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그리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그리토는 스페인어로 "작은 흑인"을 의미하며, 체격과 피부색이 비슷한 동남아시아 및 주변 지역의 여러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 안다만 제도, 태국 등에 분포하며, 수렵 채집 생활을 해왔다. 과거에는 단일 집단으로 여겨졌으나,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동아시아인과 오세아니아인의 기원을 가진 여러 개의 유전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는 각 집단에 따라 다르며, 일부는 고유 언어를 사용하고, 다른 집단은 주변 민족의 언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남아시아의 원주민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 동남아시아의 원주민 - 아슬리어파
    아슬리어파는 말레이 반도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어파로, 몬어파 및 니코바르어파와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다양한 언어 접촉을 통해 어휘적, 문법적 영향을 주고받았으나 사용자 수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네그리토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네그리토 - 자라와족
    자라와족은 안다만 제도에 2천 년 이상 거주해 온 장길족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외부와의 접촉으로 인구 감소와 질병 확산을 겪고 있으며, 현재 관광과 밀렵으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차모로인
    차모로인은 기원전 3000년경 동남아시아에서 마리아나 제도로 이주한 이들의 후손으로,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거주하며 스페인, 미국, 일본의 통치를 거쳐 고유 문화를 유지하는 원주민이다.
네그리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른 이름세망인, 세망족, 필리핀 고산족
인종인도와 동남아시아의 고립된 지역의 민족 집단
언어안다만어족
아슬리어족
필리핀 네그리토어
종교애니미즘
민속 신앙
아니토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인구 및 분포
주요 거주 지역인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안다만 제도
주요 민족안다만 제도 원주민
세망족
마니족
바탁족
아에타족
아티족
마맘와족
기타 필리핀 네그리토
특징
어원'작은 흑인'을 의미하는 스페인어
신체 특징피부색: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
머리카락: 곱슬머리
키: 작은 키
체형: 가냘픈 체형
문화수렵 채집 생활
정령 숭배
부족 사회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
역사적 배경
기원동남아시아의 초기 인류 집단으로 추정
외부 영향유럽 식민지 시대와 근대화 과정에서 외부 문화와 접촉
현대 사회일부 지역에서 전통적인 생활 방식 유지, 다른 지역에서는 현대 사회에 통합
기타
관련 연구인류학
유전학
언어학
참고 자료Lyons, Elizabeth (1965). The Traders of Ku Bua. Archives of the Chinese Art Society of America 19: 55

2. 어원

"네그리토"는 스페인어 "negro"(흑인)의 지소형이며, "작은 흑인"을 뜻한다. 이 용어는 16세기 필리핀에서 활동하던 스페인 선교사들이 만들었으며, 이후 유럽 여행자들과 식민주의자들이 오스트로네시아 전역에서 비교적 작은 체격과 검은 피부를 가진 여러 집단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 "Negrillos"라는 경멸적인 스페인어 표현도 사용되었는데, 이 또한 체격과 안색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이들 민족을 중앙아프리카의 피그미족과 연결 짓는 경향이 있었다.[1] 역사적으로 "Negrito"라는 표현은 아프리카 피그미족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2] 그러나 체격과 안색의 유사성만으로 서로 다른 민족을 묶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1]

말레이어로는 오랑 아슬리(orang asli), 즉 "원래부터 있던 사람"이라고 불린다. 필리핀에서는 현재의 말레이계 민족이 배를 타고 도착하기 전의 원주민으로 여겨진다.

3. 인구

필리핀에는 10만 명이 넘는 네그리토족이 거주한다. 2010년 기준으로 필리핀에는 아에타족이 50,236명,[3] 아티족은 2020년 인구조사 기준으로 55,473명이다.[4] 말레이시아에는 공식적으로 약 4,800명의 네그리토족(세망족)이 거주한다.[5] 오랑 아슬리 중 네그리토족과 동화되었거나 혼혈 기원을 가진 일부 인구 또는 개별 집단을 포함하면 이 수치는 증가한다. 2006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오랑 아슬리의 수는 141,230명이었다.[6] 인도의 안다만 원주민은 약 500명이다. 태국의 네그리토족인 마니크족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약 300명으로 추산된다.[7][8] 다른 자료에서는 382명,[9] 또는 500명 미만으로 추산하기도 한다.[10]

여러 유전 연구에 따르면, 안다만 제도, 말레이 반도, 필리핀의 '네그리토'는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단일 그룹이 아니며, 각 그룹을 개별적으로 고찰해야 한다.[29][30]

안다만 원주민은 모어(母語)가 속한 언어 계통에 따라 대안다만인, 옹간인, 센티넬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중 조사가 이루어진 대안다만인과 옹간인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유전자 조사(Kumarasamy et al.(2003)) 결과에 따르면, 대안다만인은 아프리카 이주 후 "남쪽 루트"[38]를 거친 하플로그룹 F*, K*, L, P*와 "북쪽 루트"의 오스트로아시아계 O1b1이 합쳐 100%를 차지하지만, 옹간인(자라와족, 옹게족)은 하플로그룹 D1a2b가 100%를 차지한다.[39][40] 하플로그룹 D1a2b는 아프리카 이주 후 "북쪽 루트"를 통해 이란→알타이 산맥→티베트→버마→안다만 제도의 경로를 거쳐 온 것으로 추정된다.[41][42]

