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행위 또는 직업을 의미한다. 통역사는 화자의 의도, 감정,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지원하며, 순차통역, 동시통역, 위스퍼링 통역, 수행 통역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통역은 역사적으로 사회적 지위가 낮았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동시통역이 도입되면서 중요성이 커졌다. 현재 회의, 비즈니스, 방송, 커뮤니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전문성을 위해 통번역대학원 등의 교육 과정을 거치거나 관련 단체에 소속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역 - 이지방 (1466년)
이지방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여진족 토벌에 참여하고 종성부사, 회령부사 등을 역임하며 변경 지역을 다스렸으며, 의주목사, 경상좌도수군절도사 등을 지냈고, 명나라에 책봉주청사로 파견되기도 했으며, 평안도병마절도사 재임 시절에는 의주성 개축과 여진족 방어에 힘썼다. - 통역 - 이잠 (1581년)
이잠은 1581년에 태어나 1606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광해군 시대에 인목대비 폐비론에 찬성하고 명나라 외교 활동 및 요동 정탐 활동을 했으나 인조반정 이후 파직과 유배를 겪고 지방관으로 생을 마감했다. - 연속 기획 사이드바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연속 기획 사이드바 - 대한제국
대한제국은 고종이 황제 즉위와 함께 선포한 황제 국가로,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자주적인 국가를 지향했으나, 일본의 영향력 강화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했으며,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이어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통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구두 또는 수화 언어를 사용하여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의 의사 소통을 용이하게 하는 것 |
관련 분야 | 언어학 사회언어학 번역학 커뮤니케이션학 |
통역의 유형 | |
동시 통역 | 발표자의 말을 거의 동시에 통역 |
순차 통역 | 발표자가 한 번에 한두 문장을 말하고 난 후 통역 |
릴레이 통역 |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통역자가 참여하는 통역 |
시각 통역 | 통역가가 문서의 의미를 언어에서 언어로 전달하는 것 |
법정 통역 | 법률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통역 |
의료 통역 | 의료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통역 |
수화 통역 | 수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통역 |
통역 기술 | |
언어 능력 | 통역 대상 언어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와 숙달 |
청취 능력 | 발표자의 말을 정확하게 듣고 이해하는 능력 |
기억력 | 통역할 내용을 기억하는 능력 |
문화적 감수성 | 다른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 |
공공 스피킹 기술 | 명확하고 자신감 있게 말하는 능력 |
노트 필기 기술 | 순차 통역을 위한 정확한 메모 능력 |
통역 장비 사용 능력 | 동시 통역을 위한 장비 사용 능력 |
윤리적 고려 사항 | |
정확성 | 통역을 최대한 정확하게 제공해야 함 |
기밀성 | 통역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기밀로 유지해야 함 |
공정성 | 모든 참가자에게 공정하고 편견 없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 |
통역의 역사 | |
초기 |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 |
중요한 역할 | 역사적으로 중요한 회의와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 |
전문화 | 20세기 후반부터 전문 분야로 인식되고 발전 |
통역과 번역의 비교 | |
번역 | 서면으로 된 텍스트를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기는 과정 |
통역 | 구두 또는 수화 언어를 사용하여 즉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 |
공통점 | 둘 다 언어적, 문화적 장벽을 허물고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함 |
관련 분야 | |
통역학 | 통역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학문 |
통역사 교육 | 통역사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 |
통역 기술 | 통역을 위한 컴퓨터 및 통신 기술 |
참고 문헌 | |
참고 도서 | 통역학 입문 |
참고 도서 | 통역학 개론 |
2. 역사
통역의 역사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 간의 교류와 협력을 가능하게 하였다.
