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럽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럽재는 배제 가능하지만 비경합적인 재화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만 이용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해도 혼잡이 발생하지 않거나 그 정도가 낮은 재화를 의미한다. 영화관, 케이블 TV, 저작권, 사설 클럽 등이 클럽재의 예시이며, 특정 그룹에만 혜택이 제한된 공공재도 클럽재로 간주될 수 있다. 제임스 M. 뷰캐넌은 클럽의 경제 이론을 발전시켜 클럽 규모와 비용 분담에 대한 최적의 방안을 제시했으며, 리처드 콘스와 토드 샌들러는 최적의 클럽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클럽 이론은 국제 동맹 분야에도 적용되어 NATO의 비용 분담 분석 등에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선택론 - 압력 단체
    압력 단체는 특정 이해관계 증진을 목표로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조직화된 집단으로, 선거 지지, 로비, 여론 형성 등의 활동을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 개입하며, 정치 공정성 훼손 비판과 사회적 요구 반영이라는 양면적 평가를 받는다.
  • 공공선택론 - 코스의 정리
    코스의 정리는 재산권이 명확하고 거래 비용이 없을 때, 초기 재산권 할당과 무관하게 협상을 통해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가능하다는 경제학 이론으로, 외부 효과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신 제도주의 경제학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현실적인 제약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 재화 - 서비스
    서비스는 무형성, 소멸성, 가변성을 특징으로 하며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품질 관리가 어려운 활동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공되며 여러 국가에서 성장과 함께 과제를 안고 있다.
  • 재화 - 공공재
    공공재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의 특징을 가지는 재화로, 시장 실패를 야기하므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준공공재의 경우 시장과 지역사회의 역할도 중요하고, 정보재, 환경재, 디지털 공공재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여 효율적인 공급 및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 재정 - 보조금
    보조금은 정부가 특정 개인, 기업,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금전적 지원으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모두 가지며, 대한민국은 관련 법률과 감사를 통해 적정 집행을 관리하고, 국제 협정을 통해 규제 및 분쟁 해결을 도모한다.
  • 재정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클럽재
개요
유형경제재
성격배제성은 있지만 경합성은 없는 재화
특징
배제 가능성높음
경합성낮음
생산 비용초기 비용이 높고, 한계 비용은 낮음
예시
일반적인 예시케이블 TV
유료 도로
회원제 클럽
소프트웨어
확장된 예시공원 (혼잡하지 않은 경우)
영화관 (좌석이 충분한 경우)
인터넷 서비스 (대역폭이 충분한 경우)
경제적 효과
규모의 경제달성 가능
자연 독점발생 가능
관리 및 가격 결정
최적 관리사용자 수 제한 또는 요금 부과
가격 결정 전략평균 비용 가격 결정
램지 가격 결정
관련 개념
관련 재화공공재
사유재
공유 자원

2. 다른 재화와의 비교

음식, 옷, 장난감, 가구, 자동차공유 자원
물, 생선, 사냥비경합성클럽재(자연 독점 재화)
케이블 TV방송, 전력, 수도공공재
국방, 치안, 지상파 TV방송


2. 1. 배제성과 경합성에 따른 재화 분류

예: 음식, 의류, 주차 공간공유 자원
예: 어족 자원, 목재비경합적인 재화클럽재
예: 영화관, 소프트웨어, 사립 공원공공재
예: 지상파 텔레비전, 공기, 국가 안보


3. 클럽재의 특징 및 사례

영화관, 케이블 TV, 저작권이 있는 작품의 소비, 사회나 종교 단체가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 클럽재의 예시에 해당한다. 유럽 연합도 클럽재로 취급받는데, 이는 유럽 연합의 서비스는 비회원국들에게 배제성을 가지고 있지만 몇몇 서비스는 경합성이 없기 때문이다. 재화, 사람, 서비스, 그리고 공통화폐의 사용이 이에 해당하며, 솅겐 지역에 회원국들을 추가해도 기존 유럽연합 회원국 국민의 이동이 어려워지지 않는 것이 그 예이다.[20]

