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달어는 전통적으로 동게르만어에 속한다고 분류되는 사멸한 언어이다. 반달족이 사용했으며, 고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반달어는 5세기에 북아프리카에 반달 왕국을 세웠지만, 6세기에 멸망하면서 함께 소멸되었다. 현존하는 자료는 단편적인 어구와 소수의 인명, 지명 등 제한적이며, 음운론적 특징은 고트어와 유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게르만어군 - 크림 고트어
크림 고트어는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한 고트족이 사용했던 동게르만어군 언어로, 16세기 기록된 단어와 차용어, 지명을 통해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동서 게르만어 특징을 보이나 18세기 말 사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 동게르만어군 - 고트어
고트어는 4세기경 고트족이 사용한 사멸한 동게르만어파 언어로, 울필라스 성경 번역본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풍부한 어형 변화와 고트 문자를 사용하고, 일부 음운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 아프리카의 사어 - 관체어
관체어는 카나리아 제도의 원주민인 관체족이 사용했던 사멸한 언어로, 베르베르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지만 명확히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14세기 초 10진법 숫자 체계와 실보 고메로어 형태가 확인되고 리비코-베르베르 문자와 푸니 문자의 흔적이 남아있다. - 아프리카의 사어 - 콰디어
콰디어는 7개의 구두 모음과 3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와 더불어 1, 2인칭 대명사 및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구분하고, 명사는 성과 수를 구분하는 언어이다.
| 반달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반달어 |
| 사용 지역 | 스페인, 북아프리카 |
| 사멸 시기 | 6세기 경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 어파 | 게르만어파 |
| 어군 | 동게르만어군 |
| ISO 639-3 | xvn |
| Linglist | xvn |
| Glottolog | vand1245 |
| Glottolog 참조 | 반달 |
2. 분류
반달어는 전통적으로 동게르만어에 속한다고 분류된다.[3][8] 이러한 분류는 대부분 역사적인 이유 때문이며 언어학적인 것은 아니다. 반달어가 동게르만어라는 인식 때문에, 그리스 및 로마 자료에 기록된 인명 연구를 통해 반달어를 재구성하는 것은 고트어 형태에 의존한다. 따라서 반달어가 고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는 어렵다.
이론은 고트어와 반달어가 부르군트어와 함께 언어 연속체를 형성한다는 것,[4] 또는 반달족의 언어가 실제로는 고트어였다는 것에서, 초기에는 서로 다른 언어였으며 중간 동게르만어 조상이 없었다는 것[5]까지 다양하다.
3. 역사

반달족은 그들 자신의 신화에 따르면, 원래 고트족과 같이 스칸디나비아에서 왔다고 한다.[5] 따라서 고트어와 그 연장선상에 있는 반달어가 스칸디나비아에서 유래했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언어학적 증거는 북게르만어군과 고트어 또는 반달어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트족과 반달족 모두 스칸디나비아에서 남쪽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언어가 원시 게르만어로부터 분화되기 시작했을 가능성은 있다.[5]
반달어의 언어적 원향은 아마도 발트해 남쪽에 위치했을 것이다. 그들은 5세기에 라인강 도하를 건너[5], 다른 게르만족과 비게르만족(서고트족, 알란족, 수에비족)을 따라 410년경 갈라에키아(북부 포르투갈과 갈리시아)와 남부 스페인에 하스딩기족 및 실링기족과 함께 정착했으며, 430년대에는 반달 왕국으로 북아프리카로 이동했다. 그들의 왕국은 6세기 초에 번성했지만 534년 반달 전쟁에서 패배한 후 아프리카 관구 아래에 놓였다.[6][7] 반달어는 비잔틴 정복 당시에도 여전히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세기 말 이전에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8]
3. 1. 한국과의 관계
4. 현존 자료
반달어에 관해서는 다양한 구절과 소수의 반달어 기원의 인명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주로 문서와 동전에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반달어 이름은 라틴어나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이들은 음소를 잘못 해석하거나 이름을 모국어에서 흔한 이름으로 동화시켰을 수 있다.