2. 1. 역사학적 관점
통역사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특히 1990년대 이후 전문적인 회의 통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2] 역사적으로 통역사와 그들의 작업은 기록에 잘 나타나지 않는데,[3] 이는 구어보다 문어가 중시되었던 경향과[4][5] 통역사의 낮은 사회적 지위 때문으로 분석된다.[6][7]
2. 2. 한국의 통역 역사
한국의 역사에서 통역은 외교, 무역,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역관이라는 전문 통역관이 활동했으며, 이들은 단순한 언어 전달자를 넘어 외교관, 정보 수집가, 문화 전파자의 역할까지 수행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통역관 양성 정책이 있었지만, 이는 식민 통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었으며, 조선인의 권익 보호와는 거리가 멀었다.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국제 교류의 증가와 함께 통역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전문적인 통역사 양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3. 통역사의 역할과 윤리
통역사는 단순한 언어 변환자가 아니라, 화자의 의도와 감정, 문화적 맥락까지 고려하여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역사는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거나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발화자의 말을 가능한 한 그대로 전달해야 할 의무가 있다.[1] 또한 통역사는 통역 과정에서 알게 된 비밀을 유지해야 하며, 중립적인 입장을 지켜야 한다는 내용이 요약에 있지만, 이는 원문에 없는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4. 통역의 종류
통역은 방식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역은 순차통역, 동시통역, 위스퍼링 통역 등으로 나뉜다.
통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한쪽 언어를 다른 쪽 언어(예: 영어에서 한국어로)로 변환하여 음성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수화 사용자와 음성 언어 사용자 사이의 변환도 통역에 포함된다. 통역은 번역과 유사하지만, 번역은 문어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통역가는 통역 장소나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기술이 다르며,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가지고 활동한다. 예를 들어 회의 통역가, 상담 통역, 에스코트 통역 등이 있다.
4. 1. 동시통역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ing)은 화자의 말을 듣고 거의 동시에 통역하는 방식이다. 통역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형태로 여겨지는데, 다른 언어를 즉시 통역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화자의 발언 내용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 능력도 필요하다.일반적으로 통역사는 방음 부스에 앉아 마이크에 대고 말하며, 이어폰을 통해 원어 연설자의 말을 듣는다. 통역된 내용은 청취자들의 이어폰을 통해 제공된다.[3] 동시통역은 통역사에게 매우 큰 집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보통 2~3명의 통역사가 팀을 이루어 15분 정도 간격으로 교대하며 작업한다. 두뇌 활동량이 많기 때문에 휴식 시간에는 초콜릿과 같은 당분이 높은 것을 섭취하기도 하고, 대기 중인 통역사가 단어 제공 등을 돕기도 한다.
동시통역은 시간을 절약하고 연설자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국어 간 통역이 이루어지는 국제회의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며, 다국어 사용 지역인 유럽에서는 통역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원칙적으로 국제회의에서는 통역사의 모국어가 번역 후 언어(출력 언어)여야 하지만, 일본어의 경우 예외적으로 다른 언어로의 번역도 허용된다. 이는 일본어와 다른 언어 간의 높은 수준의 통역사가 세계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동시통역 기술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미국 사업가 에드워드 필린(Edward Filene)과 영국 엔지니어 앨런 고든 핀레이(Alan Gordon Finlay)가 IBM과 함께 동시통역 장비를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4] 1935년 소련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보느 캡(Yvonne Kapp)이 동시통역을 경험하기도 했다.[5]
4. 1. 1. 뉘른베르크 재판과 동시통역

동시통역은 1945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처음 도입되어[3] 프랑스어, 러시아어, 독일어, 영어로 통역이 제공되었다.[3] 이 기술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미국 사업가 에드워드 필린(Edward Filene)과 영국 엔지니어 앨런 고든 핀레이(Alan Gordon Finlay)가 IBM과 함께 동시통역 장비를 개발하면서 탄생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동시통역이 사용되면서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4. 2. 순차통역
순차통역에서 통역사는 화자가 말을 잠시 멈춘 후 통역을 시작한다.[1] 따라서 순차통역은 동시통역보다 더 많은 시간(대략 두 배)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순차통역을 하는 통역사는 화자 근처에 서 있거나 앉아 있는다.[1]순차통역은 통역사의 선호에 따라 짧거나 긴 구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짧은 순차통역에서는 통역사가 주로 기억에 의존하고, 긴 순차통역에서는 대부분 노트 작성에 의존한다. 이때, 노트를 읽는 데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명확하고 읽기 쉬워야 한다.[2] 작은 조각이 아니라 전체적인 생각을 연속적으로 통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통역사는 의미를 완전히 파악한 후 더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통역을 제공할 수 있다.
