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 고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림 고트어는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한 고트족이 사용했던 언어이다. 9세기에 고트어와 고딕 문자로 쓰인 낙서가 발견되었고, 13세기에는 플레밍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에 의해 언급되었다. 16세기에는 플랑드르 외교관 오기에르 기슬랭 드 부스베크가 이 언어에 대한 기록을 남겼지만, 18세기에는 사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크림 고트어는 동게르만어의 특징을 가지지만, 서게르만어와의 공통점도 보이며,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게르만어군 - 반달어
반달어는 동게르만어에 속하며, 과거 반달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고트어 방언이었다는 설 등이 존재하며, 현재는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동게르만어군 - 고트어
고트어는 4세기경 고트족이 사용한 사멸한 동게르만어파 언어로, 울필라스 성경 번역본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풍부한 어형 변화와 고트 문자를 사용하고, 일부 음운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 크림반도의 역사 - 크림 전쟁
크림 전쟁은 1853년부터 1856년까지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프랑스, 영국, 사르데냐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 쇠퇴, 러시아 남하 정책, 종교적 갈등이 원인이 되었으며, 1856년 파리 조약으로 러시아의 흑해 해군력 제한 등의 결과를 낳고 근대 간호 발전 등에 영향을 주었다. - 크림반도의 역사 - 게디크 아흐메드 파샤
게디크 아흐메드 파샤는 15세기 오스만 제국의 군인으로, 카라만 공국 정복, 크림반도 제노바 식민지 점령, 이탈리아 원정 등을 수행했으나, 바예지드 2세 즉위 후 투옥되어 처형되었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크림 고트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크림 고트어 |
사용 국가 | 과거 크림반도 |
민족 | 크림 고트족 |
사멸 시기 | 18세기 후반 |
언어 계통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아마도 동게르만어군 |
문자 | |
문자 체계 | 고트 문자 |
언어 코드 | |
Glotto code | crim1255 |
Glotto code 명칭 | 크림 고트어 |
IETF | gem-u-sd-ua43 |
ISO 639-3 | got (방언으로 취급) |
2. 역사
크림 고트족 참조
고트족은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했으며, 9세기경 그리스어와 함께 성경 고트어를 사용했다. 13세기에는 크림 반도에서 게르만어가 사용되었다는 기록과 크림 고트족이 타타르어를 채택했다는 기록이 있다. 16세기 크림 고트어는 활발했으나, 외부와 소통에는 그리스어와 타타르어가 사용되어 쇠퇴 조짐을 보였다. 1794년 크림 반도에서 크림 고트어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는 보고는 언어 사멸 가능성을 보여준다.
2. 1. 초기 역사
고트족은 서기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015년 크림 반도 망구프의 바실리카 교회에서 9세기 중반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는 5개의 고트족 낙서가 성경 고트어와 고딕 문자로 작성된 채 발견되었다. 이는 당시 크림 반도의 고트족이 그리스어와 함께 성경 고트어를 사용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낙서들은 크림 반도에서 고트어의 음성학적 발달(wei-got → wi-got 및 -rht-got → -rt-got)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9세기 성 키릴루스의 일대기에도 종교 의식과 성경을 읽기 위해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한 고트족이 크림 반도에 거주했다는 언급이 있다.13세기 플레밍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는 크림 반도에서 사용된 게르만어의 존재를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13세기 그리스 역사가 게오르기오스 파키메레스는 크림 고트족이 타타르어를 채택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16세기에는 크림 고트어가 다양한 분야의 어휘를 가진 활발한 언어였던 것으로 보인다. 플랑드르 외교관 오기에르 기슬랭 드 부스베크 (1562)는 크림 고트어가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배우고 싶어했다. 16세기의 두 자료는 크림 고트족이 외부인과 소통할 때 그리스어와 타타르어를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러한 삼중 언어 사용은 언어 쇠퇴를 나타낼 수 있다. 1794년 프로이센의 박식가 페터 시몬 팔라스는 크림 반도에서 크림 고트어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아마도 그 당시 언어가 사멸했음을 의미할 것이다.
