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널리즘은 뉴스를 취재하고 대중에게 전달하는 보도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기자들은 취재를 통해 기사를 작성하고, 언론 매체를 통해 뉴스를 전달하며, 사회 현상에 대한 정보 제공, 권력 감시, 시민의 알 권리 충족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저널리즘은 옹호, 곤조, 정치, 과학, 탐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윤리 및 표준을 준수하여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도를 지향한다. 그러나 가짜 뉴스, 과잉 취재, 객관성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저널리즘 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저널리즘 | |
---|---|
언론 | |
뉴스 | 뉴스 |
기사 작성 스타일 | 스타일 |
윤리 | 언론윤리 |
객관성 | 객관성 |
뉴스 가치 | 뉴스 가치 |
정보원 | 정보원 |
명예훼손 | 명예훼손 |
편집의 독립 | 편집의 독립 |
저널리즘 스쿨 | 저널리즘 스쿨 |
분야 | |
예술 | 예술 |
경제 | 경제 |
데이터 | 데이터 |
엔터테인먼트 | 엔터테인먼트 |
환경 | 환경 |
패션 | 패션 |
의료 | 의료 |
정치 | 정치 |
과학 | 과학 |
스포츠 | 스포츠 |
기술 | 기술 |
교통 | 교통 |
날씨 | 날씨 |
세계 뉴스 | 세계 |
장르 | |
옹호 | 옹호 |
분석 | 분석 |
블로깅 | 블로깅 |
방송 | 방송 |
시민 | 시민 |
협업 | 협업 |
만화 기반 | 만화 기반 |
지역 사회 | 지역 사회 |
데이터 |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
디지털/온라인 | 디지털/온라인 |
설명 | 설명 |
사실 확인 | 사실 확인 |
곤조 | 곤조 |
인간 중심 | 인간 중심 |
몰입 | 몰입 |
해석 | 해석 |
조사 | 조사 |
멀티미디어 | 멀티미디어 |
내러티브 | 내러티브 |
뉴 저널리즘 | 뉴 저널리즘 |
비영리 | 비영리 |
의견 | 의견 |
평화 | 평화 |
사진 | 사진 |
보도 자료 | 보도 자료 |
감시 | 감시 |
타블로이드 | 타블로이드 |
지하 | 지하 |
비디오 | 비디오 |
시각 | 시각 |
감시견 | 감시견 |
사회적 영향 | |
가짜 뉴스 | 가짜 뉴스 |
제4권력 | 제4권력 |
제5권력 | 제5권력 |
언론의 자유 | 언론의 자유 |
교육 오락 | 교육 오락 |
경마 저널리즘 | 경마 저널리즘 |
매체 편향 | 매체 편향 |
뉴스 사막 | 뉴스 사막 |
핑크 슬라임 저널리즘 | 핑크 슬라임 저널리즘 |
홍보 | 홍보 |
선전 모델 | 선전 모델 |
황색 저널리즘 | 황색 저널리즘 |
언론 매체 | |
신문 | 신문 |
잡지 | 잡지 |
TV 및 라디오 | TV 및 라디오 |
인터넷 | 인터넷 |
뉴스 에이전시 | 뉴스 에이전시 |
대안 매체 | 대안 매체 |
역할 | |
언론인 (기자) | 언론인 (기자) |
칼럼니스트 | 칼럼니스트 |
블로거 | 블로거 |
편집자 | 편집자 |
카피 편집자 | 카피 편집자 |
기상학자 | 기상학자 |
뉴스 진행자 | 뉴스 진행자 |
사진 기자 | 사진 기자 |
전문가/해설가 | 전문가/해설가 |
2. 정의 및 역할
저널리즘은 다양한 독자층과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뉜다. 정부 활동을 감시하는 '제4부문'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며, 신문이나 웹사이트 같은 단일 매체 안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저널리즘이 각기 다른 형식으로 공존할 수 있다. 각 섹션은 서로 다른 독자층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8][9]
'''취재'''(取材)는 뉴스를 생산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자료는 취재원이라고 불린다. 취재 방식은 특정 출입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정보를 얻거나, 특정 분야의 정보만을 수집하는 방법 등으로 나뉜다. 인터뷰, 자료 검색, 보도자료 활용 등 다양한 수단이 사용된다.
'''보도'''(報道)는 취재를 통해 생산된 뉴스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기자는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하며, 이를 언론 매체를 통해 전달한다. 보도 형태는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데, 신문이나 잡지는 활자와 사진을, 라디오는 음성을, 텔레비전은 음성과 영상을 주로 사용한다.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인터넷은 글자, 사진, 음성, 영상을 모두 활용하여 뉴스를 전달할 수 있다.
보도에 사용되는 매체는 미디어라고 하며, 불특정 다수의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미디어를 통틀어 대중매체라고 부른다. 이 개념들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미디어, 대중매체,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가 저널리즘 자체를 지칭하는 경우도 많다.[105] 보도를 하는 주체는 보도기관이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국회 논쟁이나 전쟁과 같은 수많은 사건들을 직접 경험하기보다는, 주로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한다. 대중매체는 입수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편집하여 공개하는데, 이는 저널리즘의 본질적인 기능이며, 따라서 대중매체는 필연적으로 저널리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107]
로버트 W. 맥체스니(Robert W. McChesney)에 따르면, 민주주의 사회에서 건강한 저널리즘은 권력을 가진 이들과 권력을 추구하는 이들의 견해를 전달하고, 다양한 의견을 포괄하며, 모든 구성원의 정보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6] 일반적으로 저널리즘의 중요한 기능으로는 기자의 이름을 명시하는 "바이라인(기명)", 정보의 출처를 밝히는 "소스(정보 출처)", 인용 및 참조 출처를 명기하는 "크레딧",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는 옵에드(반대 의견), 오류를 바로잡는 "콜렉션(정정)" 등이 꼽힌다.[103][104]
특히 권력을 감시하는 역할, 즉 "감시견"(Watchdog) 기능은 저널리즘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권력의 부정을 파헤치는 것이 저널리즘의 핵심 사명이라는 주장이 많다.[133] 이러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표현의 자유의 일환으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다. 이는 미국 독립 전쟁이나 프랑스 혁명과 같은 시민 혁명 과정에서 신문 등의 보도가 여론 형성에 기여한 결과로 확립되었으며, 이후 수립된 정부들은 기본권의 하나로 표현의 자유를 법적으로 명시하게 되었다.[126] 대한민국 헌법 제21조에서도 "모든 국민은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고 명시하여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며, "언론·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과 집회·결사에 대한 허가는 인정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여 검열을 명확히 금지하고 있다.[127] 언론의 자유에는 취재의 자유와 매체의 유통 및 배포의 자유가 포함된다.[128]
한편, 관공서나 기업 등이 발표하는 정보를 그대로 전달하는 발표 보도는 획일적이고 비판적 시각이 결여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보도 행태로 지적된다.[153] 이와 대조적으로 탐사 보도는 공적인 발표에만 의존하지 않고, 깊이 있는 취재를 통해 숨겨진 사실을 밝혀내는 방식으로, 저널리즘의 본질적인 역할로 평가받는다.[154]
3. 저널리즘의 형태
주요 저널리즘 형태는 다음과 같다.