안달루시아라는 지역명은 전통적으로 반달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이 주장은 논쟁의 대상이다. 히스파니아 우마이야 왕조 정복 이후, 8세기부터 15세기 말까지 이 지역은 알-안달루스/알-안달루스ar라고 불렸다.[9]
반달 왕국의 한 비문에서 기독교의 기도문인 키리에 엘레이손/키리에 엘레이손grc이 반달어로 "Froia arme/Froia armexvn" ("주여, 자비를 베푸소서!")로 나타난다.[10][11] 같은 구절이 가짜 아우구스티누스의 Collatio Beati Augustini cum Pascentio arianola 15에 "Froja armes/Froja armesxvn"로 나타난다.[12] 이 문장이 실제로 고트어일 가능성이 있는데, 반달족이 전례 언어로 고트어를 사용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라틴 선집에 실린, 북아프리카 기원의 날짜가 논쟁적인 에피그램 에는 일부 저자들이 반달어라고 믿는 게르만어 단편이 포함되어 있다.[13] 그러나 단편 자체는 이 언어를 "고트어"라고 지칭한다. 이는 두 언어가 동게르만어군이고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으며, 학자들은 이와 관련하여 프로코피우스가 고트족, 반달족, 서고트족, 게피드족을 "고트족"이라고 지칭하며, 이들이 "모두 아리우스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고트어라는 하나의 언어를 사용한다"고 생각한다는 점을 지적했다.[14] 단편은 다음과 같다.
고트어 "''eils''! ''scapia matzia ia drincan!''" 가운데
아무도 괜찮은 시를 내놓지 못한다.
칼리오페는 젖은 바쿠스로부터 떠나려 서두른다.
술에 취한 무사(Muse)는 제 발로 서지 못할지도 모른다.[15]
다른 현존하는 반달어 단어는 "주인"을 뜻하는 Baudus/Baudusxvn [16]와 "반달족의 왕"을 뜻하는 Vandalirice/Vandaliricexvn이다.[17]
4. 1. 안달루시아 지명 기원설
4. 2. "Froia arme" 구절
반달어의 어휘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아래는 반달어의 한 어구이다.''Froia arme!'' (뜻:"신이여 자비를 베푸소서!")
4. 3. "De conviviis barbaris" 에피그램
4. 4. 기타 단어
5. 음운론
반달어의 음운론적 특징은 고트어와 유사하다.
== 모음 ==
반달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 colspan="2" rowspan="2" |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 짧은 | 긴 | 짧은 | 긴 | 짧은 | 긴 | ||
| 고모음 | /i//iund | /iː//iːund | /u//uund | /uː//uːund | |||
| 중모음 | /eː//eːund | /oː//oːund | |||||
| 저모음 | /a//aund | ||||||
반달어 /i//iund는 라틴 작가들에 의해 때때로 e/e영어로 표기되었다. 원시 게르만어 장모음 */e://eːund는 반달어 이름에서 e/e영어로 자주 표기되지만(군트히메르xvn, 가일리메르xvn), i/i영어 (가일아미르xvn, 비타리트xvn)로도 표현된다.
원시 게르만어 단모음 */e//eund는 */r, h, w//r, h, wund가 앞에 오지 않는 경우 반달어에서 i/i영어로 자주 표기된다. 예를 들어 시기스테운xvn은 모음 앞에 'g'가 오기 때문에 -'i'를 포함하지만, 베레무트xvn는 'r'이 모음 앞에 오기 때문에 *e를 유지한다. 이는 */e//eund가 반달어에서 /i//iund로 바뀌었거나 반달어 단모음 /e//eund가 비원어민에 의해 /i//iund로 해석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고트어와 유사하게 반달어는 i-음운 변화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음운 변화의 부재를 보여주는 한 예는 *arixvn (< 원시 게르만어 *harjazgem-x-proto '군대') 형태를 포함하는 이름이다. 아리아리트xvn, 아리프리도스xvn, 군타리xvn, 라기나리xvn vs. 고대 영어 hereang는 원시 게르만어 *''a''가 ''e''로 이동하면서 음운 변화를 보여준다.
원시 게르만어 */o://oːund는 u/u영어로 표기된다; 블루마리트xvn (원시 게르만어 비교), 빌리무트xvn. 이는 */o://oːund가 반달어에서 /u//uund로 바뀌었거나 라틴 작가들의 음성 오해를 의미할 수 있다. 고트어 문서에서는 */o://oːund가 주로 o/o영어로 표기되지만 때때로 u/u영어로도 표기된다.
