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그리스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그리스 문학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를 거치며 발전해 온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 그리스 문학은 기원전 8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 번성했으며, 호메로스의 서사시, 헤시오도스의 작품 등이 초기 문학의 기반을 다졌다. 고전기에는 비극, 희극, 역사, 철학 등 다양한 장르가 발전했으며, 소포클레스, 헤로도토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많은 작가와 사상가들이 활동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그리스 문화가 확산되었고, 로마 시대에는 역사서와 소설, 기독교 문학이 등장했다. 비잔티움 시대에는 그리스어와 그리스도교 문명이 결합된 문학이 발전했으며, 튀르크 점령기를 거쳐 근대 그리스 문학이 부흥했다. 19세기 이후에는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등 많은 작가들이 등장했으며, 그리스 문학은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문학 - 근대 그리스 문학
    근대 그리스 문학은 11세기 비잔틴 서사시의 등장으로 시작되어, 르네상스, 계몽주의, 낭만주의, 모더니즘 등 다양한 시대적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왔고, 현재까지 다양한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 그리스 문학 - 마르기테스
    마르기테스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다른 시인들이 호메로스의 작품으로 여겼던 고대 그리스 문학 작품이다.
  • 지역별 문화 둘러보기 상자 - 고대 그리스 문학
    고대 그리스 문학은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로마 시대까지 서구 문학의 기원으로서, 서사시, 서정시, 희곡, 산문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호메로스,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플루타르크스, 에픽테토스 등의 인물들이 서구 문학과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 그리스 -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고대 아테네의 철학자로 서양 철학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 중 한 명이며, 문답법을 통해 진리를 추구하고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경구를 중시하다 아테네 청년들을 타락시켰다는 죄목으로 사형을 받고 철학적 순교로 여겨지는 죽음을 맞이했다.
그리스 문학
지도
문화
민족 기각그리스인
축제 기각그리스의 공휴일
문학
문학 화제고대 그리스 문학
비잔티움 문학
근대 그리스 문학

2. 고대 그리스 문학 (기원전 8세기 ~ 기원후 6세기)

고대 그리스 문학은 서양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융성했던 문학 중 하나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기원전 7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의 그리스 문학을 일컫는다. 고대 그리스 문학은 고대 그리스 방언으로 쓰였으며,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유래한 그리스어를 사용했다. 그리스어는 여러 알파벳과 음절 문자로 표기되었지만, 현존하는 그리스 문학은 주로 페니키아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쓰였다.[1]

호메로스의 이상화된 초상화

2. 1. 고졸기 그리스 문학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 문학은 어느 정도 구전의 성격을 지녔으며, 초기 문학은 완전히 구전에 의존했다.[2] 그리스인들은 문학적 목적으로 글쓰기를 사용하기 전에 시를 창작했다. 고전기 이전 시대에 만들어진 시들은 노래하거나 낭송하기 위한 것이었으며(기원전 7세기 이전에는 글쓰기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시는 설화와 종교의 중간 형태인 신화와 전설에 초점을 맞추었다.[3]

그리스 문학의 시작에는 호머의 작품, ''일리아스''와 ''오디세이''가 있다. 작품의 작성 시기는 다르지만, 이 작품들은 기원전 800년경 또는 그 이후에 확정되었다(호머 연구 참조). 또 다른 중요한 인물은 시인 헤시오도스이다. 그의 두 작품 ''일과 세월''과 ''신통기''가 전해진다.

기원전 8세기그리스 신화를 소재로 한 호메로스서사시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그리스 시 작품이다. 그리스 문학의 가장 오래된 작품들은 모두 운문이었으며, 였다. 고대 그리스에서 호메로스와 그의 작품의 소재인 그리스 신화는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에 대해 이야기하고, 지식과 에 대해 문화의 모든 측면에서 규범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신통기』, 『노동과 나날』을 남긴 헤시오도스를 비롯한 다른 시인들도 그렇게 존중받았다. 그러나 많은 시인들의 작품은 사라지고, 후세에 인용된 단편만이 현대에 전해진다. 시의 수호신은 아폴론뮤즈들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시는 음악을 붙여 낭송되었고, 문예를 뜻하는 말인 "'''무시케'''"는 동시에 "'''음악'''"을 의미했다. 영어의 music 등 현대 유럽어의 음악을 뜻하는 말들은 이 "무시케"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 이 시기에는 현재 알려진 주요 시 형식과 운율이 등장했다. 시 형식으로는 서사시 외에 디튀람보스 등이 있다. 디튀람보스의 저명한 시인으로는 시모니데스, 핀다로스 등이 있다. 또한, 탈레스로 시작되는 그리스 철학도,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 시대에는 시 형태로 쓰였다. 기원전 5세기 무렵 부유한 계층에게 교육이란 무엇보다도 위에서 언급한 고대 시를 암송하는 것이었다.