4. 저널리즘 윤리 및 표준
다양한 기존의 저널리즘 규범들은 약간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 – 진실, 정확성, 객관성, 공정성, 공평성 및 공공 책무성 –과 같은 공통된 기본 원칙을 공유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가치 있는 뉴스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과정 전반에 적용된다.[84][85][86][87][88]
빌 코바치와 톰 로젠스티엘은 그들의 저서 ''저널리즘의 요소''에서 언론인을 위한 몇 가지 지침을 제안했다.[89] 그들은 저널리즘의 첫 번째 충실성은 시민들에게 있으며, 따라서 언론인은 진실을 말할 의무가 있고 사회 내 권력 있는 개인과 기관을 독립적으로 감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널리즘의 본질은 검증이라는 규율을 통해 시민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로버트 W. 맥체스니에 따르면, 민주주의 국가에서 건강한 저널리즘은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권력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의 의견을 제공하고, 다양한 의견을 포함하며, 모든 사람의 정보 요구를 고려해야 한다.[6] 권력 감시, 소위 "감시견"(워치독) 기능은 저널리즘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권력의 잘못을 추궁하는 것이 저널리즘의 사명이라는 주장도 많다.[133]
저널리즘 윤리가 객관성과 중립성을 요구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다. 저널리스트는 특정 사회적 맥락 안에서 뉴스를 생산하며, 전문 윤리 강령에 따라 모든 정당한 관점을 나타내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또한 복잡하고 유동적인 주제를 충분한 정확성으로 서술하는 능력은 때때로 시간 제약, 사용되는 매체의 장점이나 한계, 그리고 사람들의 정체성이 변화하는 본질에 의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7]
국가별 윤리 및 관행
- 미국: 미국에서는 미디어 기관이나 개인이 저널리즘을 생산하며, 블로거도 종종 저널리스트로 간주된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홍보용 선물로 받은 제품에 대해 글을 쓰는 블로거가 해당 사실을 공개하도록 요구하는데, 이는 이해 상충을 방지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3] 많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기관은 법인으로 운영되며, 편집위원회를 두고 편집 부서와 광고 부서를 분리한다. 이들 기관이나 소속 언론인들은 종종 미국 뉴스 편집자 협회, 전문 저널리스트 협회, 탐사보도 기자 및 편집자(Investigative Reporters & Editors, Inc.), 또는 온라인 뉴스 협회와 같은 전문 단체의 윤리 강령을 따른다. 많은 뉴스 기관은 자체적인 윤리 강령을 가지고 있기도 한데, 예를 들어 ''뉴욕 타임스''의 표준 및 윤리 강령[4]은 특히 엄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뉴스 기사 작성 시 공정성과 편향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일부 기사는 저자의 의견을 반영하지만, 다른 기사들은 중립적이거나 균형 잡힌 관점을 제시하려 노력한다. 전통적인 인쇄 신문과 온라인 버전에서는 사실 기반 콘텐츠와 의견 기반 콘텐츠(칼럼, 사설 등)를 명확히 구분하지만[5], 다른 매체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모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심층 기사, 속보, 하드 뉴스 기사는 일반적으로 기사에서 의견을 배제하려고 시도한다.
- 유럽: 유럽의 일부 저널리즘 윤리 강령은[90] 인종, 종교, 성적 지향,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에 기반한 뉴스에서의 차별적인 언급을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한다.[91][92][93][94] 유럽 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1993년 저널리즘 윤리에 관한 결의안 1003을 승인하여 언론인들이 특히 재판 중인 사건의 경우 무죄 추정의 원칙을 존중할 것을 권고했다.[95]
- 영국: 영국에서는 모든 신문이 독립언론표준기구(IPSO)의 행동 강령을 준수해야 한다. 이 강령에는 개인의 사생활 존중 및 정확성 보장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 일본: 일본에서는 일본신문협회의 「신문 윤리강령」에서 "보도는 정확하고 공평해야 하며, 기자 개인의 입장이나 신조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객관적 보도의 정의는 모호하며, 기자 클럽 문제와 더불어 일본 보도 기관의 편향 보도 체질에 대한 비판과 함께 객관적 보도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도 존재한다.[152] 한편, 특정 사안에 대한 보도 가이드라인도 마련되어 있다.
-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 2000년 세계보건기구(WHO) 발표, 일본 후생노동성 준수 요청.
- LGBTQ 보도 가이드라인: 2019년 3월 제1판 발표.[157]
- 약물 보도 가이드라인: 2017년 발표.[158]
- 히키코모리 보도 가이드라인: 2022년 12월 발표.[159]
오류와 신뢰성 문제경쟁사보다 먼저 뉴스를 신속하게 보도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있는 글쓰기나 편집 과정에 비해 사실 오류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명백한 오보나 날조 보도에 대해서는 정정 보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시간 제약으로 인한 가장 유명한 저널리즘 실수 중 하나는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잘못 예측한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의 듀이가 트루먼을 물리치다 판이다.
보편적 강령의 부재와 모색전 세계적으로 242개가 넘는 저널리즘 윤리강령이 존재하며[96], 이는 해당 강령이 만들어진 사회의 경제적, 정치적 신념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96] 다양한 윤리강령이 있지만, 객관성 유지, 진실 보도, 정직성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핵심 요소이다.[96]
그러나 의사나 변호사와 달리 저널리즘에는 보편적인 행동 강령이 없으며, 개인이 특정 규칙을 법적으로 준수할 의무도 없다.[97] 저널리즘 분야에서 보편적인 행동 강령을 만들자는 논의가 있어 왔는데, 한 제안은 신뢰성(credibility), 정당한 결과(justifiable consequence), 그리고 인간성(humanity)이라는 세 가지 주장을 중심으로 한다.[98] 신뢰성 주장은 대중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의 성격과 획득 과정에 대한 질문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고, 정당한 결과 주장은 잠재적으로 해로운 기사의 이익과 손실을 저울질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성 주장은 저널리스트가 전 세계 인구를 위해 글을 쓰므로 국가나 도시 등 작은 충성심을 넘어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봉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98]
5. 법적 지위
정부는 기자들이 취재하고 보도할 수 있는 내용과 언론 기관이 발표할 수 있는 내용을 통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한다. 일부 정부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기자들이 조사하거나 발표할 수 있는 내용을 심각하게 제한하기도 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표현의 자유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다. 이는 미국 독립 전쟁이나 프랑스 혁명과 같은 시민 혁명 과정에서 신문 등의 보도가 여론 형성에 큰 역할을 한 결과, 새롭게 수립된 정부들이 기본권의 일부로 표현의 자유를 법적으로 인정한 데서 비롯되었다.[126] 대한민국 헌법 제21조는 제1항에서 "모든 국민은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고 명시하여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또한 같은 조 제2항에서는 "언론·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과 집회·결사에 대한 허가는 인정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여 검열을 명확히 금지하고 있다.[127] 언론의 자유에는 취재의 자유와 매체의 유통·배포의 자유가 포함된다.[128]
전쟁이나 국가 내 반란과 같은 분쟁 지역을 취재하는 기자는 정부의 보호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스스로 보호받을 권리를 포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분쟁 중에 포로가 되거나 구금된 기자는 민간인으로 간주되어 제네바 협약 등에 따라 보호받고 석방되어야 할 권리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많은 기자들이 업무 특성 때문에 정부나 특정 세력으로부터 협박, 괴롭힘, 폭력의 대상이 되고 있다.[100][124]
저널리스트의 중요한 직업 윤리 중 하나로 정보원의 비밀 보장이 거론되지만, 법적 보호 범위 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32] (자세한 내용은 정보원 보호 참조)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국가에서도 정부와 언론 매체 사이에서는 그 자유의 범위를 둘러싸고 종종 갈등이 발생한다.[129] 정부는 군사나 외교 관련 사항 등을 국가기밀로 지정하여 정보 접근을 제한하려 하는 반면[130], 많은 국가에서는 정보공개법을 제정하여 정부 공문서 등의 공개를 의무화하고 있다.[131]
반면, 독재 국가에서는 정부가 언론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민간 기업의 보도 사업 참여를 제한하고[117], 기자들에게 중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도를 묻는 시험을 부과하는 등[118]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일국양제 원칙에도 불구하고 홍콩 국가안전유지법 시행 이후 언론의 자유가 급격히 위축되어, 비판적 매체인 蘋果日報[120]나 스탠드 뉴스[121] 등이 폐간되고 언론인들이 체포되는 등[123] 탄압이 이어지고 있다.[119][122]
언론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는 국가에서는 언론인의 체포와 투옥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2022년 한 해에만 전 세계적으로 533명의 언론인이 보도 활동 중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같은 해 57명의 언론인이 살해되었다.[124] 이러한 탄압을 피해 망명하여 해외에서 보도를 이어가는 언론인들도 많다.[125]
국제 비영리 단체인 국경없는기자회는 매년 세계 언론 자유 지수를 발표하여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135]
5. 1. 정보원 보호
언론인과 정보원 간의 상호작용에는 때때로 비밀 유지가 포함된다. 이는 언론의 자유를 확장하는 개념으로, 경찰이나 검찰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비밀 정보 제공자의 신원을 비밀로 유지할 수 있는 법적 보호를 언론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정보원을 공개하라는 법원의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법정 모독죄로 기소되어 처벌받을 수도 있다.미국에서는 연방 법원 차원에서 정보원을 보호할 명시적인 권리는 없다. 다만 연방 법원은 법원이 찾는 정보가 사건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언론인에게 정보원 공개를 강제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각 주(州) 법원에서는 정보원 보호에 대해 다양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 명령에도 불구하고 증언을 거부하는 언론인은 법정 모독으로 간주되어 벌금형이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정보원의 신원을 밝히지 않고 보도할 경우, 정보의 진위 여부를 독자나 시청자가 직접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언론인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언론인이 비밀 정보원을 활용하는 데에는 신중함이 요구된다.[101]
6. 문제점 및 과제
저널리즘은 사회에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여러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객관성 및 공정성 확보의 어려움, 권력과의 관계 설정, 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 하락, 그리고 취재 및 보도 과정에서의 윤리 문제 등이 제기된다.
