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양계의는 태양계 천체의 움직임을 기계적으로 재현하는 장치로, 플라네타륨의 일종이다.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안티키테라 기계와 같은 초기 형태부터 18세기 오러리, 현대의 천체 투영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모델까지 존재한다. 오러리는 기어, 축, 막대 등을 사용하여 태양, 지구, 달, 그리고 선택적으로 다른 행성들의 공전과 자전을 표현하며, 텔루리온, 루나리움, 아스트라리움, 인간 오러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 교재 - 지구의
지구의는 지구의 모양과 대륙, 대양의 크기와 모양을 왜곡 없이 입체적으로 표현한 모형으로, 평면 지도보다 지리 정보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교육, 연구, 항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전자 기술을 활용한 전자 지구의와 AR, VR 기술을 접목한 지구의가 개발되어 활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으나, 정치적 편향이나 국가 간 분쟁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 과학 교재 - 뉴턴의 요람
뉴턴의 요람은 운동량 보존 법칙과 에너지 보존을 보여주는 장치로, 탄성 충돌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여 한쪽 쇠공을 들어 올렸다 놓으면 반대쪽 쇠공이 튀어나가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교육용 도구 및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된다. - 모형 - 디오라마
디오라마는 역사적 사건, 자연 풍경 등을 실물 크기 또는 축소 모형으로 3차원 재현하여 교육, 오락 목적으로 활용되는 전시 기법이다. - 모형 - 인형의 집
인형의 집은 가구, 사람, 동물 등을 갖춘 미니어처 집으로, 수천 년 전부터 제작되었으며, 16세기 유럽에서 부유한 여성들의 수집품으로, 산업 혁명 이후 대량 생산되었고, 20세기에는 1/12 스케일이 표준이 되었다.
태양계의 | |
---|---|
개요 | |
![]() | |
유형 | 기계 모형 |
용도 | 태양계의 작동 방식 설명 |
발명 | 18세기 초 |
이름의 유래 | 오러리 백작 존 |
상세 정보 | |
설명 |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의 상대적인 위치와 운동을 보여주는 기계 모형 |
작동 원리 | 기어와 크랭크를 사용하여 행성의 공전 주기를 시뮬레이션 |
초기 오러리 제작자 | 조지 그레이엄과 존 롤리 |
오러리 명칭 유래 | 리처드 스틸이 오러리 백작 존을 기리기 위해 명명 |
특징 | 천문 교육 및 과학적 시연에 사용 |
현대적 사용 | 행성 운동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
추가 기능 | 달의 위상, 일식, 월식 등 표현 가능 |
구조 | 중심의 태양 모형 행성 모형 (크기 및 색상으로 표현) 행성 궤도 기어 및 크랭크 시스템 |
교육적 가치 | 태양계의 구조와 운동 이해 천문학적 현상 시각화 과학적 탐구 촉진 |
역사 | |
초기 형태 | 18세기 초, 수동으로 작동하는 기계 장치 형태 |
제작 배경 | 태양계의 구조를 설명하고 천문학적 현상을 시각화하기 위한 목적 |
대중화 | 존 롤리가 오러리 백작을 위해 제작한 후 널리 알려짐 |
기술 발전 | 더 정밀한 기어 시스템 개발 다양한 천문학적 현상 표현 기능 추가 자동화된 작동 방식 도입 |
현대의 오러리 | 컴퓨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형태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사용 대중 과학관에서 전시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천구의 행성 시계 천문 시계 아스트롤라베 |
2. 역사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는 저서 《국가론》에서 아르키메데스와 포세이도니우스가 제작한 천체 운행 모형을 언급했다.[9][10] 1901년 그리스 안티키테라 섬 근해에서 발견된 안티키테라 기계는 기원전 205년에서 87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5][6][7] 태양, 달, 그리고 당시 알려진 다섯 행성의 일주 운동을 보여주는 복잡한 기계 장치였다. 이는 최초의 천구 모형 중 하나로 여겨진다.[8]
1348년부터 1364년까지 시계 제작자 조반니 데 돈디는 천문 시계 "아스트라리움"을 제작했다. 이것은 천동설에 따른 행성 이론에 따라 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황도상 위치를 표시했다. 시계 자체는 분실되었지만, 돈디는 그 톱니바퀴열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남겼다.[32][33]
