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사다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사다이족은 필리핀 민다나오 섬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1971년 발견 당시 석기 시대 문화를 유지하는 고립된 부족으로 알려져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이들의 생활 방식과 외부와의 접촉 여부에 대한 진위 논란이 제기되었고, 이는 필리핀 정부, 언론, 그리고 관련 학자들의 역할과 책임을 묻는 사회적 논쟁으로 이어졌다. 현재 타사다이족은 고립된 생활을 하였으나 석기 시대 문화는 아니었을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며, 이들의 사례는 허위 정보와 미디어의 역할, 소수 민족의 권리 문제를 제기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술적 날조 - 더 투르크
더 투르크는 볼프강 폰 켐펠렌이 제작한 체스 두는 기계로, 터번 쓴 인형이 체스를 두는 모습이었으나 실제로는 사람이 숨어 조종하는 속임수였으며 유럽 순회 공연과 문화 콘텐츠 소재, 유사품 등장, 독일어 관용구에 영향을 미쳤다. - 학술적 날조 - 창조과학
창조과학은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반하여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고 지구와 우주의 젊은 나이를 주장하며 진화론을 부정하는 유사과학이다.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타사다이족 | |
---|---|
개요 | |
민족명 | 타사다이족 |
위치 | 필리핀 민다나오섬 |
인구 | |
인구 (2008년) | 216명 |
언어 | |
사용 언어 | 마노보어: 타사다이 방언, 세부아노어, 타갈로그어, 영어 |
문화 | |
종교 | 애니미즘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마노보족, 기타 루마드, 사마-바자우족, 모로족, 비사야족, 기타 필리핀인, 기타 오스트로네시아인 |
기타 |
2. 역사적 배경
1960년대 후반, 현지 사냥꾼 데파르가 마누엘 엘리자르데 주니어 환경부 장관에게 보고하여 타사다이족의 존재가 알려졌고, 이후 미국 CBS, 영국 BBC 등 언론 보도를 통해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1]
1974년 6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타사다이족 거주 지역 출입을 금지하고 국가 차원의 보호를 명령했다. 찰스 린드버그, 존 D. 록펠러 4세 등 저명인사들의 지지와 기부로 민다나오섬에 약 190km²의 보호 구역이 설치되었다.[1]
1986년 마르코스 정권 붕괴 후, 기자 오스왈도 이텐과 조이 로자노의 잠입 취재로 타사다이족이 현대 문화를 누리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사기 논란이 일었다.[1] 1987년 필리핀 정부 조사단은 타사다이족의 존재를 인정했으나, 1988년 귀국한 엘리자르데는 심각한 약물 중독으로 1997년 사망했다.[1]
2. 1. 발견과 초기 보고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초반)
마누엘 엘리잘데는 1968년에 문화적 소수 집단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필리핀 정부 기관인 PANAMIN의 수장이었다. 1971년 6월 7일, 엘리잘데는 현지 블리트 사냥꾼 데파르가 수년에 걸쳐 소수의 원시적인 숲 거주자와 간헐적인 접촉을 했다고 말한 직후 타사다이족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8] 그는 한 달 뒤 이 사실을 언론에 공개했고, 많은 사람들이 세계에서 가장 울창한 숲을 개척하는 긴 작업에 착수했다. 몇 주 후, 방문객들의 길은 엘리잘데에게만 보고하는 PANAMIN 경비병에 의해 막혔고, 엄선된 소수의 방문객들만이 그들을 만날 수 있었다.엘리잘데는 타사다이족을 PANAMIN에 알렸고, PANAMIN은 타사다이족을 찾아 방문하고 연구하는 모든 노력에 자금을 지원했다. 엘리잘데는 보디가드, 헬리콥터 조종사, 의사, 에디스 테리라는 19세의 예일 학생, 그리고 통역을 위한 현지 부족민들로 구성된 소규모 그룹과 함께 1971년 6월에 숲 가장자리의 사전 약속된 장소에서 타사다이족을 만났다.