주제의 복잡성과 통역의 목적에 따라 시작 전에 구간 길이에 대한 합의를 시도할 수 있지만, 화자는 일반적으로 부자연스러운 말투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때때로 순차통역 중에는 문서 즉석 번역이 필요할 수 있다. 즉석 번역은 통역과 번역을 결합한 것으로, 통역사는 마치 표적 언어로 작성된 것처럼 원본 언어 문서를 표적 언어로 렌더링해야 한다. 즉석 번역은 일반적으로 사법 및 의료 분야에서 발생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순차통역은 원본 언어와 통역된 언어 모두를 듣고 싶어하는 이중 언어 청취자가 있거나, 법정과 같이 원본과 통역본 모두를 기록해야 하는 경우 선택될 수 있다.
원본 언어에서 표적 언어로 직접 통역할 수 있는 통역사가 없는 경우, 중간 통역사가 릴레이 모드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 원본 언어는 영어로 통역된 다음, 다시 영어에서 다른 언어로 통역될 수 있다. 이를 이중 통역이라고도 한다. 특히 드문 언어나 방언이 관련된 경우 삼중 통역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역은 순차통역을 사용해야만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화자의 발언을 수십 초에서 수 분 단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통역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통역 기술의 기초로 여겨진다. 화자가 말하는 동안 통역사는 기억을 돕기 위해 노트를 하고, 말이 끝난 후 통역을 시작한다. 따라서 동시통역에 비해 거의 두 배의 시간이 걸리지만, 번역의 정확성이 높아 수요가 많다.
4. 3. 위스퍼링 통역
위스퍼링 통역은 프랑스어로 "슈쇼타주(chuchotage)"라고 불린다. 원어를 사용하는 참가자들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통역가는 매우 낮은 목소리로 통역한다.

방식적으로는 동시통역과 동일하지만, 통역사는 부스 안에 있지 않고 통역이 필요한 사람 근처에 위치하여 듣는 사람에게 속삭이는 정도의 목소리로 통역한다. 통역사 자신의 목소리나 다른 소음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통역을 장시간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여겨진다. 고가의 통역 장비를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업 내 회의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5. 활동 분야
통역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각 분야마다 특정한 기술과 지식이 요구된다.
(1) 회의 통역: 국제회의 등에서 동시통역을 담당하며, 고도의 학술적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 최고 수준의 통역으로 여겨진다. 유럽에는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52], 미국에는 미국언어전문가협회(TAALS)[53]와 같은 단체가 있으며, 일본에는 일본회의통역자협회가 있다.
(2) 비즈니스 통역: 민간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통역으로, 기업의 국제적 연계 확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3) 방송 통역: 국제 보도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령층에게 알기 쉬운 말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NHK 월드 JAPAN에서는 20개 이상의 언어로 통역을 제공하며, 생방송 통역은 "생동통"이라고 불린다.
(4) 수행 통역: 외국에서 온 아티스트나 프로 스포츠 선수 등을 따라다니며 통역을 제공하며, 일상생활 보조나 스케줄 관리를 하기도 한다. 연예 기획사 직원이나 자막 번역가가 발탁되는 경우도 있다.
(5) 커뮤니티 통역: 의료, 복지, 교육, 사법 등 공공 서비스 현장에서 외국인을 지원하는 통역이다.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공공 서비스 통역사'''라고 불리며, 국가 자격이 정비되어 있다. 특히 '''의료 통역'''과 '''사법 통역'''이 대표적이며, '''경찰 통역'''은 공무원으로 고용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공공 서비스 통역의 자격 제도가 없고 보수가 낮아 자원봉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통역의 질과 보수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6) 통역 안내업: 외국인 여행객에게 관광지를 안내하고 전국통역안내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했지만, 현재는 면허 없이도 업무가 가능하다.