헤센-카셀의 방백 빌헬름 4세의 궁정에서는 1561년과 1563-1568년에 두 개의 복잡한 천문 시계가 만들어졌다. 이 시계들은 4개의 면을 사용하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달의 각 황도상 위치 및 달력, 일출과 일몰, 그리고 천구의에서 처음으로 균시차를 포함한 태양의 실제 위치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화된 태양 심볼을 갖춘 자동 천구의를 갖추고 있었다.[34][35]
1650년, P.실레우스는 태양을 행성으로, 수성과 금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위성으로 한 플라네타륨을 제작했다.[36]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16세기에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지동설을 주장했다. 이는 태양 중심의 오러리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17] 17세기 후반,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태양 중심의 행성 기계에 대한 세부 사항을 발표했는데, 그는 정밀한 톱니바퀴 열을 사용하여 행성의 주기를 구현했다.[13]
18세기 초, 조지 그레이엄과 토마스 톰피언은 최초의 근대적인 오러리를 제작했다.[17] 이 장치는 찰스 보일, 오러리 백작 4세의 후원으로 "오러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8][19] 조지프 라이트 오브 더비의 그림 "오러리에 대한 강연을 하는 철학자"는 더비 박물관 및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오러리를 통한 천문학 교육의 모습을 보여준다.[20]
18세기 후반, 아이서 아이싱아는 네덜란드 프라네커에 자신의 거실 천장에 정교한 오러리(아이싱아 플라네타륨)를 제작했다. 이 오러리는 1774년부터 1781년까지 만들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작동하고 있다.[21]
19세기, 존 풀턴은 1823년과 1833년 사이에 세 개의 천구의를 제작했다. 마지막 작품은 글래스고의 켈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에 있다.[28]
20세기 이후, 오러리는 교육용, 전시용, 개인 소장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데아고스티니・재팬(DeAgostini Japan)에서 2009년 1월 13일부터 "주간 천체 모형 태양계를 만들다"를 전 52권으로 간행하여 오러리 보급에 기여했다.[41] 최근에는 3D 프린팅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오러리를 제작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2014년, 디자이너 켄 콘달과 엔지니어 데이비드 클라크는 태양계의(태양계 모형)를 제작하고, 그 공정 및 설계도를 웹상에 공개했다.[42]
2. 1. 고대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철학자 키케로는 저서 《국가론》에서 아르키메데스와 포세이도니우스가 제작한 천체 운행 모형을 언급했다.[9][10] 1901년 그리스 안티키테라 섬 근해에서 발견된 안티키테라 기계는 기원전 205년에서 87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5][6][7] 태양, 달, 그리고 당시 알려진 다섯 행성의 일주 운동을 보여주는 복잡한 기계 장치였다. 이는 최초의 천구 모형 중 하나로 여겨진다.[8]2. 2. 중세 및 근세 초기
1348년부터 1364년까지 시계 제작자 조반니 데 돈디는 천문 시계 "아스트라리움"을 제작했다. 이것은 천동설의 행성 이론에 따라 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황도상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었다. 시계 자체는 분실되었지만, 돈디는 그 톱니바퀴열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남겼다.[32][33]
헤센-카셀의 방백 빌헬름 4세의 궁정에서는 1561년과 1563-1568년에 두 개의 복잡한 천문 시계가 만들어졌다. 이 시계들은 4개의 면을 사용하여 태양,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달의 각 황도상 위치 및 달력, 일출과 일몰, 그리고 천구의에서 처음으로 균시차를 포함한 태양의 실제 위치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화된 태양 심볼을 갖춘 자동 천구의를 갖추고 있었다.[34][35] 시계는 현재 카셀의 천문·물리 캐비닛과 드레스덴의 수학 물리 학회에 전시되어 있다.