2. 2. 고전기 그리스 문학 (기원전 5세기 ~ 기원전 4세기)

고전 시대(기원전 500년~기원전 323년)에는 서구 문학의 여러 장르가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서정시, 송가, 목가, 비가, 짧은 시, 희극과 비극의 극적인 공연, 역사, 수사학 논문, 철학적 변증법 및 철학 논문 등이 모두 이 시기에 등장했다.[4]

이 시기에는 위대한 비극 시인들(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 철학자 플라톤을 비롯하여 소피스테스, 데모크리토스레우키포스 같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아티카의 연설가들(뤼시아스, 이소크라테스, 데모스테네스 등), 헤로도토스, 투키디데스, 크세노폰 등의 작가들이 활동했다.

주요 서정시인으로는 사포핀다로스가 있었다. 이 시기에 쓰이고 공연된 수백 편의 비극 중 일부만이 전해진다. 이 작품들은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가 썼다.[5]

희극은 디오니소스를 기리는 의식에서 유래했다. 이 작품들은 외설, 욕설, 모욕으로 가득 차 있었다. 아리스토파네스의 남아있는 작품들은 희극적인 표현의 보고이다.

이 시대의 영향력 있는 두 역사가는 헤로도토스투키디데스이다. 세 번째 역사가인 크세노폰투키디데스의 작품을 연장한 것으로 여겨지는 "헬레니카"를 저술했다.[6]

기원전 4세기의 가장 위대한 산문적 업적은 철학 분야에 있었다. 그리스 철학은 고전 시대에 번성했다. 철학자들 중에서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유명하다.

소포클레스


기원전 5세기부터 재판과 정치의 장에서 사용하기 위한 웅변술이 발달하였고, 소피스트들이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유료로 그 기법을 강의하였다. 아테네소크라테스도 당시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소피스트 중 한 명으로 여겨졌던 것 같다. 한편 당시 아테네에서는 연극이 발달하여 3대 비극 시인들과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 등이 등장하면서 아티카 방언의 문예가 발전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제자 플라톤(기원전 427년~기원전 347년)은 소피스트와 다른 지식의 방식, 즉 철학(필로소피아)을 설파하는 동시에, 교육에 사용하는 시를 도덕적 관념에서 제한하고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을 최종 과정으로 두는 교육법을 제창하였다. 『국가』에 따르면 시는 모방의 기술이며 진정한 지식이 아니고, 시인은 이상 국가에는 자신의 자리가 없다(시인 추방론). 플라톤은 대화편 형식을 고안하여 그 이전의 운문에 의한 철학을 대신하여 산문에 의한 사색을 도입하였다. 플라톤을 잇는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기원전 322년)는 산문에 의한 철학을 더욱 발전시키는 한편, 『시학』에서 다시 시의 교육적 효과를 설파하고, 시 형식을 분류하여 비극을 가장 뛰어난 시로 여기면서, 『오이디푸스 왕』 등의 뛰어난 비극 작품을 분석하여 그 구조와 본질을 탐구하였다.

같은 시대의 산문 분야에는 『역사』로 서양 역사학의 아버지가 된 헤로도토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를 남긴 투키디데스 등의 역사가, 『아나바시스』와 『소크라테스의 회상』을 남긴 문필가 크세노폰 등이 나타났다. 웅변가 이소크라테스가 모음 조화를 설파한 것도 이 무렵이다.

2. 3.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문학 (기원전 4세기 ~ 기원전 1세기)

필리포스 2세에게 그리스의 주요 도시들이 정복당하고,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정복 사업을 확장하면서 그리스 문학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부터 로마 지배 전까지를 의미하며, 기원전 3세기 이후 이집트 북부의 그리스 식민지 알렉산드리아가 그리스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7]

이 시기에는 테오크리토스, 칼리마코스,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등이 활약하며 그리스 시가 발전했다. 테오크리토스는 목가시를 창시했으며, 이는 고대 로마베르길리우스가 에클로그에서 완성했다.[7] 극예술은 신희극으로 대표되며, 메난드로스가 주요 작가였다.

헬레니즘 시대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구약 성서를 그리스어로 번역한 칠십인역이다. 이 작업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이루어졌으며 기원전 2세기 말에 완료되었다.

