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풍 와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와메이는 2001년 12월에 발생한 태풍으로, 적도 부근에서 발생하여 매우 이례적인 경로를 보였다. 보르네오섬 북서쪽에서 발생한 저기압이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하여 싱가포르 동쪽을 지나 말레이시아 남부를 관통한 후 소멸되었으며, 이후 벵골만에서 다시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기도 했다. 와메이는 적도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발생한 태풍으로 기록되었으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폭우와 홍수, 산사태 등의 피해를 입혔다. 이러한 피해와 특이한 경로로 인해 태풍 와메이의 이름은 제명되었고, '페이파'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태풍 와메이
기본 정보
2001년 12월 27일 말레이시아에 상륙하는 열대 폭풍 바메이
2001년 12월 27일 말레이시아에 상륙하는 열대 폭풍 바메이
열대 폭풍 바메이 정보 (JMA)
최대 풍속45 노트
최저 기압1006 hPa
열대 폭풍 바메이 정보 (JTWC)
최대 풍속65 노트
최저 기압976 hPa
해역서태평양
발생 및 소멸
발생일2001년 12월 26일
소멸일 (JMA)2001년 12월 28일
소멸일 (JTWC)2002년 1월 1일
영향
연도2001년
사망자 (직접적 원인)5명
피해액4,661,370 미국 달러
영향 지역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관련 시즌
시즌2001년 태평양 태풍 시즌

2. 발생 및 경로

12월 19일,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북서쪽 해안에서 저기압 순환기류가 발달했다.[1] 이 저기압은 남중국해를 건너온 차가운 공기와 적도 부근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상호작용하면서 급격히 발달했다. 12월 21일까지 공해상에 도달했고, 북풍 계열의 공기 덩어리는 순환과 상호 작용한 후 굴절되었고, 동시에 이 공기 덩어리의 일부가 적도를 넘었다. 남풍 계열의 흐름은 동쪽으로, 그 다음 북쪽으로 바뀌었고, 북풍 계열의 흐름과 결합하여 소용돌이 속으로 감싸여 적도 바로 북쪽에서 저기압성 순환의 급격한 발달을 초래했다.[1]

태풍 와메이의 이동 경로


12월 26일 싱가포르 동쪽 230 km 부근, 적도 북쪽 약 156 km 지점에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는데, 이는 역대 태풍 중에서 적도와 가장 근접한 장소였다.[3] 12월 25일에는 싱가포르 동쪽 370 km 해상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해 소용돌이와 합쳐져 더욱 강해진 후에 서쪽으로 느리게 이동했다.[2]

이후 열대 저기압은 더 발달하여, 12월 27일 일본 기상청(JMA)은 열대 폭풍으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6시간 먼저 열대 폭풍으로 승격시켰다. 직경 약 39km의 태풍의 눈이 위성사진에서 관찰되었다. 같은 날 06시, JMA는 싱가포르 북동쪽 약 65 km 부근에서 열대 폭풍 '와메이'로 분류했고, 예상 풍속은 85 km/h였다.[2][3] 그러나 JTWC는 태풍 와메이를 태풍으로 격상시켰으며, 최대풍속은 140 km/h였다. 와메이는 너울이 태풍의 눈에서 45 km까지만 일었으며 작고 조밀한 태풍이었다. 태풍 와메이는 싱가포르 북동쪽 약 60 km 부근에 상륙했다.[2][4] 말레이시아 기상청은 처음에는 열대 폭풍으로 분류했으나 나중에 태풍으로 수정했다.[5][6]

와메이는 말레이시아 극남부를 통과하며 빠르게 약화되었고, 12월 27일 JMA는 말라카 해협 도달 전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켰다. JTWC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상륙 후 열대 저기압으로 낮추었다. 12월 28일, JMA는 와메이가 수마트라섬에 있을 때 소멸되었다고 발표했다.[3]