특정 사람들에게만 혜택이 제한되는 공공재는 클럽재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가정에서 어른에게는 혜택이 가지 않지만 어린이에게만 혜택이 가는 지출이 있다. 어린이를 위한 클럽재의 존재는 대가족의 형제자매의 투자 경쟁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가정에 어린이가 많으면 어린이당 투자 비율이 떨어지지만, 클럽재의 영향은 다를 수 있다. 규모의 경제의 결과로, 클럽재에 대한 투자 비율은 결국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대가족이 클럽재를 소비 할 때 상대적인 가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아동 전용 상품이라 불리며 클럽재로 볼 수 있다.[21]

체육관, 골프장, 수영장의 이용권이 구체적인 클럽재의 예시이다. 이는 모두 사용 할 때마다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수영장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개인 수영장을 구비하는 것보다 동네 수영장의 회원이 된다. 회비를 부과함으로써 수영장의 모든 회원은 수영장에 대한 비용을 지불한 다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유 자산이 되지만, 회비를 내지 않은 사람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배제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 서비스는 배제적이지만 혼잡하지 않다는 가정하에 비경합적이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개인의 소비와 지출은 적지만, 총지출이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 하며 생산가를 낮춘다는 것이다.[22]

4. 클럽 이론

클럽 이론은 경제학에서 배제성은 있지만 경합성은 없는 재화인 클럽재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영화관, 케이블 TV, 저작권이 있는 작품, 사회/종교 단체의 서비스 등이 클럽재의 예시에 해당한다. 유럽 연합도 클럽재로 볼 수 있는데, 비회원국에게는 배제적이지만 회원국 간에는 경합성이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솅겐 지역에 회원국이 추가되어도 기존 회원국 국민의 이동이 어려워지지는 않는다.[20]

특정 사람들에게만 혜택이 제한되는 공공재도 클럽재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에게만 혜택이 가는 지출은 대가족의 형제자매 간 투자 경쟁을 상쇄할 수 있는데, 규모의 경제 덕분에 대가족일수록 클럽재에 대한 투자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21]

체육관, 골프장, 수영장 이용권도 클럽재의 예시이다. 이들은 사용 시 추가 요금이 발생하지만, 회원이 아닌 사람은 이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배제성을 가진다. 개인 수영장을 갖는 대신 동네 수영장 회원이 되는 것은, 회비를 통해 비용을 분담하고 사용 권한을 얻는 클럽재의 특성을 보여준다.[22]

클럽 이론은 제임스 M. 뷰캐넌이 1965년 발표한 논문 "클럽의 경제 이론"을 통해 발전했다. 그는 기존 경제 이론이 사유 재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공동 소유 및 소비 형태를 포괄하는 클럽 이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9] 뷰캐넌은 "가장 바람직한 비용 및 소비 공유 배열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을 클럽 이론의 목표로 제시했다.[10]

클럽 이론은 국제 동맹 분야에도 적용된다. 맨슈어 올슨과 제커우저는 1967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비용 분담 분석을 발표하며, 회원국들의 기여금 차이가 합리적인지, 무임승차 문제는 없는지 등을 분석했다.[17]

4. 1. 클럽 이론의 주요 내용

제임스 M. 뷰캐넌은 1965년 논문 "클럽의 경제 이론"에서 클럽 이론(경제학에서 클럽재 연구)을 발전시켰다. 그는 신고전학파 경제 이론과 이론적 후생 경제학이 사유 재산에만 전념하고 모든 재화와 서비스가 사적으로 소비되거나 활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65년 그의 제공 직전 20여 년 동안 학자들은 이론적 틀을 확장하기 시작했고 공동 또는 집단 소유-소비 배열 또한 고려되었다.[9]

폴 A. 새뮤얼슨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조항을 만들어 순전히 사적인 재화와 순전히 공공적인 재화 사이의 명확한 개념적 구분을 했다. 뷰캐넌은 기존의 이론적 틀을 확장했지만, 소유 소비 가능성의 전체 스펙트럼을 포괄할 누락된 연결 고리가 아직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간극에는 배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사적 재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지만, 일반적으로 공공 재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보다 적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재화가 포함되었다. 전체 스펙트럼은 한쪽에서는 순전히 사적인 활동을, 다른 쪽에서는 순전히 공공적이거나 집단화된 활동을 포괄할 것이다. 따라서 뷰캐넌에 따르면 클럽 이론이 이 분야에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9]

그의 이론의 목표는 "가장 바람직한 비용 및 소비 공유 배열의 규모"를 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10]