원시 게르만어 이중 모음 *eu는 반달어에서 ''eu''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테우도xvn- ('사람들') 형태를 보자, 반면에 고트어 𐌸𐌹𐌿𐌳𐌰got (þiudagot-Latn),는 /iu//iuund로 바뀌었다.
원시 게르만어 이중 모음 *ai는 /ai//aiund로 보존되지만 나중에는 /ei//eiund가 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이름 가이세리쿠스xvn는 후기 문서에서 게이세릭xvn으로 바뀐다.
== 자음 ==
Wrede에 따르면 반달어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순음 | 치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순음화 연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 | colspan=2| | n | colspan=2| | ŋ/ngde | |||||||
| m | colspan=2| | n | colspan=2| | ŋ | ||||||||
| 파열음 | p | b | colspan=2| | t | d | c | g | c | g | |||
| p | b | colspan=2| | t | d | c | ɟ | k | ɡ | ||||
| 마찰음 | f | b | th | d | s | s, z | colspan=2| | ? h | ? g | ? h | ||
| ɸ | β | θ | ð | s | z | colspan=2| | x | ɣ | h | |||
| 접근음 | colspan=2| | colspan=2| | l | i, j | colspan=2| | w, v | ||||||
| colspan=2| | colspan=2| | l | j | colspan=2| | w | |||||||
| 전동음 | colspan=2| | colspan=2| | r | colspan=2| | colspan=2| | |||||||
| colspan=2| | colspan=2| | r | colspan=2| | colspan=2| | ||||||||
- h/hde가 원래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 [ɣ/ɣde]가 반달어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소리에 대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다.
원시 게르만어 *는 지속음으로 언어에 보존되어 있다(항상 s/sde로 쓰이거나 x/xde의 일부로 쓰임). 이는 북 또는 서게르만어군에서와 같이 R 소리화를 거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반달어 형태 geisxvn (Geisericxvn에서와 같이) '창'과 고대 영어 /h//gār}}를 비교해 볼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에서 상속된 단어 처음의 {{IPAang는 그리스어나 라틴어 작가가 기록한 반달어 이름에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예: Arifridosxvn와 Guntarixvn의 요소 arixvn, 원시 게르만어 *harja-/*harja-gem-x-proto '군대'에서). 때로는 같은 이름이 저자에 따라 h/hde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그러나 반달어 동전에 새겨진 왕족의 이름은 보수적인 공식 철자를 사용하며, h/hde는 항상 쓰여져 있다. 이는 h/hde로 표시된 소리가 손실되었거나, 이 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작가들이 범한 오류를 나타낼 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 마찰음 *와 *는 종종 또는 로 바뀌지만, 명확하게 유지되거나 다르게 표현된 이름도 있다. Thrasamundusxvn, /w//Guntha}}.
처음의 의 발달을 나타낼 수 있다. 예로는 Guiliarunaxvn, < 원시 게르만어 *wilja-/*wilja-gem-x-proto 및 Guitifridaxvn, < *wīti-/*wīti-gem-x-proto가 있다.
원시 게르만어 음소 *는 로 강화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 음소 *는 원시 게르만어 *matjanągem-x-proto에서 [tsj]/matzia}}와 같이 {{IPAxvn가 될 수 있다.
5. 1. 모음
반달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colspan="2" rowspan="2" |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 짧은 | 긴 | 짧은 | 긴 | 짧은 | 긴 | ||
| 고모음 | /i//iund | /iː//iːund | /u//uund | /uː//uːund | |||
| 중모음 | /eː//eːund | /oː//oːund | |||||
| 저모음 | /a//aund | ||||||
반달어 /i//iund는 라틴 작가들에 의해 때때로 e/e영어로 표기되었다. 원시 게르만어 장모음 */e://eːund는 반달어 이름에서 e/e영어로 자주 표기되지만(군트히메르xvn, 가일리메르xvn), i/i영어 (가일아미르xvn, 비타리트xvn)로도 표현된다.