그러나 상승기류는 지속되었고, 12월 29일 수마트라섬을 빠져나와 벵골만에 들어섰다. 12월 30일 JTWC는 이 상승기류를 와메이와 동일시하여 수마트라섬 북서쪽 390km 해상에서 다시 열대 폭풍으로 승격시켰다. 와메이는 완전히 다른 해양으로 진입하면서 사이클론 05B로 재명명되었다. 이후 서쪽으로 이동하며 발달했지만, 이듬해 1월 1일 빠르게 약해져 소멸되었다.[2]

2. 1. 발생 초기

2001년 12월 19일,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북서쪽 해안에서 저기압 순환기류가 발달했다.[1] 이 저기압은 남중국해를 건너온 차가운 공기와 적도 부근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상호작용하면서 급격히 발달했다.[1] 12월 21일까지 공해상에 도달했고, 북풍 계열의 공기 덩어리는 순환과 상호 작용한 후 굴절되었고, 동시에 이 공기 덩어리의 일부가 적도를 넘었다. 남풍 계열의 흐름은 동쪽으로, 그 다음 북쪽으로 바뀌었고, 북풍 계열의 흐름과 결합하여 소용돌이 속으로 감싸여 적도 바로 북쪽에서 저기압성 순환의 급격한 발달을 초래했다.[1]

12월 26일 싱가포르 동쪽 230 km 부근, 적도 북쪽 약 156 km 지점에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는데, 이는 역대 태풍 중에서 적도와 가장 근접한 장소였다.[3] 12월 25일에는 싱가포르 동쪽 370 km 해상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해 소용돌이와 합쳐져 더욱 강해진 후에 서쪽으로 느리게 이동했다.[2]

12월 27일 일본 기상청(JMA)은 싱가포르 북동쪽 65 km 부근에서 열대 폭풍으로 격상시켰고, 이 때 풍속이 85 km/h으로 예상했다.[2][3] 그러나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태풍 와메이를 태풍의 단계로 올렸으며 이 때 최대풍속이 140 km/h였다.[2] 와메이는 너울이 태풍의 눈에서 45 km까지만 일었으며 작고 조밀한 태풍이었다.[2]

2. 2. 열대 폭풍으로 발달

12월 19일,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북서쪽 해안에 저기압 순환기류가 발달했다.[1] 12월 25일에는 싱가포르 동쪽 370 km 해상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해 소용돌이와 합쳐져 더욱 강해진 후에 서쪽으로 느리게 이동했다.[2] 12월 26일, 싱가포르 동쪽 230 km 부근, 북위 1.5도 지점에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는데, 이는 태풍 중에서 적도와 가장 근접한 장소였다.[1][3]

이후 열대 저기압은 더 발달하여, 12월 27일 일본 기상청(JMA)은 열대 폭풍으로,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6시간 먼저 열대 폭풍으로 승격시켰다. 직경 약 39km의 태풍의 눈이 위성사진에서 관찰되었다. 같은 날 06시, JMA는 싱가포르 북동쪽 약 65 km 부근에서 열대 폭풍 '와메이'로 분류했고, 예상 풍속은 85 km/h였다.[2][3] 그러나 JTWC는 태풍 와메이를 태풍으로 격상시켰으며, 최대풍속은 140 km/h였다. 와메이는 너울이 태풍의 눈에서 45 km까지만 일었으며 작고 조밀한 태풍이었다. 태풍 와메이는 싱가포르 북동쪽 약 60 km 부근에 상륙했다.[2][4]

2. 3. 특이한 경로

태풍 와메이는 일반적인 태풍과 달리 적도 부근에서 발생하여 매우 이례적인 경로를 보였다. 12월 19일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북서쪽 해안에 저기압 순환기류가 발달했고, 남중국해를 건너온 차가운 공기와 만나 남서쪽으로 이동하며 싱가포르를 향했다.[1] 12월 21일 남쪽 적도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합쳐져 강해졌고, 12월 25일 싱가포르 동쪽 370km 해상에서 상승기류와 합쳐져 더욱 강해졌다.[2] 12월 26일 싱가포르 동쪽 230km 부근, 적도 북쪽 약 156km 지점에서 열대 저기압으로 발달했는데, 이는 역대 태풍 중 적도와 가장 가까운 발생 위치였다.[3]