이 모델은 개인이 사적 재화와 공공 재화에 대해 유사한 선호도를 가지고 있으며, 클럽 재화의 규모와 비용의 균등 분담을 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했다. 클럽의 경제 이론은 또한 공공 재화 제공의 과소 공급 균형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한다. 클럽 재화의 제공은 때때로 연방 정부 또는 중앙 정부의 공공 재화 제공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클럽 이론의 문제는 배제성 특성으로 인해 결국 재화가 평등하고 민주적으로 분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제임스 M. 뷰캐넌은 주로 자발적인 클럽에 관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클럽 재화 이론은 클럽의 최적 회원 수와 클럽 구성원의 최대 효용을 달성하는 방법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11]

뷰캐넌이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사적 재화의 예로는 머리 자르기와 신발이 있었다. 두 사람은 동시에 똑같은 한 쌍의 신발을 신을 수 없지만, 두 명 이상이 번갈아 가며 신을 수 있다. 같은 신발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사람이 신발에서 얻는 효용은 감소한다. 머리 자르기와 같은 서비스의 경우에도 동일한 논리가 적용된다. 머리 자르기를 공유한다는 것은 한 달에 머리카락의 절반을 소비하거나 서비스의 물리적 단위의 절반을 소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비스에서 얻는 사람의 효용은 감소한다.[12]

수영장 시설을 예로 들어 제임스 M. 뷰캐넌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3]

> 더 많은 사람이 주어진 규모의 시설을 즐기도록 허용함에 따라, 개인이 재화에 부여하는 혜택 평가는 어느 시점 이후 감소할 것이다. 물론 총 혜택 함수에는 증가하는 범위와 일정한 범위가 모두 있을 수 있지만, 어느 시점에서 혼잡이 시작되고, 재화에 대한 그의 평가는 하락할 것이다.

그러나 각 새로운 회원(또는 공동 소유자)은 클럽 재화의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므로, 회원에게 이익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재화 규모가 있을 것이다.

90년대에 리처드 콘스와 토드 샌들러는 한계에서 비용과 혜택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기반으로 최적의 클럽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첫째, 혼잡 비용을 줄임으로써 회원에게 제공되는 혜택을 결정하고 용량 비용과 비교하는 제공 조건이다.

둘째, 용량의 효율적인 사용을 요구하는 활용 조건이다. 여기서 사용료는 소비로부터 회원들의 한계 편익과 회원의 참여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혼잡 비용을 동일하게 한다. 요금이 너무 낮게 설정되면 클럽의 용량이 과도하게 사용될 것이고, 요금이 너무 높게 설정되면 용량이 과소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클럽 재화는 군중에 대한 회원들의 선호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가격이 책정되어야 한다.

세 번째 조건은 추가 회원 자격으로부터의 한계 편익이 한계 혼잡 비용과 같아질 때까지 새로운 회원이 클럽에 추가된다는 것이다.[14]

세 가지 조건 때문에 클럽 재화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고정된 선불 회원 가입비이고, 다른 하나는 최적의 활용을 달성하기 위한 단위당 요금이다. 순수한 공공재의 경우, 정치적 로비와 같은 경우, 두 부분으로 된 가격 책정은 실현 불가능하지만, 클럽은 클럽의 잡지 구독과 같은 멤버 전용 특권이라고도 불리는 선택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15] 클럽이 회원을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클럽을 자유롭게 폐쇄하고 회원이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는 한, 클럽의 가격은 비용과 일치할 것이다. 자유로운 탈퇴 옵션은 클럽이 너무 높은 가격을 청구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무임 승차를 장려한다. 회원들은 혜택을 과소 평가하고, 클럽의 집단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입하는 노력을 줄이며, 다른 클럽 회원들을 이용한다.[16]

클럽 이론은 국제 동맹 분야에 집중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맨슈어 올슨과 제커우저는 (1967)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비용 분담 분석을 발표했다. 특히 그들은 클럽 회원들이 NATO 규모를 늘리는 데 관심이 있을 조건을 식별한다. 그들에 따르면 모든 회원은 특정 한계 가치를 기준으로 기여금을 지불한다. 따라서 비용 분담은 클럽의 총 비용과 그룹 규모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그들은 미국이 NATO에, 그리고 그에 따라 기관의 집단적 목표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제기된 질문은 각 국가가 동맹이 제공하는 재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회원 기여의 차이가 합리적인가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비용 분담의 분배가 불공정하며 여러 회원국이 무임 승차를 하고 있다.[17]

4. 2. 클럽 규모 결정 조건 (콘스와 샌들러)

제임스 M. 뷰캐넌이 제시한 클럽 규모 결정 이론은 1990년대에 리처드 콘스와 토드 샌들러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이들은 한계에서 비용과 혜택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기반으로 최적의 클럽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14]

첫째는 제공 조건이다. 이는 혼잡 비용을 줄임으로써 회원에게 제공되는 혜택을 결정하고, 이를 용량 비용과 비교한다.

