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승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승마는 말을 타는 행위를 총칭하며, 인류가 말을 가축화한 후 유목, 전쟁, 스포츠, 취미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고대에는 유목 민족의 이동 수단이자 기동력을 활용한 군사적 수단으로, 중세에는 기사의 상징으로 발전했다. 현대에는 경찰의 경비, 자연공원 순찰, 스포츠 및 취미 활동으로 널리 이용되며, 마술, 경마, 폴로, 로데오 등 다양한 승마 경기가 존재한다. 또한, 재활승마와 같은 치료적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승마 - 마상체조
    마상체조는 말을 타고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선보이는 승마 종목으로, 과거 기병 훈련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어린이 승마 교육과 레크리에이션,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며 국제 대회도 개최된다.
  • 승마 - 궁기병
    궁기병은 말을 타고 활을 쏘는 병과로, 청동기 시대 전차를 대체하며 철기 시대에 발전하여 고대 유목민족의 주력 병과로 활약하며 다양한 제국에서 활용되었으나, 화기 발전으로 쇠퇴 후 현대에 스포츠 및 전통예술로 부활했다.
  • 동물 스포츠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동물 스포츠 - 도그 어질리티
    도그 어질리티는 개와 핸들러가 코스를 따라 장애물을 넘는 스포츠로, 19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시작되어 국제애견연맹 등 여러 단체에서 대회를 개최하며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올림픽 경기 종목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올림픽 경기 종목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승마
승마 시설
개요
정의말을 타고 즐기는 스포츠 또는 여가 활동
관련 활동마장술
장애물 비월
종합 마술
승마 경주
폴로
로데오
웨스턴 승마
재갈 물리기
승마 치료
역사
기원말의 가축화와 함께 시작, 교통수단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
발전고대 올림픽 경기 종목
중세 시대 기사 문화 발달
근대 스포츠로 발전
장비
필수 장비말 안장
재갈
고삐
말굽
승마복
승마 헬멧
승마 부츠
기타 장비박차
채찍
패드
주요 분야
마장술말과 기수의 조화를 평가하는 분야
장애물 비월장애물을 넘어가는 기술을 평가하는 분야
종합 마술마장술, 장애물 비월, 크로스컨트리 세 가지 분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분야
승마 경주정해진 트랙에서 말의 속도를 겨루는 분야
웨스턴 승마서부 개척 시대의 승마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한 분야
기타 정보
승마 시설en:Equestrian facility
승마의 다른 뜻승마 (식물)
영어 명칭Equestrianism, horse riding

2. 역사

인류가 언제부터 말을 타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기원전 4500년경에는 이미 말을 탔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사람이 말을 타기 전에는 야생마가 존재했고, 인류 중 일부가 야생동물을 길들이는 집단을 형성하면서 다양한 가축들 중에 말도 포함되어 말의 가축화가 일어났다. 말은 다른 가축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활용되었지만, 이러한 말의 이용이 시작된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에야 "말 등에 올라타는" 행위를 시작했다고 생각된다.

유목민 중에는 말을 활발하게 타게 된 사람들이 있다. 말을 타면 가축 무리를 통솔하기 쉽고, 목초지에서 목초지로 수십 킬로미터, 수백 킬로미터 이동하는 것이 사람이 걸어서 이동하는 것보다 훨씬 편하다. 길도 없는 곳을 계속 이동해야 하지만, 말을 타면 텐트 등의 짐을 싣고 이동할 수도 있고, 사람이 짐을 지고 갈 필요도 없어진다. 예를 들어 기원전 9세기(혹은 8세기)경부터 스키타이인들은 말을 타고 유목 생활을 하며 중앙아시아(그리고 현재의 러시아 남부나 우크라이나 등) 지역을 이동하며 제국을 건설했다. 말을 타고 유목하는 민족을 "유목 기마 민족"이라고 한다. 몽골인도 유목을 했지만, 역시 상당히 오래전부터 말을 타기 시작했다고 생각된다. 19세기경부터는 미국카우보이도 말을 잘 다루었고, 아르헨티나오스트레일리아의 카우보이도 마찬가지다.