이후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으며,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6시간 먼저 열대 폭풍으로 승격시켰다.[3] 12월 27일에는 직경 약 39km의 태풍의 눈이 발달했고, 일본 기상청(JMA)는 싱가포르 북동쪽 65km 부근에서 열대 폭풍으로 격상시키고 풍속을 85km/h로 예상했다. 그러나 JTWC는 와메이를 태풍으로 격상시키고 최대풍속을 140km/h로 추정했다. 와메이는 작고 조밀한 태풍으로, 태풍의 눈에서 45km까지만 너울이 일었다.[2] 12월 27일 싱가포르 북동쪽 약 60km 부근에 상륙했다.[2][4] 말레이시아 기상청은 처음에는 열대 폭풍으로 분류했으나 나중에 태풍으로 수정했다.[5][6]

와메이는 말레이시아 극남부를 통과하며 빠르게 약화되었고, 12월 27일 JMA는 말라카 해협 도달 전 열대 저기압으로 격하시켰다. JTWC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상륙 후 열대 저기압으로 낮추었다. 12월 28일, JMA는 와메이가 수마트라섬에 있을 때 소멸되었다고 발표했다.[3]

그러나 상승기류는 지속되었고, 12월 29일 수마트라섬을 빠져나와 벵골만에 들어섰다. 12월 30일 JTWC는 이 상승기류를 와메이와 동일시하여 수마트라섬 북서쪽 390km 해상에서 다시 열대 폭풍으로 승격시켰다. 와메이는 완전히 다른 해양으로 진입하면서 사이클론 05B로 재명명되었다. 이후 서쪽으로 이동하며 발달했지만, 이듬해 1월 1일 빠르게 약해져 소멸되었다.[2]

3. 기상학적 특징

태풍 와메이는 역대 발생한 모든 태풍을 통틀어서 적도와 가장 가깝게 이동한 태풍이었다. 적도와 가장 근접한 장소가 불과 북위 1.5도였고 이는 156 km 떨어진 것과 같다. 이 기록은 종전의 1956년의 태풍 사라의 기록(북위 2.2도)을 깬 것이다.[2] 적도 부근에서는 코리올리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에, 와메이의 형성은 이전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2] 적도 부근의 약한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처음에 와메이가 수마트라섬 방면으로 이동하는 진로는 예상하기가 불가능했다. 그러나 미국 해군 대학원 학교가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와메이와 같이 벵골만에 진입할 수 있는 태풍은 4세기, 즉 400년에 한 번씩 일어날 수 있다고 나타냈다.[1] 미 해군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적도 부근에서의 발달은 적어도 400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

와메이는 보르네오섬 근처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가 발달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소용돌이는 섬의 해안가에서 멈춰있는데 51번의 겨울 중에 단 6번만이 소용돌이가 바다로 나온다고 밝혀졌다. 말레이반도보르네오섬은 불과 665 km밖에 떨어지지 않았는데 태풍이 발생하기 까지는 5일 이상 북쪽에서 바람이 불어와 소용돌이를 강력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는 겨울에 평균 9일 동안 발생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5일 동안 바람이 불어오는 것은 태풍으로써의 발달 가능성으로 10~30%밖에 안 되는 수치이다. 그러므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까지에 따른 시간은 최소 100년에서 최대 400년까지 걸린다는 것으로 증명된다.

와메이는 이런 효과로 인해 남중국해에서 말레이반도, 말라카 해협, 수마트라섬을 거쳐 벵골만에 도달하는 매우 기이한 이상진로 현상을 보였다. 와메이는 2000년의 태풍 솔릭이후 일생동안 2개의 해(年)를 가진 두 번째 태풍이었다.