저널리즘 윤리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보도를 요구하지만, 현실에서는 기자의 가치관이나 외부 요인에 의해 편향이 발생할 수 있다.[5] 어떤 사건을 뉴스로 선택하고 어떻게 구성하여 전달할지 결정하는 과정 자체가 주관적 판단을 내포하기 때문이다.[150][151]
권력과의 관계 역시 저널리즘의 중요한 과제이다. 권력자는 종종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의 유통을 통제하려 하며, 이는 언론 통제나 탄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가 노골적으로 언론을 통제하거나 기자들을 위협하기도 한다.[117][119][120][121][37] 권력 감시라는 저널리즘 본연의 역할[133]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독립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 문제도 심각하다. 사실 확인 소홀이나 속보 경쟁은 오보를 낳기 쉬우며, 때로는 상업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정보를 조작하거나 허위 보도를 하는 옐로 저널리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악의적인 가짜 뉴스의 확산을 가속화시켰다.[16] 이는 사회적 혼란과 불신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며, 전 세계적으로 뉴스 전반에 대한 신뢰도 하락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143]
취재 및 보도 과정에서의 윤리 문제 또한 중요하다. 과도한 취재 경쟁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미디어 스크럼, 파파라치 등)[145], 피의자 인권 침해 가능성이 있는 실명 보도[144]나 무죄 추정의 원칙에 어긋나는 단정적 보도[148], 모방범죄 유발 우려[147], 명예훼손[149]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민주주의 사회에서 건강한 저널리즘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권력으로부터의 독립성 확보, 철저한 사실 확인과 공정한 보도 노력, 취재 및 보도 윤리 강화,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이 요구된다.
6. 1. 경마 저널리즘
경마 저널리즘은 사실관계 확인 없이 속보 경쟁이나 받아쓰기에만 치중하여 보도하는 행태를 의미한다.[170] 이러한 보도 방식은 사실 확인을 소홀히 하거나 다른 언론사와의 경쟁 때문에 성급하게 보도하는 과정에서 오보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다. 또한, 단순히 속보 경쟁을 넘어 판매 부수나 클릭 수를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이나 허위 보도를 하는 옐로 저널리즘의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6. 2. 가짜 뉴스
가짜 뉴스는 의도적으로 거짓 정보를 보도하는 것을 의미한다.[16] 이는 단순한 오보와는 구별되며, 특정 목적을 가지고 독자를 오도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허위 정보에 가깝다. 주로 소셜 미디어나 신뢰도가 낮은 웹사이트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가짜 뉴스의 확산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가짜 뉴스'라는 용어는 도널드 트럼프가 자신의 대선 운동 기간과 대통령 재임 중에 자신에게 비판적인 언론 보도를 불신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20] 이는 언론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정부가 가짜 뉴스 유포를 빌미로 언론을 통제하거나 기자들을 탄압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터키[21], 이집트[22], 인도[23], 방글라데시[24], 이란[25], 나이지리아[26], 에티오피아[27], 케냐[28], 코트디부아르[29], 몬테네그로[30], 카자흐스탄[31], 아제르바이잔[32], 말레이시아[33], 싱가포르[34], 필리핀[35], 소말리아[36] 등 여러 국가에서 COVID-19 팬데믹 관련 보도를 문제 삼아 기자들을 체포하거나 위협하는 일이 발생했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2022년 3월,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이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러시아군에 대한 "고의적 허위 정보" 유포 시 최대 15년의 징역형을 부과하는 법안에 서명했다.[37] 이로 인해 러시아 내 일부 언론사들은 보도를 중단하거나 폐쇄했으며, 2022년 12월까지 4,000명 이상이 이 법으로 기소되었고[38], 최소 1,000명의 러시아 기자가 자국을 떠났다.[39]
기존 언론에서도 사실 확인 소홀이나 경쟁으로 인한 성급함 때문에 오보가 발생하기도 한다. 판매 부수나 조회수를 늘리기 위한 조작이나 허위 보도(옐로 저널리즘)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일본의 경우, 명백한 오보나 날조 보도에 대해서는 정정 보도를 의무화하고 있으며[138], 방송윤리·방송향상기구(BPO)가 방송 내용의 윤리 문제를 심의한다.[139]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뉴스는 기존 언론에 비해 신뢰도가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2018년 일본 총무성 조사에 따르면, 기존 매스미디어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60% 이상이었지만, 소셜 미디어 뉴스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30%에 불과했다.[140] 이는 소셜 미디어 뉴스에는 정확성을 담보할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용자들은 발신자의 신뢰도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140] 실제로 2016년 일본에서는 큐레이션 사이트 WELQ가 저작권 침해와 부정확한 의료 정보 게시로 큰 논란을 빚고 폐쇄된 사건이 있었다.[108] 인터넷상에서의 가짜 뉴스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기관에서 팩트체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41] 가짜 뉴스는 때때로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대량 생산되기도 한다.[142] 뉴스에 대한 사회 전체의 신뢰도는 일본에서는 큰 변화가 없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하락하는 추세이다.[143]
6. 3. 맥락 저널리즘
맥락저널리즘은 짧게는 3분 이상, 길게는 10분 가까이 하나의 사안에 대해 해설하고 비평하는 보도 방식을 말한다.[171]6. 4. 정언유착과 여론 조작
황색언론의 주요 문제점 중 하나로 정언유착과 여론 조작을 지적할 수 있다. 정치 권력과 언론이 사적인 이익을 공유하며 결탁하면, 언론은 특정 정치적 입장을 대변하게 되고 대중에게 편향된 정보를 전달하여 여론을 조작할 위험이 커진다.이러한 정보 통제를 방지하기 위해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보장하며, 그 일부로서 언론의 자유 역시 보장된다. 미국 독립 전쟁이나 프랑스 혁명 같은 시민 혁명 과정에서 신문 등의 보도가 여론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언론의 자유가 중요한 가치로 확립되었고, 혁명 이후 수립된 정부들은 기본권의 하나로 표현의 자유를 법적으로 명시하게 되었다.[126] 일본의 경우 일본국헌법 제21조 1항에서 "집회, 결사 및 언론, 출판 기타 모든 표현의 자유는, 이를 보장한다"[127]고 명시하여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 더 나아가 2항에서는 "검열은, 이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여 검열 역시 명확히 금지하고 있다.[127] 언론의 자유는 취재의 자유와 보도 매체의 유통 및 배포의 자유를 포함한다.[128]
그러나 언론의 자유가 법적으로 보장된 이후에도, 정부와 언론 매체 사이에서는 그 자유의 범위를 둘러싼 갈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129] 특히 군사 및 외교 관련 중요 정보는 국가기밀로 지정되어 정보 접근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130] 반면, 많은 국가에서는 정보공개법을 제정하여 정부가 보유한 공문서 등을 일반 시민에게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131] 또한, 저널리스트의 중요한 직업 윤리 중 하나로 취재원 정보의 비밀 유지가 강조되지만, 형사 재판 등에서 어느 정도까지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다.[132]
권력을 감시하는 이른바 '감시견'(watchdog) 역할은 저널리즘의 핵심 기능으로 강조되며, 권력의 부정을 파헤치는 것이 저널리즘의 사명이라는 주장도 많다.[133] 하지만 권력 비판에만 치중할 경우, 비판 대상이 아닌 다른 문제(예: 권력에 반하는 범죄자 옹호)를 간과하거나 가치 판단의 혼란을 초래할 위험도 있다.[134]
언론 자유의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는 국경없는기자회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 언론 자유 지수가 있다.[135]
6. 5. 과잉 취재 및 보도 피해
기자들의 취재 매너와 도덕성이 결여된 과도한 취재는 심각한 문제이다. 예를 들어, 특정 사건이 발생했을 때 여러 언론사가 관계자에게 한꺼번에 몰려들어 취재 경쟁을 벌이면서 당사자나 주변 인물의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미디어 스크럼[145]이나, 유명인의 사생활을 집요하게 따라다니며 촬영하는 파파라치의 만연[145] 등이 대표적인 폐해이다. 이러한 과잉 취재는 개인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범죄 사건 보도 방식 역시 여러 문제가 있다. 일본에서는 청소년법에 따라 20세 미만 청소년의 경우 익명 보도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실명 보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실명 보도는 개인 정보 보호 침해나 보도 피해, 인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이 있으며, 익명 보도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다.[144]
