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살로니카의 에브스타티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살로니카의 에브스타티오스는 12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테살로니카 대주교였다. 그는 니콜라스 카타플로론의 제자였으며, 수사학 교수와 탄원서 감독관을 역임했고, 미라의 주교를 거쳐 테살로니카 대주교가 되었다. 에브스타티오스는 고대 그리스 시인에 대한 주석, 신학 논문, 연설, 편지를 저술했으며, 특히 1185년 테살로니카 약탈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작으로는 '테살로니카 함락에 관하여',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 대한 주석, 디오니시우스 페리에게테스에 대한 주석, 핀다로스에 대한 주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저술가 - 니코스 카잔차키스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20세기 그리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다양한 사상적 영향을 받아 인간의 자유, 실존적 문제, 종교적 갈등 등을 다룬 소설 《그리스인 조르바》 등을 집필했으며, 여러 차례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 그리스의 저술가 - 소티리오스 트람바스
그리스 출신 동방 정교회 성직자 소티리오스 트람바스는 아테네 대학교 신학부 졸업 후 그리스 군종 신부와 아테네 대교구 총장을 역임하고 한국 정교회에서 봉사하며 교세 확장에 기여, 2004년 한국 대교구 독립 시 초대 대주교로 착좌하여 아시아 지역 선교에 헌신했다. - 동로마 제국의 문법학자 -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는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친 12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작가로, 특히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 동로마 제국의 문법학자 - 막시모스 플라누디스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13~14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수도사이자 외교관으로, 서양 고전 번역,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 그리고 르네상스 시대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영향을 미친 《그리스 선집》 편집 등에 기여했다.
| 테살로니카의 에브스타티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에브스타티오스 |
| 다른 이름 | 에브스타티오스 테살로니케, |
| 국적 | 그리스 |
| 직업 | 학자 및 테살로니카의 대주교 |
| 알려진 업적 | 테살로니카 약탈 |
2. 생애
에브스타티오스는 니콜라스 카타플로론의 제자로, 탄원서 감독관(에피 톤 데에손)과 수사학 교수(마이스토르 레토론/μαΐστωρ ῥητόρωνgrc) 직을 맡았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부제로 서품되었다.
1185년 테살로니카 약탈과 그 이후 테살로니카 사람들이 겪은 고통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담은 ''테살로니카 함락에 관하여''는 에브스타티오스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이다. 이 회고록의 초기 부분에서 에우스타티오스는 마누엘 1세 황제의 죽음부터 알렉시우스 2세의 짧은 통치, 안드로니코스 1세의 찬탈에 이르기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치적 사건들을 묘사하며,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활동에 대한 날카로운 논평을 덧붙였다. 그리스어 텍스트는 키리아키디스에 의해 편집되었고, V. 로톨로가 이탈리아어로 번역했으며, J. 멜빌-존스(Byzantina Australiensia Volume 8)의 영어 번역(해설 및 관련 에세이 포함), 파올로 오도리코의 프랑스어 번역, H. 헝거의 독일어 번역본이 있다.
그는 미라의 주교로 서품되었다. 1178년경, 테살로니카 대주교로 임명되어 1195/1196년경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그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설명은 에우티미우스와 미카엘 코니아테스의 장례 연설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 연설의 필사본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보들리안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니케타스 코니아테스는 그를 당대 최고의 학자로 칭찬했다. 그는 고대 그리스 시인에 대한 주석, 신학 논문, 연설, 편지를 썼으며, 1185년 시칠리아의 윌리엄 2세에 의한 테살로니카 약탈에 대한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그의 저작물 중 호메로스에 대한 주석은 가장 널리 언급되는데, 이는 초기부터 후기까지 그리스 문학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보여준다. 다른 작품들은 인상적인 성격과 웅변력을 보여주어 콤네노스 황제들의 존경을 받았다. 정치적으로 에브스타티오스는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를 지지했다. 독창적인 사상가였던 그는 때때로 군사적 용맹과 같은 세속적 가치를 칭찬했다. 그는 노예제를 비난했으며, 원시적인 상태에서 보다 진보된 상태로의 문명의 역사적 진보 개념을 믿었다.
