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탁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탁음은 일본어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으로, 탁음과 유사하지만 코를 울려 발음되는 소리이다. 비탁음은 자유 변이음 또는 조건 변이음으로 간주되며, 사용 여부에 따라 화자 간에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동일본 방언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지역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다르다. 표기법으로는 반탁점, 로마자 표기, 틸다 등이 사용되며, 컴퓨터 코딩 문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탁음 | |
---|---|
음운 정보 | |
음성 기호 | /ŋ/ |
설명 | 연구개 비음의 변이음 |
특징 | |
발음 위치 | 연구개음 |
발음 방법 | 비음 |
언어별 정보 | |
한국어 | 받침 'ㅇ'의 뒤에 ㄱ, ㅋ, ㄲ이 올 때 'ㅇ'은 '이응'으로 소리나지만, 실제 발음은 연구개 비음으로 발음된다. |
일본어 | 오음의 ガ행의 첫 번째 글자가 단어의 첫머리에 오지 않을 경우에 나타나는 비탁음이다. か、き、く、け、こ를 鼻濁音으로 발음하는 현상이 동일본과 시코쿠, 주고쿠지방에서 나타난다. 도쿄를 포함한 동일본에서는 비탁음 현상이 사라지고 있다. |
일본어 로마자 표기 | 'ng'로 표기될 수 있다. |
주의 사항 | 일본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ng' 표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2. 정의 및 음운론적 특징
비탁음은 음성학적으로 특이한 소리로, 학자들 간에 비탁음을 자유 변이음으로 볼 것인지, 조건 변이음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이견이 있다. 비탁음 사용자와 비사용자는 서로의 발화에 대해 다른 인식을 갖는데, 비탁음 사용자는 비사용자의 발화를 공격적이고 거칠다고 느끼는 반면, 비사용자는 비탁음 사용자의 발화를 알아듣기 어렵거나 뽐내는 듯하다고 느낀다. 비탁음 사용을 지지하는 일본어 화자들은 비탁음이 '아름답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주관적인 주장이며, 이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2. 1. 자유 변이음 vs 조건 변이음
학계에서는 비탁음을 일반적인 탁음에 대해 자유 변이음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조건 변이음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1]비탁음 사용자는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의 발화를 들을 때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너무 강조한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비탁음 사용자는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의 말투가 공격적이고 거칠다고 인식하기도 한다.[2] 반면,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비탁음 사용자의 발성을 들으면 '알아듣기 힘들다'거나 묘하게 뽐내는 듯한 인상을 받는 경우가 있다.[4]
비탁음 사용을 지지하는 일본어 화자들은 비탁음 사용이 '아름답다'고 주장한다.[3] 그러나 이는 주관적인 주장으로, 다른 의견을 가진 화자에게는 설득력이 떨어진다.[3] 다만, 일부 사람들이 비탁음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이유에 대해서는 학술적인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3]
3. 지역별 분포 및 사용 양상
가행 비탁음은 동일본 방언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킨키 방언 동쪽 대부분의 전통적인 방언에서 관찰된다. 반면 주고쿠 방언이나 규슈 방언(일부 도서 지역 제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사이타마현 북부에서 군마현, 니가타현 주에쓰에 걸친 지역, 이즈 제도, 보소반도 남부, 아이치현 등 동일본 일부 지역에서도 비탁음은 보이지 않는다.[1]
가행 비탁음이 나타나는 지역에서도 현재는 그 사용 양상이 다양하다. 교토 사투리처럼 어중에서 자유롭게 나타나 화자가 비탁음 여부를 의식하지 않는 자유 이음 지역, 도쿄 방언처럼 특정 조건에서 비탁음이 나타나는 조건 이음 지역, 도호쿠 방언처럼 어중에서 탁음 음소를 구별하는 요소로 사용되는 지역 등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가행 비탁음 사용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도쿄 방언에서는 조건 이음 규칙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는 화자가 늘고 있으며, 이는 방송계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2] 어중에서는 가행 자음의 조건 이음으로 가행 비탁음 대신 유성 연구개 파열음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1. 일본
