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탁은 일본어 복합어에서 뒤에 오는 단어의 첫 자음이 /k/, /s/, /t/, /h/일 때 음운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k는 g로, s는 z로, t는 d로, h는 b로 변하며, 이는 일종의 동화 현상으로 간주된다. 연탁은 주로 일본어 고유어에서 나타나며, 한자어나 외래어에서는 제한적으로 발생한다. 라이먼의 법칙, 의미적 제약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연탁이 일어나지 않기도 하며, 동일본과 서일본 방언, 한국어의 음운 현상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음운론 - 비탁음
    비탁음은 일본어에서 'か, き, く, け, こ'로 시작하는 가행 자음이 단어 중간에 올 때 비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으로, 주로 동일본 방언에서 나타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지만 쇠퇴하는 추세에 있고, 표기 시 반탁점이나 'ng'를 사용한다.
  • 일본어 음운론 - 반탁음
    반탁음은 일본어에서 파행음(p)이 변형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이며, 고대 일본어에서 ɸ(f) 음으로, 에도 시대에는 h, ç 음으로 약화되었고, 근대에 외래어 유입으로 p음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연탁
개요
이름연탁 (連濁)
로마자 표기Rendaku
영어 번역Sequential Voicing
설명일본어에서 두 단어가 결합하여 복합어를 형성할 때, 뒤쪽 단어의 첫 번째 음절이 무성 자음에서 유성 자음으로 변하는 현상
세부 규칙
기본 원리복합어의 두 번째 요소의 첫 음절이 무성 자음인 경우, 유성 자음으로 바뀜
예시 (종이)종이 (paper) -> /k/
예시 (접기)ja -> /ɡ/
추가 정보
관련 주의사항모든 단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
예외특정한 음운 환경이나 단어 조합에서는 연탁이 일어나지 않음
사용 예시ja
기타 조사ja, ja, ja 등의 단어에 대한 연탁 현상 조사 필요

2. 연탁의 정의

일본어의 복합어에서, 뒤에 위치하는 부분의 첫째 음의 자음 음소가 /k/, /s/, /t/, /h/ 중 하나일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이 음이 변화하는 현상이다.


  • k → g
  • s → z
  • t → d
  • h → b


이 가운데 상위 3개는 단순한 유성음화에 해당하나, 4번째의 경우는, 일본어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는 /p/ → /f/ → /h/의 변화(순음퇴화 (일본어))로 인한 변칙적인 현상이다.

전통적으로는, 연탁은 모음과 모음 사이에 끼인 자음이 유성음화되는 일종의 동화 현상을 이르며, 일본어의 고유어가 원래 말의 처음에 탁음이 오지 않는다는 현상으로 미루어, 탁음에 의해 말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겨진다.

한편, /g/는 동일본의 넓은 지역에서 비탁음이며, 동북지방 방언에서는 /d/의 앞 등에서도 비음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대문전'(日本大文典일본어)[15] 등의 자료에 따르면, 앞에 비음을 동반하는 발음이 예전에는 보다 광범히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에서, 연탁은 말의 경계에 놓여있었던 'の일본어'의 흔적이 아닌가 하는 가설이나, 비음이 삽입되었다(자음삽입)는 가설, 또는 필리핀 등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서 단어 사이에 비음을 넣어 결합을 나타내는 접사와 관련되어 있다는 설이 존재하나, 확실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렌다쿠가 일어나는 자음 (헵번식)[2]
무성음유성음
kg
s, shz, j
t, ch, tsd, j, z
h, fb