또한, 범죄에 관해 지나치게 상세하게 보도하는 것은 시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146], 모방범을 낳거나[147], 범행 동기나 수법까지 자세히 알려줌으로써 새로운 범죄나 모방 자살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뉴스가 오락거리처럼 소비되고, 보도 프로그램이 선정적인 쇼처럼 변질되는 경향도 문제다. 취재 영상에 불필요한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 자극적인 자막이나 내레이션을 덧붙여 사실을 과장하거나 왜곡하는 과도한 연출 역시 비판받는다.[148]
특히, 경찰 수사 단계에 있는 피의자가 재판을 통해 유죄 판결을 받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언론이 마치 범인인 것처럼 단정적으로 보도하는 행태는 무죄 추정의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되며, 심각한 인권 침해 문제이다.[148]
언론 보도로 인해 개인의 명예가 훼손되는 일도 자주 발생한다. 법원에서 명예훼손이 인정될 경우, 해당 언론사는 손해배상 책임을 지거나 사과 광고 게재 등 명예 회복을 위한 조치를 해야 할 수 있다. 하지만 보도 내용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이고(공공성),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한 것이며(공익성), 내용이 진실일 경우에는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아 처벌받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보도의 자유와 개인의 명예 보호라는 두 가치는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적용 범위를 둘러싸고 많은 법적 다툼과 판례가 축적되고 있다.[149]
6. 6. 객관성 문제
객관적 보도에 대한 생각은 매체의 종류나 국가에 따라 다르다. 일본의 경우, 신문사나 잡지사 중에는 사시(社是)로 불편불당(不偏不黨,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을 내세우는 곳이 있다. 2000년에 제정된 일본신문협회의 '신문 윤리강령'에서는 "신문은 역사의 기록자이며, 기자의 임무는 진실 추구이다. 보도는 정확하고 공평해야 하며, 기자 개인의 입장이나 신조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하며 객관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특정 정당이나 정치 단체를 지지하는 신문이나 잡지도 존재하며, 정당이나 정치 단체가 직접 신문을 발행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정치 보도에서 공화당보다 민주당에 가까운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받는다.현실적으로 완벽한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세상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사건 중에서 어떤 것을 뉴스로 선택하고, 어떤 순서로 배열하며, 얼마만큼의 지면이나 방송 시간을 할애할지, 어떤 사진이나 영상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편집 과정 자체가 주관적인 판단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보도 기관은 특정 사건이나 사고에 대해 보도할 가치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뉴스를 선택하는데,[150] 이 '가치 판단'의 기준은 사회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151] 니클라스 루만과 같은 사회학자는 이러한 보도 시스템의 특성을 지적하며, 보도에 사회적 책임이나 중립성 같은 당위적인 규범을 요구하는 것이 현실과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51]
일본에서는 객관적 보도의 정의 자체가 애매하며, 객관적 보도가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객관성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부족하고, 기자클럽 제도가 가진 문제점과 맞물려 일본 언론의 편향 보도 경향이 자주 비판받으면서 객관적 보도는 이상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152]
객관성 문제와 관련하여 발표 보도의 폐해가 지적된다. 이는 관공서나 수사기관, 기업 등이 기자회견이나 보도자료를 통해 발표하는 정보를 깊이 있는 검증이나 취사선택 없이 그대로 전달하는 보도 행태를 말한다. 이러한 방식은 보도의 획일성이나 일면성을 초래하고 비판적 시각이 결여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153] 일본의 기자클럽 제도는 언론사 기자들이 특정 기관에 상주하며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제공되는 정보에 안주하여 심층 취재를 소홀히 하고 발표 보도에 치중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비판받는다.[155] 이와 대조적으로, 공적인 발표에만 의존하지 않고 기자가 직접 발로 뛰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숨겨진 사실을 밝혀내는 탐사 보도는 저널리즘의 중요한 본질로 강조된다.[154]
7. 역사
저널리즘의 역사는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방식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인쇄술의 발달로 대량 인쇄가 가능해지면서, 신문은 뉴스를 전달하는 주요 매체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말기인 1582년에 사설 신문 발행인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며[42], 유럽에서는 1605년 스트라스부르크에서 발행된 요한 카롤루스(Johann Carolus)의 ''Relation aller Fürnemmen und gedenckwürdigen Historien''이 최초의 신문 중 하나로 여겨진다.
17세기 들어 신문 발행 주기가 짧아지고 정기화되면서 내용도 다양해졌다. -- 특히 영국에서는 1695년 언론 검열이 폐지되면서 언론의 자유가 확립되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43] 18세기 영광혁명이나 미국 독립 전쟁과 같은 시민혁명 과정에서 신문은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혁명 이후 수립된 정부들은 자유권의 일부로서 언론의 자유를 법적으로 보장하기 시작했다.[160]
19세기에는 기술 발달과 함께 신문 가격이 낮아지면서 대중화되었고, 뉴스의 속보성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전까지는 사실 확인이나 객관성이 부족한 경우도 있었으나, 독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점차 사실을 중시하고 객관 보도 원칙을 강조하게 되었다.[161] 객관 보도가 정착된 배경에는 1830년대 저렴한 신문인 페니 페이퍼(Penny Paper)의 보급, 19세기 중반 통신사 설립, 그리고 20세기 초 저널리즘의 전문성 확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162] 뉴스 수요 증가는 저널리스트라는 직업의 전문화를 이끌었으나[163], 한편으로는 판매 부수 경쟁으로 인한 선정주의, 즉 옐로 저널리즘이 나타나기도 했다.[164]
20세기에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이 저널리즘의 지형을 바꾸었다. 1920년대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고[16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텔레비전 방송이 급속히 보급되면서[166] 신문, 잡지와 함께 대중매체의 중심축을 이루었다. 이들 4대 매체는 오랫동안 저널리즘을 주도했다.[106][107]
21세기에 들어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저널리즘에 또 다른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누구나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게 되면서 시민 저널리즘이 활성화되었고, 저널리스트들은 소셜 미디어를 중요한 정보 출처 및 소통 창구로 활용하게 되었다.[12] 2021년 퓨 리서치 센터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의 86%가 디지털 기기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등[13] 뉴스 소비 방식도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저널리즘이 더 이상 소수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 다수의 대중이 참여하는 분산된 과정이라는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14] 그러나 한편으로는 정보의 범람과 검증되지 않은 정보의 확산으로 인해 뉴스 매체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15]
7. 1. 중국
한나라 시대 중국에서는 정부가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뉴스 게시판을 사용했다.[40] 그러나 이는 정부 관리만을 위한 것이었으므로 현대적인 의미의 저널리즘 뉴스 출판물과는 거리가 있었다.1910년 이전 중국의 언론은 주로 국제 사회를 대상으로 했다. 1911년 청나라 왕조의 붕괴는 중국 민족주의의 급증, 검열의 종식, 그리고 전문적이고 전국적인 언론에 대한 수요를 가져왔다.[56] 모든 주요 도시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일어났으나, 1920년대 후반에는 광고 수주와 판매 부수 확대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되면서 혁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던 옹호 언론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57]
현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정부가 언론에 대해 강력한 통제를 시도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정부는 권력 유지에 유리한 정보만을 전달하려 하며, 이는 객관적인 상황 판단을 어렵게 만든다. 2021년에는 민간 기업의 보도 사업 참여를 금지하는 방안을 발표했고[117], 2023년에는 언론인에게 중국 공산당에 대한 충성도를 평가하는 자격 시험을 부과한다는 보도가 나왔다[118].