1650년, P.실레우스는 태양을 행성으로, 수성과 금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위성으로 한 플라네타륨을 제작했다.[36]
2. 3. 근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16세기에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한다는 지동설을 주장했다. 이는 태양 중심의 오러리 제작에 영향을 미쳤다.[17] 17세기 후반,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태양 중심의 행성 기계에 대한 세부 사항을 발표했는데, 그는 정밀한 톱니바퀴 열을 사용하여 행성의 주기를 구현했다.[13]18세기 초, 조지 그레이엄과 토마스 톰피언은 최초의 근대적인 오러리를 제작했다.[17] 이 장치는 찰스 보일, 오러리 백작 4세의 후원으로 "오러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18][19] 조지프 라이트 오브 더비의 그림 "오러리에 대한 강연을 하는 철학자"는 더비 박물관 및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오러리를 통한 천문학 교육의 모습을 보여준다.[20] 그림 속 오러리의 태양은 방 안의 유일한 빛을 제공하며, 고리가 있어 천구의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18세기 후반, 아이서 아이싱아는 네덜란드 프라네커에 자신의 거실 천장에 정교한 오러리(아이싱아 플라네타륨)를 제작했다. 이 오러리는 1774년부터 1781년까지 만들어졌으며, 현재까지도 작동하고 있다.[21]
2. 4. 현대
19세기, 존 풀턴은 1823년과 1833년 사이에 세 개의 천구의를 제작했다. 마지막 작품은 글래스고의 켈빈그로브 미술관 및 박물관에 있다.[28]
20세기 이후, 오러리는 교육용, 전시용, 개인 소장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데아고스티니・재팬(DeAgostini Japan)에서 2009년 1월 13일부터 "주간 천체 모형 태양계를 만들다"를 전 52권으로 간행하여 오러리 보급에 기여했다.[41]
최근에는 3D 프린팅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오러리를 제작하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2014년, 디자이너 켄 콘달과 엔지니어 데이비드 클라크는 태양계의(태양계 모형)를 제작하고, 그 공정 및 설계도를 웹상에 공개했다.[42]
3. 작동 원리 및 종류
1901년 지중해 그리스의 안티키테라 섬 근처 난파선에서 발견된 안티키테라 기계 장치는 태양, 달,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진 다섯 행성의 일주 운동을 보여주었다. 기원전 205년에서 87년 사이로 추정된다.[5][6][7] 이 장치는 최초의 천구 모형 중 하나로 여겨진다.[8] 이는 천동설을 기반으로 했으며, 천문학적 위치를 계산하는 기계식 계산기로 사용되었다.
로마의 철학자이자 정치가인 키케로는 기원전 1세기에 행성 기계 모델에 대한 언급을 남겼다. 그에 따르면, 그리스의 박식가인 탈레스[9]와 포세이도니우스[10]는 모두 천체의 움직임을 모델링하는 장치를 제작했다.
"오러리"라는 용어는 1714년부터 사용되었다. 모든 오러리는 ''플라네타륨''이지만, 플라네타륨이라는 단어는 의미가 바뀌어 현재는 야간 하늘의 이미지를 머리 위의 표면에 투사하는 반구형 극장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그랜드 오러리''는 건설 당시 알려진 외행성을 포함하는 오러리이다. 오러리는 손으로 들 수 있는 크기부터 방 크기까지 다양하다. 오러리는 행성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데 사용되는 반면, 일식과 통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 장치는 아스트라리움이라고 불린다.
오러리는 태양, 지구, 달을 포함해야 한다(선택적으로 다른 행성 포함). 태양, 지구, 달만 포함하는 모델은 텔루리온 또는 텔루륨이라고 불리며, 지구와 달만 포함하는 모델은 루나리움이다. 요빌레이브는 목성과 그 위성의 모델이다.[22]
인간 오러리도 건설되었지만, 대부분 임시적이다. 북아일랜드의 아마 천문대에는 영구적인 인간 오러리가 있으며, 여기에는 6개의 고대 행성, 세레스, 혜성 핼리와 엔케가 있다. 천왕성 이상도 표시되지만, 상당히 제한적인 방식으로 표시된다.[24] 또 다른 곳은 캘리포니아주 트웬티나인 팜스에 있는 Sky's the Limit Observatory and Nature Center로, 실제 축척(200억 대 1), 실제 위치(4일 이내의 정확도)의 인간 오러리이다. 처음 4개의 행성은 서로 비교적 가깝지만, 다음 4개의 행성은 방문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하이킹이 필요하다.[25]
일반적인 기계식 시계를 사용하여 매우 간단한 오러리를 만들 수 있다. 태양을 중앙에 두고 지구를 분침에, 목성을 시침에 놓으면, 지구는 목성이 한 바퀴 돌 때마다 태양 주위를 12번 돈다. 하지만 목성의 실제 공전 주기는 11.86 지구년이므로, 이 모델은 빠르게 정확성을 잃는다.
3. 1. 작동 원리
오러리는 일반적으로 기어, 축, 막대 등의 기계적 요소를 사용하여 천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 각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한 궤도를 따라 공전하며, 위성은 행성 주위를 공전한다. 정교한 오러리는 행성의 공전 주기, 자전 속도, 궤도 경사각, 심지어 달의 복잡한 운동까지 표현할 수 있다.[23]플라네타륨은 각 행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속도''를 아래 표와 같이 보여준다.