복합어에서 후부 요소의 어두 자음이 가행, 사행, 타행, 하행인 경우(훈령식 로마자로 k, s, t, h로 시작하는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가행 → 가행 ( →): 테'''가'''미(편지), 카와'''기'''시(강가), 나가'''구'''츠(장화), 와타'''게'''(솜털), 난'''고'''쿠(남국), 타이'''가'''(대하), 인'''가'''(인과), 렌'''가'''(연가), 쿠'''게'''(공가), 산'''게'''(산화), 이치'''게'''ㄴ상(일견상), 칸'''가'''ㄴ(환관), 소'''고'''우(상호), 쇼'''기'''(장기, 상기), 조'''기'''(자), 산'''가'''이(삼계), 오'''고'''ㄴ(황금), 초'''고'''ㄴ카(장한가), 엔'''기'''(연기), 헨'''게'''(변화), 요'''고'''우(영향), 세'''가'''이하(청해파)
  • 사행 → 자행 ( →, →): 히'''자'''시(햇살), 모리'''지'''오(성염), 마키'''즈'''시(김밥), 산'''제'''ㄴ엔(삼천 엔), 요'''조'''라(밤하늘), 코'''자'''ㄴ(광산), 엔'''자'''ㄴ(연산), 조'''자'''ㄴ(승산), 요'''지'''ㄴ(용심), 쇼'''지'''ㄴ(정진), 쿄'''조'''ㄴ(공존), 진'''자'''(신사), 난'''자'''ㄴ(난산), 소'''자'''이(반찬), 니하이'''즈'''(두 잔 식초), 토'''자'''이(동서), 칸'''지'''ャ(환자), 벤'''조'''(변소), 신'''주'''(진주), 노'''쥬'''쿠(야숙), 단'''지'''키(단식), 오'''제'''이(많은 사람들), 오'''제'''키(오제키), 다이'''지'''ㄴ(대신), 켄'''자'''ㄴ(견참), 콘'''쟈'''쿠(금석), 탄'''자'''쿠(단자), 만'''조'''쿠(만족), 코몬'''지'''ょ(고문서), 온'''조'''우(음성), 호'''ㄴ조'''ㄴ(본존), 콘'''지'''키(금색), 인'''제'''ㄴ(원선), 호'''조'''우(방생), 묘'''조'''우(명성), 유'''즈'''우(융통), 온'''쟈'''쿠(온석), 온'''쥬'''(음주), 텐'''조'''우(천장), 슈'''쥬'''(종종), 탄'''조'''우(탄생), 닌'''즈'''우(인원)
  • 타행 → 다행 ( →, →, →): 토'''다'''나(선반), 하나'''지'''(코피), 미카'''즈'''키(초승달), 야마'''데'''라(산사), 다이'''도'''코로(부엌), 요'''다'''이(용태), 칸'''도'''우(견당), 오'''다'''ㄴ(황달), 간'''도'''우(감등), 안'''도'''(안도), 칸'''다'''(간다), 이'''도'''(우물)
  • 하행 → 바행 (, , →): 키리'''바'''나(잘린 꽃), 히토'''비'''토(사람들), 시아와세'''부'''토리(행복한 비만), 닌'''베'''ㄴ(인변), 핫킨'''보'''ㄴ(발금본), 겐테이'''바'''ㄴ(한정판), 쿠'''보'''ㄴ(구품), 산'''보'''우(삼보, 삼방), 쿠'''보'''우(공방), 산'''바'''이'''즈'''(세 잔 식초), 하이'''보'''쿠(패배), 사이'''바'''ㄴ(재판), 탄'''바'''(단파), 신'''보'''우(신보), 쵸'''부'''쿠(조복), 세'''바'''이(성벌), 마나츠'''비'''(한여름), 마에'''바'''(앞니), 콘'''부'''(다시마), 토'''바'''쿠(도박), 산'''비'''키(세 마리), 산'''베'''ㄴ(세 번), 산'''보'''ㄴ(세 개)


이 중 가행·사행·타행은 단순한 유성음화이지만, 하행은 일본어의 역사에서 → → 의 변화(순음 퇴화)가 일어났기 때문에 변칙적이다.