원시 게르만어 단모음 */e//eund는 */r, h, w//r, h, wund가 앞에 오지 않는 경우 반달어에서 i/i영어로 자주 표기된다. 예를 들어 시기스테운xvn은 모음 앞에 'g'가 오기 때문에 -'i'를 포함하지만, 베레무트xvn는 'r'이 모음 앞에 오기 때문에 *e를 유지한다. 이는 */e//eund가 반달어에서 /i//iund로 바뀌었거나 반달어 단모음 /e//eund가 비원어민에 의해 /i//iund로 해석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고트어와 유사하게 반달어는 i-음운 변화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음운 변화의 부재를 보여주는 한 예는 *arixvn (< 원시 게르만어 *harjazgem-x-proto '군대') 형태를 포함하는 이름이다. 아리아리트xvn, 아리프리도스xvn, 군타리xvn, 라기나리xvn vs. 고대 영어 hereang는 원시 게르만어 *''a''가 ''e''로 이동하면서 음운 변화를 보여준다.
원시 게르만어 */o://oːund는 u/u영어로 표기된다; 블루마리트xvn (원시 게르만어 비교), 빌리무트xvn. 이는 */o://oːund가 반달어에서 /u//uund로 바뀌었거나 라틴 작가들의 음성 오해를 의미할 수 있다. 고트어 문서에서는 */o://oːund가 주로 o/o영어로 표기되지만 때때로 u/u영어로도 표기된다.
원시 게르만어 이중 모음 *eu는 반달어에서 ''eu''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테우도xvn- ('사람들') 형태를 보자, 반면에 고트어 𐌸𐌹𐌿𐌳𐌰got (þiudagot-Latn),는 /iu//iuund로 바뀌었다.
원시 게르만어 이중 모음 *ai는 /ai//aiund로 보존되지만 나중에는 /ei//eiund가 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이름 가이세리쿠스xvn는 후기 문서에서 게이세릭xvn으로 바뀐다.
5. 2. 자음
Wrede에 따르면 반달어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순음 | 치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순음화 연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 | colspan=2| | n | colspan=2| | ŋ/ngde | |||||||
| m | colspan=2| | n | colspan=2| | ŋ | ||||||||
| 파열음 | p | b | colspan=2| | t | d | c | g | c | g | |||
| p | b | colspan=2| | t | d | c | ɟ | k | ɡ | ||||
| 마찰음 | f | b | th | d | s | s, z | colspan=2| | ? h | ? g | ? h | ||
| ɸ | β | θ | ð | s | z | colspan=2| | x | ɣ | h | |||
| 접근음 | colspan=2| | colspan=2| | l | i, j | colspan=2| | w, v | ||||||
| colspan=2| | colspan=2| | l | j | colspan=2| | w | |||||||
| 전동음 | colspan=2| | colspan=2| | r | colspan=2| | colspan=2| | |||||||
| colspan=2| | colspan=2| | r | colspan=2| | colspan=2| | ||||||||
- h/hde가 원래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 [ɣ/ɣde]가 반달어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소리에 대한 증거는 충분하지 않다.
원시 게르만어 *는 지속음으로 언어에 보존되어 있다(항상 s/sde로 쓰이거나 x/xde의 일부로 쓰임). 이는 북 또는 서게르만어군에서와 같이 R 소리화를 거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반달어 형태 geisxvn (Geisericxvn에서와 같이) '창'과 고대 영어 /h//gār}}를 비교해 볼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에서 상속된 단어 처음의 {{IPAang는 그리스어나 라틴어 작가가 기록한 반달어 이름에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다(예: Arifridosxvn와 Guntarixvn의 요소 arixvn, 원시 게르만어 *harja-/*harja-gem-x-proto '군대'에서). 때로는 같은 이름이 저자에 따라 h/hde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그러나 반달어 동전에 새겨진 왕족의 이름은 보수적인 공식 철자를 사용하며, h/hde는 항상 쓰여져 있다. 이는 h/hde로 표시된 소리가 손실되었거나, 이 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작가들이 범한 오류를 나타낼 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 마찰음 *와 *는 종종 또는 로 바뀌지만, 명확하게 유지되거나 다르게 표현된 이름도 있다. Thrasamundusxvn, /w//Guntha}}.
처음의 의 발달을 나타낼 수 있다. 예로는 Guiliarunaxvn, < 원시 게르만어 *wilja-/*wilja-gem-x-proto 및 Guitifridaxvn, < *wīti-/*wīti-gem-x-proto가 있다.
원시 게르만어 음소 *는 로 강화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 음소 *는 원시 게르만어 *matjanągem-x-proto에서 [tsj]/matzia}}와 같이 {{IPAxvn가 될 수 있다.
