다.
  • 휴머노이드 로봇 - 테슬라 봇
    테슬라가 개발 중인 인간형 로봇 테슬라 봇(옵티머스)은 테슬라 차량 기술을 활용,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미래에는 친구나 동반자 역할까지 가능한 로봇으로, 전문가들은 실제 성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
  • 휴머노이드 로봇 - 에릭 (로봇)
    1928년 런던에서 제작되어 모델 엔지니어 협회 전시회에서 개회사를 진행하며 화제를 모았던 로봇 에릭은 미국 순회 공연 후 분실되었다가 2016년 재건되어 런던 과학 박물관에 상설 전시되고 있으며, 윌리엄 리차즈가 후속 모델 '조지'를 제작하기도 했다.
  • 과학 기술 - 테슬라 봇
    테슬라가 개발 중인 인간형 로봇 테슬라 봇(옵티머스)은 테슬라 차량 기술을 활용,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미래에는 친구나 동반자 역할까지 가능한 로봇으로, 전문가들은 실제 성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
  • 과학 기술 - 저에너지 전자 회절
    저에너지 전자 회절(LEED)은 저에너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조사하여 발생하는 회절 패턴을 분석하여 표면의 원자 구조를 연구하는 표면 과학 기법으로, 표면에 민감하여 표면층의 원자 배열, 재구성, 흡착물의 구조 등을 밝히는 데 사용된다.
크로이노와 FT

2. 크로이노 (Chroino)

크로이노(Chroino)는 2004년 타임지에 '최고의 발명품(Best Inventions of 2004)'으로 소개된 로봇이다.[1]

2. 1. 디자인 및 특징

크로이노는 신장 35cm, 무게 1kg의 검은색 로봇으로 동그랗고 큰 눈이 매력적인 친숙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Robo Garage가 개발한 카본-플라스틱 혼합 재질로 제작되어 견고하고 가볍다.[3]

2. 2. 작동 방식

크로이노는 무선 조종, 기록 동작 재생, PC 연결의 3가지 조종 모드를 지원하며,[1] 양팔을 벌리고 다리를 들어 올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

2. 3. 한국과의 연관성

크로이노는 2005년 11월 4일 한국과학기술원 로봇 디자인 포럼에 등장했다.[2]

3. FT (Female Type)

FT는 Female Type의 이니셜로 크로이노와 비슷한 크기의 흰색 여성형 로봇이다. 신 워킹 보행법으로 우아하게 걷는다.[4]

3. 1. 디자인 및 특징

FT는 Female Type의 이니셜로 크로이노와 비슷한 크기의 하얀색 여성형 로봇이다. 신장은 35cm, 무게는 0.8kg이며 내장된 컴퓨터로 제어되는 23개의 모터로 신 워킹 보행법으로 우아하게 걷는다. 2개의 자이로 센서, 23개의 모터, 리튬이온 중합체 전지(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4]

3. 2. 구성 요소

2개의 자이로 센서, 23개의 모터, 리튬이온 중합체 전지(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4]

4. 보행 방식 (신 워킹)

크로이노와 FT는 신 워킹(SHIN-Walk technology)이라는 특수한 보행법을 사용한다.

4. 1. 작동 원리

크로이노와 FT는 신 워킹(SHIN-Walk technology)이라는 특수한 보행법으로 걷는다. 이는 무릎을 구부렸다 곧게 펴면서 걷는 방식이다.[1]

5. 개발자: 타카하시 토모타카

高橋智隆|다카하시 도모타카일본어(Tomotaka Takahashi, 1975년 3월 27일~)는 일본의 로봇공학자로 크로이노와 FT, 키로보, MANOI PF01 등의 소형 로봇을 제작하였다.[5]

5. 1. 개발 철학

타카하시 토모타카(高橋智隆|다카하시 도모타카일본어, Tomotaka Takahashi, 1975년 3월 27일~)는 크로이노와 FT와 같이 친숙한 디자인의 로봇을 만들어 가정용 로봇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5] 또한 일본, 한국, 중국 등이 함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개발해 로봇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5. 2. 주요 작품

크로이노(Chroino)는 신장 35 cm, 무게 1 kg의 검은색 로봇으로 동그랗고 큰 눈이 매력적인 친숙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무선조종, 기록동작 재생, PC 연결의 3가지 조종 모드가 있으며 양팔을 벌리고 다리를 들어 올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004년 타임지에 최고의 발명품(Best Inventions of 2004)으로 소개되었다.[1] Robo Garage가 개발한 카본-플라스틱 혼합 재질로 제작되어 견고하고 가볍다.[3]

FT는 Female Type의 이니셜로 크로이노와 비슷한 크기의 하얀색 여성형 로봇이다. 신장 35 cm, 무게 0.8 kg이며 내장된 컴퓨터로 제어되는 23개의 모터로 신 워킹 보행법으로 우아하게 걷는다. 2개의 자이로 센서, 23개의 모터, 리튬이온 중합체 전지(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4]

키로보, MANOI PF01 등도 개발되었다.[5]

참조

[1] 뉴스 Best Inventions of 2004 https://content.time[...] TIME 2004
[2] 뉴스 귀엽고 앙증맞은 日 로봇 '크로이노' https://www.hellodd.[...] 헬로디디 2005-11-06
[3] 웹인용 Chroino https://www.robotics[...] Robotics Today
[4] 웹인용 FT (Female Type) https://www.robotics[...] Robotics Today
[5] 뉴스 "5년 내 1인 1대 로봇 시대 열린다" https://www.hellodd.[...] 헬로디디 2017-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