5. 1. 회의 통역
회의 통역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회의 또는 대규모 회의에서 이루어지는 통역을 말한다. 다국어 회의의 등장으로 지난 20년 동안 순차 통역의 양이 줄었다.회의 통역은 기관 및 민간 부문의 두 시장으로 나뉜다. UN, EU, EPO 등 다국어 회의를 개최하는 국제기구는 여러 외국어를 통역사의 모국어로 통역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지역 민간 시장은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 회의(현지 언어와 다른 한 언어)를 가지며, 통역사는 모국어로 통역하고 모국어에서 통역한다. 이러한 시장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는 세계 유일의 회의 통역사 협회이다. 1953년에 설립된 이 협회에는 90개국 이상의 2,800명 이상의 전문 회의 통역사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5. 2. 비즈니스 통역
수행 통역은 통역사가 개인 또는 대표단의 여행, 방문, 비즈니스 미팅이나 면접에 동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역할의 통역사는 수행 통역사 또는 동행 통역사라고 불린다. 수행 통역사의 작업 기간은 의뢰인의 방문 기간에 따라 수일, 수주 또는 수개월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통역은 프레젠테이션, 투자자 미팅 및 비즈니스 협상과 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자주 필요하다. 따라서 수행 통역사는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을 최상으로 이해하고 전달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비즈니스 및 재무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14]5. 3. 방송 통역
매체 통역은 그 본질상 동시통역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기자회견, 정치인, 음악가, 예술가, 스포츠 선수 또는 사업가와의 생방송 또는 녹화 인터뷰와 같은 생방송 TV 취재에 제공된다.[1] 이러한 유형의 통역에서 통역사는 방음 부스에 앉아 모니터와 세트에서 발표자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1] 녹화가 시작되기 전에 모든 장비를 점검해야 하며,[1] 특히 위성 연결을 두 번 확인하여 통역사의 목소리가 되돌아오지 않고 통역사가 한 번에 한 채널만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1] 스튜디오 외부에서 녹화된 인터뷰 및 일부 시사 프로그램의 경우, 통역사는 TV 모니터에서 듣는 내용을 통역한다.[1] 배경 소음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1] 매체 통역을 하는 통역사는 TV 진행자처럼 매끄럽고 자신감 있어야 한다.[1]매체 통역은 특히 걸프 전쟁 이후 가시성과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1] 텔레비전 채널에서는 동시통역사 직원을 고용하기 시작했다.[1] 통역사는 시청자를 위해 기자회견, 전화 삐삐, 인터뷰 및 유사한 생방송을 제공한다.[1] 생방송 중 통제실의 번거로움과 실랑이와 더불어 다양한 기술적 문제를 다뤄야 하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통역보다 더 스트레스가 많다.[1]
5. 4. 커뮤니티 통역
커뮤니티 통역은 의료, 법률, 사회복지 등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외국인과 서비스 제공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것을 말한다.의료 통역은 의료 종사자와 환자 및 그 가족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다. 법률 통역은 법원, 경찰서 등에서 외국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제공된다.