특히 홍콩의 경우, 일국양제 원칙 아래 높은 수준의 언론 자유가 보장되었으나, 2020년 중국 정부의 주도로 홍콩 국가안전유지법이 시행된 이후 언론의 자유가 급격히 위축되었다.[119] 중국 정부에 비판적인 논조를 유지하던 신문 蘋果日報가 2021년 6월 폐간되었고[120], 스탠드 뉴스 등 여러 민주 진영 온라인 매체도 문을 닫는[121] 등 언론 탄압이 이어지면서 홍콩의 언론 자유도 순위는 크게 하락했다.[122] 이러한 탄압은 계속되어 2022년 9월에는 홍콩 기자 협회 회장이 체포되기도 했다.[123]
중국을 포함한 언론의 자유가 제한된 국가에서는 언론인의 체포 및 투옥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2022년 한 해 동안 중국을 비롯하여 미얀마, 이란, 베트남, 벨라루스 등에서 총 533명의 언론인이 보도 활동과 관련하여 투옥되었다.[124]
7. 2. 한국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7. 3. 미국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와 조셉 퓰리처 같은 인물들이 주도하는 거대 미디어 기업들이 등장했다. 당시 미국 신문들은 정치적으로 편향된 내용을 줄이면 더 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광고 수익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1900년경부터는 특정 정당에 치우치지 않고 정치색을 덜 드러내는 보도를 하기 시작했다.[64] 이 시기 신문들은 사람들의 흥미를 끄는 선정적인 보도 방식을 채택하고, 더 큰 글자 크기와 눈에 띄는 지면 구성을 사용했는데, 이러한 경향을 "저널리즘의 황금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신문 발행은 더욱 전문화되었고, 기사의 질과 기자들의 직업 윤리도 크게 향상되었다.[65]이 시대에 언론의 자유가 중요한 법적 원칙으로 자리 잡게 된 계기가 있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파나마 운하 매입 과정의 부패 의혹을 보도한 신문사를 고소하려 했으나 실패한 사건이 대표적이다.[66] 하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정부가 언론의 보도를 직접적으로 억압하기는 어려워졌지만, 소수의 대기업이 신문사를 비롯한 언론 매체 소유를 독점하면서 다른 종류의 편향성이 나타난다는 지적이다. 즉, 기업이나 정부의 입맛에 맞는 보도가 이루어지거나 언론 스스로 자기 검열을 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67][68][69]
7. 4. 영국
영국에서는 1695년에 언론의 자유가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가디언의 전 편집장인 앨런 러스브리저는 "영국의 언론 검열은 1695년에 폐지되었습니다. 여기서 얻은 자유가 세계 대부분의 다른 지역의 모델이 된 것을 기억하고, 세계가 여전히 우리가 어떻게 그 자유를 보호하는지 주시하고 있음을 인식하십시오."라고 언급하며 이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3] 성공적인 영어 일간지인 데일리 쿠랑트는 1702년부터 1735년까지 발행되었다.[44] 신문 사업은 신성 로마 제국이나 영국 제국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사적인 사업으로 시작되었다.[45]현대 영국에서는 모든 신문이 독립언론표준기구(Independent Press Standards Organisation, IPSO)의 행동 강령을 따라야 한다. 이 강령에는 개인의 사생활 존중과 보도의 정확성 보장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미디어 표준 트러스트(Media Standards Trust)는 IPSO의 전신인 언론불만처리위원회(PCC)가 대중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비판한 바 있다.
7. 5. 프랑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파리의 신문들은 대체로 침체기를 겪었다. 1910년 500만 부였던 일간 신문의 발행 부수는 600만 부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후 가장 성공적인 신문은 정치적 의제가 없고, 발행 부수를 늘리기 위한 선정적인 보도와 권위를 높이기 위한 심층 기사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데 전념한 《파리수아르》(Paris-Soir|파리수아르fra)였다. 1939년에는 발행 부수가 170만 부를 넘어, 가장 가까운 경쟁자였던 타블로이드 신문 《르 프티 파리지앵》(Le Petit Parisien|르 프티 파리지앵fra)의 두 배에 달했다. 《파리수아르》는 일간 신문 외에도 매우 성공적인 여성 잡지 《마리끌레르》(Marie-Claire|마리클레르fra)를 후원했다. 또 다른 잡지 《마슈》(Match|마슈fra, Paris Match)는 미국의 잡지 《라이프》(Life|라이프eng)의 사진 저널리즘을 본떠 만들어졌다.[58]7. 6. 인도
인도 최초의 신문인 히키의 벵골 가제트(Hicky's Bengal Gazette)는 1780년 1월 29일에 발행되었다. 이 최초의 저널리즘 시도는 짧은 기간 동안만 지속되었지만, 인도 근대 저널리즘의 탄생이라는 중대한 발전이었다. 히키의 노력(발행 후 2년 만에 중단됨) 이후, 여러 영어 신문이 발행되기 시작했다. 대부분 주간지였으며, 약 400부의 발행 부수를 기록했고, 개인 뉴스와 다양한 상품에 대한 분류 광고를 실었다.1800년대에 들어서는 인도 출판사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인도인을 대상으로 영어 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인도 내 다양한 언어는 국민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었다. 이들은 광대한 인도 땅의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거의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어는 점차 인도 전역에서 통용어(lingua franca)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목할 만한 신문 중 하나는 1816년 갱가다르 바타차리야(Gangadhar Bhattacharyya)가 시작한 '벵골 가제트(Bengal Gazette)'이다.
