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나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나네는 고대 마케도니아의 귀족 여성으로, 승마, 사냥, 격투를 익혔으며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직접 군대를 지휘하기도 했다. 사촌 아민타스 4세와 결혼했으나 과부가 되었고, 딸 에우리디케를 교육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복 형제 필리포스 3세가 왕위에 오르자 에우리디케를 그와 결혼시키려 했으나, 페르디카스의 명령으로 알케타스에게 살해당했다. 그녀의 죽음 이후 딸 에우리디케는 결혼했지만, 결국 올림피아스에게 살해당했다. 카산드로스는 키나네를 에우리디케, 아리다이오스와 함께 베르기나에 안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세기 여자 - 바르시네
바르시네는 파르나바조스의 딸로서 멘토르와 멤논의 아내였으며, 알렉산드로스 3세의 측실이 되어 헤라클레스를 낳았지만, 아들과 함께 카산드로스에게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기원전 4세기 여자 - 시시감비스
다리우스 3세의 어머니 시시감비스는 이소스 전투 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포로로 잡혔으나 존중받았고, 알렉산드로스의 죽음에 슬픔을 느껴 자결한 아케메네스 왕조의 여인이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 - 가자
가자는 기원전 15세기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2007년부터 하마스 통치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지속되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최대 도시이다. - 알렉산드로스 대왕 - 필리포스 2세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으로, 군사적 재능과 외교적 수완으로 마케도니아를 그리스 최강의 국가로 만들고 그리스 대부분을 정복하여 패권을 장악했으며, 군사 개혁과 정복 활동, 코린토스 동맹 결성으로 그리스 패권을 확립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계획했으나 암살당했다.
키나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마케도니아의 공주 |
아버지 | 필리포스 2세 |
어머니 | 아우다타 |
배우자 | 아민타스 4세 |
자녀 | 에우리디케 2세 |
가문 | 아르게아스 가문 |
출생 추정 시기 | 기원전 357년경 |
사망 시기 | 기원전 323년 |
매장지 | 베르기나 |
다른 그리스어 이름 | , |
2. 생애
아우다타는 일리리아의 전통에 따라 딸인 키나네에게 승마, 사냥, 격투를 교육시켰다. 키나네는 사촌인 아민타스와 결혼했으나, 기원전 336년에 남편이 죽어 과부가 되었다.[3] 이듬해 알렉산드로스는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키나네를 아그리아니안의 왕 랑가루스와 결혼시키기로 약속했지만, 랑가로스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4]
키나네는 딸 에우리디케를 교육하는 데 시간을 바쳤고, 딸에게도 무술 훈련을 시켰다.[4] 기원전 323년, 이복 형제인 아리다이오스가 왕으로 선택되자, 키나네는 에우리디케를 그와 결혼시키기로 결정하고 아시아로 건너갔다.[4]
키나네의 영향력은 컸던 것으로 보이며, 그녀의 계획은 페르디카스와 안티파트로스에게 경종을 울렸다. 페르디카스는 자신의 형제 알케타스를 보내 키나네를 죽이게 했다. 알케타스는 군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키나네를 살해했고, 키나네는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4] 키나네가 죽자 알케타스의 군대는 폭동을 일으켰고, 이는 키나네의 목표였던 에우리디케와 아리다이오스의 결혼을 사실상 보장했다.[4]
폴리아에누스에 따르면, 키나네는 군대를 지휘하고 전장을 이끌었으며, 일리리아인과의 전투에서 여왕 카에리아를 직접 죽이고 일리리아 군대를 격파했다고 한다.[6] 그러나 딸과 사위는 결국 올림피아스에게 살해당했다. 기원전 317년, 카산드로스는 올림피아스를 물리친 후 키나네를 에우리디케 및 아리다이오스와 함께 왕실 묘지인 아이게에 묻었다.[5]