3. 사상 및 정치적 입장
4. 주요 저작
에우스타티오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 대한 주석(Παρεκβολαὶ εἰς τὴν Ὁμήρου Ἰλιάδα καὶ Ὀδύσσειανgrc)을 저술했다. 이 주석들은 문법, 어원, 신화, 역사, 지리학적 질문을 다루며, 이전 주석가들의 발췌본에 가깝고 호메로스의 스콜리아와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알렉산드리아의 문법학자들과 비평가들, 후대의 주석가들의 수많은 방대한 저작들을 참고했는데, 에우스타티오스가 발췌한 일부 작품이 유실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호메로스 연구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한다.
에우스타티오스는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제노도토스,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 등 고대 비평가들의 작품에 정통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12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 도서관과 고전 연구의 상태에 대한 훌륭한 찬사이기도 하다. 그는 또한 아테나이오스의 ''데이프노소피스타이''의 열렬한 독자였다. 다만, 에우스타티오스의 알렉산드리아 선배들의 일부 어원 및 문법적 논평은 오류로 가득 차 있으며, 에우스타티오스 자신의 논평은 산만하고 종종 지엽적인 내용으로 중단된다는 단점이 있다.
1542-1550년 로마에서 마요라누스에 의해 첫 번째 인쇄본이 출판되었고(4권), 부정확한 재판이 1559-1560년 바젤에서 출판되었다. A. 폴리티의 판(피렌체, 1730, 3권)에는 ''일리아스''의 첫 다섯 권에 대한 주석과 라틴어 번역만 포함되어 있다. 로마판의 재판은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었는데, ''오디세이아'' 주석(2권, 1825-1826)과 ''일리아스'' 주석(3권, 1827-1829)을 포함하며, J. G. 슈탈바움이 편집했다. M. 반 데어 발크의 판이 1971년부터 이를 대체했다. 주석에서 발췌한 내용은 호메로스 시의 많은 판본에서 인용된다.
에브스타티오스는 디오니시우스 페리에게테스에 대한 주석을 작성했는데, 이 주석은 요한 두카스에게 헌정되었으며 안드로니코스 카마테로스의 아들이다. 이 주석은 호메로스에 대한 주석만큼이나 내용이 산만하지만, 이전 작가들의 귀중한 발췌문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R. 스테판의 디오니시우스 판(파리, 1547, 4to.)에 처음 인쇄되었고, 이후 H. 스테판의 판(파리, 1577, 4to., 및 1697, 8vo.), 허드슨의 ''Geograph. Minor'', vol. iv.,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른하르디의 디오니시우스 판(라이프치히, 1828, 8vo.)에 실렸다.
에브스타티오스는 핀다로스에 대한 주석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이 주석의 원고는 발견되지 않았고, 서론만 남아있다. 서론은 고틀리프 타펠이 ''Eustathii Thessalonicensis Opuscula''(1832년)에서 처음 출판했고, 이후 슈나이데빈이 ''Eustathii prooemium commentariorum Pindaricorum''(1837년)으로 별도 재판했다.
에브스타티오스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에우스타티오스는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제노도토스,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 등의 작품에 정통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한 아테나이오스의 ''데이프노소피스타이''의 열렬한 독자였다. 에우스타티오스의 알렉산드리아 선배들의 일부 어원 및 문법적 논평은 오류로 가득 차 있으며, 에우스타티오스 자신의 논평은 산만하고 종종 지엽적인 내용으로 중단된다.
: 마요라누스에 의한 첫 번째 인쇄본은 1542-1550년 로마에서 출판되었으며, 부정확한 재판이 1559-1560년 바젤에서 출판되었다. A. 폴리티의 판에는 ''일리아스''의 첫 다섯 권에 대한 주석과 라틴어 번역만 포함되어 있다. 로마판의 재판은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었으며, ''오디세이아'' 주석과 ''일리아스'' 주석을 포함한다. 1971년부터 M. 반 데어 발크의 판에 의해 대체되었다. 주석에서 발췌한 내용은 호메로스 시의 많은 판본에서 인용된다.4. 1. 테살로니카 함락에 관하여
1185년 테살로니카 약탈과 그 이후 테살로니카 사람들이 겪은 고통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담은 ''테살로니카 함락에 관하여''는 에브스타티오스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이다. 이 회고록의 초기 부분에서 에우스타티오스는 마누엘 1세 황제의 죽음부터 알렉시우스 2세의 짧은 통치, 안드로니코스 1세의 찬탈에 이르기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치적 사건들을 묘사하며,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활동에 대한 날카로운 논평을 덧붙였다. 그리스어 텍스트는 키리아키디스에 의해 편집되었고, V. 로톨로가 이탈리아어로 번역했으며, J. 멜빌-존스(Byzantina Australiensia Volume 8)의 영어 번역(해설 및 관련 에세이 포함), 파올로 오도리코의 프랑스어 번역, H. 헝거의 독일어 번역본이 있다.