다음과 같이, 연탁은 무성 자음이 모음(유성음)에 끼워졌을 때, 이웃 소리의 특징에 영향을 받는 동화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tok'''i''' + t'''o'''ki → tok'''ido'''ki

게다가 원래 일본어에서는 폐쇄음이나 마찰음에서는 무성 자음이 무표이며, 어두에 탁음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탁음으로 단어가 결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는 동일본의 넓은 지역에서 비탁음이 되고, 도호쿠 방언에서는 의 앞 등에도 비음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12]. 『일본대문전』 등의 자료에 따르면, 전비음을 수반하는 발음이 옛날에는 더 광범위하게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연탁을 단어의 경계에 놓여 있던 "의"의 흔적이라고 하는 생각, 비음이 삽입되었다고 하는(자음 삽입) 생각이나, 필리핀 등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 단어 사이에 비음을 두고 결합을 나타내는 연사와 관련시키는 설도 있지만,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2. 1. 예시

렌다쿠(連濁)는 일본어에서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단어를 형성할 때, 뒤따르는 형태소의 첫 자음이 무성음에서 유성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다.[2]

style="font-size: 65%" | 렌다쿠가 일어나는 자음 (헵번식)[2]
무성음유성음
kg
s, shz, j
t, ch, tsd, j, z
h, fb



다음은 렌다쿠의 예시이다.


  • 히토 + 히토 → 히토토 (人々, "사람들") (반복)
  • 이케 (동사 生ける (いける)에서) + 하나 → 이케나 (いけばな, "꽃꽂이")
  • 토키 + 토키 → 토키키 (時々, "때때로") (반복, 중복)
  • 테 + 카미 → 테미 (手紙, "편지")
  • 오리 + 카미 → 오리미 (折り紙, "종이접기")
  • 하나 + 히 → 하나 (花火, "불꽃")
  • 하나 + 치 → 하나 (鼻血, "코피")
  • 마키 + 스시 → 마키시 (巻きずし, "김으로 감싼 스시") ('스시'로 끝나는 단어에서 흔히 발생)
  • 야마 + 테라 → 야마라 (山寺, "야마데라")
  • 코코로 + 츠카이 → 코코로카이 (心遣い, "배려")
  • 오보로 + 츠키 → 오보로키 (おぼろ月, "흐릿한 달")


어떤 경우에는 구문에 따라 렌다쿠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접미사 〜通り는 완료형 동사 뒤에서는 〜とおり(-tōri)로 발음되지만(예: omotta-tōri, "내가 생각한 대로"), 명사 뒤에서는 〜どおり(-dōri)로 발음되거나(예: yotei-dōri, "예정대로"), 의미적으로 다르게 더 구체적으로는 무로마치도리(Muromachi-dōri, "무로마치 거리")와 같이 발음된다.

렌다쿠는 단일 어근 요소뿐만 아니라 "다중 어근" 요소, 즉 작은 요소로 구성된 요소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소는 중국어에서 유래되었거나(''kango'' 참조) 최근의 외래어(''gairaigo'' 참조)일 수 있다.

  • 히라 + 카-나 → 히라-나 (平仮名, "히라가나") (가타카나와 비교, ''렌다쿠''가 발생하지 않음)
  • 캬쿠 + 후-톤 → 캬쿠-톤 (客布団, "손님용 침구") (''futon''은 한자어이고 fu + ton의 합성어)
  • 로-텐 + 후-로 → 로-텐--로 (露天風呂, "노천탕")
  • 유메-미 + 코코-치 → 유메-미-코-치 (夢見心地, "꿈결")
  • 오보로 + 츠키-요 → 오보로-키-요 (おぼろ月夜, "흐릿한 달빛이 비치는 밤") (''tsukiyo''는 합성어이며, ''tsuki''("달")와 ''yo''("밤")로 구성)
  • 이로 + 챠-야 → 이로-야 (色茶屋, "사창가 찻집") (''chaya''는 합성어이며, ''cha''("차")와 ''ya''("가게")로 구성. ''cha'' 자체는 일반적으로 렌다쿠가 발생하지 않지만 ''chaya''는 종종 발생)
  • 본 + 쵸-친 → 본-친 (盆提灯, "오봉 등롱") (''chōchin''은 중국어 차용어이며, ''chō''("휴대용")와 ''chin''("램프")으로 구성)
  • 오야 + 카이-샤 → 오야가이-샤 (親会社, "모회사") (''kaisha''는 ''kango''이며, ''kai''("모임")와 ''sha''("회사")로 구성)
  • 카부시키 + 카이샤 → 카부시키가이샤 (株式会社, "주식회사")
  • 아메 + 캇파 → 아마파 (雨合羽, "우비") (''kappa''는 ''gairaigo''이며, 포르투갈어 단어 ''capa''("망토; 케이프")에서 유래)
  • 이로하 + 카루타 → 이로하루타 (いろはガルタ) (''karuta''는 ''gairaigo''이며, 포르투갈어 단어 ''carta''("카드")에서 유래)
  • 미즈 + 키세루 → 미즈세루 (水煙管, "후카") (''kiseru''는 ''gairaigo''이며, 크메르어 단어 ''khsiə''("담뱃대")에서 유래)