3. 1. 적도 부근 발생

태풍 와메이는 역대 발생한 모든 태풍을 통틀어서 적도와 가장 가깝게 이동한 태풍이었다. 적도와 가장 근접한 장소가 불과 북위 1.5도였고 이는 156 km 떨어진 것과 같다. 이 기록은 종전의 1956년의 태풍 사라의 기록(북위 2.2도)을 깬 것이다.[2] 적도 부근에서는 코리올리 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에, 와메이의 형성은 이전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2] 적도 부근의 약한 코리올리 효과로 인해 처음에 와메이가 수마트라섬 방면으로 이동하는 진로는 예상하기가 불가능했다. 그러나 미국 해군 대학원 학교가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와메이와 같이 벵골만에 진입할 수 있는 태풍은 4세기, 즉 400년에 한 번씩 일어날 수 있다고 나타냈다. 미 해군대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적도 부근에서의 발달은 적어도 400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

와메이는 보르네오섬 근처에서 일어나는 소용돌이가 발달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소용돌이는 섬의 해안가에서 멈춰있는데 51번의 겨울 중에 단 6번만이 소용돌이가 바다로 나온다고 밝혀졌다. 말레이반도보르네오섬은 불과 665 km밖에 떨어지지 않았는데 태풍이 발생하기 까지는 5일 이상 북쪽에서 바람이 불어와 소용돌이를 강력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는 겨울에 평균 9일 동안 발생한다. 그러나 앞서 말한 5일 동안 바람이 불어오는 것은 태풍으로써의 발달 가능성으로 10~30%밖에 안 되는 수치이다. 그러므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까지에 따른 시간은 최소 100년에서 최대 400년까지 걸린다는 것으로 증명된다.

와메이는 이런 효과로 인해 남중국해에서 말레이반도, 말라카 해협, 수마트라섬을 거쳐 벵골만에 도달하는 매우 기이한 이상진로 현상을 보였다. 와메이는 2000년의 태풍 솔릭이후 일생동안 2개의 해(年)를 가진 두 번째 태풍이었다.

3. 2. 발생 원인 분석

태풍 와메이는 적도와 가장 가깝게 이동한 태풍으로 기록되었으며, 1956년의 태풍 사라의 기록(북위 2.2도)을 경신하여 북위 1.5도(156km)까지 접근했다. 적도 부근에서는 코리올리 효과가 약해 태풍 발생이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미국 해군 대학원 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와메이와 같이 벵골만에 진입할 수 있는 태풍은 400년에 한 번씩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1]

와메이는 보르네오섬 근처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와 겨울철 북풍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말레이반도보르네오섬 사이의 좁은 해역(약 665km)에서 소용돌이가 발달하려면 5일 이상 북풍이 지속되어야 하는데, 이는 겨울철 평균 9일 동안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이 태풍으로 이어질 확률은 10~30%에 불과하여, 와메이와 같은 발생 조건은 100년에서 4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된다.[1]

이러한 드문 조건으로 인해 와메이는 남중국해에서 말레이반도, 말라카 해협, 수마트라섬을 거쳐 벵골만에 도달하는 특이한 경로를 보였다.

4. 대비 및 피해

태풍 와메이가 말레이시아에 근접하기 4일 전부터 말레이시아 기상청은 해안지역 주민들에게 경보를 내렸다.[4] 말레이시아 기상청은 폭우와 강풍, 해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와메이의 이상진로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아는 시민은 거의 없었다.[7]

말레이시아 해상에서 와메이의 눈 벽 내에 있던 두 척의 미국 해군 군함이 강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1] 태풍 와메이는 말레이시아 반도 남동부에 폭풍 해일 피해를 입혔고,[8] 믈라카, 느게리슴빌란, 슬랑오르 일부 지역과 조호르에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왔다. 세나이에서는 200 mm가 넘는 폭우가 내렸으며, 폭풍의 영향을 받은 계절풍 습기는 말레이시아 반도 여러 지역에 중강도의 강수를 가져왔다.[4]