8. 디지털 시대의 저널리즘
지난 20년 동안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뉴스 보도는 저널리즘과 대중매체의 역할 및 지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람들이 전자책 단말기, 스마트폰 등 전자 기기를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 경향이 늘면서,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인쇄 매체의 이용은 감소하고 있다. 퓨 리서치 센터가 2021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의 86%가 디지털 기기를 통해 뉴스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뉴스 기관들은 디지털 부문에서의 수익 증대와 인쇄 매체 방식 개선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많은 경우 인쇄 매출 감소 속도가 디지털 매출 증가율을 앞지르고 있다.[2]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뉴스룸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텔레비전과 같은 전통 매체의 시청률 감소와 함께 뉴스룸의 인력과 보도 범위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예를 들어, CNN은 2007년부터 2012년 사이에 뉴스 보도 시간을 절반 수준으로 줄였는데,[79] 이러한 보도의 간결화는 시청자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79]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21세기 들어 미국 신문의 발행 부수는 급격히 감소했다.[80] 한편, 기존 미디어가 제공하기 어려워진 고품질 정보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여, 디지털 기반의 비영리 뉴스룸이 증가하는 추세이다.[81][82]
디지털 시대는 시민 저널리즘의 등장을 촉진했다.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이용해 일반 시민들도 뉴스 현장을 기록하고 유튜브 등의 플랫폼에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콘텐츠는 종종 주류 언론 매체에 의해 활용되기도 한다. 소셜 미디어의 부상은 저널리즘 보도의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2014년 미국 저널리스트 대상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40%가 소셜 미디어를 정보 출처로 활용하며, 20% 이상이 마이크로블로그를 통해 사실을 확인한다고 답했다.[12] 속보는 소셜 미디어에 게시된 사용자 생성 콘텐츠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아졌다.[12] 이러한 변화는 저널리즘을 소수의 전문 기자가 아닌, 일반 대중을 포함한 다수의 참여자가 만들어가는 분산된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14]
그러나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 문제점도 부각되고 있다. 2014년 연구에서 저널리스트의 약 70%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독자와 소통하는 데 동의했지만, 소셜 미디어가 뉴스 신뢰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30%에 불과했다.[12] 실제로 뉴스 매체에 대한 전반적인 신뢰도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2014년 연구에서 미국인의 22%만이 텔레비전 뉴스나 신문을 "매우 많이" 또는 "꽤 많이" 신뢰한다고 답했다.[15]
특히 디지털 환경에서는 "가짜 뉴스" 또는 허위 정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가짜 뉴스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사실이 아닌 정보를 퍼뜨리는 것으로,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음모론이나 거짓 정보가 뉴스 형식으로 유포된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존재하지 않는 "덴버 가디언"이라는 매체가 힐러리 클린턴 관련 허위 정보를 보도하기도 했다.[17] 많은 비평가들은 페이스북, 트위터, 틱톡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이러한 허위 정보 확산의 통로가 되었다고 지적했다.[18]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2018년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자사의 책임을 일부 인정하며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이제 우리가 이러한 도구들이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가짜 뉴스, 선거 개입, 증오 표현뿐만 아니라 개발자 및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에도 해당됩니다.[19]
"가짜 뉴스"라는 용어는 도널드 트럼프가 2016년 대선 운동 중 자신에게 비판적인 보도를 불신하게 만들려는 의도로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20]
가짜 뉴스 문제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터키[21], 이집트[22], 인도[23], 방글라데시[24], 이란[25], 나이지리아[26], 에티오피아[27], 케냐[28], 코트디부아르[29], 몬테네그로[30], 카자흐스탄[31], 아제르바이잔[32], 말레이시아[33], 싱가포르[34], 필리핀[35], 소말리아[36] 등 여러 국가에서 기자들이 COVID-19 범유행 관련 허위 정보를 유포했다는 혐의로 체포되거나 위협받는 사례가 발생했다. 2022년 3월,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군 관련 "고의적 허위 정보" 유포 시 최대 15년형을 선고하는 법안에 서명했으며, 이로 인해 일부 러시아 언론은 우크라이나 관련 보도를 중단하거나 폐쇄했다.[37] 2022년 12월까지 이 법으로 4,000명 이상이 기소되었고,[38] 2022년 2월 이후 최소 1,000명의 러시아 기자가 자국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39] 독자들은 뉴스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 해당 뉴스 기관의 공신력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9. 관련 용어
- '''off-the-record|오프 더 레코드eng''' : 비보도를 전제로 하는 비공식 발언을 뜻한다. 소스 (저널리즘) 참조.
- '''on-the-record|온 더 레코드eng''' : 오프 더 레코드의 반대말로 보도를 전제로 한 발언을 뜻한다.
- '''background briefing|백그라운드 브리핑eng''' : 정부 등의 취재원이 뉴스와 관련된 사안을 설명하는 것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보도를 하지 않거나 익명으로 보도하는 것이 관례이다.
- '''딥 스로트'''(Deep Throateng) : 익명의 제보자를 뜻한다. 워터게이트 사건을 폭로한 기자들이 제보자를 당시 유행하던 포르노 영화의 제목인 딥 스로트라고 부르면서 이 뜻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 '''보도 자료'''(報道資料)는 정부나 기업 등이 홍보를 목적으로 어떤 사건이나 행사에 대하여 언론 매체에 배포한 자료를 말한다.
- '''뉴스 엠바고'''(news embargoeng) : 취재한 사안을 보도하는 것을 일정 기간 미루기로 약속하는 것을 말한다.
- '''보도 지침'''(報道指針) : 제5공화국 당시 문화공보부가 신문사와 방송사에 은밀히 하달한 보도에 대한 지시 사항이다.
- '''특종'''(特種) : 언론사가 단독으로 어떤 뉴스를 보도하는 것을 말한다.
- '''낙종'''(落種) : 특종의 반대말로 특종을 다른 언론사에 빼앗기는 것을 말한다.
참조
[1]
웹사이트
10 Most Censored Countries
http://www.cpj.org/r[...]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2013-05-23
[2]
웹사이트
Circulation, revenue fall for US newspapers overall despite gains for some
https://www.pewresea[...]
2017-06-01
[3]
웹사이트
The FTC's Endorsement Guides: What People Are Asking
https://www.ftc.gov/[...]
2017-09-07
[4]
웹사이트
Standards and Ethics
http://www.nytco.com[...]
[5]
웹사이트
What Is an Op-Ed Article?
https://www.thebalan[...]
2022-05-16
[6]
논문
Farewell to Journalism?
2012-10-01
[7]
논문
The Evolution of Story: How Time and Modality Affect Visual and Verbal Narratives
https://eprints.qut.[...]
2018-00-00
[8]
논문
Public perceptions of a newspaper's watchdog role
1997-01-01
[9]
서적
Journalism: principles and practice
SAGE
2011-00-00
[10]
뉴스
Drone journalism takes off
http://www.abc.net.a[...]
2012-02-21
[11]
백과사전
Gonzo Journalism
https://www.britanni[...]
[12]
웹사이트
The American Journalist in the Digital Age: Key Findings
http://archive.news.[...]
2014-00-00
[13]
웹사이트
86% of Americans get news online from smartphone, computer or tablet
https://www.pewresea[...]
2021-01-12
[14]
논문
"Journalism as Process": The Organizational Implications of Participatory Online News
[15]
논문
The Internet Is Not the Antidote: A Cultural-Historical Analysis of Journalism's Crisis of Credibility and the Internet as a Remedy
2015-00-00
[16]
웹사이트
Fake news / topic
https://trends.googl[...]
2024-11-16
[17]
뉴스
US election: Fake news becomes the news
https://www.bbc.com/[...]
2016-11-07
[18]
뉴스
Mark Zuckerberg is in denial about how Facebook is harming our politics
https://www.vox.com/[...]
[19]
뉴스
Facebook CEO Mark Zuckerberg to Capitol Hill: 'It was my mistake, and I'm sorry.'
https://www.washingt[...]
2018-04-09
[20]
뉴스
Trump finally admits that "fake news" just means news he doesn't like
https://www.vox.com/[...]
[21]
뉴스
Turkey: COVID-19 pandemic increases climate of fear for journalists
https://www.amnesty.[...]
2020-05-01
[22]
뉴스
Egypt is more concerned with controlling information than containing the coronavirus
https://www.theglobe[...]
2020-04-03
[23]
뉴스
Journalists detained, assaulted in India during COVID-19 lockdown
https://cpj.org/2020[...]
2020-04-28
[24]
뉴스
Bangladeshi journalists, cartoonist, arrested for Covid-19 coverage
https://rsf.org/en/n[...]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0-05-14
[25]
뉴스
Iran: Press freedom violations recounted in real time January 2020
https://rsf.org/en/n[...]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0-05-14
[26]
뉴스
Coronavirus Law Used to Arrest Nigerian Journalist Over Health Story
https://www.marketwa[...]
2020-04-20
[27]
뉴스
Ethiopia: Free Speech at Risk Amid Covid-19
https://www.hrw.org/[...]
2020-05-06
[28]
뉴스
Protect Kenya's Journalists Reporting on Covid-19
https://www.hrw.org/[...]
2020-05-04
[29]
뉴스
Authorities across West Africa attacking journalists covering COVID-19 pandemic
https://ifex.org/aut[...]
2020-04-22
[30]
뉴스
Concern for Rights in Montenegro amid COVID-19 Fight
https://balkaninsigh[...]
2020-03-26
[31]
뉴스
Kazakh journalists harassed over Covid-19 reporting
https://rsf.org/en/n[...]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0-04-30
[32]
뉴스
Azerbaijan: Crackdown on Critics Amid Pandemic
https://www.hrw.org/[...]