행성 | 태양으로부터의 평균 거리 (AU) | 지름 (지구 지름 단위) | 질량 (지구 질량 단위) | 밀도 (g/cm3) | 위성 수 | 공전 주기 (년) | 황도에 대한 기울기 (도) | 자전축 기울기 (도) | 자전 주기 (항성) |
---|---|---|---|---|---|---|---|---|---|
수성 | 0.39 | 0.38 | 0.05 | 5.5 | 0 | 0.24 | 7.0° | 0° | 59일 |
금성 | 0.72 | 0.95 | 0.82 | 5.3 | 0 | 0.62 | 3.4° | 177° | -243일 |
지구 | 1.00 | 1.00 | 1.00 | 5.5 | 1 | 1.00 | 0° | 23° | 23.9시간 |
화성 | 1.52 | 0.53 | 0.11 | 3.9 | 2 | 1.88 | 1.9° | 25° | 24.5시간 |
목성 | 5.20 | 11.21 | 317.9 | 1.3 | 95 | 11.9 | 1.3° | 3° | 10시간 |
토성 | 9.54 | 9.45 | 95.2 | 0.7 | 146 | 29.5 | 2.5° | 27° | 11시간 |
천왕성 | 19.2 | 4.01 | 14.5 | 1.3 | 28 | 84 | 0.8° | 98° | -17시간 |
해왕성 | 30.1 | 3.88 | 17.1 | 1.6 | 16 | 165 | 1.8° | 28° | 16시간 |
텔루리온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와 달의 움직임, 그리고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23] 루나리움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달의 복잡한 움직임을 보여주도록 설계되었다.
오러리는 일반적으로 축척에 맞게 제작되지 않는다.
4. 현대적 응용
많은 천체 투영관에는 투영식 천구 모형이 있는데, 이는 천체 투영관의 돔에 태양과 함께 행성들의 점이나 작은 이미지를 투사한다. 이 모형들은 일반적으로 수성에서 토성까지의 행성들을 보여주지만, 일부는 천왕성도 포함한다. 행성의 광원은 돔의 이미지를 움직이는 모터에 연결된 거울에 투사된다. 일반적으로 지구는 1분 만에 태양을 공전하며, 다른 행성들은 실제 운동에 비례하는 시간 동안 궤도를 완성한다. 예를 들어, 태양을 공전하는 데 224.7일이 걸리는 금성은 천구 모형에서 37초 만에 궤도를 완료하고, 목성은 11분 52초가 걸린다.[1]
일부 천체 투영관은 이 천구 모형을 사용하여 행성과 그 위성들을 시뮬레이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수성은 0.24 지구년 만에 태양을 공전하며,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4:1의 비슷한 시간 비율로 화성을 공전한다. 이를 보여주려는 천체 투영관 운영자는 태양에 빨간 캡을 씌워 화성처럼 보이게 만들고, 수성과 지구를 제외한 모든 행성을 끈다. 비슷한 방법으로 명왕성과 그 다섯 개의 위성도 보여줄 수 있다.[1]
5. 대중문화 속 오러리
- 메카노 건설 시스템은 매우 정확한 천구의를 제작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최초의 메카노 천구의 모델 391은 1918년 6월 메카노 매뉴얼에 설명되어 있다.[29][30]
- 1969년 듄의 속편인 ''듄의 메시아''에는 가상의 행성 아라키스의 두 달과 태양을 나타내는 탁상용 천구의에 대한 묘사가 있다.
- 1982년 영화 ''다크 크리스탈''의 뒷이야기에서 우르스크 텍티는 그의 동료 우르스크 쇼드요드의 도움을 받아 오그라가 살고 있는 산꼭대기 천문대에 거대한 자동 천구의를 만들었다.
- 1999년 버전의 타잔에서 타잔은 행성이 있는 천구의를 연구한다.
- 2000년 SF 영화 ''피치 블랙''에서는 행성의 임박한 일식을 보여주기 위해 천구의가 사용되었다.
- 케이트 그렌빌의 2020년 역사 소설 ''A Room Made of Leaves''에서 윌리엄 도스는 뉴사우스웨일스 초기 식민지에서 발견된 조각으로 임시 천구의를 만든다.
참조
[1]
웹사이트
Orrery made by John Rowley for the Earl of Orrery | Science Museum Group Collection
https://collection.s[...]
[2]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24-07-11
[3]
서적
Geared to the Stars: The Evolution of Planetariums, Orreries, and Astronomical Cloc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4-11-01
[4]
서적
Orrery: A Story of Mechanical Solar Systems, Clocks, and English Nobil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4-11-01
[5]
논문
Gears from the Greeks. The Antikythera Mechanism: A Calendar Computer from ca. 80 BC
[6]
논문
On the epoch of the Antikythera mechanism and its eclipse predictor
2014-11-15
[7]
뉴스
On the Trail of an Ancient Mystery – Solving the Riddles of an Early Astronomical Calculator
https://www.nytimes.[...]