특정 형태소는 음절 ''chi'' (ち)와 ''tsu'' (つ)로 시작하며, 렌다쿠 형태는 음절 ''ji''와 ''zu''로 시작하며, 히라가나로 ぢ와 づ로 표기되는데, 이는 동일하게 발음되는 じ와 ず와 대조하여 이 가나를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yotsugana'' 참조). 그러나 이것이 엄격한 규칙은 아니며, 특히 합성어로 쉽게 인식되지 않는 특정 오래된 합성어 또는 이름에서는 완화된다.

렌다쿠는 복합 명사뿐만 아니라 형용사, 동사 또는 동사의 연속/명목 형태에서도 발생한다.

  • 메 + 후-쿠 → 메-쿠 (芽吹く, "싹이 트다")
  • 오토코 + 키라-이 → 오토코라-이 (男嫌い, "남성에 대한 혐오")
  • 온나 + 스-키 → 온나-키 (女好き, "여성에 대한 애호")
  • 오-키 + 사-리 → 오-키--리 (置き去り, "유기")
  • 쿠루-이 + 사-키 → 쿠루-이--키 (狂い咲き, "철 모르는 개화")
  • 우스- + 키타나-이 → 우스타나-이 (薄汚い, "더러운")
  • 쿠치 + 키타나-이 → 쿠치타나-이 (口汚い, "입이 거친")
  • 타-치 + 토마-루 → 타-치-마-루 (立ち止まる, "멈추다")

3. 연탁의 역사적 기원

현대 일본어의 유성 파열음은 고대 일본어의 비음화 유성 파열음에서 유래되었다.[15][1] 연탁은 속격 조사 'の'(노) 또는 여격 조사 'に'(니)의 축약에서 파생된 선행 비음과의 자음 융합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가설에 따르면 yamadori/やまどり일본어와 같은 형태는 원래 yama-no-toriojp "산- 새"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연탁이 모든 복합어에서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일부 복합어가 원래 no일본어 또는 ni일본어로 형성되었지만, 다른 복합어는 두 개의 어근을 단순하게 병치하여 형성되었다면, 연탁은 첫 번째 범주의 복합어에서만 발생하고 두 번째 범주에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원이 무엇이든, 고대 일본어 시대에 연탁은 이미 no일본어 또는 ni일본어를 사용한 구성과 구별되는 문법적 과정이 되었다.

고유 일본어 단어는 유성 파열음이나 마찰음 (b, d, g, z 등)으로 시작하지 않지만, 4세기 이후 일본은 중국에서 단어와 한자를 차용하기 시작하면서, 많은 중국어 단어가 유성 자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이러한 단어에 연탁을 적용하면 모호성이 발생한다. 순수하게 한자로 구성된 복합어는 고유 일본어 단어로 구성된 복합어와 달리 연탁을 나타내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많은 예외가 있다.

4. 연탁의 발생 조건

연탁은 반드시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며,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조건에도 예외 사항이 존재하며, 설령 조건을 통과하더라도 우발적으로 연탁이 일어나지 않는 말도 많다. 이 때문에, 적어도 현대어에서는, 연탁이 발생하는가의 여부를 완벽하게 예측할 수는 없다. 다음에 주요 조건들을 나열한다.

연탁은 모든 복합어에서 반드시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에 따라 억제된다. 그러나 어떤 조건에도 예외가 있으며,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연탁이 일어나지 않는 단어도 많다. 따라서, 적어도 현대어에서는 연탁이 일어날지 여부를 완전히 예측할 수 없다.