5. 4. 1. 의료 통역
의료 통역은 공공 서비스 통역의 하위 분야로, 의료 종사자와 환자 및 그 가족 간, 또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의료 종사자 간의 의사소통을 통역사가 매개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식적인 교육을 받고 자격을 갖춘 통역사가 담당한다. 어떤 경우에는 다국어를 구사하는 의료 종사자가 내부 언어 뱅크의 일원으로 파트타임으로 참여하기도 한다.[16] 국가/지역별 요건에 따라 통역사는 의학 용어, 일반적인 절차, 환자 면담 및 검사 과정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의료 통역사는 병원, 진료소 또는 의료 환경에 익숙하지 않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언어와 관계없이)을 위한 문화적 중개자 역할을 한다.2012년 기준으로 중국에는 의료 통역사에 대한 의무적인 자격증이 없다. 중국의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통역은 중국어와 영어(대부분)에 능통한 의사가 담당하며, 이들은 의사와 환자 간의 의사소통보다는 학술적인 환경에서 더 많이 통역을 한다. 중국 병원에서 환자가 영어 서비스를 필요로 할 경우, 대부분 동료들로부터 영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다고 인정받은 병원 직원에게 안내된다. 의료 배경이 부족한 통역사는 의료계에서 의료 통역에 대한 인정을 거의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의사 간 또는 의사와 환자 간 의사소통을 위한 이러한 서비스의 실제 품질은 통역 커뮤니티에서 알 수 없다. 의료 환경에서 일하는 통역사는 의료 관련 직종 전문가로 간주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언어 접근성이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문제이며, 연방 정부가 지원하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언어 접근성은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1964년 시민권법 제6조는 연방 자금이나 기타 연방 재정 지원을 받는 모든 프로그램 또는 활동에서 인종, 피부색 또는 국적을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한다.[17] 메디케어와 같은 연방 프로그램의 자금을 지원받는 병원 시스템과 진료소는 이 법에 따라 영어 구사 능력이 제한적인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합리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5. 4. 2. 법률 통역
법원, 경찰서, 검찰청 등에서 외국인 피의자, 참고인, 증인 등의 권익 보호를 위해 통역을 제공한다. 법정통역인은 법정 등에서 외국어 사용자의 통역을 담당하는 직책이다.5. 5. 군사 통역

군사 통역관은 군사적 맥락에서 자주 사용되며, 주로 전투 상황 또는 비전투 작전 중에 통역 업무를 수행한다. 통역은 다국적군 및 다국어 협력과 군 및 민간 인구의 군 결속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비활동적인 군사 작전 중 군사 통역관의 가장 일반적인 목표는 군 부대 내부 및 민간 인구와의 전반적인 응집력을 높이는 것이다. 점령에 대한 느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상호 이해력 부족이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아프가니스탄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미군 병사들의 사용과 주로 북부 아프가니스탄 출신의, 주로 타지크인들의 주요 모병은 미국과 타지크군을 점령군으로 느끼게 만들었다.[18] 이러한 느낌은 주로 파슈툰인이 다수인 지역에서 가장 흔했으며, 이는 탈레반의 부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전쟁 지역 내에 통역관이 없을 경우 민간 인구와 군대 간의 오해가 걷잡을 수 없이 공개적인 갈등으로 확대되거나 적대감과 불신을 낳아 갈등 또는 반란의 기반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일반적이다.[19]
군사 통역관은 이라크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쿠르드족이 장악한 지역에서 ISIS와의 전투 중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군사 통역관은 연합군과 이라크 인구 및 군 간의 협력의 주요 원동력이었다. 마찬가지로 연합군이 장악한 지역에서 안정을 가져오는 데 성공했으며, 쿠르드 통역관은 이러한 노력에 주요 지원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활동적인 전투 중 통역 행위는 매우 스트레스가 심하고 위험하다. 그러나 공통의 중간 언어가 없는 다국어 대대가 함께 싸울 때는 필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해는 대부분 치명적이며, 가장 흔한 오역은 위치와 시도된 돌파이다. 그러나 전투의 혼란 속에서, 특히 엄청난 소음과 변화하는 위치 때문에 통역에서 실수를 범하기 쉽다.[21]
군사 통역관은 다국어 협력 대신 단일 군대 내에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군사 통역관은 일반적으로 각 부대에 주어지는 직책이다. 일반적인 예로는 보스니아, 파키스탄, 스위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있다.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병사들을 단일 대대에 배치하는 것은 군대의 일체감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22][23]
5. 6. 수어 통역


수어 통역은 청각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수어와 구어를 통역하는 것이다.[24][25] 수어 통역사는 구어와 수어, 그리고 수동 시스템 간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청각 장애가 있는 수화 사용자와 청각이 있는 비수화 사용자 간, 또는 서로 다른 수어와 수동 시스템 사용자 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통역은 동시 또는 순차 모드로, 또는 인쇄된 텍스트의 시각 번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역사는 청각인, 난청인 또는 농인일 수 있으며, 상황이나 청중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팀으로 근무할 수 있다. 농인 통역사(DI)는 농맹인(근거리 시각 또는 촉각 수화를 사용하는), 비표준적, 신흥 또는 특이체 언어 변종을 사용하는 농인, 농아 공동체 내의 친화력 또는 문화 집단, 미성년자, 다른 수어를 사용하는 이민자, 소수 수어 사용자, 의료, 교정 또는 법적 문제 참여자, 그리고 인지적 또는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일해 왔다.[26] DI는 청각 통역사와 릴레이 팀으로, 텔레프롬프터를 통해, 또는 다른 DI와 함께 원어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녹음 또는 공개 행사에서 카메라 또는 무대에서 보이는 팀원이다.