2. 2. 중세 및 근세
고트족은 서기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015년에는 크림 반도 망구프의 바실리카 교회에서 5개의 고트족 낙서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성경 고트어와 고딕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모두 9세기 중반 이후의 것이다. 당시 크림 반도의 고트족은 그리스어와 함께 성경 고트어를 사용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낙서들은 크림 반도에서 고트어의 음성학적 발달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wei-got|wi-got 및 -rht-got|-rt-got).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9세기의 성 키릴루스의 일대기에도 크림 반도에 거주하며 종교 의식과 성경을 읽기 위해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한 고트족이 언급되어 있다.크림 반도에서 사용된 게르만어의 존재는 13세기에 그 지역을 방문한 플레밍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 또한 13세기의 그리스 역사가 게오르기오스 파키메레스는 크림 고트족이 타타르어를 채택하고 있다고 썼다. 그러나 16세기에는 크림 고트어가 다양한 분야의 어휘를 가진 활발한 언어였던 것으로 보인다. 크림 고트어에 대한 주요 정보원인 플랑드르 외교관 오기에르 기슬랭 드 부스베크 (1562)는 이 언어가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배우고 싶어했던 것으로 보인다. 16세기의 두 자료는 크림 고트족이 외부인과 소통할 때 그리스어와 타타르어를 사용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삼중 언어 사용은 언어가 쇠퇴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1794년 프로이센의 박식가 페터 시몬 팔라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그는 크림 반도에서 이 언어의 흔적을 찾을 수 없었는데, 이는 아마도 그 당시 언어가 사멸했음을 의미할 것이다.
3. 기록
크림 고트어에 대한 기록은 플랑드르 외교관 오지에르 기슬랭 드 뷔스베크가 1562년에 작성하고 1589년에 처음 출판한 "네 번째 터키 서한"에 약 80개의 단어와 노래 가사가 실려있는 것이 유일하다. 여기에는 약 101개의 단어가 있다. 뷔스베크는 주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원어민에게서 정보를 얻었기 때문에 정보 제공자의 언어 지식이 불완전했을 수 있고, 일부 단어를 플랑드르어나 독일어와 관련지어 기록했을 수도 있으며, 서한 인쇄 과정에서 식자공의 오류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어 뷔스베크의 기록은 문제가 있다.
뷔스베크는 크림 고트어와 서게르만어 간의 친족 관계를 인식했으며, 여러 단어가 네덜란드어나 독일어와 유사한 형태로 제시되었다. ''iel'' ('건강', 성경 고트어 hailgot), ''Sch[n]os'' ('약혼자')와 같이 많은 단어를 게르만어로 인식하지 못했다. ''menus'' ('고기', 성경 고트어 mimzugot), ''ael'' ('돌', 성경 고트어 hallusgot), ''mycha'' ('칼', 성경 고트어 mekeisgot)과 같이 뷔스베크가 글을 쓸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성경 고트어에서만 발견되는 형태와 일치하는 단어들도 있었다. 그러나 성경 고트어 bairgaheigot 대신 ''rintsch'' ('산'), 성경 고트어 hlaifsgot 대신 ''broe'' ('빵')과 같이 크림 고트어와 성경 고트어 어휘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
숫자는 다른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sada'' ('백')와 ''hazer'' ('천')는 이란어 차용어이고, 11~19의 형태는 튀르크어의 영향을 보여주는 듯하다. 최소한 다섯 단어는 비게르만어 기원을 가지며, 일부는 어원이 불분명하다.
크림 고트어에 대한 다른 증거는 몇몇 개인 및 지명의 형태와 타타르어로의 단일 차용어 제안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증거의 특성상 크림 고트어에 대한 확정적인 진술은 어려우며, 일부 특징은 단순히 알려지지 않았다.