'''어휘적 제약'''

연탁을 일으키는 것은 원칙적으로 일본어의 고유어이며, 한자어 및 외래어에서는 연탁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 한자어라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일부 단어의 경우 연탁 현상이 있다.


  • かぶしき일본어 + かいしゃ일본어 → かぶしき'''が'''いしゃ일본어 (주식회사)
  • ふうふ일본어 + けんか일본어 → ふうふ'''げ'''んか일본어 (부부훤화(부부싸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 말처럼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전해진 외래어의 경우 'いろは'''が'''るた일본어(いろはcarta)' 등처럼 연탁이 있다.

일부 어휘 항목의 경우, 조음 경계 근처에 유성 파열음이 있으면, 해당 경계를 포함하여, ''연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탁이 일어나는 것은 원칙적으로 고유어이며, 한자어에서는 드물고, 외래어에서는 극히 드물다.

  • 들국화: の + きく → の'''ぎ'''く (들국화)
  • 꽁무니: こし + きんちゃく → こし'''ぎ'''んちゃく (꽁무니)
  • 와사비 간장: わさび + しょうゆ → わさび'''じょ'''うゆ (와사비 간장)
  • 우비(雨 + capa): あま + かっぱ (: capa) → あま'''が'''っぱ (우비)


'''음운적 제약'''

복합어의 뒷부분에 이미 탁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라이먼의 법칙(Lyman's Law)'(ライマンの法則일본어)이라 하며, 에도 시대의 일본의 국학자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일본어) 등에 의해서도 언급되고 있다.[7][8]

:''yama'' + ''kado'' → ''Yamakado'' 야마카도 (성), *''Yamagado'' 야마가도 아님 ("산" + "문" → 지명)

:''hitori'' + ''tabi'' → ''hitoritabi'', *''hitoridabi'' 아님 ("한 사람" + "여행" → "혼자 여행")

:''yama'' + ''kaji'' → ''yamakaji'', *''yamagaji'' 아님 ("산" + "불" → "산불")

:''tsuno'' + ''tokage'' → ''tsunotokage'', *''tsunodokage'' 아님 ("뿔" + "도마뱀" → "뿔 도마뱀")

하지만 라이먼의 법칙에는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nawa'' + ''hashigo''는 ''nawabashigo''이며 ''nawahashigo''가 아니다. 이 법칙은 1894년에 독립적으로 이를 주장한 벤자민 스미스 라이먼(Benjamin Smith Lyma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실제로는 재발견된 것이다. 18세기의 언어학자 가모노 마부치(Kamo no Mabuchi)[5][6]모토오리 노리나가는 18세기 동안 이 법칙을 별도로, 독립적으로 확인했다.

한편, 예전에는 합성어의 앞부분에 오는 탁음 또한 연탁을 막는다는 설도 있어, '나가시마/長島일본어/나카지마/中島일본어'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오른쪽 갈림 제약'''(右枝分かれ制約일본어)은 세 개 이상의 말이 복합어를 이룰 때, 어떤 부분이 오른쪽의 다른 부분과 먼저 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요소는 연탁을 일으키지 않는 제약을 말한다.[9]

:''mon'' + [''shiro'' + ''chō''] > ''monshirochō'', *''monjirochō''가 아님 ("가문 문장" + ["흰색" + "나비"] > "배추흰나비")

:[''o'' + ''shiro''] + ''washi'' > ''ojirowashi'' (["꼬리" + "흰색"] + "독수리" > "흰꼬리수리")

모국어 화자는 일반적으로 유성 비음과 무성 파열음의 음운 결합을 가진 복합어에 연탁을 적용하지 않는다(모든 한자어의 10%에 비해 1.3%).[11]

'''의미적 제약'''

복합어의 앞뒤 요소가 의미적으로 병렬 관계인 경우(소위 드반드바 복합어)에는 연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야마'와 '카와'가 합쳐져 '산과 강'을 의미하는 '야마카와'는 연탁이 일어나지 않지만, '산에 흐르는 강'을 의미하는 '야마가와'는 연탁이 일어난다.