기원전 8세기 이후부터 전쟁에서 말을 타는 것이 행해지기 시작했다.[4] 전쟁 중에 말을 타는 것은 기원전 8세기 이전에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고 다양한 증거를 사용하여 지적하는 연구자도 있다.[4] 말을 탄 사람은 말을 타지 않은 사람보다 위치가 높아져 주변을 내려다보는 형태가 되어 주변 상황과 위치 관계를 파악하기 쉽다. 특히 을 사용하면 칼만 든 보병과의 공간적 거리를 유지하여 칼이 닿지 않도록 자신의 몸을 보호하면서 비스듬히 위쪽에서 보병을 일방적으로 찌를 수 있어 압도적으로 유리해진다. 군대를 소유하고 지휘하는 이나 군대 내에서 지도급 인물("장군")이 말을 타게 되어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유럽에서는 말 타는 것에 익숙해지고 그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소에도 말을 타거나, 열병식을 행하여 자신의 무력과 지위, 경제력을 과시하거나 암시하기 위해 말을 자주 탔다. 중세에는 기사라는 신분도 탄생했다.

말을 타고 질주하면서 활을 쏘는 기마궁술은 매우 강력한 수단이다. 사람과 말이 시속 수십 킬로미터의 속도로 접근하여 화살을 쏘고 바로 도망치는 일격이탈전법은 보병 측에서는 대응하기 어렵다. 몽골인은 세계적으로 비교해도 특히 말을 능숙하게 다루는 민족이었는데, 몽골군의 기마 군단은 기마궁술을 중심으로 한 기동전으로 세계 각지의 군대를 압도하며 진군을 계속하여 멀리 유럽까지 쳐들어가 몽골 제국을 거대한 세계 제국으로 만들었다.

몽골군


현대에는 경찰의 경비나 광대한 자연공원 등의 순찰에도 이용되고 있다.

현대에는 승마가 취미스포츠로 사람들에게 즐겨지고 있다. 스포츠 경기로는 기승의 정확성과 활동성 등을 겨루는 마술 경기, 말의 속도와 순위를 겨루는 경마, 승마 하키라고 할 수 있는 폴로, 카우보이의 실력 자랑에서 발전한 로데오 등이 있다. 또한 경기에 국한되지 않고 야외에서 승마를 즐기는 외승, 승마 자체를 즐기기 위해 승마 학교·승마 클럽에서의 연습 등 승마는 폭넓게 친숙해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승마에 의한 심신의 치유 효과라는 측면에서, 치료 행위로서의 승마(호스 세라피)가 독일이나 미국에서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2. 1. 유목민과 승마

2. 2. 전쟁과 승마

2. 3. 한국의 승마 역사

고대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말을 탔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에는 말을 타고 사냥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승마가 무예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졌으며, 무과 시험에 기마술이 포함되었다.[5][6][7] 현대에 이르러 승마는 대중 스포츠로 자리 잡았으며, 국제 대회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3. 현대의 승마

현대에는 경찰의 경비나 광대한 자연공원 등의 순찰에도 말이 이용되고 있다.

현대에는 승마가 취미스포츠로 사람들에게 즐겨지고 있다. 스포츠 경기로는 기승의 정확성과 활동성 등을 겨루는 마술 경기, 말의 속도와 순위를 겨루는 경마, 승마 하키라고 할 수 있는 폴로, 카우보이의 실력 자랑에서 발전한 로데오 등이 있다. 또한 경기에 국한되지 않고 야외에서 승마를 즐기는 외승, 승마 자체를 즐기기 위해 승마 학교·승마 클럽에서의 연습 등 승마는 폭넓게 친숙해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승마에 의한 심신의 치유 효과라는 측면에서, 치료 행위로서의 승마(호스 세라피)가 독일이나 미국에서 시작되어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승마"라는 단어는 말을 타는 전반적인 행위를 가리킨다. 참고로 "마술", "마장마술"이라는 다른 단어가 있으므로, 마술이나 마장마술과 대조적으로 "승마"는 "즐겁게 말을 타는 것"에 중점을 두어 사용되기도 한다.

3. 1. 승마의 종류

마장마술은 말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아름다움과 조화를 표현하는 경기이다. 장애물 비월은 설치된 장애물을 뛰어넘는 경기로, 주관적인 채점 대신 규정에 따라 채점한다. 말과 선수는 정해진 순서대로 장애물을 넘어야 하며, 장애물 낙하, 거부, 시간 초과 등에 따라 감점된다. 낙마 시에는 실격 처리된다.

종합마술은 한 선수가 한 마리의 말을 타고 3일 동안 마장마술, 크로스컨트리(야외기승), 장애물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다. 3일간의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하며, 크로스컨트리는 언덕, 내리막길, 통나무 장애물, 도랑 등을 넘는 험난한 코스로 선수와 말 모두에게 높은 수준의 능력과 용기가 필요하다.