가행 비탁음은 동일본 방언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킨키 방언 동쪽 대부분의 전통적인 방언에 존재한다. 반면, 주고쿠 방언이나 규슈 방언(일부 도서 지역 제외)에는 비탁음이 없다.[1] 사이타마현 북부에서 군마현, 니가타현 주에쓰에 걸친 지역이나, 이즈 제도, 보소반도 남부, 아이치현 등 동일본 일부 지역에서도 나타나지 않는다.[1]가행 비탁음이 나타나는 지역에서도, 현재는 그 사용 양상이 다양하다. 교토 사투리처럼 어중에서 자유롭게 나타나 화자가 비탁음 여부를 의식하지 않는 자유 이음 지역, 도쿄 방언처럼 특정 조건에서 비탁음이 나타나는 조건 이음 지역, 도호쿠 방언처럼 어중에서 탁음 음소를 구별하는 요소로 사용되는 지역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가행 비탁음 사용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도호쿠 방언에서는 탁음 구별 요소로서 비탁음이 음운 체계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젊은층을 중심으로 쇠퇴하고 있다. 도쿄 방언에서는 조건 이음 규칙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는 화자가 젊은층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배우, 탤런트, 방송국의 젊은 아나운서에게서도 나타나는데, 민영 방송의 약 2/3, NHK에서도 약 1/3의 젊은 아나운서가 도쿄 방언식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2]
어중에서는 가행 자음의 조건 이음으로 가행 비탁음 대신 유성 연구개 파열음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1. 1. 도쿄 방언
전통적인 도쿄 방언에서 비탁음은 가행 자음 음소로, 어두 등의 비비탁음}과 대립하여, 어두 등 이외의 경우에로 나타나는 조건 이음으로 여겨진다. 가행 자음은 자립어의 어두 및 외래어의 모든 경우에 비비탁음이 사용되며, 그 이외의 경우(어중)는 비탁음이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다.그러나 실제로는 복합어의 두 번째 이하의 조어 성분의 머리에 가행 자음이 오는 경우, "어두 취급"인지 "어중 취급"인지를 두고 상당히 복잡한 사용 법칙이 있다. 이 경우, 융합도가 높은 경우에는 비탁음이 사용되지만, 융합도가 반드시 높지 않은 경우, 또한 연탁이라고 할 수 없는 복합어의 경우에는 "어두 취급"이 되어 비비탁음이 사용된다.
일례로 "15일(じゅうごにち)"의 "오(ご)"는 비비탁음이다. 그러나 "보름달(じゅうごや)"의 "오(ご)"는 비탁음으로 발음된다. "보름달"은 특정 사상을 나타내는 단일 명사로 조어 성분의 융합도가 높다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 은행(にっぽんぎんこう)"의 "기(ぎ)"도 비비탁음이다. "일본 은행"은 특정 하나의 은행의 명칭임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은행"과의 융합도는 높지 않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도쿄 방언에서의 비탁음 사용 법칙은 비모어 화자가 법칙을 적용하여 연역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복잡한 양상을 띤다.
3. 1. 2. 도호쿠 방언
도호쿠 방언에서는 가행 비탁음이 음운 체계상 중요한 변별 요소로 작용한다. 어중 청음의 유성음화, 탁음 자음의 이동, 비음의 쇠퇴와 함께 젊은층을 중심으로 쇠퇴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2]도호쿠 방언에서 가행 비탁음은 단어 중의 가행 음소(탁음 음소)ɡ|일본어 자체로 나타난다. 카행(청음) 자음k|일본어는 단어 첫머리에서는 k|일본어이지만, 단어 중에서는 유성음화하여 ɡ|일본어가 된다. 따라서, 원래 가행 자음(탁음)ɡ|일본어은 단어 중에서 모두 비탁음화하여 ŋ|일본어로 발음되어 청음과 탁음의 구별이 유지된다.
4. 사회언어학적 인식
비탁음 사용자와 비사용자는 서로의 발화에 대해 다른 인식을 갖는 경향이 있다. 비탁음 사용자는 비탁음을 쓰지 않는 사람의 발화를 두고 '필요 이상으로 강조한다'고 느끼며, 때로는 공격적이고 거칠다고 인식하기도 한다.[1]
반면, 비탁음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비탁음 사용자의 발음을 '알아듣기 힘들다'고 여기거나, 묘하게 뽐내는 듯한 인상을 받기도 한다.[2]
비탁음 사용을 지지하는 일본어 화자들은 비탁음이 '아름답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 그러나 이는 주관적인 주장으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설득력이 없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이 비탁음을 '아름답다'고 느끼는 이유에 대해서는 학술적으로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4]
5. 표기법
최근에 제정된 일본의 JIS X0213:2000 코드에서는 비탁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는 10개의 가나 문자(か행 문자+반탁점)를 추가하였다. 히라가나는 1-4-87번부터, 가타카나는 1-5-87번부터 배정되었다.[8]
유니코드 4.1에는 이들 10글자를 표시할 별도의 코드 넘버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か행 문자+반탁점 문자 형태로 작성해야 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탁음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 참조)
5. 1. 일본어 표기
- 반탁점
- * 컴퓨터에서 입력할 때는 유니코드의 합자에 대응하는 환경에서, 단독 반탁점 "゜"(U+309C)와는 다른 합자용 반탁점(U+309A)을 "か" 뒤에 입력하여 표현할 수 있다.