4. 분류
대부분의 학자들은 크림 고트어를 동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분류한다. 이는 원시 게르만어(PGmc) /jj/→/ddj/ 등 동게르만어군의 특징적이거나 고유한 음운론적 특징이 존재하고, 성서 고트어에서만 증명되는 단어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서 고트어에서 발견되는 몇몇 특징적인 음운 병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크림 고트어가 이 언어의 직접적인 후손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오타르 그뢰니크는 크림 고트어가 동게르만어 차용어가 많이 사용된 서게르만어라는 가설을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부스벡 자신의 모국어인 플라망어와 독일어 지식이 이러한 특징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동게르만어 차용어의 절대적인 숫자는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4. 1. 동게르만어군의 특징
대부분의 학자들은 크림 고트어를 동게르만어군으로 분류한다. 이는 원시 게르만어(PGmc) /jj/→/ddj/ 등 동게르만어군의 특징적이거나 고유한 음운론적 특징이 존재하고, 성서 고트어에서만 증명되는 단어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서 고트어에서 발견되는 몇몇 특징적인 음운 병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크림 고트어가 이 언어의 직접적인 후손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오타르 그뢰니크는 크림 고트어가 동게르만어 차용어가 많이 사용된 서게르만어라는 가설을 주장했다. 그뢰니크는 크림 고트어의 단모음 분포에 크게 의존하여 이러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부스벡 자신의 모국어인 플라망어와 독일어 지식이 이러한 특징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동게르만어 차용어의 절대적인 숫자는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동게르만어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고대 게르만어 /*z/의 로타시즘 부재: 크림 고트어 ''ies'' ('그'), 고트어 ''is'', 고대 고지 독일어 er|에어goh; 크림 고트어 ''wintsch'', 고트어 ''winds'', 고대 노르드어 vindr|빈드르non.
- 고대 게르만어 /*d/를 유지하는 크림 고트어 ''fyder'' ('넷')는 고트어 fidwor/fidur|피드워/피두르got와 동일하다.
- "예리화" 현상으로 고대 게르만어 /*jj/ 와 /*ww/ 가 각각 /ddj/ 와 /ggw/ 로 변화: 크림 고트어 ''ada'' ('달걀'), 고트어 *addi|*아디got, 고대 고지 독일어 ei|아이goh, 모두 고대 게르만어 ''*ajjaz'' 에서 파생.
- 고대 게르만어 /*ē/ 가 /ā/ 로 변하지 않음: 크림 고트어 ''mīne'' ('달'), 고트어 mēna|메나got, 고대 고지 독일어 māne|마네goh; 크림 고트어 ''schlipen'', 고트어 slepan|슬레판got, 고대 영어 slāpan|슬라판ang.
- 고대 게르만어 /*lþ/ 음소군이 유지되어 /ld/ (서게르만어) 또는 /ll/ (북게르만어)로 변하지 않음: 크림 고트어 ''Goltz'' ('금'), 고트어 gulþ|굴스got.
4. 2. 서게르만어군과의 공통점
최근 오타르 그뢰니크가 주장한 가설은 크림 고트어가 동게르만어 차용어를 많이 사용한 서게르만어라는 것이다. 그뢰니크는 크림 고트어의 단모음 분포에 크게 의존하여 이러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특징이 부스벡 자신의 모국어인 플라망어와 독일어 지식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동게르만어 차용어의 절대적인 숫자는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성서 고트어에는 PGmc /*e/와 /*i/가 /i/로 붕괴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크림 고트어 ''Schuuester'', 성서 고트어 swistargot
- 크림 고트어 ''Reghen'', 성서 고트어 rigngot
- PGmc /*u/가 크림 고트어 ''goltz'' (금)에서 /o/로 변하는 움라우트가 나타난다.
- 성서 고트어 gulþgot, 고대 영어 goldang
- 성서 고트어에서는 어떠한 움라우트의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
- PGmc /*u/는 성서 고트어에서처럼 /r, h, hw/ 앞에서 /o/가 되지 않았을 수 있다.
- 크림 고트어 ''Thurn'' (문), 성서 고트어 daurgot, 고대 영어 duruang
- 그러나 크림 고트어 ''kor[n]'' (곡물), 성서 고트어 ''kaurn'', 고대 노르드어 kornnon, 고대 영어 cornang.