2020-04-16
[33]
뉴스
Malaysian journalist faces six years in prison over COVID-19 Facebook posts
https://cpj.org/blog[...]
2020-05-05
[34]
뉴스
Singapore's Fake News and Contempt Laws a Threat to Media, Journalists Say
https://www.voanews.[...]
2020-05-06
[35]
뉴스
Some leaders use pandemic to sharpen tools against critics
https://abcnews.go.c[...]
2020-04-16
[36]
뉴스
Somali Journalists Arrested, Intimidated While Covering COVID-19
https://www.voanews.[...]
2020-04-18
[37]
뉴스
Putin Signs Law Introducing Jail Terms for 'Fake News' on Army
https://www.themosco[...]
2022-03-04
[38]
뉴스
In Russia, critiquing the Ukraine war could land you in prison
https://www.csmonito[...]
2022-12-05
[39]
뉴스
1K Journalists Have Fled Russia Since Ukraine Invasion – Report
https://www.themosco[...]
2023-02-03
[40]
간행물
The Early East Asian Press in the Eyes of the West. Some bibliographical note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06-08-24
[41]
서적
Roman Avvisi: Information and Politics in the Seven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2]
서적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43]
뉴스
Leveson Inquiry: British press freedom is a model for the world, editor tells inquiry
https://web.archive.[...]
2017-10-14
[44]
웹사이트
First Journalism School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45]
간행물
A Russian Daily Newspaper and Its New Readership:" Severnaia Pchela", 1825–1840
1987
[46]
서적
The early American press, 1690–1783
1994
[47]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Journalism
2008
[48]
서적
This popular engine: New England newspapers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 1775–1789
1992
[49]
서적
Politics and the American press: The rise of objectivity, 1865–19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0]
서적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reation of Modern Political Culture: The transformation of the political culture, 1789–1848
1989
[51]
서적
Rhineland Radicals: The Democratic Movement and the Revolution of 1848
Princeton
1991
[52]
서적
"The Russian Bulletin," 1863–1917: A Liberal Voice in Tsarist Russia
2000
[53]
서적
Fighting Words: Imperial Censorship and the Russian Press, 1804–1906
1982
[54]
서적
Chronik der deutschen Sozialdemokratie
J.H.W. Dietz Nachf.
1963
[55]
웹사이트
Print Media. France
2014-11-01
[56]
간행물
Toward a History of the Chinese Press in the Republican Period
1997
[57]
간행물
China, professional journalism, and liberal internationalism in the era of the First World War
2010
[58]
서적
Unknown
[5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British Politics
2002
[60]
서적
Oxford Dictionary of Quotations
1975
[61]
뉴스
Clare Hollingworth: British war correspondent dies aged 105
https://www.bbc.co.u[...]
2017-01-10
[62]
뉴스
Clare Hollingworth, Reporter Who Broke News of World War II, Dies at 105
https://www.nytimes.[...]
2017-01-10
[63]
뉴스
George Orwell and the eternal truths of good journalism
https://www.theguard[...]
2021-07-19
[64]
서적
Politics and the American press: the rise of objectivity, 1865–1920
2002
[65]
서적
American Journalism: A History, 1690–1960
Macmillan
1962
[66]
서적
American Journalism
1962
[67]
서적
Empire of Illusion: The End of Literacy and the Triumph of Spectacle
Nation Books
2009
[68]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2005
[69]
서적
The Media, Journalism, and Democracy
Routiedge
2017-11-22
[70]
서적
The African American press: a history of news coverage during national cri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four black newspapers, 1827–1965
McFarland
2006
[71]
서적
The African American Newspaper: Voice of Freedom
[72]
웹사이트
How Long Do You Go to School to Be a Journalist?
https://careertrend.[...]
2021-10-12
[73]
웹사이트
2022 Best Journalism Schools
https://www.collegef[...]
2021-10-12
[74]
논문
The issues deserve more credit: Pragmatist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public involvement in the controversy
[75]
서적
The Two W's of Journalism: The Why and What of Public Affairs Report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76]
논문
Can democracy survive in the post-factual age?: A return to the Lippmann-Dewey debate about the politics of news
[77]
논문
The active recipient: Participatory journalism through the lens of the Dewey-Lippmann debate
[78]
논문
Broadcasting Bolshevik: The radio voice of Soviet culture, 1920s–1950s
[79]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News Media 2013: An Annual Report in American Journalism
https://web.archive.[...]
Pew Research Center's Project for Excellence in Journalism
2013-05-23
[80]
웹사이트
Despite subscription surges for largest U.S. newspapers, circulation and revenue fall for industry overall
http://www.pewresear[...]
2018-05-01
[81]
웹사이트
Independent websites team up to boost rural journalism
https://apnews.com/a[...]
2023-07-25
[82]
뉴스
When the Local Paper Shrank, These Journalists Started an Alternative
https://www.nytimes.[...]
2023-07-25
[83]
서적
Worlds of Journalism: Journalistic Cultures around the Globe
https://www.amazon.c[...]
[84]
웹사이트
Fourth Estate – Core Journalism Principles, Standards and Practices
https://web.archive.[...]
Fourth Estate Public Benefit Corporation
2016-12-02
[85]
웹사이트
IFJ (International Federation of Journalists) – Declaration of Principles on the Conduct of Journalists
https://web.archive.[...]
[86]
웹사이트
ASNE (American Society of Newspapers Editors) – Statement of Principles
https://web.archive.[...]
2013-03-01
[87]
웹사이트
APME (Associated Press Managing Editors) – Statement of Ethical Principles
https://web.archive.[...]
2013-03-01
[88]
웹사이트
(Society of Professional Journalists) – Code of Ethics
https://web.archive.[...]
SPJ
2013-03-01
[89]
웹사이트
The Elements of Journalism: What Newspeople Should Know and the Public Should Expect – Introduction | Project for Excellence in Journalism (PEJ)
https://web.archive.[...]
Journalism.org
2013-02-23
[90]
웹사이트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 Resolution 1003 (1993) on the ethics of journalism
https://web.archive.[...]
[91]
웹사이트
UK – Press Complaints Commission – Codes of Practice
https://web.archive.[...]
[92]
웹사이트
Italy – FNSI's La Carta dei Doveri (The Chart of Duties)
https://web.archive.[...]
2012-12-24
[93]
웹사이트
Spain – FAPE's Código Deontológico (Deontological Code)
http://www.fape.es/i[...]
[94]
웹사이트
Brazil – FENAJ's Code of Ethics
https://web.archive.[...]
[95]
웹사이트
PACE Resolution 1003 (1993) on the Ethics of Journalism
https://web.archive.[...]
[96]
논문
Ethical convergence, divergence or communitas? An examination of public relations and journalism codes of ethics
2016-03-01
[97]
논문
The Conflict of Journalists
http://web.b.ebscoho[...]
1998-08-03
[98]
논문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Global Journalism Ethics
2018-03-05
[99]
논문
Canaries in a coal-mine? What the killings of journalists tell us about future repression
2017-03
[100]
웹사이트
Press Freedom Online
http://www.cpj.org/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101]
논문
No More Sources?: The impact of Snowden's revelations on journalists and their confidential sources
https://www.tandfonl[...]
2017-07-03
[102]
서적
記号学小辞典
同学社
1992-11-01
[103]
웹사이트
ニューズ・オプエド®とは
https://op-ed.jp/abo[...]
[104]
웹사이트
日本のジャーナリズムは終わってる?上杉隆が語るメディアの未来
https://qreators.jp/[...]