6. 문법
반달어 문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현존하는 반달어 자료를 통해 몇 가지를 추론할 수 있다.
원시 게르만어의 남성 단수 주격 표시인 ''*-z''는 명사에서 사용되었으며, 서게르만어에서는 초기에 소실되었다.[18] 이는 일부 보존된 반달어 형태에서 -''s'' 또는 -''x''의 일부로 나타나며 (가끔 일부 이름 표기에서 로마자 표기로 ''-us''로 발견됨) 증명된다.[18] 이 표지는 대부분의 단어에서 소실되었기 때문에 고대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6세기 이후 동고트 이름에서는 완전히 소실되었다.[18]
Vandaliricexvn '반달족의 왕'이라는 칭호는 소유격 복수 어미 ''-e'' (고트어 -ē와 비교)의 가능한 증거를 제공하며, 비록 이 형태 내에서 ''i''로 표기되기는 하지만 그렇다.[18][11] 동게르만어를 제외한 고대 게르만어는 이 어미에 해당하는 것으로 -''a'' (예: 고대 영어 및 고대 노르드어)[21][22] 또는 -''o'' (예: 고대 네덜란드어 또는 고대 고지 독일어)를 가지고 있다.[23][24] 예를 들어 고대 영어 Wendlaang와 잠재적인 반달어 형태 *Vandalixvn를 비교해 볼 수 있다.
6. 1. 형태론
원시 게르만어의 남성 단수 주격 표시인 ''*-z''는 명사에서 사용되었으며, 서게르만어에서는 초기에 소실되었다.[18] 이는 일부 보존된 반달어 형태에서 -''s'' 또는 -''x''의 일부로 나타나며 (가끔 일부 이름 표기에서 로마자 표기로 ''-us''로 발견됨) 증명된다.[18] 이 표지는 대부분의 단어에서 소실되었기 때문에 고대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6세기 이후 동고트 이름에서는 완전히 소실되었다.[18]i/Vandalirice}} '반달족의 왕'이라는 칭호는 소유격 복수 어미 ''-e'' (고트어 -ē와 비교)의 가능한 증거를 제공하며, 비록 이 형태 내에서 {{angbrxvn로 표기되기는 하지만 그렇다.[18][11] 동게르만어를 제외한 고대 게르만어는 이 어미에 해당하는 것으로 -''a'' (예: 고대 영어 및 고대 노르드어)[21][22] 또는 -''o'' (예: 고대 네덜란드어 또는 고대 고지 독일어)를 가지고 있다.[23][24] 예를 들어 고대 영어 Wendlaang와 잠재적인 반달어 형태 *Vandalixvn를 비교해 볼 수 있다.
7. 어휘
반달어의 어휘는 그다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Froia arme!"(신이여 자비를 베푸소서!)와 같은 어구가 전해진다.[18]
| 증명된 반달어 형태 | 고트어 동족어 | 반달어 형태의 의미 |
|---|---|---|
| 아르메/armexvn | armai/𐌰𐍂𐌼𐌰𐌹got (arman/𐌰𐍂𐌼𐌰𐌽got의 2.sg.ipv. 형태) | '자비를 베푸소서!' |
| 바우두스/baudusxvn (cf. -바우데스/baudesxvn) | — | '통치자, 지배자' |
| 드린칸/drincanxvn | drigkan/𐌳𐍂𐌹𐌲𐌺𐌰𐌽got | '마시다 (부정사)' |
| 에일스/eilsxvn | hails/𐌷𐌰𐌹𐌻𐍃got | 만세! (인사) |
| 이아/iaxvn | jah/𐌾𐌰𐌷got | '그리고' |
| 프로이아/froiaxvn | frauja/𐍆𐍂𐌰𐌿𐌾𐌰got | '주님, (그) 주님' |
| 마트지아/matziaxvn | matjan/𐌼𐌰𐍄𐌾𐌰𐌽got | '먹다 (부정사), 식사하다 (부정사)' |
| 스카피아/scapiaxvn | *skapjan/𐍃𐌺𐌰𐍀𐌾𐌰𐌽got, cf. gaskapjan/𐌲𐌰𐍃𐌺𐌰𐍀𐌾𐌰𐌽got | '만들다, 창조하다' |
| 반달리리체/vandaliricexvn | — (-reikē/𐍂𐌴𐌹𐌺𐌴got) | '반달족의 왕' |
| 증명된 반달어 형태 | 고트어 동족어 | 원 게르만어 어원 | 고대 영어 동족어 | 반달어 형태의 의미 |
|---|---|---|---|---|
| 아리/arixvn | harjis/𐌷𐌰𐍂𐌾𐌹𐍃got | *harjaz/harjazgem-x-proto | here/hereang | '군대' |
| 바우데스/baudesxvn (cf. 바우두스/baudusxvn) | — | *baudiz/baudizgem-x-proto | — | '지배자, 통치자' |
| 베레/berexvn | baira-/𐌱𐌰𐌹𐍂𐌰got | *bera-/beragem-x-proto | bera-/beraang | '곰, 나르다' |