  • 쿠사키/くさ'''き'''일본어(草木)
  • 토시츠키/とし'''つ'''き일본어(年月)
  • 콰즈'''기'''라이 ⇔ 스키키라이
  • 야마'''가'''와(산에 흐르는 강) ⇔ 야마카와(산과 강)

4. 1. 어휘적 제약

연탁을 일으키는 것은 원칙적으로 일본어의 고유어이며, 한자어 및 외래어에서는 연탁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 한자어라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일부 단어의 경우 연탁 현상이 있다.

  • かぶしき일본어 + かいしゃ일본어 → かぶしき'''が'''いしゃ일본어 ()
  • ふうふ일본어 + けんか일본어 → ふうふ'''げ'''んか일본어 ((부부싸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한 말처럼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전해진 외래어의 경우 'いろは'''が'''るた일본어(いろはcarta)' 등처럼 연탁이 있다.

라이먼의 법칙과 유사하게, 일부 어휘 항목의 경우, 조음 경계 근처에 유성 파열음이 있으면, 해당 경계를 포함하여, ''연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탁이 일어나는 것은 원칙적으로 고유어이며, 한자어에서는 드물고, 외래어에서는 극히 드물다.

  • 들국화: の + きく → の'''ぎ'''く (들국화)
  • 꽁무니: こし + きんちゃく → こし'''ぎ'''んちゃく (꽁무니)
  • 와사비 간장: わさび + しょうゆ → わさび'''じょ'''うゆ (와사비 간장)
  • 우비(雨 + capa): あま + かっぱ (: capa) → あま'''が'''っぱ (우비)

4. 2. 음운적 제약

복합어의 뒷부분에 이미 탁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라이먼의 법칙(Lyman's Law)'(ライマンの法則일본어)이라 하며, 에도 시대의 일본의 국학자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일본어) 등에 의해서도 언급되고 있다.[7][8]

:''yama'' + ''kado'' → ''Yamakado'' (성), *''Yamagado'' 야마가도 아님 ("산" + "문" → 지명)

:''hitori'' + ''tabi'' → ''hitoritabi'', *''hitoridabi'' 아님 ("한 사람" + "여행" → "혼자 여행")

:''yama'' + ''kaji'' → ''yamakaji'', *''yamagaji'' 아님 ("산" + "불" → "산불")

:''tsuno'' + ''tokage'' → ''tsunotokage'', *''tsunodokage'' 아님 ("뿔" + "도마뱀" → "뿔 도마뱀")

하지만 라이먼의 법칙에는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nawa'' + ''hashigo''는 ''nawabashigo''이며 ''nawahashigo''가 아니다. 이 법칙은 1894년에 독립적으로 이를 주장한 벤자민 스미스 라이먼(Benjamin Smith Lyma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실제로는 재발견된 것이다. 18세기의 언어학자 가모노 마부치(Kamo no Mabuchi)[5][6]모토오리 노리나가는 18세기 동안 이 법칙을 별도로, 독립적으로 확인했다.

한편, 예전에는 합성어의 앞부분에 오는 탁음 또한 연탁을 막는다는 설도 있어, '나가시마/長島일본어/나카지마/中島일본어'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오른쪽 갈림 제약'''(右枝分かれ制約일본어)은 세 개 이상의 말이 복합어를 이룰 때, 어떤 부분이 오른쪽의 다른 부분과 먼저 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요소는 연탁을 일으키지 않는 제약을 말한다.[9]

:''mon'' + [''shiro'' + ''chō''] > ''monshirochō'', *''monjirochō''가 아님 ("가문 문장" + ["흰색" + "나비"] > "배추흰나비")

하지만

:[''o'' + ''shiro''] + ''washi'' > ''ojirowashi'' (["꼬리" + "흰색"] + "독수리" > "흰꼬리수리")

모국어 화자는 일반적으로 유성 비음과 무성 파열음의 음운 결합을 가진 복합어에 연탁을 적용하지 않는다(모든 한자어의 10%에 비해 1.3%).[11]

4. 3. 의미적 제약

복합어의 앞뒤 요소가 의미적으로 병렬 관계인 경우(소위 드반드바 복합어)에는 연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야마'와 '카와'가 합쳐져 '산과 강'을 의미하는 '야마카와'는 연탁이 일어나지 않지만, '산에 흐르는 강'을 의미하는 '야마가와'는 연탁이 일어난다.