1972년 3월, 타사다이족, 엘리잘데, AP통신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를 포함한 언론 및 미디어 관계자들 간의 또 다른 만남이 있었으며, 이번에는 타사다이족의 외딴 동굴 거주지에서 열렸다. 이 만남은 케네스 맥클레이시가 1972년 8월호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기고한 기사로 널리 보도되었으며, 표지에는 포토 저널리스트 존 라누아의 타사다이족 소년이 덩굴을 타고 있는 사진이 실렸다.
이러한 첫 만남과 보고서 이후, 이 그룹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인 ''민다나오의 마지막 부족들''(1972년 12월 1일 방영)을 포함하여 많은 홍보를 받았다. 방문객으로는 찰스 린드버그와 지나 롤로브리지다가 있었다.[9]
2. 2. 국제적 관심과 보호 조치 (1970년대)
타사다이족은 미국 CBS, 영국 BBC 등의 보도를 통해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9] 1972년 4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타사다이족의 조상 동굴 주변 19000acre의 땅을 타사다이/마노보 블리트 보호구역으로 선언하고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했다.[9] 이 결정에는 찰스 린드버그, 존 D. 록펠러 4세 등 저명인사들의 지지가 있었으며, 타사다이족 보호를 위해 막대한 기부금이 모였다.2. 3. 진위 논란과 잠입 취재 (1980년대)
1986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스위스의 인류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오스왈드 이텐은 조이 로자노(남코타바토 주 출신 언론인)와 함께 허가 없이 타사다이족 보호 구역을 방문했다.[10][6] 숲에서 돌아온 이텐과 로자노는 동굴이 비어 있었고, 타사다이족이 현대 문명의 영향을 받아 일반 가옥에 거주하며 티셔츠와 청바지를 입고, 오토바이를 타는 등[11] 이전의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는 주장과는 다른 생활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1]2. 4. 필리핀 정부 조사와 엘리잘데의 귀환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1986년 마르코스 정권이 붕괴된 후, 필리핀 정부는 1987년 조사단을 결성하여 4개월간의 조사 끝에 타사다이족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발표했다.[1] 국외로 도피했던 엘리잘데는 1988년에 필리핀으로 돌아왔으나, 심각한 약물 중독으로 인해 심신 상실 상태였다.[1] 그는 1997년에 사망했다.[1]3. 민족적 특징 (초기 보고 기준)
진위 여부가 문제시되지만, 여기서는 초기 보도 내용을 기록한다.
항목 | 내용 |
---|---|
인구 | 27명 (6가구) |
분류 | 마노보어를 사용하는 마노보족의 하위 분류로 간주되는 수렵 채집 민족 |
거주지 | 필리핀, 민다나오 섬, 남코타바토 주의 열대 우림 지대 |
언어 | 타사다이어 |
생업 | 수렵 (돌 도끼, 구멍 파는 막대기) |
기타 | 언어에 "무기"나 "적"과 같은 싸움을 의미하는 단어가 없어 사랑의 민족이라고 불림. |
4. 1986년 잠입 취재 당시 생활상
1986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타사다이족은 외부 세계와 접촉하며 변화를 겪었다. 이들은 더 이상 동굴에 살지 않고 일반적인 집에서 거주하며, 티셔츠나 청바지를 착용하고 종이 담배를 피우는 등 현대적인 생활 방식을 받아들였다. 또한, 버기나 오토바이를 운전하기도 한다.[16]
5. 타사다이족 논쟁의 쟁점
타사다이족 논쟁은 크게 세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타사다이족이 정말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을 유지해 왔는지에 대한 진위 여부였다.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스위스의 인류학자 오스왈드 이텐과 조이 로자노 기자는 타사다이족이 실제로는 현대 문명의 영향을 받은 다른 부족 사람들이라고 주장했다.[11] 그러나 로렌스 A. 리드는 타사다이족이 주변 부족과 언어적으로 구별되며, 고립된 생활을 해왔다는 증거를 제시하며 반박했다.[13][15]