지구력 승마/Endurance riding영어는 장거리를 완주하며 말의 건강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종목이다. FEI(국제승마연맹)이 인정하는 국제 대회 중 하나로, 단순한 속도 경쟁이 아니라 코스, 거리, 기후, 지형, 시간을 고려하여 말의 체력과 건강을 관리하는 선수와 말의 호흡을 평가한다. 코스 중간마다 수의검진과 의무휴식시간이 있으며, 완주 후 일정 시간 내에 기준 심박수를 넘지 않아야 기록이 인정된다.

재활승마는 신체적, 정신적 장애인이 승마를 통해 심신을 회복하고 건강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스포츠 재활 요법이다.

3. 2. 경기 시설과 용구

경기장은 60m×20m의 장방형으로, 잔디나 모래가 깔린 마장을 이용하며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 둘레에는 높이 20-25cm의 목책을 설치하고, 목책과 관람석 사이는 20m 이상 떨어지게 한다.

승마복은 안장과 부딪히면서 생기는 자극으로부터 다리를 보호할 수 있는 옷이 좋으며, 등자에서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신발을 신고, 헬멧을 착용하여 머리를 보호한다. 박차는 말에게 신호를 하거나 빨리 달리게 할 때 사용하는데, 신발 뒤꿈치에 톱니처럼 달려 있다. 연습용 박차는 작고 무딘 톱니가 달려 있거나 톱니가 없으며, 경주용 박차는 말에 쉽게 닿을 수 있도록 안쪽에 톱니가 달려 있다. 채찍은 일종의 신호를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안장은 영국식 안장과 서부식 안장으로 나뉜다. 영국식 안장은 밑깔개가 있어 편안하며 서부식보다 평평하고 가벼워 경주, 장애물넘기, 승마쇼를 비롯한 스포츠나 오락용 승마에 사용된다. 서부식 안장은 등자가 넓고 안장머리에 뿔 같은 것이 달려 끈으로 단단히 묶게 되어 있다. 굴레는 말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가죽끈과 쇳조각으로 만들어 말의 입과 머리에 끼운다.

4. 승용마

승용마는 승용에 사용되는 모든 말을 가리킨다.[10] 기본적으로는 "승마에 이용되는 말"을 의미한다.[11]

말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승용마"는 그 중 일부를 지칭한다. 야생마와 달리, 사람에게 길들여진 말이라도 농업 분야에서 쟁기를 끌거나 밭을 가는 데 사용되는 "농경마", 짐을 운반하는 "짐마", 식용을 위한 "식용마" 등이 있다. 이들과 대조하여 승용에 사용되는 말을 "승용마"라고 부른다.

중세 유럽에서는 암말이나 거세마는 성직자나 여성의 탈것으로 여겨졌고, 기사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인식이 있었다.[10] 또한, 경주마와 구별하여 승마 클럽 등에서 승마용으로 사용되는 말을 "승용마"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11]

일본에서는 2012년 기준으로 5,150두의 승용마가 존재한다(공익사단법인 전국승마클럽진흥협회 통계).[12] 품종으로는 서러브레드, 앵글로아랍, 셀프랑세, 쿼터호스, 일본승마종 등이 주를 이룬다.

경주마가 성적 부진으로 은퇴하는 경우, 일본에서는 "승마"로 전향한다고 발표되는 경우가 많다. 중앙경마와 지방경마를 합쳐 연간 2500두에 달하는 말이 이러한 방식으로 발표되지만, 실제 승마 수요는 이보다 적어 상당수의 전 경주마가 가축사료나 가공용으로 처분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실태를 감추기 위해 "승마"라는 은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4. 1. 일본의 승용마 은어 문제

5. 한국 승마의 현황과 과제

5. 1. 한국 승마 인프라

5. 2. 한국 승마의 발전 방향

참조

[1] 서적 広辞苑
[2] 웹사이트 乗馬 - デジタル大辞泉 https://kotobank.jp/[...] 2022-09-06
[3] 서적 大辞林
[4] 서적 Riders: The Beginnings of Mounted Warfare in Asia and Europe
[5] 간행물 江戸の暮らしと仕事大図鑑 朝日新聞出版 2019
[6] 간행물 江戸の暮らしと仕事大図鑑 朝日新聞出版 2019
[7]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岩波書店 1968-11
[8] 웹사이트 馬筏 - デジタル大辞泉 https://kotobank.jp/[...] 2023-08-24
[9] 웹사이트 馬筏 -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https://kotobank.jp/[...] 2023-08-24
[10] 서적 図説騎士の世界 河出書房新社 2012
[11] 웹사이트 競走馬から乗用馬へリトレーニング…引退馬のセカンドキャリア支援の現場に小泉恵未さんが迫る【競馬】 https://www.chunichi[...] 2022-08-13
[12] 웹사이트 H25年度馬関係資料 - 乗用馬関係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14-09-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