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시모스 플라누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13세기 후반과 14세기 초 동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수도사이자 학자, 번역가이다. 비티니아의 니코메디아에서 태어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주로 활동하며, 라틴어에 능통하여 베네치아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그는 그리스 문법, 시, 주석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으며, 특히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을 재발견하여 라틴어로 번역하는 등 서유럽의 그리스어 연구 부흥에 기여했다. 또한 '그리스 선집'의 편집자로서, 그리고 '백만'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어-그리스어 번역가 - 이사고게
    이사고게는 포르피리오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입문서로 쓴 책으로, 술어 분류와 보편자 문제를 다루며 중세 철학의 보편 논쟁에 영향을 주었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읽혔으며 특히 아랍어 번역본인 "이사후지"는 이슬람 세계에서 논리학 입문서로 사용되었다.
  • 14세기 그리스 사람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 14세기 그리스 사람 -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 천문학자, 신학자, 철학자로, 1204년부터 1359년까지의 역사를 다룬 《로마 역사》를 저술하고, 헤시카즘 논쟁에서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교리에 반대했으며, 천문학, 철학, 수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을 남겼다.
  • 그리스의 인문주의자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 그리스의 인문주의자 - 요안니스 아르기로풀로스
    요안니스 아르기로풀로스는 1415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나 그리스 철학을 가르치고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번역을 통해 서유럽에 그리스 철학을 전파했으며, 1487년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막시모스 플라누디스
기본 정보
출생1260년경, 니코메디아, 비티니아 (현재의 튀르키예, 코자엘리주, 이즈미트)
사망130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비잔티움 제국 (현재의 튀르키예, 이스탄불)
직업수도사, 학자, 편찬자, 번역가, 수학자, 문법학자, 신학자, 대사
외교
소속 국가비잔티움 제국
파견 국가베네치아 공화국
임기 시작1295년
임기 종료1296년

2. 생애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동로마 제국의 미카엘 8세와 안드로니코스 2세 치세에 살았다. 그는 1260년 비티니아니코메디아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생애 대부분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보냈으며, 그곳에서 수도사로서 연구와 가르침에 전념했다. 수도원에 들어간 후 그는 원래 이름인 마누엘을 막시모스로 바꿨다.

플라누디스는 라틴어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로마이탈리아가 비잔틴 제국의 그리스인들에게 어느 정도 적대적으로 여겨지던 시대에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그는 아마도 이 능력 덕분에 1295-96년 안드로니코스 2세 황제가 콘스탄티노폴리스 근처 갈라타에 있는 제노바 정착지를 공격한 것에 대해 베네치아인들에게 항의하기 위해 파견한 대사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을 것이다. 더 중요한 결과는 플라누디스가, 특히 그의 번역을 통해 서유럽에서 그리스어와 문학 연구의 부활을 위한 길을 열었다는 것이다.



그는 다음과 같은 수많은 저술의 저자였다. 마누엘 모스초풀루스의 ''에로테마타''와 유사한 질문과 답변 형식의 그리스 문법 (소위 "정치 시"에 대한 부록 포함); 구문론에 관한 논문; 이솝의 전기와 우화산문 버전; 특정 그리스 작가에 대한 ''주석''; 두 개의 육보격 시, 하나는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찬사로, 그의 ''지리학''은 플라누디스에 의해 재발견되어 그가 라틴어로 번역했으며,[3] 다른 하나는 황소가 갑자기 생쥐로 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도인들이 사용한 계산법에 관한 논문;[4] 그리고 디오판토스의 ''산수''의 처음 두 권에 대한 ''주석''.

그의 라틴어 번역본에는 키케로의 ''스키피오의 꿈''(마크로비우스의 해설 포함); 오비디우스의 ''헤로이데스''와 ''변신 이야기'';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이 포함되었다. 전통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 번역이 플라누디스의 작품으로 여겨졌지만, 이는 반복적으로 틀린 실수이다.[5][6] 이러한 번역본은 그리스어 화자에게 유용했을 뿐만 아니라 서유럽에서 그리스어 학습을 위한 교과서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그는 ''그리스 선집''의 편집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편집본인 플라누데스 선집 또는 플라누데안 선집은 하이델베르크 텍스트(팔라티네 선집)보다 짧고 내용이 대부분 겹치지만, 380개의 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다른 시들과 함께 16번째 책이나 부록으로 출판된다.

J. W. 매카일은 그의 저서 ''그리스 선집에서 발췌한 시''에서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7]

:그의 작품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과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의 그리스어 번역이 있었다.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부활한 그리스 제국은 빠르게 붕괴되고 있었다. 페라의 제노바 식민지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무역을 찬탈하여 독립 국가로 행동했고, 플라누디스가 페트라르카의 동시대인이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은 우리를 매우 현대적인 세상에 가깝게 한다.

그는 "백만"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8]

2. 1. 초기 생애와 수도 생활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동로마 제국의 미카엘 8세와 안드로니코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살았던 인물이다. 플라누디스는 비티니아 지방의 니코메디아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일생 대부분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보냈다. 그는 사제의 신분으로 학문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였으며, 수도원에 입원하면서 원래 이름인 마누엘을 막시모스로 바꾸었다.

플라누디스는 로마이탈리아 지역이 동로마 제국과 그리스 지방의 적성국으로 인식되고 있던 시기에 라틴어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지식과 뛰어난 라틴어 실력 덕분에, 1295-96년 안드로니코스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근처 갈라타에 있는 제노바 정착지를 공격한 것에 대해 베네치아인들에게 항의하기 위해 그를 베네치아 사신으로 선발하기도 하였다.