둘째, 타사다이족이 외부 세계와 얼마나 접촉했는지에 대한 논쟁이었다. 이텐과 로자노는 타사다이족이 마누엘 엘리자르데 주니어의 압력을 받아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을 연출했다고 주장했다.[11] 반면, 리드는 타사다이족이 주변 부족과 교류는 있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생활 방식은 독자적으로 유지되었다고 주장했다.[13][15]
셋째, 마누엘 엘리자르데 주니어와 마르코스 정권의 역할에 대한 의혹이었다. 엘리자르데는 PANAMIN의 수장으로서 타사다이족을 발견하고 보호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8] 1974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타사다이족 거주 지역 출입이 금지되었고, 찰스 린드버그나 존 D. 록펠러 4세 등 많은 저명인사들이 타사다이족 보호를 위해 막대한 기부금을 냈다. 그러나 1986년 마르코스 정권이 붕괴되면서, 엘리자르데가 타사다이족 보호 기금을 횡령하고, 이들을 이용해 돈벌이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8]
마지막으로, 미디어와 학계의 책임 문제도 제기되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언론은 타사다이족을 '석기 시대 부족'으로 대대적으로 보도하며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9] 그러나 이후 타사다이족의 생활 방식이 조작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언론과 학계의 성급한 보도와 검증 부족에 대한 비판이 일었다.
5. 1.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의 진위 여부
1986년 필리핀에서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스위스의 인류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오스왈드 이텐은 조이 로자노(남코타바토 주 출신 언론인)와 다투 갈랑 티카우(토볼리족 구성원으로, 타사다이족 언어는 몰랐지만 주요 통역사로 참여)를 동반하여 허가 없이 타사다이 동굴을 방문했다.[10][6] 이들은 타사다이족 6명과 약 2시간 동안 함께 시간을 보냈다.[10][6]이텐과 로자노는 숲에서 돌아온 후 동굴이 비어 있었고, 타사다이족이 엘리잘데의 압력 하에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을 흉내 낸 다른 지역 부족의 구성원이라고 주장했다.[11] 많은 지역 부족민들이 자금을 얻고 명성을 얻기 위해 타사다이족인 척했다고 인정했다.[12]
1990년대 중반, 미국의 언어학자 로렌스 A. 리드는 타사다이족 및 주변 언어 집단과 함께 10개월(1993–1996) 동안 생활하며 연구를 진행했다.[13][15] 그는 "그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고립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농업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언어가 가장 가까운 인접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와 다른 방언이었으며, 그들의 존재를 보고한 원래 집단이 저지른 사기는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13][15]
리드는 '언어 고고학: 타사다이 언어 추적' 논문에서,[14] 벨라임이라는 타사다이족이 단어를 조작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언어적 증거를 상세히 분석한 결과 벨라임의 약 300개 형태가 벨라임이 방문한 적 없는 마노보족의 쿨라만 계곡에서 사용되는 언어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14] 리드는 타사다이족의 고립이 "불과 몇 세대, 아마 150년 정도 지속되었을 뿐"이라고 결론 내렸다.[13] 그는 또한 유사한 집단이 나중에 발견되었으며 다른 부족과의 접촉 없이 수렵 채집인으로 생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언급한다.[15]
타사다이족은 정글 깊숙이에서 채집인으로 생활하며 주변 사람들과 거의 접촉하거나 교류하지 않았지만, 아마도 석기 시대 문화는 아니었을 것이다.[16]
5. 2. 외부와의 접촉 정도
