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음 (일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탁음은 일본어에서 청음에 탁점(゛)을 붙여 나타내는 음운 현상이다. 중국 음운학의 청탁에서 유래되었으며, 음성학적으로는 청음의 자음을 유성음화한 것에 해당하지만, 발음상 예외가 존재한다. 탁음은 문절의 위치나 방언에 따라 유성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으로 발음되며, 연탁 현상에 의해 단어의 청음이 탁음으로 변하기도 한다. 탁음을 활용한 작품으로는 이나 캇페이의 방언 시와 특촬 프로그램 가면라이더 쿠우가의 그론기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탁음 (일본어) | |
---|---|
개요 | |
음성학적 기술 | 유성음 |
조음 방법 | 폐쇄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
일본어 표기 | 濁音 (다쿠온) |
로마자 표기 | Dakuon |
특징 | |
청음과의 구별 | 일반적으로 청음에 탁점 (゛)을 추가하여 표기 |
예외 | 'ん' (응)에는 탁점을 붙이지 않음 요음에는 탁점을 붙이지 않음 (예외: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 |
반탁음 | 반탁음 (半濁音, 한다쿠온)은 탁음의 일종으로 취급되지 않음 |
탁음의 종류 | |
오십음도 상의 위치 | が행 (ga-gyo) ざ행 (za-gyo) だ행 (da-gyo) ば행 (ba-gyo) |
발음 | が행: [ɡ] (어두) 또는 [ŋ] (어중) ざ행: [dz], [dʒ] だ행: [dz], [dʒ] 또는 [d] ば행: [b] |
주의사항 | 현대 일본어에서는 'じ'와 'ぢ', 'ず'와 'づ'의 발음이 거의 동일해졌음 |
역사적 배경 | |
어원 | 고대 일본어에는 청음과 탁음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았음 |
발달 과정 | 헤이안 시대: 가나 문자의 발달과 함께 탁음 부호가 사용되기 시작 에도 시대: 탁음 부호가 일반화됨 |
2. 명칭의 유래
청음과 탁음의 구별은 중국의 전통적인 언어학인 음운학의 청탁에서 유래하고 있다. 중국 음운학에서는 ナ행과 マ행의 자음(비음)이나 ラ행 장음(유음), ヤ행과 ワ행의 자음(반모음)도 탁음에 분류되고 있다.
탁음의 음은 원칙으로 청음의 자음을 그대로 유성화한 것에 상당하지만, 실제 발음상으로는 몇 가지의 예외가 있기 때문에 쉽게 유성음이라고 정의하기는 어렵다.
3. 음성학적 특징
탁음은 일반적으로 문절 머리 또는 발음(‘ん’) 뒤에는 유성파열음 또는 파찰음에, 발음 뒤를 제외한 문절중 또는 문절말에는 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구강 안을 폐쇄하는 상하의 조음기관의 밀착도가 약함 혹은 밀착시간이 짧은 유성파열음 또는 파찰음)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が’ ‘ぎ’ ‘ぐ’ ‘げ’ ‘ご’ 및 ‘ぎゃ’ ‘ぎゅ’ ‘ぎょ’의 발음에는 위에 적힌 것 외에 비음도 있으며, 이것을 특히 비탁음이라고 부른다. 보통의 탁음과 비탁음 간의 의미상 차이점은 없기 때문에 비탁음을 사용하는 화자와 사용하지 않는 화자가 있지만, 사용하는(달리하는) 화자는 문절 머리에서는 보통의 탁음, 즉 위에서 서술혼 유성파열음을, 그 외에는 발음 뒤에도 포함해서 비탁음, 즉 비음을 사용한다. 또한, 방언에 따라서는 문절중 및 문절말의 탁음이 전비음화하는 것이 있으며, 그 경우에는 문절두보다 문절중 · 문절말의 탁음 쪽이 폐쇄 밀착도가 강한 파열음 또는 파찰음이 되는 것이 있다.