2. 4. 로마 시대의 그리스 문학 (기원전 1세기 ~ 기원후 6세기)

로마 시대 그리스 문학은 시, 희극, 역사, 비극 분야에서 중요한 작품들을 남겼으며, 특히 역사서가 많이 쓰였다.[8]

이 시대의 중요한 역사가들로는 티마이오스, 폴리비오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피아노스, 아리아노스, 플루타르코스가 있다. 이들이 다룬 시대는 기원전 4세기 후반부터 기원후 2세기까지이다.[8]

알렉산드리아의 에라토스테네스는 천문학지리학에 관해 저술했지만, 그의 작품은 주로 후대의 요약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의사 갈레노스는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약리학, 신경학을 포함한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발전을 이끌었다. 또한 이 시대는 대부분의 고대 그리스 소설이 쓰여진 시대이기도 하다.[8]

다양한 저자들이 다양한 수준의 코이네 그리스어로 집필한 신약전서는 이 시대의 산물이다. 복음서와 사도 바울로의 서한 또한 이 시대에 쓰였다.[8]

3. 비잔티움 문학 (기원후 4세기 ~ 1453년)

비잔티움 문학은 비잔티움 제국에서 아티카식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 그리고 초기 현대 그리스어로 쓰인 문학을 가리킨다.[9] 그리스, 그리스도교, 로마, 그리고 동양이라는 네 가지 주요 문화적 요소를 지닌다.[9] 프로코피오스, 요하네스 조나라스, 콘스탄티노스 7세 포르피로옌니토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플라누데스, 안나 콤니니, 게미스토스 플레톤 등은 비잔티움 시기의 주요 작가들이다.

10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고대 지중해 세계 백과사전인 수다의 16세기 판본 페이지


역사와는 구별되는 연대기가 이 시기에 등장했으며, 백과사전 역시 이 시기에 번성했다.[9]

''디게네스 아크리타스''는 아크리타스 노래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이며, 비잔티움 제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서사시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 작품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현대 그리스 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간주된다.

4. 튀르크 점령기 (1453년 ~ 19세기)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많은 지식인들이 서유럽으로 피난하였고, 그리스 본토에서의 문화 활동은 위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리스 문학 활동이 활발했던 곳은 오스만 제국의 점령이 늦었고, 서유럽과의 접촉이 많았던 키프로스, 히오스, 크레타, 이오니아 제도 등의 섬 지역이었다.

키프로스 섬은 소아시아 출신 민중시의 중심지였지만, 여기에 베네치아 지배에 따른 이탈리아의 영향이 더해져 페트라르카의 소네트 등이 번역되었고, 이를 본받은 일련의 소네트 형식의 연애시가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1360년부터 1501년까지의 키프로스를 그리며 근대 그리스 산문의 아버지라고도 불리는 마헬라스와 부스트로니오가 있다.

로드스 섬은 13세기부터 베네치아와 제노바 등 외국인의 지배하에 있었고, 이 영향으로 연애를 주제로 한 민중가요가 만들어졌으며, 이에오르길라스 등이 로드스 섬의 역병을 노래한 서사시가 탄생했다. 그러나 1522년 오스만 제국의 점령 이후 문학 활동은 중단된 것으로 여겨진다. 히오스 섬은 1566년 오스만 제국의 도래 이전에는 베네치아와 제노바에 점령되어 로드스 섬의 민중시의 영향을 받은 민중시가 불려졌다.

크레타 섬에서는 근대 그리스 문학의 황금기라고 해도 좋을 만큼 풍부하고 다양하며 높은 수준의 시를 중심으로 한 여러 문학이 만들어졌다. 여기에는 13세기부터 17세기 중엽에 이르는 베네치아 지배의 영향과 그리스 민중시의 영향이 융합되어 있다.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전반에는 비잔티움 제국의 몰락을 애도하는 무명 시인의 작품인 「콘스탄티누폴리스의 슬픔」, 크레타의 지진을 노래한 스크라보스의 서사시, 베르가디스의 「아포코포스」를 대표로 하는 여러 시가 읊어졌다. 그중에서도 중요한 것으로는 저자 불명의 「아름다운 목녀」와 코르날로스의 「에로토크리토스」이며, 후대의 그리스 민중시 전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시 외에도 서유럽 작품의 영향을 크게 받은 희곡 작품이 많이 남아 있지만, 산문 작품은 걸작이 부족하다.

1699년 크레타 섬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후에는 크레타에서의 문학적 창작은 보이지 않지만, 이오니아 제도와 그리스 각지에 크레타의 문학적 토대가 계승되어 간다.