1986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스위스의 인류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오스왈드 이텐은 조이 로자노(남코타바토 주 출신 언론인)와 다투 갈랑 티카우(토볼리족 구성원)를 동반하여 타사다이 동굴을 방문했다.[10][6] 이들은 허가 없이 방문하여 6명의 타사다이족과 약 2시간 동안 함께 시간을 보냈다.[10][6] 숲에서 돌아온 이텐과 로자노는 동굴이 비어 있었다고 보고했으며, 타사다이족이 엘리잘데의 압력 하에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을 흉내 낸 다른 지역 부족의 구성원이라고 주장했다.[11] 많은 지역 부족민들이 자금을 얻고 명성을 얻기 위해 타사다이족인 척했다고 인정했다.[12]1990년대 중반, 미국의 언어학자 로렌스 A. 리드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10개월 동안 타사다이족 및 주변 언어 집단과 함께 생활했다.[13][15] 그는 "그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고립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농업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언어가 가장 가까운 인접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와 다른 방언이었으며, 그들의 존재를 보고한 원래 집단이 저지른 사기는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13][15] 그의 논문 '언어 고고학: 타사다이 언어 추적'에서[14] 리드는 원래 벨라임이라는 타사다이족이 단어를 조작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언어적 증거를 상세히 분석한 결과 벨라임의 약 300개 형태가 벨라임이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는 마노보족의 쿨라만 계곡에서 사용되는 언어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14] 리드는 타사다이족의 고립이 "불과 몇 세대, 아마 150년 정도 지속되었을 뿐"이라고 결론 내렸다.[13] 그는 또한 유사한 집단이 나중에 발견되었으며 다른 부족과의 접촉 없이 수렵 채집인으로 생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언급한다.[15]
타사다이족은 정글 깊숙이에서 채집인으로 생활하며 주변 사람들과 거의 접촉하거나 교류하지 않았지만, 아마도 석기 시대 문화는 아니었을 것이다.[16]
5. 3. 엘리잘데와 마르코스 정권의 역할
마누엘 엘리잘데는 1968년에 문화적 소수 집단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필리핀 정부 기관인 PANAMIN의 수장이었다. 그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독재자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었다.[8] 1971년 6월, 엘리잘데는 현지 사냥꾼의 제보를 받고 타사다이족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한 달 뒤 언론에 공개했다. 이후 PANAMIN 경비병에 의해 엄선된 소수의 방문객들만이 타사다이족을 만날 수 있었다.1972년 4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타사다이족의 조상 동굴 주변 19000acre의 땅을 타사다이/마노보 블리트 보호구역으로 선언했다. 1976년, 마르코스는 필리핀 계엄령을 이유로 모든 방문객에 대해 자연 보호 구역을 폐쇄했다.[8]
1983년, 엘리잘데는 필리핀을 떠났는데, 타사다이족 보호를 위해 설립된 재단에서 수백만 달러를 가지고 도망쳤다는 소문이 돌았다. 또한 엘리잘데가 타사다이족과 블리트족에게서 얻은 사진 및 기타 정보를 여러 나라에서 돈벌이 사업에 사용했다는 소문도 있었다.[8] 그는 1억 달러에 달하는 돈을 모았다고 알려졌지만, 엘리잘데는 이를 부인했다.[8]
1987년 필리핀으로 돌아온 엘리잘데는 1997년 사망할 때까지 머물렀다. 그는 타사다이족 비영리 단체 기금으로 100만달러 이상을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이 기간 동안 엘리잘데는 타사다이 공동체 지원 재단(TCCF)을 설립하기도 했다.[8]
1974년 6월, 마르코스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타사다이족 거주 지역 출입이 금지되었고, 타사다이족은 국가에 의해 보호받게 되었다. 찰스 린드버그나 존 D. 록펠러 4세 등 많은 저명인사들도 그들의 보호를 위해 막대한 기부금을 냈다.