2016-07-04
[105]
서적
メディアとジャーナリズムの理論 基礎理論から実践的なジャーナリズム論へ
同友館
2011-08-22
[106]
서적
メディアとジャーナリズムの理論 基礎理論から実践的なジャーナリズム論へ
同友館
2011-08-22
[107]
서적
図説 日本のメディア
NHK出版
2012-09-30
[108]
서적
よくわかるメディア法 第2版
ミネルヴァ書房
2019-05-30
[109]
뉴스
宣伝広告なのか、記事なのか「オウンドメディア」が活況の理由 信用のカギは「ぶっちゃけて伝える」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5-22
[110]
서적
現代ニュース論
有斐閣
2000-11-20
[111]
서적
メディアとジャーナリズムの理論 基礎理論から実践的なジャーナリズム論へ
同友館
2011-08-22
[112]
서적
現代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第2版
世界思想社
2018-04-30
[113]
서적
新訂 新聞学
日本評論社
2009-05-20
[114]
서적
新訂 新聞学
日本評論社
2009-05-20
[115]
서적
新訂 新聞学
日本評論社
2009-05-20
[116]
논문
Canaries in a coal-mine? What the killings of journalists tell us about future repression
2017-03-00
[117]
뉴스
中国、民間企業の報道事業禁止案を公表 統制強め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10-09
[118]
웹사이트
中国,ジャーナリスト資格に思想試験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
2024-02-25
[119]
뉴스
中国の統制強まる香港メディア-基本法が定める報道の自由に危うさ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1-06-10
[120]
뉴스
「報道の自由は暴政の犠牲となった」 香港・リンゴ日報が最後の新聞発行
東京新聞
2021-06-24
[121]
뉴스
香港独立系メディアの立場新聞、閉鎖へ-警察が幹部ら逮捕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1-12-29
[122]
뉴스
報道の自由度、香港が急落148位 統制強化止まら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5-03
[123]
뉴스
香港警察、記者協会トップを逮捕 「報道の自由」求め、出国前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9-08
[124]
뉴스
ジャーナリストの逮捕・投獄 2022年世界で記録的な533人 RSF年次レポート
https://minpo.online[...]
民放Online
2023-01-12
[125]
뉴스
ロシア「反戦」ジャーナリスト、仏に亡命 星を頼って暗闇に数時間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2-12
[126]
서적
歴史の中の新聞 世界と日本
日本評論社
2009-05-20
[127]
웹사이트
(일본 헌법)
https://laws.e-gov.g[...]
電子政府の総合窓口 E-gov
2018-07-04
[128]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129]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130]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131]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132]
서적
新版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概論
学陽書房
2009-05-15
[133]
서적
現代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第2版
世界思想社
2018-04-30
[134]
서적
メディア学の現在 新版
世界思想社
2001-04-20
[135]
웹사이트
世界報道自由度指数2023、南西アジア地域は全体的に低評価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3-05-19
[136]
서적
テキスト現代ジャーナリズム論
ミネルヴァ書房
2008-01-30
[137]
서적
現代政治学 第3版
有斐閣
2007-09-30
[138]
서적
よくわかるメディア法 第2版
ミネルヴァ書房
2019-05-30
[139]
서적
よくわかるメディア法 第2版
ミネルヴァ書房
2019-05-30
[140]
웹사이트
令和元年版情報通信白書 第1部 特集 進化するデジタル経済とその先にあるSociety 5.0 第4節 デジタル経済の中で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とメディア
https://www.soumu.go[...]
日本国総務省
2024-02-27
[141]
서적
よくわかるメディア法 第2版
ミネルヴァ書房
2019-05-30
[142]
웹사이트
数千万稼ぐ者も…「フェイクニュース製造村」で見た驚きの現実
https://gendai.media[...]
2024-02-27
[143]
웹사이트
世界的に低下するニュースへの信頼度・関心 進むマス・メディア離れ 比較的軽度だが、日本でも似た傾向 報道避ける割合も微増
https://minpo.online[...]
2024-02-27
[144]
서적
メディア学の現在 新版
世界思想社
2001-04-20
[145]
서적
新訂 新聞学
日本評論社
2009-05-20
[146]
서적
メディア学の現在 新版
世界思想社
2001-04-20
[147]
웹사이트
テキサス銃乱射事件、警察はテレビ中継で容疑者の名前を公表せず「彼の行為に、悪名を与えない」
https://www.huffingt[...]
huffingtonpost
2019-09-03
[148]
서적
新現代マスコミ論のポイント
学文社
2004-04-10
[149]
서적
よくわかるメディア法 第2版
ミネルヴァ書房
2019-05-30
[150]
웹사이트
(ほぼ)全員有罪の社会システムが稼働した
日経BP社
2008-04-03
[151]
웹사이트
不安モードで暴走するのはマスメディア・システムの宿命か
日経BP社
2008-04-17
[152]
서적
「客観報道」とは何か 戦後ジャーナリズム研究と客観報道論争
新泉社
2006-04
[153]
서적
メディア学の現在 新版
世界思想社
2001-04-20
[154]
서적
メディア学の現在 新版
世界思想社
2001-04-20
[155]
서적
新現代マスコミ論のポイント
学文社
2004-04-10
[156]
웹사이트
やめられぬ「こたつ記事」 スポーツ紙が陥ったジレンマ
https://www.asahi.co[...]
2024-02-27
[157]
웹사이트
「LGBTQ報道ガイドライン」第2版が公開。「注意すべきフレーズ」が新設
https://news.yahoo.c[...]
2022-12-08
[158]
웹사이트
薬物報道の曲がり角──「叩くより治療を」配慮求める声
https://news.yahoo.c[...]
2022-12-08
[159]
웹사이트
「ひきこもり」渦中の人を無断撮影するメディアも…市民グループが「報道ガイドライン」発表
https://www.bengo4.c[...]
2022-12-08
[160]
서적
歴史の中の新聞 世界と日本
日本評論社
2009-05-20
[161]
서적
現代ニュース論
有斐閣
2000-11-20
[162]
서적
現代ジャーナリズムを学ぶ人のために 第2版
世界思想社
2018-04-30
[163]
서적
現代ニュース論
有斐閣
2000-11-20
[164]
서적
テキスト現代ジャーナリズム論
ミネルヴァ書房
2008-01-30
[165]
서적
新現代マスコミ論のポイント
学文社
2004-04-10
[166]
서적
新現代マスコミ論のポイント
学文社
2004-04-10
[167]
웹인용
다듬은 말
https://www.korean.g[...]
국립국어원
[168]
웹사이트
10 Most Censored Countries
http://www.cpj.org/r[...]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2013-05-23
[169]
웹인용
Circulation, revenue fall for US newspapers overall despite gains for some
https://www.pewresea[...]
[170]
웹사이트
북핵 보도와 경마 저널리즘
https://news.naver.c[...]
2017-09-26
[171]
웹사이트
공평하게 공격적인 언론인, 손석희 저널리즘
https://news.naver.c[...]
2017-06-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AI 시대, 살아남을 지역언론은 [미디어 전망대]
사랑받지만 사랑받을 수 없는 한겨레 [시민편집인의 눈]
인공지능이 사람을 닮아간다고?
다큐 ‘나는 생존자다’ 조성현 PD “어렵게 증언해준 사람들과의 약속 때문에 버텨”
JMS 협박받은 ‘나는 생존자다’ PD “있는 그대로 알리겠다는 약속 지키려 버텼다”
“언론사, AI를 ‘저널리즘 가치 약화’ 아닌 강화 도구로 활용해야”
JTBC 뉴스룸 앵커에 오대영·이수진…8월 4일 첫 방송
‘공공재’ 언론재단의 개혁 방향
공감하고 분노하고…JTBC 사건반장·한블리 이어 '비하인드' 출격 | JTBC 뉴스
세명대, AI·팩트체크 강화한 ‘저널리즘혁신학과’ 2기생 모집
한양대 이자연 교수,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기사심의위원 위촉
조국혁신당 이해민 "AI 산업,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해야"
[책과 삶] 성장률 향한 질주, ‘정답’ 맞습니까?
“.txt 섹션, 깊이·글맛 있는 읽을거리 풍성…웹소설 등 범주 넓혀야”
‘기후 번역가’ 언론이 잊어선 안 될 것 [김형준의 메타어스]
JTBC 팩트체크, 국제기구 IFCN 인증...국내 유일 | JTBC 뉴스
[알림] 한겨레가 세번째 신뢰보고서를 펴냈습니다
국헌문란 ‘물타기’ 보도, 언론계가 자율규제 나서야 [왜냐면]
‘생성형 AI 저널리즘’의 성적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