둘째는 활용 조건이다. 이는 용량의 효율적인 사용을 요구한다. 사용료는 소비로부터 회원들의 한계 편익과 회원의 참여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혼잡 비용을 동일하게 만든다. 요금이 너무 낮으면 클럽 용량이 과도하게 사용되고, 너무 높으면 용량이 과소 사용된다. 따라서 클럽재는 군중에 대한 회원들의 선호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가격이 책정되어야 한다.

셋째는 추가 회원 자격으로부터의 한계 편익이 한계 혼잡 비용과 같아질 때까지 새로운 회원이 클럽에 추가된다는 것이다.[14]

이 세 가지 조건 때문에 클럽재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고정된 선불 회원 가입비이고, 다른 하나는 최적의 활용을 달성하기 위한 단위당 요금이다. 순수한 공공재의 경우(정치적 로비 등)에는 두 부분으로 된 가격 책정이 실현 불가능하지만, 클럽은 클럽의 잡지 구독과 같은 멤버 전용 특권(선택적 인센티브)을 제공할 수 있다.[15] 클럽이 회원을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클럽을 자유롭게 폐쇄하고 회원이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는 한, 클럽의 가격은 비용과 일치할 것이다. 자유로운 탈퇴 옵션은 클럽이 너무 높은 가격을 청구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무임승차를 장려한다. 회원들은 혜택을 과소 평가하고, 클럽의 집단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입하는 노력을 줄이며, 다른 클럽 회원들을 이용한다.[16]

4. 3. 클럽재 가격 책정

제임스 M. 뷰캐넌이 제시한 클럽재의 경제 이론에 따르면, 클럽재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15] 하나는 고정된 선불 회원 가입비이고, 다른 하나는 최적의 활용을 달성하기 위한 단위당 요금이다. 순수한 공공재의 경우(정치적 로비 등)에는 두 부분으로 된 가격 책정이 실현 불가능하지만, 클럽은 클럽 잡지 구독과 같은 회원 전용 특권(선택적 인센티브)을 제공할 수 있다.[15]

90년대에 리처드 콘스와 토드 샌들러는 한계에서 비용과 혜택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기반으로 최적의 클럽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14]

첫째, 혼잡 비용을 줄임으로써 회원에게 제공되는 혜택을 결정하고 용량 비용과 비교하는 제공 조건이다.[14]

둘째, 용량의 효율적인 사용을 요구하는 활용 조건이다. 여기서 사용료는 소비로부터 회원들의 한계 편익과 회원의 참여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혼잡 비용을 동일하게 한다.[14] 요금이 너무 낮게 설정되면 클럽의 용량이 과도하게 사용될 것이고, 요금이 너무 높게 설정되면 용량이 과소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클럽 재화는 군중에 대한 회원들의 선호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가격이 책정되어야 한다.

셋째, 추가 회원 자격으로부터의 한계 편익이 한계 혼잡 비용과 같아질 때까지 새로운 회원이 클럽에 추가된다는 것이다.[14]

클럽이 회원을 놓고 경쟁하기 때문에 클럽을 자유롭게 폐쇄하고 회원이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는 한, 클럽의 가격은 비용과 일치할 것이다. 자유로운 탈퇴 옵션은 클럽이 너무 높은 가격을 청구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무임승차를 장려한다. 회원들은 혜택을 과소 평가하고, 클럽의 집단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입하는 노력을 줄이며, 다른 클럽 회원들을 이용한다.[16]

4. 4. 무임승차 문제

제임스 M. 뷰캐넌은 1965년 논문 〈클럽의 경제 이론〉에서 클럽 이론(경제학에서 클럽재 연구)을 발전시켰다. 그는 신고전학파 경제 이론과 이론적 후생 경제학이 사유 재산에만 전념하고 모든 재화와 서비스가 사적으로 소비되거나 활용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65년 그의 제공 직전 20여 년 동안 학자들은 이론적 틀을 확장하기 시작했고 공동 또는 집단 소유-소비 배열 또한 고려되었다.[9]