1986년, 마르코스 정권 붕괴 후 기자들이 보호 지구에 잠입하여, 현대 문화를 가진 타사다이족을 특종 보도하며 세계적인 사기 사건으로 공개했다. 1987년, 필리핀 정부는 조사 결과 타사다이족은 존재한다고 발표했다. 1988년, 국외로 도피했던 엘리자르데가 귀국했지만, 심각한 약물 중독으로 인해 심신 상실 상태에 있었다. 그는 1997년에 사망했다.
5. 4. 미디어와 학계의 책임
1972년 3월, 타사다이족, 엘리잘데, AP통신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를 포함한 언론 및 미디어 관계자들의 만남이 타사다이족의 외딴 동굴 거주지에서 열렸다. 이 만남은 케네스 맥클레이시가 1972년 8월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기고한 기사로 널리 보도되었으며, 표지에는 포토 저널리스트 존 라누아의 타사다이족 소년이 덩굴을 타고 있는 사진이 실렸다.[9]이후 ''내셔널 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 ''민다나오의 마지막 부족들''(1972년 12월 1일 방영)을 포함하여 많은 홍보가 이루어졌다. 찰스 린드버그와 지나 롤로브리지다 등이 방문하기도 했다.[9]
1986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축출된 후, 스위스의 인류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오스왈드 이텐은 조이 로자노(남코타바토 주 출신 언론인)와 다투 갈랑 티카우(타사다이족의 언어를 할 줄은 몰랐지만, 주요 통역사로 참여한 토볼리족 구성원)를 동반하여 허가 없이 타사다이 동굴을 방문해 6명의 타사다이족과 약 2시간 동안 시간을 보냈다.[10][6] 숲에서 돌아온 이텐과 로자노는 동굴이 비어 있었고, 타사다이족이 엘리잘데의 압력 하에 석기 시대 생활 방식을 흉내 낸 다른 지역 부족의 구성원이라고 주장했다.[11]
이후 미국 CBS나 영국 BBC 등의 보도로 인해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1986년 마르코스 정권 붕괴 후 기자 오스왈드 이텐과 조이 로자노가 보호 지구에 잠입하여, 보도되었던 현대의 원시인과는 다른 현대 문화를 가진 타사다이족을 특종 보도하며 세계적인 사기 사건으로 공개했다.
6. 타사다이족 논쟁과 한국 사회
타사다이족 논쟁은 진실과 허구가 뒤섞인 정보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진실을 밝히기 어렵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많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과 마누엘 엘리자르데 주니어는 타사다이족을 정치적, 경제적 목적으로 이용했고, 언론은 이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보도하거나 과장했다. 이는 권력과 미디어의 유착 관계, 그리고 언론의 책임 문제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17]
- 1960년대 후반: 현지 사냥꾼 데파르가 타사다이족을 발견하여 마누엘 엘리자르데 주니어 환경부 장관에게 보고했고, 정부 조사단을 통해 타사다이족의 존재가 확인되었다고 한다. 이후 미국 CBS나 영국 BBC 등의 보도로 인해 세계적인 화제가 되었다.
- 1974년 6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명령으로 타사다이족 거주 지역 출입이 금지되었고, 타사다이족은 국가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찰스 린드버그나 존 D. 록펠러 4세 등 많은 저명인사들도 이 결정에 찬성했고, 보호를 위한 막대한 기부금이 모였다. 그 결과 약 190km2의 광대한 보호 구역이 민다나오 섬에 설치되었다.
- 1986년: 마르코스 정권 붕괴 후 기자 오스왈도 이텐과 조이 로자노가 보호 지구에 잠입하여, 보도와는 달리 현대 문화를 가진 타사다이족을 특종 보도하며 세계적인 사기 사건으로 폭로했다.
- 1987년: 필리핀 정부는 조사단을 꾸려 4개월간 조사한 결과, 타사다이족이 존재한다고 발표했다.
- 1988년: 국외로 도피했던 엘리자르데가 귀국했지만, 심각한 약물 중독으로 심신 상실 상태였다. 그는 1997년에 사망했다.