이러한 특징들은 부스베크의 플라망 방언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는데, 예시들이 모두 플라망 단어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5. 음운론
크림 고트어의 음운 체계는 오힐리아스 부스베크의 기록과 그리스어 정보 제공자의 영향으로 인해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자음과 모음 표기, 그리고 기타 특징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최소한의 정보만 제공)
- 자음 표기: <g>, <gh>, <h>, <sch>, <tz>, <u>, <uu> 등의 표기에 대한 개요.
- 모음 표기: <ie>, <oe>, <u> 등의 표기에 대한 간략한 설명.
- 기타 특징: 장자음의 단자음화, 모음 약화, 장모음 상승, 무성음화, /k/의 변형 등 주요 음운 현상 요약.
5. 1. 자음 표기
부스베크의 그리스어 정보 제공자의 간섭과 부스베크 서신의 표기법으로 인해 크림 고트어의 자음 음소에 대한 정확한 진술은 어렵다.- <g>와 <gh>는 네덜란드어([ɣ])처럼 소리났을 수 있다.
- <h>: 부스베크가 기록한 단어는 그가 단어를 게르만어라고 인식할 때만 'h'로 시작한다. 크림 고트어 "Handa"("손") vs "Ieltsch"("살아있는, 건강한") = hails|하일스got. 이는 크림 고트어에 음소 /h/가 없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 <sch>는 단어의 끝에서 [s]를 나타낼 수 있지만(당시 플랑드르어에서처럼), 다른 위치에서는 [sx] 또는 [ʃ]를 나타낼 수 있다.
- <tz>는 [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가 사용한 소리를 표기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 <u> 또는 <uu>는 [w] 또는 [v]를 나타낼 수 있다.
5. 2. 모음 표기
- `
`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je]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지만(예: ''Iel'', ''Ies''), 단어 내부에서 이중 모음인지 [i:]를 나타내는지는 불분명하다. - `
`와 ``의 값은 논쟁의 대상이다. 이들은 Busbecq의 플라망어와 같은 [u:]와 [y:]의 값을 가졌을 수도 있고, [o:]와 [u:]를 나타낼 수도 있다.
5. 3. 기타 특징
- 장자음의 단자음화: 장자음이 단자음으로 단순화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ada"는 게르만 고트어 *adda|아다got에 대응하고, 크림 고트어 "Sune"는 게르만 고트어 sunnō|수노got에 대응한다. 그러나 크림 고트어 "Brunna"는 게르만 고트어 brunna|브루나got와 일치한다.
- 모음 약화: 어원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무강세 음절의 모음 철자는 모음 약화를 나타내며, 이는 슈와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Boga"는 고대 노르드어 bogi|보기no, 고대 고지 독일어 bogo|보고goh에 대응하고, 크림 고트어 "Ano"는 게르만 고트어 hana|하나got에 대응한다.
- 장모음 상승: 원 게르만어 및 성경 고트어의 장모음 'ē'와 'ō'는 각각 'i'와 'u'로 상승했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Mine"(달)는 게르만 고트어 mēna|메나got에, 크림 고트어 "Stul"(의자)는 게르만 고트어 stōls|스톨스got에 대응한다. 성경 고트어의 오타는 이것이 그 언어의 경향이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공한다.
- 무성음화: 부스베크는 때때로 게르만어 /d, b/로 시작하는 단어를 /t, p/로 기록했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plut"(피)는 게르만 고트어 blōþ|블로트got에, 크림 고트어 "Tag"는 게르만 고트어 dags|닥스got에 대응한다. 그는 또한 -s(ch) 앞과 단어 끝에서 /d/의 무성음 형태를 썼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rintsch"는 게르만 고트어 *rinds|린즈got에, 크림 고트어 "Vvingart"(포도밭)는 게르만 고트어 weinagard|바이나가르트got에 대응한다. 또한 /ng/에서 최종 /g/를 /k/로 기록했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Rinck"(반지)는 게르만 고트어 *hriggs|흐릭스got에 대응한다.
- /k/의 변형: 부스베크는 모음 뒤에 오는 PGmc /*k/를 /ch/로 표기했다. 예를 들어 크림 고트어 "Ich"(나)는 게르만 고트어 ik|이크got에, 크림 고트어 "Mycha"(칼)는 게르만 고트어 mekeis|메카이스got에 대응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