‘ば’ ‘び’ ‘ぶ’ ‘べ’ ‘ぼ’ 및 ‘びゃ’ ‘びゅ’ ‘びょ’는 ‘は’ ‘ひ’ ‘ふ’ ‘へ’ ‘ほ’ 및 ‘ひゃ’ ‘ひゅ’ ‘ひょ’의 오래된 발음의 음을 유성화한 것에 상당한다. 즉, 이들의 청음의 두자음이 무성양순파열음이거나 무성양순마찰음이거나한 것을 유성화해서, 유성양순파열음 또는 유성양순마찰음으로 한 것인데, 이 탁음을 무성화하면, 원래의 반탁음인 ‘ぱ’ ‘ぴ’ ‘ぷ’ ‘ぺ’ ‘ぽ’ 및 ‘ぴゃ’ ‘ぴゅ’ ‘ぴょ’(무성양순파열음) 또는 청음인 ‘ふぁ’ ‘ふぃ’ ‘ふ’ ‘ふぇ’ ‘ふぉ’ 및 ‘ふゃ’ ‘ふゅ’ ‘ふょ’(무성양순마찰음)가 된다.
일부의 방언을 제외하고 ‘じ’와 ‘ぢ’ 혹은 ‘じゃ행’과 ‘ぢゃ행’의 동일단끼리를 소리 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し’ 또는 ‘しゃ행’ 각 단의 음을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가 약한 유성파찰음)과 ‘ち’ 또는 ‘ちゃ행’ 각 단의 음을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양쪽이 사용된다.
일부의 방언을 제외하고, ‘ず’ ‘づ’를 소리 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す’를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가 약한 유성파찰음)과 ‘つ’를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양쪽이 사용된다.
3. 1. 일반적인 특징
탁음의 음은 원칙으로 청음의 자음을 그대로 유성화한 것에 상당하지만, 실제 발음상으로는 몇 가지의 예외가 있기 때문에 쉽게 유성음이라고 정의하기는 어렵다.
탁음은 일반적으로 문절 머리 또는 발음(‘ん’) 뒤에는 유성파열음 또는 파찰음에, 발음 뒤를 제외한 문절중 또는 문절말에는 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구강 안을 폐쇄하는 상하의 조음기관의 밀착도가 약함 혹은 밀착시간이 짧은 유성파열음 또는 파찰음)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が’ ‘ぎ’ ‘ぐ’ ‘げ’ ‘ご’ 및 ‘ぎゃ’ ‘ぎゅ’ ‘ぎょ’의 발음에는 위에 적힌 것 외에 비음도 있으며, 이것을 특히 비탁음이라고 부른다. 보통의 탁음과 비탁음 간의 의미상 차이점은 없기 때문에 비탁음을 사용하는 화자와 사용하지 않는 화자가 있지만, 사용하는(달리하는) 화자는 문절 머리에서는 보통의 탁음, 즉 위에서 서술혼 유성파열음을, 그 외에는 발음 뒤에도 포함해서 비탁음, 즉 비음을 사용한다. 또한, 방언에 따라서는 문절중 및 문절말의 탁음이 전비음화하는 것이 있으며, 그 경우에는 문절두보다 문절중 · 문절말의 탁음 쪽이 폐쇄 밀착도가 강한 파열음 또는 파찰음이 되는 것이 있다.
‘ば’ ‘び’ ‘ぶ’ ‘べ’ ‘ぼ’ 및 ‘びゃ’ ‘びゅ’ ‘びょ’는 ‘は’ ‘ひ’ ‘ふ’ ‘へ’ ‘ほ’ 및 ‘ひゃ’ ‘ひゅ’ ‘ひょ’의 오래된 발음의 음을 유성화한 것에 상당한다. 즉, 이들의 청음의 두자음이 무성양순파열음이거나 무성양순마찰음이거나한 것을 유성화해서, 유성양순파열음 또는 유성양순마찰음으로 한 것인데, 이 탁음을 무성화하면, 원래의 반탁음인 ‘ぱ’ ‘ぴ’ ‘ぷ’ ‘ぺ’ ‘ぽ’ 및 ‘ぴゃ’ ‘ぴゅ’ ‘ぴょ’(무성양순파열음) 또는 청음인 ‘ふぁ’ ‘ふぃ’ ‘ふ’ ‘ふぇ’ ‘ふぉ’ 및 ‘ふゃ’ ‘ふゅ’ ‘ふょ’(무성양순마찰음)가 된다.