  • 쿠사키/くさ'''き'''일본어(草木)
  • 토시츠키/とし'''つ'''き일본어(年月)
  • 콰즈'''기'''라이 ⇔ 스키키라이
  • 야마'''가'''와(산에 흐르는 강) ⇔ 야마카와(산과 강)

5. 연탁과 방언

성씨의 경우, 연탁을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다 둘 다 존재한다. 동일본 지역에서는 연탁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山崎일본어의 경우, 동일본에서는 やまざき일본어, 서일본에서는 やまさき일본어)

연탁을 일으키는 말은, 그렇지 않은 말과 비교하여 악센트가 평평해지는 경향이 강하다. 많은 도호쿠 방언에서, 연탁은 비음화 유성음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3] 이 비음화된 소리의 생성은 전혀 균일하지 않았으며, 화자와 발음되는 단어에 따라 상당한 변이가 관찰되었다.[3]

비음화 유성음의 발생 빈도와 화자의 연령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나이가 많은 사람이 젊은 사람보다 더 높은 빈도로 나타냈다.[3] 반면에, 화자의 성별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는 비음화 유성음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3] 예를 들어, "[kata] '어깨'와 [haka] '무덤'은 [kada]와 [haga]로 발음된다"는 토호쿠 방언에서 나타난다.[3]

6. 연탁과 한국어

한국어·조선어에서는 평음(ㄱ/ㄷ/ㅈ/ㅂ)이 어두에서는 무성음, 어중에서는 유성음으로 발음되는 현상이 존재한다.[3] 이는 일본어의 연탁과 유사하지만, 음소 차이가 아닌 이음(allophone) 차이라는 점이 다르다. 예를 들어, 'ㄱ'은 어두에서는 무성음 [k]로, 어중에서는 유성음 [g]로 소리난다. 이러한 현상은 토호쿠 방언에서도 발견된다.[3]

이음 변이[3]
제목어두모음 사이
a.K/t/ K/take/ ‘대나무’K/hata/ ‘깃발’
K/k/ K/kaki/ ‘감’K/gake/ ‘절벽’
K/c/ K/cume/ ‘손톱’K/macu/ ‘마을’
K/č/ K/čoko/ ‘사케 잔’K/oča/ ‘차’
b.K/p/ K/paN/ ‘빵’K/kopii/ ‘(사진) 복사본’
K/s/ K/sake/ ‘사케’K/kasa/ ‘우산’
K/š/ K/šake/ ‘연어’K/bašo/ ‘장소’
c.K/b/ K/baN/ ‘저녁’K/baba/ ‘할머니’
K/d/ K/dake/ ‘단지’K/mado/ ‘창문’
K/g/ K/gaki/ ‘개구쟁이’K/kagi/ ‘열쇠’
K/ȷ̌/ K/ȷ̌oNda/ ‘솜씨 있는’K/maȷ̌o/ ‘마녀’
K/z/ K/zaru/ ‘채반’K/kazu/ ‘수’



이러한 한국어의 음운 현상은 사이시옷 현상과 비교 연구될 수 있다.

7. 추가 정보

''연탁'' 효과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규칙이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연탁''이 나타나는 단어의 예가 여전히 많이 남아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일부 사례는 어휘적 속성과 관련이 있지만, 다른 사례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규칙을 따를 수도 있다. 따라서 ''연탁''은 여전히 부분적으로 예측 불가능하며, 특히 명확한 이유 없이 ''연탁''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일본의 이름에서, 심지어 원어민에게도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가 있다. 많은 경우, 동일하게 쓰인 이름이 사람에 따라 ''연탁''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中田(나카타)는 Nakata와 Nakada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읽힐 수 있다.

이름의 경우, 연탁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는 경우 모두 존재한다. 동일본에서는 연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동일본에서는 "야마자키", 서일본에서는 "야마사키").

연탁이 일어나는 단어는 그렇지 않은 단어에 비해 악센트가 평판이 되는 경향이 강하다.