통역사는 고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정식으로 훈련을 받고 자격증, 준학사, 학사,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27][28] 비전문 통역사는 교회, 가족 및 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경험적인 경로를 택하기도 한다. 공식적인 통역 교육은 주로 20세기 발전의 산물이다.[29]
미국에서는 수화 통역사가 국가 수준 및 일부 주에서는 주 수준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비영리 단체인 농인을 위한 통역사 등록소(RID)는 국가적 인정 및 자격증 과정으로 잘 알려져 있다. RID 회원은 훈련 요건 및 엄격한 자격증 시험 외에도 전문 행동 강령, 불만 처리 절차 및 지속적인 교육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미국의 많은 통역 훈련 프로그램은 대학 통역 교육 위원회에서 인증을 받고 있다.[30]
일부 국가는 지역 또는 언어 차이로 인해 하나 이상의 국가 협회를 가지고 있다.[31] 국가 협회는 세계 수화 통역사 협회[32] 또는 유럽 수화 통역사 포럼(efsli)과 같은 상위 조직의 회원이 될 수 있다.[33]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시각 언어 통역사 협회(AVLIC)가 수화 통역사를 인정하고 국가적으로 인증하는 전문 협회이다.[34]
수화 통역사는 정확한 통역을 제공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에 직면한다. 대부분의 통역 훈련 프로그램은 통역사가 관리해야 하는 일상적인 스트레스의 높은 변동성에 대해 학생들을 충분히 준비시키지 못하며, 통역 분야에서는 학생들을 직무의 어려움에 적절하게 대비시키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35]
세계 청각 장애인 연맹은 컴퓨터가 생성한 수화 아바타가 "적절하게 훈련되고 자격을 갖춘 통역사가 제공하는 자연스러운 품질과 기술을 능가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호텔이나 기차역과 같이 "사전 녹화된 정적인 고객 정보"에만 적용을 승인한다.[41] 수화에 능숙한 시청자들은 움직임의 질과 자연스러움을 면밀히 비판한다.[42]
6. 통역 관련 단체
- 일본회의통역자협회(JACI)
Japan Association of Conference Interpreters|일본회의통역자협회영어
: 2015년에 설립된 일본 최대의 통역사 단체로, 통역사의 기술 및 사회적 지위 향상, 정보 교환 등을 목표로 한다. 업계 최대 규모의 일본통역포럼과 세계 유일의 일본어-영어 동시통역 그랑프리를 매년 개최한다. 인증 회원은 엄격한 기준을 충족한 업계 최고 수준의 회의 통역사이다(별도의 시험은 없으며, 실적과 추천인의 보증으로 평가).[1]
-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ference Interpreters|국제회의통역사협회영어
: 1953년에 설립되어 회의 통역사를 대표하며, 직업 윤리 규정을 정하고 회원이 준수해야 할 기준을 정하고 있다. 본부는 제네바에 있다. 가입 시 시험은 없지만, 통역사로서의 활동 시간과 스폰서십(기존 회원이 가입 희망자의 실력 등을 보증하는 것)이 필요하다.[2]
7. 한국의 통역사 양성 및 자격 제도
한국에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통역사를 양성하고 그 자격을 평가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통역사 양성에는 통번역대학원, 통번역학과와 같은 대학교 교육 기관과 사설 통번역 학원이 있다. 국가 공인 통역 자격증은 없지만,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과 한국통번역사협회 등에서 주관하는 민간 자격증이 존재한다.