타사다이족 논쟁은 외부 세계에 의해 원주민의 삶과 문화가 왜곡되고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소수 집단의 권리와 문화 다양성을 존중해야 함을 강조한다.
7. 결론
타사다이족 논쟁은 진실, 권력, 미디어, 그리고 원주민의 권리에 대한 복잡한 질문을 던진다. 이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타사다이족의 진정한 모습과 그들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1974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타사다이족 거주 지역 출입이 금지되었고, 타사다이족은 국가에 의해 보호받게 되었다.[1] 찰스 린드버그나 존 D. 록펠러 4세 등 많은 저명인사들도 이 결정에 찬성했고, 그들의 보호를 위해 막대한 기부금이 모였다.[1] 그 결과 민다나오섬에 약 190km2의 광대한 보호 구역이 설치되었다.
1986년 마르코스 정권 붕괴 후, 기자 오스왈도 이텐과 조이 로자노가 보호 지구에 잠입하여, 보도되었던 현대의 원시인과는 다른 현대 문화를 가진 타사다이족을 특종 보도하며, 세계적인 사기 사건으로 공개했다.[1] 1987년 필리핀 정부는 조사단을 결성하여 4개월간 조사한 결과, 타사다이족은 존재한다고 발표했다. 1988년 국외로 도피했던 엘리자르데가 귀국했으나, 심각한 약물 중독으로 인해 심신 상실 상태에 있었고, 1997년에 사망했다.
참조
[1]
간행물
"The Tasaday language: a key to Tasaday prehistory."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92
[2]
서적
Gentle Tasaday Stone Age People In The Philippine Rain Forest
Houghton Mifflin Harcourt
1971
[3]
논문
"Shaping and Reshaping the Tasaday: A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 – A Review Article"
1991
[4]
서적
Invented Eden: The Elusive, Disputed History of the Tasaday
U of Nebraska Press
2007
[5]
학술지
The Tasaday, Which and Whose? Toward the Political Economy of an Ethnographic Sign
1988
[6]
간행물
"The Tasaday language: Evidence for authenticity?."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92
[7]
웹사이트
Another Look at the Language of the Tasaday
http://www.aa.tufs.a[...]
2011-06-12
[8]
웹사이트
It Takes a Village to Loot a Nation: Cronyism and Corruption
https://martiallawmu[...]
2022-10-21
[9]
잡지
The Tribe Out of Time
https://content.time[...]
2022-10-20
[10]
뉴스
Die Tasaday: Ein Philippinischer Steinzeitschwindel
Neue Zurcher Zeitung
1986-04-12
[11]
웹사이트
BBC – The Tasaday Hoax
https://web.archive.[...]
2010-12-26
[12]
학술지
The development saga of the tasaday: Gentle yesterday, hoax today, exploited forever?
https://doi.org/10.1[...]
1990-12-01
[13]
기타
The Tasaday Controversy
http://www2.hawaii.e[...]
[14]
학회자료
Linguistic Archaeology: Tracking Down the Tasaday Language
http://aa2411s.aa.tu[...]
1994
[15]
기타
The Tasaday Tapes
http://www2.hawaii.e[...]
[16]
기타
The Tasaday 'Cave People'
http://www-01.sil.or[...]
[17]
서적
Simulacra and Simulation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5
[18]
논문
Shaping and Reshaping the Tasaday: A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A Review Article
1991
[19]
서적
Invented Eden: The Elusive, Disputed History of the Tasaday
U of Nebraska Press
2007
[20]
기타
"The Tasaday, Which and Whose, Toward the Political Economy of an Ethnographic Sign."
1988
[21]
간행물
"The Tasaday language: Evidence for authenticity?."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92
[22]
웹인용
Another Look at the Language of the Tasaday
http://www.aa.tufs.a[...]
2011-06-12
[23]
간행물
"The Tasaday language: a key to Tasaday prehistory."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