2. 2. 외교 활동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동로마 제국의 미카엘 8세와 안드로니코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살았다. 비티니아 지방의 니코메디아 지역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일생 대부분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보냈다. 그는 사제의 신분으로 학문 연구와 교육에 자신의 일생을 헌신하였다. 플라누디스는 수도원에 입원하면서 그의 원래 이름인 마누일을 막시모스로 바꾸었다.

플라누디스는 로마와 이탈리아 지역이 동로마 제국과 그리스 지방의 적성국으로 인식되고 있을 시기, 라틴 문학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 플라누디스는 이러한 지식과 뛰어난 라틴어 실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안드로니코스 2세의 베네치아 사신으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2. 3. 학문적 업적과 번역 활동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동로마 제국의 미카엘 8세와 안드로니코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활동한 학자이자 번역가이다. 플라누디스는 비티니아 지방의 니코메디아에서 태어났으나, 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활동했다. 그는 수도원에 들어가면서 원래 이름인 마누엘을 막시모스로 바꾸고, 학문 연구와 교육에 헌신했다.

플라누디스는 당시 동로마 제국에서 적대적으로 여겨지던 로마이탈리아의 라틴 문학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뛰어난 라틴어 실력 덕분에 1295-96년 안드로니코스 2세의 베네치아 사절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플라누디스는 마누엘 모스초풀루스의 ''에로테마타''와 유사한 그리스 문법책, 구문론 논문, 이솝 전기와 우화산문 버전, 특정 그리스 작가에 대한 ''주석'', 두 개의 육보격 시 등을 저술했다. 특히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을 재발견하여 라틴어로 번역했다.[3] 또한, 인도식 계산법에 관한 논문과[4] 디오판토스의 ''산수'' 처음 두 권에 대한 ''주석''도 작성했다.

플라누디스는 키케로의 ''스키피오의 꿈'', 오비디우스의 ''헤로이데스''와 ''변신 이야기'',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 등을 라틴어에서 그리스어로 번역했다. 전통적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 번역이 그의 작품으로 여겨졌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5][6] 이러한 번역들은 그리스어 화자뿐만 아니라 서유럽에서 그리스어 학습 교과서로 널리 사용되었다.

플라누디스의 가장 큰 업적은 ''그리스 선집''의 편집본인 플라누데스 선집을 편찬한 것이다. 그는 "백만"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8]

2. 4.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재발견

동로마 제국의 미카엘 8세와 안드로니코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살았던 막시모스 플라누디스는 비티니아 지방의 니코메디아에서 태어났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주로 활동했다.[9] 그는 사제로서 학문 연구와 교육에 헌신했으며, 수도원에 입원하면서 마누일이라는 원래 이름 대신 막시모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9]

플라누디스는 로마와 이탈리아 지역이 동로마 제국과 그리스의 적대국으로 인식되던 시기에 라틴 문학에 대한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안드로니코스 2세의 베네치아 사신으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그의 번역서들은 서유럽에서 그리스어와 그리스 문학 연구를 촉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9]

Berggren & Jones (2000)[9]와 Mittenhuber (2010)[10]에 따르면, 현존하는 많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필사본이 플라누디스의 활동과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계통도에서 UKFN과 RVWC 필사본 그룹은 모두 플라누디스가 수정 한 판본에서 파생되었으며, 필사본 X ('''[https://digi.vatlib.it/mss/detail/Vat.gr.191 Vat.gr.191]''')만이 독립적이다.

플라누디스가 지리학을 재발견한 것과 관련하여, "가장 현명한 수도사 막시모스 플라누디스가 쓴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 관한 영웅적인 시, 오랜 세월 동안 사라졌다가 그에 의해 많은 노력으로 발견되었다."[12]로 번역될 수 있는 육보격 시가 남아 있다.[11] Berggen & Jones (2010)는 이 시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온 세상을 마치 작은 도시 지도를 만드는 사람처럼 보여주는 방식은 놀랍다. 나는 이 사랑스러운 지리학만큼 솜씨 있고, 화려하고, 우아한 것을 본 적이 없다. 이 작품은 수많은 세월 동안 숨겨져 있었고 그것을 밝힐 사람을 찾지 못했다. 그러나 안드로니코스 황제는 알렉산드리아의 주교에게 권고했고, 그는 비잔틴 사람들의 자유로운 정신을 가진 친구가 왕에게 어울리는 그림의 모습을 복원해야 한다고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3. 유산

참조

[1] 웹사이트 Maximus Planudes (Byzantine scholar and theologian) http://www.britannic[...] Britannica Encyclopedia 2017-03-13
[2] 문서 British Library http://www.bl.uk/man[...]
[3] 서적 The Stone Tower: Ptolemy, the Silk Road, and a 2,000-Year-Old Riddle Penguin Viking
[4] 서적 Planudes, Rechenbuch Berlin
[5] 학술지 The Greek Version of Caesar's Gallic War 1946
[6] 학술지 De graeco metaphraste commentariorum Caesaris 1857
[7] 문서 Select Epigrams from the Greek Anthology https://www.gutenber[...]
[8] 서적 History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53
[9] 서적 Ptolemy's Geography: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Theoretical Chapter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01-15
[10] 간행물 The Tradition of Texts and Maps in Ptolemy's Geography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2024-07-25
[11] 학술지 Planudes und die "Geographia" des Ptolemaios https://www.jstor.or[...] 1996
[12] 서적 Ptolemy's Geography: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Theoretical Chapter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