| 블루마/blumaxvn | blōma/𐌱𐌻𐍉𐌼𐌰got | *blōmô/blōmôgem-x-proto | *blōma/blōmaang | '개화, 꽃' |
| 다길라/dagilaxvn | *dagila/𐌳𐌰𐌲𐌹𐌻𐌰got cf. dags/𐌳𐌰𐌲𐍃got | *dag-/daggem-x-proto | (dæġ)/dæġang | '날 (축약형)' |
| 프리다/fridaxvn 프레데/fredexvn 페우아/feuaxvn | *friþus/𐍆𐍂𐌹𐌸𐌿𐍃got | *friþu-/friþugem-x-proto | friþ(u)/friþ(u)ang (cf. 현대 영어 †frith) | '평화' |
| 게이스/geisxvn | *gais/𐌲𐌰𐌹𐍃got cf. usgaisjan/𐌿𐍃𐌲𐌰𐌹𐍃𐌾𐌰𐌽got (겁주다, 놀라게 하다) | *gaiza-/gaizagem-x-proto | gār/gārang (cf. 현대 영어 garlic) | '창' |
| 군다/gundaxvn 군타/gunthaxvn | — | *gunþjo/gunþjogem-x-proto | gūþ/gūþang | '전투' |
| 힐디-/hildixvn, 일드/ildxvn | hildi-/𐌷𐌹𐌻𐌳𐌹got | *hildjō/hildjōgem-x-proto | hild/hildang | '전투' |
| 미르/mirxvn 메르/merxvn | *mērs/𐌼𐌴𐍂𐍃got | *mēraz/mērazgem-x-proto, *mērijaz/mērijazgem-x-proto | mǣre/mǣreang (cf. 현대 영어 ‡mere) | '유명한' |
| 문드스/mundsxvn | — | *mundō/mundōgem-x-proto | mund/mundang (cf. 현대 영어 ‡mound) | '수호자' |
| 무트/mutxvn | mōþs/𐌼𐍉𐌸𐍃got (기분, 분노) | *moda-/modagem-x-proto | mōd/mōdang (cf. 현대 영어 mood) | '용기' |
| 오아/oaxvn | hauhs/𐌷𐌰𐌿𐌷𐍃got | *hauha-/hauhagem-x-proto | hēah/hēahang | '높은' |
| 오스타/ostaxvn 호스트라/hostraxvn | *austra-/𐌰𐌿𐍃𐍄𐍂𐌰got | *austra-/austragem-x-proto | ēast/ēastang | '동쪽' |
| 리트/ritxvn 리트/rithxvn | -rēdan/-𐍂𐌴𐌳𐌰𐌽got (조언하다) | *rēdaz/rēdazgem-x-proto | rǣd/rǣdang, rēd/rēdang (cf. 현대 영어 †rede) | '조언, 충고' |
| 릭스/rixxvn 리쿠스/ricusxvn | reiks/𐍂𐌴𐌹𐌺𐍃got | *rīk-/rīkgem-x-proto | rice/riceang (지배) | '왕' |
| 루나/runaxvn | rūna/𐍂𐌿𐌽𐌰got | *rūnō/rūnōgem-x-proto | rūn/rūnang (cf. 현대 영어 †roun, rune) | '비밀' |
| 스카릴라/scarilaxvn | — | *skarō/skarōgem-x-proto | scearu/scearuang (cf. 현대 영어 share) | '밴드 (축약형)' |
| 시필라/sifilaxvn | sibja/𐍃𐌹𐌱𐌾𐌰got | *sibjō/sibjōgem-x-proto | sibb/sibbang (cf. 현대 영어 'sib'ling) | '친족 (축약형)' |
| 신디-/sindixvn | sinþs/𐍃𐌹𐌽𐌸𐍃got (시간, 발생) | *sinþa-/sinþagem-x-proto | sīþ/sīþang (cf. 현대 영어 send) | '여행, 길' |
| 트리우아/triouaxvn | triggwa/𐍄𐍂𐌹𐌲𐌲𐍅𐌰got | *triwwa/triwwagem-x-proto | trīewu/trīewuang | '충실한, 진실한 (여성)' |
| 테우스/teusxvn | þius/𐌸𐌹𐌿𐍃got | *þewaz/þewazgem-x-proto | þēow/þēowang (cf. 현대 영어 †thew) | '노예, 하인' |
| 테우도/theudoxvn | þiuda/𐌸𐌹𐌿𐌳𐌰got | *þeudō/þeudōgem-x-proto | þēod/þēodang (cf. 현대 영어 †thede) | '민족' |
| 빌리/vilixvn, 구일리아/guiliaxvn | wilja/𐍅𐌹𐌻𐌾𐌰got | *wiljô/wiljôgem-x-proto | willa/willaang | '의지 (명사)' |
| 우이트-/uitxvn 구이트-/guitxvn | *weiti-/weitigot | *wīti-/wītigem-x-proto | — | '투쟁, 전투' |