7. 1. 통역사 양성
한국에서는 전문적인 통역사 양성을 위해 여러 교육 기관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대학교의 통번역대학원, 통번역학과가 있으며, 사설 통번역 학원에서도 전문 통역사 양성 교육을 받을 수 있다.7. 2. 자격 제도
한국에는 국가 공인 통역 자격증은 없지만, 민간 자격증은 존재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주관하는 통번역 자격증과 한국통번역사협회에서 주관하는 통번역능력인정시험(TCT) 등이 있다. 법무부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하나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법률 통번역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8. 통역 기술의 발전
전문 통역사는 주로 전화 통역 기관, 의료기관, 법원, 학교 및 유엔( 유엔 통역부 ), 유럽 연합, 아프리카 연합과 같은 국제기구에서 일한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통역사를 고용하는 곳은 유럽 집행위원회[44]로, DG 통역국에서 EU 공용어 및 기타 언어로 근무하는 수백 명의 직원 및 프리랜서 통역사를 고용하고 있다. 2016년 플로리카 핑크-후이예르가 사무총장으로 임명된 후 최초의 통역 지식 센터가 설립되었고,[45] 자동 음성 인식 등의 기능을 도입하여 디지털 전환을 추진했다.[48] COVID-19 팬데믹 동안에는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과 기술을 통해 하이브리드 회의에서 다국어 통역을 확대했는데, 이는 통역 직종의 "전환점"이었다.[49]
유럽 의회와 유럽 사법 재판소에는 소규모 통역 서비스가 있으며, 유엔은 공식 언어가 6개뿐이어서 유럽 연합보다 고용 규모가 작다. 통역사는 지역 사회에서 프리랜서나 계약직으로 일하기도 한다. 군대는 현지 주민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사를 활용하며,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미군이 대표적인 예이다.
8. 1. 컴퓨터 보조 통역
컴퓨터를 이용한 번역 분야에서 파생되어, 용어집과 자동 음성 인식을 통합하는 컴퓨터 보조 통역 분야가 등장했다.[9][10]8. 2. 인공지능 통역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기계 번역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자동 통역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통역은 아직까지 인간 통역사의 전문성과 정확성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참조
[1]
웹사이트
Consecutive and Simultaneous Interpretering
https://www.conferen[...]
2017-09-29
[2]
웹사이트
Note-Taking for Consecutive Interpreting
https://www.imiaweb.[...]
[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imultaneous Interpretation
http://translationex[...]
2014-04-29
[4]
웹사이트
The Origins of Simultaneous Interpretation Equipment
http://www.infinityt[...]
2017-09-29
[5]
서적
Time Will Tell
Verso
2003
[6]
서적
My Years with Gorbachev and Shevardnadze: The Memoir of a Soviet Interpreter
Pennsylvania University Press
1997
[7]
서적
Peacemaking, 1919
Faber and Faber
2009
[8]
서적
Interpreters at the United Nations. A history
Universidad de Salamanca
2004
[9]
학술지
Computer-assisted preparation in conference interpreting
[10]
서적
Computer-assisted simultaneous interpreting A cognitive-experimental study on terminology
http://langsci-press[...]
Language Science Press
2023
[11]
웹사이트
Voice care: Sorting fact from fiction
https://utswmed.org/[...]
2020-04-13
[12]
학술지
Confessions and Culture: The Interaction of Miranda and Diversity
http://scholarlycomm[...]
1999
[13]
웹사이트
2012-06
[14]
서적
Deaf professionals and designated interpreters: A new paradigm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8
[15]
서적
A community program for identification, training, and utilization of interpreting services for deaf persons
San Fernando Valley State College
1966
[16]
뉴스
Queens Hospitals Learn Many Ways to Say 'Ah'
https://www.nytimes.[...]
2005-04-15
[17]
웹사이트
Civil Rights Requirements Title VI of the Civil Rights Act
https://www.hhs.gov/[...]
2009-01-15
[18]
학술지
Ethnic Brother or Artificial Namesake? The Construction of Tajik Identity in Afghanistan and Tajikistan
http://www.jstor.org[...]
[19]
학술지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the War Zone: Narrated and Narrators
https://www.academia[...]