2014-11-25
[8]
서적
Astronomy: Globes Orreries and other Models
H.M.S.O
1967
[9]
서적
de Re Publica I
http://www.thelatinl[...]
[10]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www.gutenber[...]
[11]
서적
Geared to the stars : the evolution of planetariums, orreries, and astronomical clock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8
[12]
서적
Some Outstanding Clocks Over Seven Hundred Years
Leonard Hill Books Limited
1958
[13]
서적
The Edinburgh Encyclopedia
William Blackwood et al.
1830
[14]
서적
Lloyd (1958), pp. 46–57.
[15]
서적
Die Planetenlaufuhr : ein Meisterwerk der Astronomie und Technik der Renaissance geschaffen von Eberhard Baldewein 1563 - 1568
Dt. Gesellschaft für Chronometrie
2008
[16]
서적
The Practical Astronomer
Bloomsbury Books
1992
[17]
웹사이트
Orrery, by Thomas Tompion and George Graham, London, c. 1710
http://www.mhs.ox.ac[...]
2021-06-29
[18]
간행물
OED
[19]
간행물
Forerunners of the Planetarium
https://archive.org/[...]
1965-02
[20]
웹사이트
Revolutionary Players
http://www.search.re[...]
Search.revolutionaryplayers.org.uk
2010-02-09
[21]
웹사이트
Welcome - Planetarium Friesland
http://www.planetari[...]
[22]
서적
The Earth, Its Shape, Intern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pen University Press
1971
[23]
웹사이트
Adler Planetarium:Research Collections
http://64.107.216.64[...]
Adler Planetarium.
2011-06-22
[24]
웹사이트
Human Orrery
https://www.armagh.s[...]
[25]
웹사이트
Orrery
https://www.skysthel[...]
[26]
웹사이트
The Human Orrery
http://planetaire.ov[...]
[27]
웹사이트
Emmanuel Rollinde's "Planetaires Humains - Human Orreries" List
https://www.google.c[...]
[28]
논문
The Franeker Planetarium
http://articles.adsa[...]
SAO/NASA ADS
2011-06-22
[29]
웹사이트
Analysis of Meccano Manuals - Manual Models Listings
https://www.meccanoi[...]
[30]
논문
Orrery Developments:The Use of Meccano in Constructing Planetaria
http://www.sis.org.u[...]
2017-05-03
[31]
서적
Astronomy: Globes Orreries and other Models
H.M.S.O
1967
[32]
서적
Geared to the stars : the evolution of planetariums, orreries, and astronomical clock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8
[33]
서적
Some Outstanding Clocks Over Seven Hundred Years
Leonard Hill Books Limited
1958
[34]
서적
Lloyd (1958), pp. 46–57.
[35]
서적
Die Planetenlaufuhr : ein Meisterwerk der Astronomie und Technik der Renaissance geschaffen von Eberhard Baldewein 1563 - 1568
Dt. Gesellschaft für Chronometrie
2008
[36]
서적
The Edinburgh Encyclopedia
William Blackwood et al.
1830
[37]
웹사이트
Orrery, by Thomas Tompion and George Graham, London, c. 1710
http://www.mhs.ox.ac[...]
2021-06-29
[38]
문서
orrery
[39]
간행물
Forerunners of the Planetarium
https://archive.org/[...]
1965-02
[40]
웹사이트
Revolutionary Players
http://www.search.re[...]
Search.revolutionaryplayers.org.uk
2010-02-09
[41]
문서
プレスリリース『週刊 天体模型 太陽系を作る』
https://deagostini.j[...]
[42]
웹사이트
Building An Orrery – Overview
http://zeamon.com/wo[...]
2023-07-30
[43]
서적
The Earth, Its Shape, Internal Structure and Composition
Open University Press
1971
[44]
웹사이트
Adler Planetarium:Research Collections
http://64.107.216.64[...]
Adler Planetarium.
2010
[45]
논문
The Armagh Observatory Human Orrery
[46]
웹사이트
Orrery
https://www.skysthel[...]
2023-07-30
[47]
웹사이트
The Human Orrery
http://planetaire.ov[...]
2023-07-30
[48]
웹사이트
Emmanuel Rollinde's "Planetaires Humains - Human Orreries" List
https://www.google.c[...]
2023-07-30
[49]
학술지
The Franeker Planetarium
https://articles.ads[...]
SAO/NASA ADS
1934-11
[50]
웹사이트
Stellar Movementsの概要
https://olenoides.co[...]
2023-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