| 불트/vultxvn | wulþus/𐍅𐌿𐌻𐌸𐌿𐍃got | *wulþu-/wulþugem-x-proto | wuldor/wuldorang | '영광' |
8. 문자 체계
참조
[1]
서적
The Vandalic language – origins and relationships
Universitätsverlag Winter
2020
[2]
서적
Namen des Frühmittelalters als Sprachliche Zeugnisse und als Geschichtsquellen
W. de Gruyter
2009
[3]
서적
Über die Sprache der Wandalen
De Gruyter
2018
[4]
논문
The Burgundian language and its phylogeny: A cladistical investigation
2022-03-16
[5]
서적
Germanic Phylogeny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Global Human Migration
Wiley
2013
[7]
서적
The Vandals
John Wiley & Sons
2010
[8]
서적
Einführung in das Mittelhochdeutsche
De Gruyter
2012
[9]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2017,5: Band
Brill
2017
[10]
웹사이트
Arianism: Roman Heresy and Barbarian Cre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1]
논문
Das wandalische Domine miserere
Vandenhoeck & Ruprecht
1991
[12]
간행물
Gruppen und Identitäten. Gedanken zur Bezeichnung "vandalisch"
http://homepage.uibk[...]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3]
웹사이트
Inter eils Goticum (De conviviis barbaris)
http://www.univie.ac[...]
[14]
문서
Procopius of Caesarea, THE VANDALIC WAR I,2–8
http://www.gutenberg[...]
[15]
문서
Quoted in Magnús Snædal, '[https://www.academia.edu/758303 The "Vandal" Epigram]', in Filologia Germanica/Germanic Philology, 1 (2009), 181–213 (pp. 183–84).
[16]
문서
Anthologia Latina No. 307, I. 5
[17]
문서
Anthologia Latina No. 215, 523–543
[18]
서적
Goti e Vandali
Artemide
2013
[19]
서적
A comparative glossary of the Gothic language with especial reference to English and German
https://archive.org/[...]
Max Niemeyer
1887
[20]
서적
Das Königreich der Vandalen: Erben des Imperiums in Nordafrika; Große Landesausstellung Baden-Württemberg 2009 im Badischen Landesmuseum Schloss Karlsruhe, 24. Oktober 2009 bis 21. Februar 2010
von Zabern
2009
[21]
서적
Altenglische Grammatik
Niemeyer
1965
[22]
서적
Altnordische Grammatik. 1: Altisländische und altnorwegische Grammatik (Laut- und Flexionslehre) unter Berücksichtigung des Urnordischen
Niemeyer
1970
[23]
서적
Altsächsische Grammatik
Niemeyer
1993
[24]
서적
Abriss der althochdeutschen Grammatik: mit Berücksichtigung des Altsächsischen
Niemeyer
1989
[25]
서적
Die Münzen der Vandalen
Wigand
18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