안다만 원주민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대안다만인과 옹간인 모두 아프리카 이주 후 "남쪽 루트"[38]를 통해 도착한 것으로 추정되는[38] M31, M32만이 관찰된다.[39][43] 아에타족은 Y염색체 해프로그룹 K2b1-P378이 60%의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44] (이 유형은 뉴기니아에서 흔한 해프로그룹 M과 S와 같은 조상을 가진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DNA 해프로그룹 P가 40% 나타난다.[45]

4. 문화

말레이시아의 바텍 가족


대부분의 네그리토 집단은 수렵 채집 생활을 하였으며, 일부는 식물 수확과 같은 농업을 병행하기도 했다. 오늘날 대부분은 각자의 고향에 있는 주류 인구에 동화되어 생활하고 있다. 차별과 빈곤은 종종 그들의 낮은 사회적 지위 및/또는 수렵 채집 생활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이다.[11]

5. 기원

과거에는 네그리토가 신체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나의 집단으로 여겨졌지만,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동아시아인과 오세아니아인의 기원이 된 고대 동아시아 계통에서 유래한 여러 개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유전적 이질성을 보인다.[12][13][14][15][16][17][18][19]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 원주민 인구를 형성했지만, 신석기 시대 이후 오스트로아시아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집단의 이동으로 인해 대부분 흡수되거나 지리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소수 집단을 형성하였다.[47][48]

유전적 증거는 안다만 제도, 말레이 반도, 필리핀의 네그리토 그룹 간의 특정 공유 조상 개념을 반박하며, 각 그룹을 별도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54] 이는 네그리토의 신체적 특징이 수렴 진화자연선택을 통해 열대 우림 환경에 적응한 결과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22][23][24][25]

최근 여러 연구들은 다양한 네그리토 그룹이 동아시아인파푸아인 사이의 경계선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안다만 사람들은 대부분 "기저 동아시아인 계통"이며, 중국 북부의 톈위안인과 같은 고대 동아시아 표본을 포함하여 현대 동아시아인과 가장 가깝지만, 오스트랄라시아인과는 분명히 구별된다. 동아시아계 인구와 오스트랄라시아인(파푸아인 등)은 기원전 58,000년에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49][50][51][52][53]

6. 언어

안다만 제도의 네그리토는 독자적인 언어를 가지고 있다. 대안다만어족, 옹간어족, 센티넬어가 이에 속한다. 말레이 반도와 필리핀의 네그리토는 주변 부족의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과거에 독자적인 언어를 상실했음을 시사한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 일부 파푸아어족 언어에서도 네그리토 언어의 흔적이 발견된다.[36][27]

7. 유전자

안다만해의 네그리토 부부, 1875년


필리핀 아티 여인, 2007년


현대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네그리토는 동아시아 관련 집단과 파푸아 관련 집단 사이의 유전적 경계선에 위치하며, 유전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된다.[47][48][37][33] 네그리토의 유전적 구성은 동아시아 기저 계통과 파푸아 관련 계통의 중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안다만 원주민은 "기저 동아시아인 계통"이며, 현대 동아시아인과 가장 가깝지만 오스트랄라시아인과는 뚜렷이 구별된다.[49][50][51][52][53] 동아시아계 인구와 오스트랄라시아인(파푸아인 등)은 기원전 58,000년에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31][32][33][34][35]

안다만 원주민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모어(母語)가 속한 언어 계통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대안다만인과 옹간인(자라와족, 옹게족)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민족Y 염색체 하플로그룹이동 경로 및 비고
대안다만인F*, K*, L, P*, O1b1 (100%)"남쪽 루트"[38], "북쪽 루트"의 오스트로아시아계 O1b1
옹간인 (자라와족, 옹게족)D1a2b (100%)"북쪽 루트" (이란→알타이 산맥→티베트→버마→안다만 제도)[41][42]



안다만 원주민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대안다만인과 옹간인 모두 M31, M32만이 관찰된다.[39][43] 이는 아프리카 이주 후 "남쪽 루트"[38]를 통해 도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에타족은 Y염색체 해프로그룹 K2b1-P378이 60%의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44] 미토콘드리아 DNA 해프로그룹 P가 40% 나타난다.[45] 이러한 유형들은 아프리카 이주 후 인도를 거쳐 "남쪽 루트"로 도달한 오스트랄로이드 계통이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세만족 등은 다른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과 마찬가지로 Y염색체 하플로그룹 O1b1이 흔하게 나타나지만, 주변 민족에 비해 Y염색체 하플로그룹 C(아마도 남쪽 루트 계열의 하플로그룹 C1b)가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46]