폴리아에누스는 500년 후인 서기 2세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2. 1. 결혼과 과부 시절
아우다타는 일리리아의 전통에 따라 딸인 키나네에게 승마, 사냥, 격투를 교육시켰다. 키나네는 사촌인 아민타스와 결혼했으나, 기원전 336년에 남편이 죽어 과부가 되었다.[3] 이듬해 알렉산드로스는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키나네를 아그리아니안의 왕 랑가루스와 결혼시키기로 약속했지만, 랑가로스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4]키나네는 계속 혼인하지 않고 딸 에우리디케를 교육하는 데 시간을 바쳤고, 딸에게도 무술 훈련을 시켰다.[4] 기원전 323년, 이복 형제인 아리다이오스가 왕으로 선택되자, 키나네는 에우리디케를 그와 결혼시키기로 결정하고 아시아로 건너갔다.[4]
키나네의 영향력은 컸던 것으로 보이며, 그녀의 계획은 페르디카스와 안티파트로스에게 경종을 울렸다. 페르디카스는 자신의 형제 알케타스를 보내 키나네를 죽이게 했다. 알케타스는 군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키나네를 살해했고, 키나네는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 키나네가 죽자 알케타스의 군대는 폭동을 일으켰고, 이는 키나네의 목표였던 에우리디케와 아리다이오스의 결혼을 사실상 보장했다.[4]
폴리아에누스에 따르면, 키나네는 군대를 지휘하고 전장을 이끌었으며, 일리리아인과의 전투에서 여왕 카에리아를 직접 죽이고 일리리아 군대를 격파했다고 한다.[6]
2. 2. 정치적 활동과 죽음
아우다타는 일리리아의 전통에 따라 딸인 키나네에게 승마, 사냥, 격투를 교육시켰다.[3]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사촌인 아민타스에게 시집보냈으나, 기원전 336년에 남편이 죽어 과부가 되었다. 이듬해 알렉산드로스는 복무에 대한 보상으로 아그라네스의 왕 랑가로스에게 키나네를 시집보내기로 약속했지만, 랑가로스가 병으로 사망하여 무산되었다.키나네는 계속 혼인을 하지 않은 채로, 자신의 딸 에우리디케를 교육하는데 시간을 바쳤고, 무술 훈련을 시켰다. 기원전 323년, 그녀의 이복 형제인 아리다이오스가 왕으로 선택되자, 키나네는 에우리디케를 그에게 시집보내기로 결정했고, 이에 따라 아시아로 건너갔다.
키나네의 영향력은 대단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그녀의 계획은 페르디카스와 안티파트로스에게 경종을 울렸다. 페르디카스는 그의 형제 알케타스를 보내 그녀를 살해했다. 알케타스는 자신의 군대의 감정에 반하여 키나네를 살해했고, 키나네는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4] 그녀가 죽자 알케타스의 군대는 폭동을 일으켰고, 이는 키나네의 궁극적인 목표였던 에우리디케의 결혼을 사실상 보장했다.[4] 불행히도, 딸과 사위는 결국 올림피아스에게 살해당했다. 기원전 317년, 카산드로스는 올림피아스를 물리친 후 키나네를 에우리디케 및 아리다이오스와 함께 왕실 묘지인 아이게에 묻었다.[5]
폴리아에누스는 500년 후인 서기 2세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2. 3. 사후
폴리아에누스에 따르면, 아우다타는 일리리아 전통에 따라 딸에게 "전쟁의 기술"을 가르쳤다. 키나네는 사촌인 아민타스와 결혼하여 딸 에우리디케를 낳았으나, 기원전 336년 남편이 죽자 과부가 되었다. 이듬해 알렉산드로스는 랑가루스와의 결혼을 약속했지만, 약혼자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무산되었다.[4]키나네는 결혼하지 않고 딸 에우리디케에게 자신처럼 무술 훈련을 시켰다. 키나네가 죽은 후 에우리디케가 키나네의 군대를 지휘했다. 기원전 323년, 이복 형제인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가 왕위에 오르자 키나네는 에우리디케를 그와 결혼시키기 위해 아시아로 향했다.[4]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왕족 여성 중 키나네는 최전선에서 싸운 세 명 중 한 명이었다. 매커디는 키나네가 전투에서 일리리아 여왕을 죽였고, 실제로 전투에서 적을 죽인 유일한 여성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한다.[3] 그녀는 페르디카스 (섭정)의 형제인 알케타스와 맞서 싸울 때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를 격파하기도 했다.