한자어 등에서 유래하는 サ일본어행 변격 동사의 경우, 연탁의 현상과 유사한 'ずる일본어' 등의 표기가 존재한다.感ずる일본어(칸즈루), 演ずる일본어(엔즈루), 講ずる일본어(코즈루), 報ずる일본어(호즈루) 등에서처럼, ン일본어 또는 ウ일본어로 끝나는 한자 한 글자가 오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원래의 발음이 /n/ 또는 /m/(ン일본어), /ng/(ウ일본어)의 비음이어서, 이의 영향으로 뒤따라온 ス일본어가 탁음화된 것이다.

이들 동사는 현대에서는 'サ일본어행 변격동사'라는 의식이 없어져, 상일단활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일본어의 고유어에서도, 疎んずる일본어(우톤즈루) 등의 예가 있다. 이것은 疎みする일본어(우토미스루)가 발음편(撥音便일본어)으로 '疎ん-일본어(우톤-)'이 되어, 이로 인해 ス일본어가 탁음화된 것이다.

연탁을 일으키는 말은, 그렇지 않은 말과 비교하여 악센트가 평평해지는 경향이 강하다. 이름의 경우, 연탁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는 경우 모두 존재한다. 동일본에서는 연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동일본에서는 "야마자키", 서일본에서는 "야마사키").

7. 1. 사행 변격 동사의 "연탁"

한자어 등에서 유래하는 サ일본어행 변격 동사의 경우, 연탁의 현상과 유사한 'ずる일본어' 등의 표기가 존재한다.感ずる일본어(칸즈루), 演ずる일본어(엔즈루), 講ずる일본어(코즈루), 報ずる일본어(호즈루) 등에서처럼, ン일본어 또는 ウ일본어로 끝나는 한자 한 글자가 오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원래의 발음이 /n/ 또는 /m/(ン일본어), /ng/(ウ일본어)의 비음이어서, 이의 영향으로 뒤따라온 ス일본어가 탁음화된 것이다.

이들 동사는 현대에서는 'サ일본어행 변격동사'라는 의식이 없어져, 상일단활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일본어의 고유어에서도, 疎んずる일본어(우톤즈루) 등의 예가 있다. 이것은 疎みする일본어(우토미스루)가 발음편(撥音便일본어)으로 '疎ん-일본어(우톤-)'이 되어, 이로 인해 ス일본어가 탁음화된 것이다.

7. 2. 연탁과 악센트

연탁을 일으키는 말은, 그렇지 않은 말과 비교하여 악센트가 평평해지는 경향이 강하다. 이름의 경우, 연탁이 일어나는 경우와 일어나지 않는 경우 모두 존재한다. 동일본에서는 연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동일본에서는 "야마자키", 서일본에서는 "야마사키").

8.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Rendaku: Why Hito-Bito isn't Hito-Hito https://www.tofugu.c[...] 2018-08-14
[2] Webarchive Issues in Rendaku http://www.linguisti[...] Pomona College 2009
[3] 간행물 Sequential Voicing in Japanese http://dx.doi.org/10[...] 2016-06-13
[4] 웹사이트 Sequential voicing, postnasal voicing, and Lyman's Law revisited* http://www.let.leide[...] University of Toronto 2015-03-19
[5] 문서 Itō 1928
[6] 문서 Suzuki 2004
[7] 문서 Endō 1981
[8] 문서 Yamaguchi 1988
[9] 간행물 Some aspects of rendaku in Japanese and related problems 1980
[10] 간행물 The Phonology of Voicing in Japanese: Theoretical Consequences for Morphological Accessibility https://people.ucsc.[...] 1986
[11] thesis Issues in Rendaku: Solving the Nasal Paradox and Reevaluating Current Theories of Sequential Voicing in Japanese https://www.pomona.e[...] Pomona College 2009
[12] 문서
[13] 문서 鈴木豊 「連濁」の呼称が確立するまで―連濁研究前史―」 2004
[14] 문서 遠藤邦基 「非連濁の法則の消長とその意味―濁子音と鼻音との関係から―」 1981
[15] 웨이백 http://www.netlaputa[...] 2007-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