5. 근대 그리스 문학 (19세기 ~ 현재)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그리스에서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걸쳐 독립운동과 함께 근대 문학이 나타났다.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를 비롯한 이오니아 제도 출신 시인들은 민중의 언어를 문학 용어로 사용하려 했다. 이오아니스 프시카리스는 민중어의 정당성을 주장하여 민중어의 지위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0]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 그레고리오스 크세노풀로스 등의 산문 작가들이 활동했다. 코스티스 팔라마스,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 앙겔로스 시켈리아노스, 요르기오스 세페리스 등의 시인들이 등장했다. 특히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그리스인 조르바', '최후의 유혹' 등의 소설로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다.[11]

근대 그리스 문학의 주요 작가
작가주요 작품 및 활동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민중의 언어를 문학 용어로 승화
이오아니스 프시카리스민중어의 정당성 주장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단편 소설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반전 작품 (제1차 세계 대전)
그레고리오스 크세노풀로스희곡 및 소설
코스티스 팔라마스서정시, 문예 비평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헬레니즘, 비잔틴 문화 관련 시
앙겔로스 시켈리아노스신화적 종교관 제시
요르기오스 세페리스노벨 문학상 수상 (1963년)
니코스 카잔차키스그리스인 조르바, 최후의 유혹 등 소설


6. 영향

오스만 터키의 압제하에 있었던 그리스에서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 걸쳐 독립운동과 함께 근대문학이 등장했다.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Διονύσιος Σολωμός|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el, 1798-1857)를 비롯한 이오니아 제도 출신의 시인들은 민요 속에서 살아있는 언어를 찾아 문학적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고전과의 유대를 중시하는 보수파의 저항에 부딪히기도 했지만, 이오아니스 프시카리스(Γιάννης Ψυχάρης|이오아니스 프시카리스el, 1854-1929)가 민중어의 정당성을 주장하면서 민중어의 지위가 확립되었다.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자유의 찬가 작가


산문 작가로는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Αλέξανδρος Παπαδιαμάντης|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el, 1851-1911), 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Στράτης Μυριβήλης|스트라티스 미리빌리스el, 1892- 1969), 그레고리오스 크세노풀로스(1867-1951) 등이 유명하다. 시인으로는 코스티스 팔라마스(Κωστής Παλαμάς|코스티스 팔라마스el, 1859-1943),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Κωνσταντίνος Καβάφης|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el, 1863-1933), 앙겔로스 시켈리아노스(Άγγελος Σικελιανός|앙겔로스 시켈리아노스el, 1884-1951), 요르기오스 세페리스(1900-1971) 등이 있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현대 그리스 계몽 운동의 주요 인물


현대 그리스 문학은 디아포티스모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이 운동은 유럽 계몽주의의 사상을 그리스에 소개했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와 리가스 페라이오스는 이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마누엘 크리솔로라스,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


크레타 르네상스 시대의 시인 비첸초스 코르나로스(1553–1613)가 쓴 서사시 에로토크리토스는 이 시대의 중요한 작품이다.

게오르기오스 코르타치스의 ''에로필리'' 표지


오늘날 현대 그리스 문학은 세계 문학계에 참여하고 있으며, 그리스 작가 조지 세페리스와 오디세우스 엘리티스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11]

고대 그리스 문학은 고대 로마라틴 문학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Classical Greek https://lrc.la.utexa[...] 2016-12-09
[2] 논문 Orality and Literacy: Ancient Greek Literature as Oral Literature https://www.academia[...] Blackwell 2015
[3] 뉴스 Greek literature https://www.britanni[...] 2016-12-09
[4] 뉴스 Greek literature https://www.britanni[...] 2016-12-10
[5] 학술지 Review of: A Guide to Hellenistic Literature. Blackwell Guides to Classical Literature http://bmcr.brynmawr[...] 2016-12-09
[6] 학술지 Review of: A Guide to Hellenistic Literature. Blackwell Guides to Classical Literature http://bmcr.brynmawr[...] 2016-12-09
[7] 웹사이트 Historiography of the Hellenistic Age https://web.archive.[...] 2016-12-09
[8] 웹사이트 Student Resources in Context - Document http://ic.galegroup.[...] 2016-12-09
[9] 웹사이트 King's College London - A History of Byzantine literature https://web.archive.[...] 2016-12-09
[10] 웹사이트 Byzantines in Renaissance Italy https://web.archive.[...] 2011-12-05
[11] 웹사이트 Modern Greek Studies Association http://www.mgsa.org/ 2016-12-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