일부의 방언을 제외하고 ‘じ’와 ‘ぢ’ 혹은 ‘じゃ행’과 ‘ぢゃ행’의 동일단끼리를 소리 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し’ 또는 ‘しゃ행’ 각 단의 음을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가 약한 유성파찰음)과 ‘ち’ 또는 ‘ちゃ행’ 각 단의 음을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양쪽이 사용된다.
일부의 방언을 제외하고, ‘ず’ ‘づ’를 소리 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す’를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가 약한 유성파찰음)과 ‘つ’를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양쪽이 사용된다.
3. 2. 방언에 따른 특징
탁음은 일반적으로 문절 머리 또는 발음(‘ん’) 뒤에는 유성 파열음 또는 파찰음에, 발음 뒤를 제외한 문절중 또는 문절말에는 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구강 안을 폐쇄하는 상하의 조음기관의 밀착도가 약함 혹은 밀착시간이 짧은 유성파열음 또는 파찰음)으로 분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が’ ‘ぎ’ ‘ぐ’ ‘げ’ ‘ご’ 및 ‘ぎゃ’ ‘ぎゅ’ ‘ぎょ’의 발음에는 위에 적힌 것 외에 비음도 있으며, 이것을 특히 비탁음이라고 부른다. 보통의 탁음과 비탁음 간의 의미상 차이점은 없기 때문에 비탁음을 사용하는 화자와 사용하지 않는 화자가 있지만, 사용하는(달리하는) 화자는 문절 머리에서는 보통의 탁음, 즉 위에서 서술혼 유성파열음을, 그 외에는 발음 뒤에도 포함해서 비탁음, 즉 비음을 사용한다. 또한, 방언에 따라서는 문절중 및 문절말의 탁음이 전비음화하는 것이 있으며, 그 경우에는 문절두보다 문절중 · 문절말의 탁음 쪽이 폐쇄 밀착도가 강한 파열음 또는 파찰음이 되는 것이 있다.
일부의 방언을 제외하고 ‘じ’와 ‘ぢ’ 혹은 ‘じゃ행’과 ‘ぢゃ행’의 동일단끼리를 소리 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し’ 또는 ‘しゃ행’ 각 단의 음을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가 약한 유성파찰음)과 ‘ち’ 또는 ‘ちゃ행’ 각 단의 음을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양쪽이 사용된다.
일부의 방언을 제외하고, ‘ず’ ‘づ’를 소리 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어느쪽이라도 ‘す’를 유성화한 음(유성마찰음) 또는 그것에 가까운 음(폐쇄가 약한 유성파찰음)과 ‘つ’를 유성화한 음(유성파찰음)의 양쪽이 사용된다.
4. 표기
오늘날의 표기에서는 탁음은 대응하는 청음에 탁점(゛)을 붙여서 쓰이지만, 역사적으로는 탁점을 사용하지 않은 표기도 있다. 또, 변체 가나의 청음에 탁점을 붙여서 대응하는 탁음을 나타내는 표기도 있다.
4. 1. 역사적 표기
오늘날의 표기에서는 탁음은 대응하는 청음에 탁점(゛)을 붙여서 쓰이지만, 역사적으로는 탁점을 사용하지 않은 표기도 있다. 또, 헨타이가나의 청음에 탁점을 붙여서 대응하는 탁음을 나타내는 표기도 있다.5. 연탁(連濁)
2개의 단어를 연결해서 숙어를 만들 때에 뒤에 오는 단어의 청음이 탁음화하는 경우가 있으며 연탁이라고 불린다.
:예시: 모치/もち일본어+코메/こめ일본어→모치고메/もちごめ일본어(餅米), 코이/こい일본어+후미/ふみ일본어→코이부미/こいぶみ일본어(恋文)
나가우타 등의 교본에서는 연탁이 일어나는 것을 명시하기 위해서 한자에 연탁을 붙여서 나타낸 예도 있다.
6. 탁음을 사용한 작품
방언 시인 이나 캇페이는 쓰가루벤에는 탁음으로 바뀌는 단어가 많은 것을 이용하여, 전부 탁음만으로 이루어진 방언 시를 만든 적이 있다. 특촬 프로그램 가면라이더 쿠우가의 괴인이 사용하는 가공 언어 "그론기어"는 대부분이 탁음으로 구성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