2010
[20]
서적
Globalization, Political Violence and Translation
https://doi.org/10.1[...]
Palgrave Macmillan UK
2009-04-14
[21]
학술지
The Contextual over the Referential in Military Translation
https://files.eric.e[...]
Canadian Center of Science and Education
2015
[22]
서적
(Re)visiting Ethics and Ideology in Situations of Conflict
https://ebuah.uah.es[...]
University of Alcalá
2014
[23]
웹사이트
On the ethics of translators' interventions
https://usuaris.tine[...]
2009
[24]
백과사전
Signed Language Interpreting
Taylor & Francis
2015
[25]
학술지
A Communication Model of the Interpreting Process
1974-01
[26]
간행물
Standard Practice Paper
1997-08
[27]
웹사이트
Find ASL Interpreter Education Program
https://myaccount.ri[...]
[28]
웹사이트
Approved Courses for BSL Interpreters
http://www.nrcpd.org[...]
[29]
서적
Legacies and legends: History of Interpreter Education from 1800–21st Century
Interpreting Consolidated
2013
[30]
웹사이트
Accredited Programs
http://ccie-accredit[...]
[31]
서적
Comprehensive Guide to Sign Language Interpreting in Europe
M. de Wit
2016
[32]
웹사이트
Current National Members
https://wasli.org/wa[...]
[33]
웹사이트
About efsli...
http://efsli.org/abo[...]
[34]
웹사이트
Welcome to AVLIC
http://www.avlic.ca/
[35]
학술지
Application of Demand-Control Theory to Sign Language Interpreting: Implications for Stress and Interpreter Training
https://hongkongtran[...]
2001-01
[36]
웹사이트
About the organization
http://malachisrael.[...]
2018-12-21
[37]
웹사이트
So-Low Haifa 2018
https://www.youtube.[...]
Length 3:25 minutes
2018-10-23
[38]
웹사이트
So-Low Sign Language Interpreters
https://www.facebook[...]
Length 3:38 minutes
2018-12-18
[39]
논문
Cooperativeness – A necessary trait for interpreters?
2018-08-06
[40]
기타
Weiss reaction
2018-12-22
[41]
보고서
WFD and WASLI Statement on Use of Signing Avatars
https://wfdeaf.org/n[...]
2018-03-14
[42]
논문
Assessing the deaf user perspective on sign language avatars
2022-02
[43]
웹사이트
Remote Interpreting: Feeling Our Way into the Future
https://www.atanet.o[...]
2017-05-01
[44]
웹사이트
What we do
http://ec.europa.eu/[...]
[45]
보고서
Summary of SCIC-Universities Conference 2018
(PDF)
European Commission
2018-04-20
[46]
논문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un)desired revolution?
http://dx.doi.org/10[...]
2017-01-11
[47]
트위터
@FlorikaFink 'We need to "futureproof" our services by strengthening the skills of colleagues to work with new technologies.' #IAMLADP2019EU @EUinterpreters |@EP_Interpreters |@EUCourtPress |@EUCouncil |@UNDGACM_EN|@translatorespic.twitter.com/XMCotLRgrE
https://twitter.com/[...]
2019-05-27
[48]
웹사이트
IAMLADP: Directors Genera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discuss multilingualism
https://ec.europa.eu[...]
[49]
서적
100 Years of Conference Interpreting : A Legacy
2021
[50]
웹사이트
Wege zum Beruf
https://bdue.de/fuer[...]
Bundesverband der Dolmetscher/innen und Übersetzer/innen
[51]
서적
The hidden side of Babel : unveiling cognition, intelligence and sense through simultaneous interpretation
https://www.worldcat[...]
Evolución
2006
[52]
기타
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Interprètes de Conférence /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ference Interpreters
[53]
기타
The American Association of Language Specialists
[54]
웹사이트
https://www.moj.go.j[...]
[55]
웹사이트
https://www.asahi.co[...]
[56]
서적
The hidden side of Babel : unveiling cognition, intelligence and sense through simultaneous interpretation
https://www.worldcat[...]
Evolució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