키나네의 영향력은 컸으며, 에우리디케와의 결혼 계획은 페르디카스와 안티파테르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페르디카스는 형제 알케타스를 보내 키나네를 죽이게 했고, 알케타스는 군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행했다. 키나네는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4] 그녀가 죽자 알케타스의 군대는 폭동을 일으켰고, 이는 키나네의 목표였던 에우리디케의 결혼을 사실상 보장했다.[4] 그러나 딸과 사위는 올림피아스에게 살해당했다. 기원전 317년, 카산드로스는 올림피아스를 물리친 후 키나네를 에우리디케 및 아리다이오스와 함께 왕실 묘지인 아이게에 안장했다.[5]
500년 후인 서기 2세기, 폴리아에누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3. 평가
폴리아이누스는 키나네가 일리리아 전통에 따라 딸에게 "전쟁의 기술"을 가르쳤다고 기록했다. 키나네는 사촌 아민타스와 결혼하여 딸 에우리디케를 낳았고, 기원전 336년 남편이 죽자 과부가 되었다. 이후 아그리아니안의 왕 랑가루스와 약혼했지만, 약혼자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결혼하지 못했다.[3]
키나네는 딸 에우리디케에게도 무술 훈련을 시켰으며,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왕족 여성 중 최전선에서 싸운 세 명 중 한 명이었다. 매커디는 키나네가 전투에서 일리리아 여왕을 죽였고, 실제로 전투에서 적을 죽인 유일한 여성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한다.[3] 그녀는 또한 페르디카스 (섭정)의 형제인 알케타스와 맞서 싸울 때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를 격파했다.[3]
키나네의 영향력은 컸던 것으로 보이며, 에우리디케를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와 결혼시키려는 계획은 페르디카스와 안티파테르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페르디카스는 알케타스를 보내 키나네를 죽이게 했지만, 키나네는 용감하게 죽음을 맞이했다. 그녀가 죽자 알케타스의 군대는 폭동을 일으켰고, 이는 키나네의 목표였던 에우리디케의 결혼을 사실상 보장했다.[4]
기원전 317년, 카산드로스는 올림피아스를 물리친 후 키나네를 에우리디케 및 아리다이오스와 함께 왕실 묘지인 아이게에 묻었다.[5]
서기 2세기, 폴리아에누스는 키나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Κυνάνη δὲ ἡ Φιλίππου στρατηγικωτάτη γυναικῶν. ἡγήσατο στρατοῦ, καὶ ἐν αὐταῖς ταῖς μάχαις ἐχώρει ἐπὶ τὰς ἡγεμονίας. συνεπλάκη δὲ ἐν Ἰλλυριοῖς Καερίᾳ τῇ βασιλίδι, καὶ ἀπέκτεινε τῷ ἰδίῳ πλήγματι, καὶ τὸ Ἰλλυρικὸν στράτευμα διέφθειρεν.|키나네 데 헤 필리푸 스트라테고타테 귀나이콘. 헤게사토 스트라투, 카이 엔 아우타이스 타이스 마카이스 에코레이 에피 타스 헤게모니아스. 쉬네플라케 데 엔 일리리오이스 카에리아 테 바실리디, 카이 아페크테이네 토 이디오 플레그마티, 카이 토 일리리콘 스트라테우마 디에프테이렌.grc (필리포스의 딸 키나네는 군사 지식으로 유명했다. 그녀는 군대를 지휘했고, 전장에서 그들을 이끌었다. 일리리아인과의 교전에서 그녀는 자신의 손으로 그들의 여왕 카에리아를 죽였고, 큰 피해를 입히며 일리리아 군대를 격파했다.)
ἐγήματο δὲ Ἀμύντᾳ τῷ Περδίκκου, καὶ μετ’ ὀλίγον χηρεύσασα, οὐκέτι ἐπεθύμησε δευτέρου ἀνδρός. θυγάτηρ δὲ ἦν αὐτῇ ἐξ Ἀμύντου Εὐρυδίκη, ἣν ἐπαίδευσε τὰ πολέμια, καὶ ἐδίδαξε τὴν πολεμικὴν ἐπιστήμην. Ἀλεξάνδρου δὲ τελευτήσαντος, τῶν μὲν βασιλέων ἐκβληθέντων, τῶν δὲ στρατηγῶν τὰ ἔθνη διανεμομένων, ἔζευξεν ἐπὶ Στρυμόνα, καὶ Ἀντιπάτρου κωλύοντος τὴν διάβασιν, ἐτόλμησε διαβῆναι. ἔπειτα ἐπὶ τὸν Ἑλλήσποντον ἀφικομένη, συνήντησε τῇ Μακεδόνων