폴 A. 새뮤얼슨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조항을 만들어 순전히 사적인 재화와 순전히 공공적인 재화 사이의 명확한 개념적 구분을 했다. 뷰캐넌은 기존의 이론적 틀을 확장했지만, 소유 소비 가능성의 전체 스펙트럼을 포괄할 누락된 연결 고리가 아직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간극에는 배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사적 재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지만, 일반적으로 공공 재화를 공유하는 사람들보다 적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재화가 포함되었다. 전체 스펙트럼은 한쪽에서는 순전히 사적인 활동을, 다른 쪽에서는 순전히 공공적이거나 집단화된 활동을 포괄할 것이다. 따라서 뷰캐넌에 따르면 클럽 이론이 이 분야에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9]

그의 이론의 목표는 "가장 바람직한 비용 및 소비 공유 배열의 규모"를 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10] 클럽 이론은 또한 공공재 제공의 과소 공급 균형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한다. 클럽재의 제공은 때때로 연방 정부 또는 중앙 정부의 공공재 제공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클럽 이론의 문제는 배제성 특성으로 인해 결국 재화가 평등하고 민주적으로 분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제임스 M. 뷰캐넌은 주로 자발적인 클럽에 관심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클럽재 이론은 클럽의 최적 회원 수와 클럽 구성원의 최대 효용을 달성하는 방법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11]

회원들은 혜택을 과소 평가하고, 클럽의 집단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입하는 노력을 줄이며, 다른 클럽 회원들을 이용하는데, 이를 무임승차 문제라고 한다.[16]

클럽 이론은 국제 동맹 분야에 집중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올슨과 제커우저는 1967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비용 분담 분석을 발표했다. 특히 그들은 클럽 회원들이 NATO 규모를 늘리는 데 관심이 있을 조건을 식별한다. 그들에 따르면 모든 회원은 특정 한계 가치를 기준으로 기여금을 지불한다. 따라서 비용 분담은 클럽의 총 비용과 그룹 규모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그들은 미국이 NATO에, 그리고 그에 따라 기관의 집단적 목표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제기된 질문은 각 국가가 동맹이 제공하는 재화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회원 기여의 차이가 합리적인가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비용 분담의 분배가 불공정하며 여러 회원국이 무임승차를 하고 있다.[17]

5. 국제 관계에서의 클럽 이론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요약, 문서 제목, 섹션 제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간행물 Club Theory: A Contemporary Economic Review. https://papers.ssrn.[...]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SSRN) 2020-02-05
[2] 웹사이트 Excludability and Rivalry in Consumption https://www.thoughtc[...] 2017
[3] 문서 clubs http://www.dictionar[...]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4] 논문 An Economic Theory of Clubs 1965
[5] 논문 Deepening Integration in an Enlarged EU: A Club-Theoretical Perspective 2005
[6] 저널 Growing up Together: Cohort Composition and Child Investment
[7] 웹사이트 Private Goods, Club Goods and Public Goods https://deeshaa.org/[...] 2017-02-08
[8] 저널 Sect, Subsidy, and Sacrifice: An Economist's View of Ultra-Orthodox Jews http://www.nber.org/[...]
[9] 저널 Retrospectives: James Buchanan: Clubs and Alternative Welfare Economics 2021
[10] 문서 An Economic Theory of Clubs http://darp.lse.ac.u[...] 1965
[11] 웹사이트 https://eclass.uoa.g[...] 1999
[12] 논문 An Economic Theory of Clubs 1965
[13] 논문 An Economic Theory of Clubs 1965
[14] 서적 The Theory of Externalities, Public Goods and Club Go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5] 서적 Collective Action Palgrave Macmillan, London 1989
[16] 간행물 Collective Action: fifty years later Springer Link 2015
[17] 논문 An Economic Theory of Alliances 1966
[18] 웹사이트 Excludability and Rivalry in Consumption https://www.thoughtc[...] 2017
[19] 문서 clubs http://www.dictionar[...]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20] 논문 Deepening Integration in an Enlarged EU: A Club-Theoretical Perspective 2005
[21] 저널 Growing up Together: Cohort Composition and Child Investment 2014
[22] 웹사이트 Private Goods, Club Goods and Public Goods https://deeshaa.org/[...] 2017-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