태풍 와메이의 통과로 인해 홍수산사태가 발생하여 조호르주파항주에서 13,195명 이상의 사람들이 69개 대피소로 대피해야 했다.[9][10] 구눙 풀라이에서는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여 4채의 가옥이 파괴되고 5명이 사망했다. 와메이로 인한 강수와 이전의 강수로 인해 강물 범람도 보고되었다. 홍수로 인한 피해는 1,370만 링깃(2001년 MYR, 360만 달러, 2001년 USD)으로 추산되었다. 피해의 약 40%는 코타 팅기의 농작물에 발생했다. 교통, 교육, 의료 시설에도 중간 정도의 피해가 보고되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피해를 입은 가족에게 식량, 의류, 수리비 지원으로 최대 5,000 링깃(2001년 MYR, 1,300 달러, 2001년 USD)을 제공했다.[10]

태풍 와메이는 싱가포르에 폭우를 가져왔으며,[11] 이로 인해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서 항공 교통이 혼잡해졌다.[12] 이 사이클론의 통과로 인해 많은 나무가 쓰러졌다.[13]

4. 1. 말레이시아

태풍 와메이가 말레이시아에 근접하기 4일 전부터 말레이시아 기상청은 해안지역 주민들에게 경보를 내렸다.[4] 말레이시아 기상청은 폭우와 강풍, 해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와메이의 이상진로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아는 시민은 거의 없었다.[7]

말레이시아 해상에서 와메이의 눈 벽 내에 있던 두 척의 미 해군 군함이 강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1] 태풍 와메이는 말레이시아 반도 남동부에 폭풍 해일 피해를 입혔고,[8] 믈라카, 느게리슴빌란, 슬랑오르 일부 지역과 조호르에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왔다. 세나이에서는 200 mm가 넘는 폭우가 내렸으며, 폭풍의 영향을 받은 계절풍 습기는 말레이시아 반도 여러 지역에 중강도의 강수를 가져왔다.[4]

태풍 와메이의 통과로 인해 홍수산사태가 발생하여 조호르주파항주에서 13,195명 이상의 사람들이 69개 대피소로 대피해야 했다.[9][10] 구눙 풀라이에서는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하여 4채의 가옥이 파괴되고 5명이 사망했다. 와메이로 인한 강수와 이전의 강수로 인해 강물 범람도 보고되었다. 홍수로 인한 피해는 1,370만 링깃(2001년 MYR, 360만 달러, 2001년 USD)으로 추산되었다. 피해의 약 40%는 코타 팅기의 농작물에 발생했다. 교통, 교육, 의료 시설에도 중간 정도의 피해가 보고되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피해를 입은 가족에게 식량, 의류, 수리비 지원으로 최대 5,000 링깃(2001년 MYR, 1,300 달러, 2001년 USD)을 제공했다.[10]

4. 2. 싱가포르

태풍 와메이는 싱가포르에 폭우를 가져왔으며,[11] 이로 인해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서 항공 교통이 혼잡해졌다.[12] 이 사이클론의 통과로 인해 많은 나무가 쓰러졌다.[13]

4. 3. 기타 피해

말레이시아 해상에서 미국 해군 군함이 강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1] 태풍 와메이는 말레이시아 반도 남동부에 폭풍 해일 피해를 입혔고,[8] 믈라카, 느게리슴빌란, 슬랑오르 일부 지역과 조호르에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왔다.[4] 세나이에서는 200 mm가 넘는 강수량이 기록되었다.[4]

태풍 와메이의 영향으로 발생한 홍수산사태로 인해 조호르주파항주에서 13,195명 이상의 사람들이 69개 대피소로 대피해야 했다.[9][10] 구눙 풀라이에서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4채의 가옥이 파괴되고 5명이 사망했다.[10] 강물 범람도 보고되었으며, 홍수 피해액은 360만 달러(2001년 기준)로 추산되었다.[10] 피해의 약 40%는 코타 팅기의 농작물에 발생했다.[10] 교통, 교육, 의료 시설에도 중간 정도의 피해가 보고되었다.[10] 말레이시아 정부는 피해를 입은 가족에게 식량, 의류, 수리비 지원으로 최대 1300달러를 제공했다.[10]