참조

[1] 서적 Responding to the West: Essays on Colonial Domination and Asian Agency Amsterdam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3]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5-19
[4]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6
[5] 서적 Malaysia's Original Peopl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Orang Asli. Introduction https://www.research[...] NUS Pres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2016, pp. 1-38 2015-11-27
[6] 웹사이트 JAKOA Program http://www.jakoa.gov[...] Jabatan Kemajuan Orang Asli (JAKOA)
[7] 웹사이트 36. The Negrito of Thailand; The Mani http://www.andaman.o[...]
[8] TV 프로그램 Primal Survivor: Season 5, episode 1
[9] 뉴스 Calls for Maniq tribe to get their own patch https://www.bangkokp[...]
[10] 웹사이트 https://www.bangkokp[...] 2016
[11] 웹사이트 The successful revival of Negrito culture in the Philippines https://www.rutufoun[...] 2015-05-06
[12] 서적 New Perspectives in Southeast Asian and Pacific Prehistory ANU Press 2017
[13] 학술지 The Andaman Islanders in a Regional Genetic Context: Reexamining the Evidence for an Early Peopling of the Archipelago from South Asia https://digitalcommo[...] 2013-06
[14] 학술지 Genomic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extant populations of India reveals five distinct ancestral components and a complex structure 2016
[15] 학술지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
[16] 학술지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2021
[17] 학술지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Asia from common ancestry and admixture in the genomic landscape of present-day Austroasiatic speakers 2021
[18] 학술지 A genetic history of migration, diversification, and admixture in Asia 2022-01-06
[19] 학술지 Genomic structure of the native inhabitants of Peninsular Malaysia and North Borneo suggests complex human population history in Southeast Asia 2018-02
[20] 학술지 Unravelling the Genetic History of Negritos and Indigenous Populations of Southeast Asia 2015-04-14
[21] 학술논문
[22] 학술지 The Skeletal Phenotype of 'Negritos' from the Andaman Islands and Philippines Relative to Global Variation among Hunter-Gatherers https://digitalcommo[...] 2013-06
[23] 학술지 The distinct morphological phenotypes of Southeast Asian aborigines are shaped by novel mechanisms for adaptation to tropical rainforests 2022-03-31
[24] 학술지 Genetic Connections and Convergent Evolution of Tropical Indigenous Peoples in Asia 2022-02-03
[25] 학술지 The Genetic Origins of the Andaman Islanders 2003-01
[26] 학술지 Negritos in Taiwan and the wider prehistory of Southeast Asia: new discovery from the Xiaoma Caves 2022-10-04
[27] 웹사이트 https://digitalcommo[...]
[28] 학술지 The Traders of Ku Bua Chinese Art Society of America. 1965
[29] 학술지 Phylogeography and Ethnogenesis of Aboriginal Southeast Asians 2006
[30] 학술지 The Andaman Islanders in a Regional Genetic Context: Reexamining the Evidence for an Early Peopling of the Archipelago from South Asia https://bioone.org/j[...] 2013-06
[31] 학술지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https://www.ncbi.nlm[...] 2021
[32] 학술지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https://www.ncbi.nlm[...] 2021-03-30
[33] 학술지 Philippine Ayta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Denisovan ancestry in the world https://www.ncbi.nlm[...] 2021-10-11
[34] 학술논문 Genetics and material culture support repeated expansions into Paleolithic Eurasia from a population hub out of Afri 2021-10-15
[35] 웹사이트 Genomic insights into the origin of pre-historic populations in East Asia https://www.mpg.de/1[...]
[36] 웹사이트 http://www.ovta.or.j[...]
[37] 저널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https://www.nature.c[...] 2021-08
[38]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39] 저널 Genetic Affinities of the Andaman Islanders, a Vanishing Human Population 2003-01-21
[40] 웹사이트 https://www.yfull.co[...]
[41] 저널 Y chromosome evidence of earliest modern human settlement in East Asia and multiple origins of Tibetan and Japanese populations 2008
[42] 서적 ヒト癌ウイルスと日本人のDNA 勉誠出版 2011
[43] 저널 Reconstructing the Origin of Andaman Islanders 2005-05-13
[44] 저널 Improved phylogenetic resolution and rapid diversific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 K-M526 in Southeast Asia https://www.ncbi.nlm[...] 2014-06
[45] 저널 Complete mtDNA genomes of Filipino ethnolinguistic groups: a melting pot of recent and ancient lineages in the Asia-Pacific region http://www.nature.co[...] 2013-06-12
[46] 웹사이트 走向遠東的兩個現代人種 http://www.eastling.[...]
[47] 저널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https://www.ncbi.nlm[...] 2021-03-30
[48] 저널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https://www.nature.c[...] 2021-08
[49] 저널 Genome of a middle Holocene hunter-gatherer from Wallacea https://www.ncbi.nlm[...] 2021
[50] 저널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https://www.ncbi.nlm[...] 2021-03-30
[51] 웹인용 Genomic insights into the origin of pre-historic populations in East Asia https://www.mpg.de/1[...] 2021-12-22
[52] 저널 Philippine Ayta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Denisovan ancestry in the world https://www.ncbi.nlm[...] 2021-10-11
[53] 저널 Genetics and material culture support repeated expansions into Paleolithic Eurasia from a population hub out of Afri 2021-10-15
[54] 저널 Phylogeography and Ethnogenesis of Aboriginal Southeast Asian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