4. 2. 호메로스 주석
에우스타티오스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에 대한 주석(Παρεκβολαὶ εἰς τὴν Ὁμήρου Ἰλιάδα καὶ Ὀδύσσειανgrc)을 저술했다. 이 주석들은 문법, 어원, 신화, 역사, 지리학적 질문을 다루며, 이전 주석가들의 발췌본에 가깝고 호메로스의 스콜리아와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알렉산드리아의 문법학자들과 비평가들, 후대의 주석가들의 수많은 방대한 저작들을 참고했는데, 에우스타티오스가 발췌한 일부 작품이 유실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호메로스 연구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한다.
에우스타티오스는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제노도토스,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 등 고대 비평가들의 작품에 정통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12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 도서관과 고전 연구의 상태에 대한 훌륭한 찬사이기도 하다. 그는 또한 아테나이오스의 ''데이프노소피스타이''의 열렬한 독자였다. 다만, 에우스타티오스의 알렉산드리아 선배들의 일부 어원 및 문법적 논평은 오류로 가득 차 있으며, 에우스타티오스 자신의 논평은 산만하고 종종 지엽적인 내용으로 중단된다는 단점이 있다.
1542-1550년 로마에서 마요라누스에 의해 첫 번째 인쇄본이 출판되었고(4권), 부정확한 재판이 1559-1560년 바젤에서 출판되었다. A. 폴리티의 판(피렌체, 1730, 3권)에는 ''일리아스''의 첫 다섯 권에 대한 주석과 라틴어 번역만 포함되어 있다. 로마판의 재판은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었는데, ''오디세이아'' 주석(2권, 1825-1826)과 ''일리아스'' 주석(3권, 1827-1829)을 포함하며, J. G. 슈탈바움이 편집했다. M. 반 데어 발크의 판이 1971년부터 이를 대체했다. 주석에서 발췌한 내용은 호메로스 시의 많은 판본에서 인용된다.
4. 3. 디오니시우스 페리에게테스 주석
에브스타티오스는 디오니시우스 페리에게테스에 대한 주석을 작성했는데, 이 주석은 요한 두카스에게 헌정되었으며 안드로니코스 카마테로스의 아들이다. 이 주석은 호메로스에 대한 주석만큼이나 내용이 산만하지만, 이전 작가들의 귀중한 발췌문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R. 스테판의 디오니시우스 판(파리, 1547, 4to.)에 처음 인쇄되었고, 이후 H. 스테판의 판(파리, 1577, 4to., 및 1697, 8vo.), 허드슨의 ''Geograph. Minor'', vol. iv., 그리고 마지막으로 베른하르디의 디오니시우스 판(라이프치히, 1828, 8vo.)에 실렸다.
4. 4. 핀다로스 주석
에브스타티오스는 핀다로스에 대한 주석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이 주석의 원고는 발견되지 않았고, 서론만 남아있다. 서론은 고틀리프 타펠이 ''Eustathii Thessalonicensis Opuscula''(1832년)에서 처음 출판했고, 이후 슈나이데빈이 ''Eustathii prooemium commentariorum Pindaricorum''(1837년)으로 별도 재판했다.
4. 5. 기타 저작
에브스타티오스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에우스타티오스는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제노도토스,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 등의 작품에 정통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한 아테나이오스의 ''데이프노소피스타이''의 열렬한 독자였다. 에우스타티오스의 알렉산드리아 선배들의 일부 어원 및 문법적 논평은 오류로 가득 차 있으며, 에우스타티오스 자신의 논평은 산만하고 종종 지엽적인 내용으로 중단된다.
: 마요라누스에 의한 첫 번째 인쇄본은 1542-1550년 로마에서 출판되었으며, 부정확한 재판이 1559-1560년 바젤에서 출판되었다. A. 폴리티의 판에는 ''일리아스''의 첫 다섯 권에 대한 주석과 라틴어 번역만 포함되어 있다. 로마판의 재판은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었으며, ''오디세이아'' 주석과 ''일리아스'' 주석을 포함한다. 1971년부터 M. 반 데어 발크의 판에 의해 대체되었다. 주석에서 발췌한 내용은 호메로스 시의 많은 판본에서 인용된다.
5. 평가 및 영향
6. 한국의 관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