στρατιᾷ, καὶ Ἀλκέτας ἐπ’ αὐτὴν ἤλαυνε πολὺν ἔχων στρατόν. οἱ δὲ Μακεδόνες τὸ μὲν πρῶτον ἰδόντες τὴν Φιλίππου θυγατέρα, τὴν Ἀλεξάνδρου δὲ ἀδελφήν, ἐξεπλάγησαν. προπηλακίσασα δὲ τὸν Ἀλκέταν τῆς ἀχαριστίας, καὶ παρ’ οὐδὲν θεμένη τὸ πλῆθος τῆς στρατιᾶς, καὶ τὴν φοβερὰν τῶν ὅπλων παρασκευήν, συνεπλάκη γενναίως, καὶ διεκαρτέρησε, βουλομένη θυγάτηρ οὖσα Φιλίππου, μὴ ἀποστερηθῆναι τῆς πατρώας ἀρχῆς, καὶ ἰδιωτικὸν βίον ἑλέσθαι, ἀλλὰ καλῶς ἀποθανεῖν.|에게마토 데 아민타 토 페르디쿠, 카이 메트' 올리고 케레우사사, 우케티 에페튀메세 데우테루 안드로스. 튀가테르 데 엔 아우테 엑스 아민투 에우리디케, 헨 에파이데우세 타 폴레미아, 카이 에디닥세 텐 폴레미켄 에피스테멘. 알렉산드루 데 텔레우테산토스, 톤 멘 바실레온 에크블레텐톤, 톤 데 스트라테곤 타 에트네 디아네모메논, 에젭센 에피 스트뤼모나, 카이 안티파트루 콜리온토스 텐 디아바신, 에톨메세 디아베나이. 에페이타 에피 톤 헬레스폰톤 아피코메네, 쉬넨테세 테 마케도논 스트라티아, 카이 알케타스 에프' 아우텐 엘라우네 폴륀 에콘 스트라톤. 호이 데 마케도네스 토 멘 프로톤 이돈테스 텐 필리푸 튀가테라, 텐 알렉산드루 데 아델펜, 엑세플라게산. 프로펠라키사사 데 톤 알케탄 테스 아카리스티아스, 카이 파르' 우덴 테메네 토 플레토스 테스 스트라티아스, 카이 텐 포베란 톤 호플론 파라스케우엔, 쉬네플라케 겐나이오스, 카이 디에카르테레세, 불로메네 튀가테르 우사 필리푸, 메 아포스테레테나이 테스 파트로아스 아르케스, 카이 이디오티콘 비온 헬레스타이, 알라 칼로스 아포타네인.grc (그녀는 페르디카스의 아들인 아민타스와 결혼했고, 그를 잃은 직후 두 번째 남편을 맞이하지 않았다. 아민타스 사이에서 그녀는 에우리디케라는 외동딸을 두었고, 그녀에게 군사 교육을 시키고 전쟁의 과학을 가르쳤다. 알렉산드로스가 죽은 후, 왕족을 배제하고 그의 장군들이 자신의 영토를 나누어 갖자, 그녀는 스트리몬을 건넜고, 그녀의 통과를 방해한 안티파테르에 맞서 싸웠다. 그런 다음 그녀는 헬레스폰트를 건너 마케도니아 군대를 만났고, 강력한 군대를 가진 알케타스가 그녀와 싸우기 위해 접근했다. 마케도니아인들은 처음에는 필리포스의 딸이자 알렉산드로스의 누이를 보고 멈칫했다. 알케타스에게 배은망덕함을 꾸짖은 후, 그의 군대의 숫자와 전투를 위한 무시무시한 준비에 굴하지 않고, 그녀는 그와 용감하게 교전하여, 필리포스의 딸로서, 그녀의 영토를 빼앗기고 사적인 삶을 받아들이는 것보다 영광스러운 죽음을 결심했다.)[6]
4. 유산
폴리아이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키나네는 일리리아 전통에 따라 자신의 딸 에우리디케에게 "전쟁의 기술"을 가르쳤다.[3] 에우리디케는 키나네처럼 무술 훈련을 받았으며, 키나네 사후에는 그녀의 군대를 지휘했다.
키나네는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왕족 여성 중 최전선에서 싸운 세 명 중 한 명이었다. 매커디는 키나네가 전투에서 일리리아 여왕을 죽인, 실제로 전투에서 적을 죽인 유일한 여성 중 한 명이라고 주장한다.[3] 그녀는 페르디카스 (섭정)의 형제인 알케타스와 맞서 싸울 때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군대를 격파하기도 했다.
기원전 317년, 카산드로스는 올림피아스를 물리친 후 키나네를 에우리디케 및 아리다이오스와 함께 왕실 묘지인 아이게에 안장했다.[5]
폴리아이누스는 500년 후인 서기 2세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Cynane, Cyna
https://www.perseus.[...]
[2]
간행물
The Marriageability Age at the Argead Court: 360-317 BC
1988
[3]
간행물
Queen Eurydice and the Evidence for Woman Power in Early Macedonia
1927
[4]
서적
Women and monarchy in Macedoni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21
[5]
문서
See Ancient sources
[6]
서적
Stratagemata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