- ng
- * 로마자 표기에서는 비탁음을 "ng"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3]。
- * 예: たまご → tamango
- 틸데
- * 게센어(이와테현게센 지방의 방언. 야마우라 겐지가 제창한 호칭)의 게센식 로마자에서는, 비탁음을 g 위에 틸데를 얹어 표기한다. 도호쿠 방언 일반과 마찬가지로 가행 비탁음을 탁음 음소로 변별하기 때문에 이러한 표기가 사용된다.
- * 예: 게센어→
- 우
- * "ん"과 같은 발음을 하는 비탁음을 나타낸다.
6. 컴퓨터 코딩 문제
최근에 제정된 일본의 JIS X0213:2000 코드에서는 비탁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는 10개의 가나 문자(か행 문자+반탁점)를 추가하였다. 히라가나는 1-4-87번부터, 가타카나는 1-5-87번부터 배정되었다.
유니코드 4.1에는 이들 10글자를 표시할 별도의 코드 넘버가 할당돼 있지 않다. 따라서 か행 문자+반탁점 문자 형태로 작성해야 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8]
전각 가나 + 공간 없는 반탁점 | か゚ | き゚ | く゚ | け゚ | こ゚ | カ゚ | キ゚ | ク゚ | ケ゚ | コ゚ |
---|---|---|---|---|---|---|---|---|---|---|
U+304B U+309A | U+304D U+309A | U+304F U+309A | U+3051 U+309A | U+3053 U+309A | U+30AB U+309A | U+30AD U+309A | U+30AF U+309A | U+30B1 U+309A | U+30B3 U+309A | |
전각 가나 + 전각 반탁점 | か゜ | き゜ | く゜ | け゜ | こ゜ | カ゜ | キ゜ | ク゜ | ケ゜ | コ゜ |
U+304B U+309C | U+304D U+309C | U+304F U+309C | U+3051 U+309C | U+3053 U+309C | U+30AB U+309C | U+30AD U+309C | U+30AF U+309C | U+30B1 U+309C | U+30B3 U+309C | |
전각 가나 + 반각 반탁점 | か゚ | き゚ | く゚ | け゚ | こ゚ | カ゚ | キ゚ | ク゚ | ケ゚ | コ゚ |
U+304B U+FF9F | U+304D U+FF9F | U+304F U+FF9F | U+3051 U+FF9F | U+3053 U+FF9F | U+30AB U+FF9F | U+30AD U+FF9F | U+30AF U+FF9F | U+30B1 U+FF9F | U+30B3 U+FF9F | |
반각 가타카나 + 반각 반탁점 | (히라가나 없음) | カ゚ | キ゚ | ク゚ | ケ゚ | コ゚ | ||||
U+FF76 U+FF9F | U+FF77 U+FF9F | U+FF78 U+FF9F | U+FF79 U+FF9F | U+FF80 U+FF9F |
일반적인 탁음과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표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반탁점
- 컴퓨터에서 입력할 때는 유니코드의 합자에 대응하는 환경에서, 단독 반탁점 "゜"(U+309C)와는 다른 합자용 반탁점(U+309A)을 "か" 뒤에 입력하여 "か゚"를 표현할 수 있다.
- ng
- 로마자 표기에서는 비탁음을 "ng"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3]。
- 예: たまご → tamango
- 틸다
- 게센어(이와테현게센 지방의 방언. 야마우라 겐지가 제창한 호칭)의 게센식 로마자에서는, 비탁음을 ""처럼 틸데를 g 위에 얹어 표기한다. 게센어는 도호쿠 방언 일반과 마찬가지로 가행 비탁음을 탁음 음소로 변별하기 때문에 이러한 표기가 사용된다.
- 예: 게센어→
- う゚
- "ん"과 같은 발음을 하는 비탁음을 나타낸다.
7. 관련 자료
濁音と鼻濁音の比較|탁음과 비탁음의 비교일본어
長崎|나가사키일본어
참조
[1]
간행물
日本言語地図』第1集 第1図 地図画像
https://mmsrv.ninjal[...]
国立国語研究所
2021-02-15
[2]
뉴스
"くらしの中のことば"
라디오심야편
2012-04-19
[3]
문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베트남어 쿠오크・구
[4]
서적
NHK 신 아나운스 독본
[5]
문서
'킹(king)' 등은 예외
[6]
문서
중의원 의원
[7]
문서
일반적인 탁음(유성 연구개 폐쇄음)
[8]
문서
유니코드에서 특수한 가나를 입력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