태풍 와메이는 싱가포르에도 폭우를 가져왔으며,[11] 이로 인해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서 항공 교통이 혼잡해졌다.[12] 또한 많은 나무가 쓰러졌다.[13]

태풍 와메이가 상륙하기 4일 전, 말레이시아 기상청(MetMalaysia)은 잠재적 피해 지역에 대한 폭풍 경보를 발령했다. 이후, 이 기관은 폭우, 강풍, 거친 바다에 대한 경고를 발령했다.[4] 하지만, 희귀한 폭풍의 통과를 아는 시민은 거의 없었다.[7]

5. 영향 및 제명

태풍 와메이는 특이한 경로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 끼친 피해로 인해 제명되었다.[14][15] 이는 2000년부터 북서태평양 인접 14개 국가에서 제출한 280개의 태풍 이름 중 가장 먼저 제명된 사례이다. 와메이는 태풍의 지위에 미치지 못한 채 제명된 최초의 사례였으나, 이후 태풍 빌리스, 태풍 와시, 태풍 린파가 추가로 제명되었다. 와메이(VAMEI)를 대신하여 페이파(PEIPAH)가 새로운 이름으로 선정되어 2007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5. 1. 사회·경제적 영향

5. 2. 이름 제명

태풍 와메이(VAMEI)는 이상진로와 말레이시아싱가포르에 남긴 피해 때문에 제명되었다.[14][15] 이는 2000년부터 북서태평양 인접 14개국가에서 제출한 280개의 이름 중 가장 먼저 퇴출된 것이다. 또한 와메이는 태풍의 지위에 못 미친채 제명이 되었는데 이는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그러나 5년 뒤인 태풍 빌리스와 10년 뒤 태풍 와시, 19년 뒤 태풍 린파가 퇴출되면서 3개로 늘어났다. 와메이(VAMEI)를 대신해 페이파(PEIPAH)가 대체 이름으로 선택되어 2007년부터 쓰였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Typhoon Vamei: An Equatorial Tropical Cyclone Formation http://www.weather.n[...] Naval Post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Meteorology 2010-04-14
[2] 웹사이트 December 2001 Worldwide Tropical Weather Summary http://www.australia[...] 2010-04-14
[3] 웹사이트 Typhoon Vamei Best Track for the 2001 Pacific typhoon season http://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2-12-06
[4] 웹사이트 Tropical Storm Vamei causes widespread floods in Johor http://www.kjc.gov.m[...] 2010-04-14
[5] 뉴스 Change Welcomed http://www.highbeam.[...] 2006-12-20
[6] 뉴스 Typhoon Vamei a unique experience http://www.highbeam.[...] 2006-11-14
[7] 뉴스 Get your facts right first http://www.highbeam.[...] 2006-05-01
[8] 뉴스 Hurricanes at the Equator: "Impossible Perfect Storm" Observed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03-05-12
[9] 웹사이트 Winter Vortex: A Quarter-Century and Beyond http://www.wmo.int/p[...]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0-04-14
[10] 뉴스 Recent Floods Claimed Five Lives and Caused Substantial Damage http://library.perda[...] Bernama: The Malaysian National News Agency 2002-01-08
[11] 웹사이트 Verification of a Mesoscale Simulation of Tropical Cyclone Vamei http://www.cosis.net[...] European Geosciences Union 2010-04-14
[12] 뉴스 Why don't certain areas in Asia, like Singapore, have typhoons, tornadoes or other disastrous weather? https://www.usatoday[...] USAToday.com 2004-11-01
[13] 웹사이트 What Makes A Typhoon Spin? http://www.asiaocean[...] School of Physical & Mathematical Sciences,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14] 웹사이트 Typhoon Committee Operational Manual — Meteorological Component http://www.wmo.int/p[...]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0-04-14
[15]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s in 2006 http://www.weather.g[...] 201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