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아트로 콜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아트로 콜론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오페라 극장으로, 두 개의 건물에서 운영되었다. 1857년 첫 번째 건물이 개관하여 1888년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889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908년에 완공되었다. 이 극장은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마리아 칼라스 등 세계적인 예술가들이 공연을 펼친 곳으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거쳐 재개관했다. 테아트로 콜론은 2,487석의 객석과 1,000명의 입석 관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뛰어난 음향 시설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부속 기관으로는 1960년에 설립된 예술대학교(예술고등연구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음악 - 포르테냐
포르테냐는 19세기 후반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유럽 이민자, 특히 라플라타 강 지역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정체성을 지칭하며, 승마 스포츠와 소고기 요리가 특징적인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문화를 향유한다. - 아르헨티나의 음악 - 누에바 올라
누에바 올라는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발생한 음악 현상으로, 록앤롤 등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이며 틴 아이돌을 배출했으나 비틀마니아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1857년 설립 - 센트럴 파크
센트럴 파크는 뉴욕 맨해튼에 있는 대규모 도시 공원으로, 다양한 자연 요소와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갖추고 있어 많은 방문객이 찾는 세계적인 명소이며 센트럴파크 보존협회가 관리한다. - 1857년 설립 -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는 1857년 샌호세에 설립된 캘리포니아 사범학교에서 시작되어 캘리포니아 주 전역에 23개 캠퍼스를 둔 미국 최대 규모의 대학군으로, 교원 및 전문직 종사자 양성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건축물 - 라 봄보네라
라 봄보네라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보카 주니어스의 홈구장으로, 1940년 개장하여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최대 57,395명을 수용하며, 열광적인 팬들의 응원과 클럽의 역사, 문화를 보여주는 보카 박물관, 벽화로 유명하다.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건축물 - 호르헤 뉴베리 공항
호르헤 뉴베리 공항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위치한 국내선 및 국제선 공항으로, 확장과 현대화를 거쳐 주요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COVID-19 팬데믹 이후 국제선 운항이 재개되었다.
테아트로 콜론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콜럼버스 극장 |
원어 이름 | Teatro Colón |
건물의 종류 | 극장 |
건축 양식 | 절충주의 |
구조 시스템 | 콘크리트 |
주소 | 투쿠만 1171 |
위치 |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착공일 | 1889년 |
완공일 | 1908년 |
개장일 | 1908년 |
수용 인원 | 2,478명 |
소유자 | 부에노스아이레스 시 |
높이 | 28미터 |
지름 | 58미터 |
개보수 날짜 | 2001–2010년 |
설계 및 시공 | |
건축가 | 프란체스코 탐부리니 훌리오 도르말 비토리오 메아노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테아트로 콜론 공식 웹사이트 |
지정 | 아르헨티나 |
![]() | |
![]() |
2. 역사
콜론 극장은 두 개의 건물에서 운영되었다. 첫 번째 건물은 1888년까지 마요 광장에 위치했고, 두 번째 건물은 라발레 광장 앞에 위치하며 1908년 개관까지 20년이 걸렸다. 이 부지는 이전에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 철도의 중심지였던 파크 역이 있던 곳이다.[6][7]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엔리코 카루소(Enrico Caruso),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플라시도 도밍고(Plácido Domingo) 등 수많은 오페라, 클래식 음악, 세계 발레의 주요 인물들이 콜론 극장에서 공연했다. 아델라이다 네그리(Adelaida Negri),[8] 헥토르 파니자(Héctor Panizza),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 마르타 아르헤리치(Martha Argerich), 아스토르 피아졸라(Astor Piazzolla) 등 아르헨티나 예술가들도 이 무대에 섰다.
1920년대 상주 단체가 설립되었고 1931년 시립화되었다. 1946년 페론주의 정권은 대중 음악 개방과 민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1955년 페론 정권 축출 후 중단되었다가 1983년 민주주의 회복과 함께 재개되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아르헨티나 200주년을 기념하여 2010년 5월 24일 재개관했다.
2. 1. 최초의 테아트로 콜론 (1857-1888)

최초의 테아트로 콜론은 카를로스 페레그리니(카를로스 페레그리니의 아버지)가 설계했으며, 1857년 4월 27일 마요 광장(Plaza de Mayo)에 문을 열었다. 2,5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였으며, 개관 공연은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였다.[6][7]
이 극장은 1888년까지 운영되었으며, 이후 아르헨티나 국립은행(Banco de la Nación Argentina)에 매각되었다.
2. 2. 현재의 테아트로 콜론 (1908-현재)
현재의 테아트로 콜론은 1908년 5월 25일 주세페 베르디의 아이다로 개관했다.[15] 이 극장은 1889년 착공되어 잦은 설계 변경과 재정 문제, 건축가 사망 등으로 20년 만에 완공되었다.[6][7] 프란체스코 탐부리니(Francesco Tamburini)와 비토리오 메아노(Vittorio Meano)가 설계를 맡았고, 벨기에 건축가 줄리오 도르말(Julio Dormal)이 최종 완공하며 프랑스 스타일을 가미했다.[12]개관 이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엔리코 카루소(Enrico Caruso),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플라시도 도밍고(Plácido Domingo)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이 이곳에서 공연했다. 1920년대에는 상주 단체가 설립되었고, 1931년에는 시립화되었다.[8] 1946년 페론주의 정권은 대중음악 개방 및 민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1955년 페론 정권 축출 이후 중단되었다가 1983년 민주화 회복과 함께 재개되었다.
극장은 2006년 10월부터 2010년 5월 24일까지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거쳤다.[23] 이는 아르헨티나 200주년 기념의 일환이었다. 2013년 9월 6일에는 제125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 개막식이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극장은 9월 7일 대로(세리토 거리), 리베르타드 거리,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거리, 투쿠만 거리에 둘러싸여 있으며,[9] 한때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 철도의 ''플라사 파르케'' 역이 있던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다. 객석은 말굽 모양으로 2,487석과 1,000명을 위한 스탠딩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10] 무대는 너비 20m, 높이 15m, 깊이 20m이다.[24] 음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13]
연도 | 사건 |
---|---|
1889년 | 건설 시작 (설계: 프란체스코 탐부리니(Francesco Tamburini), 비토리오 메아노(Vittorio Meano)) |
1908년 | 줄리오 도르말(Julio Dormal) 감독 하에 완공 및 개관 (개관 공연: 주세페 베르디의 아이다) |
1920년대 | 상주 단체 설립 |
1931년 | 시립화 |
1946년 | 페론주의 정권, 대중음악 개방 및 민주화 정책 추진 |
1955년 | 페론 정권 축출, 대중음악 개방 정책 중단 |
1983년 | 민주화 회복, 대중음악 개방 정책 재개 |
2006년 10월 ~ 2010년 5월 24일 | 대대적인 보수 공사 (아르헨티나 200주년 기념) |
2013년 9월 6일 | 제125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 개막식 개최 |
콜론 극장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중심부의 넓은 9월 7일 대로(정확히는 세리토 거리), 리베르타드 거리(정문),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거리, 투쿠만 거리에 둘러싸여 있다.[9] 이 극장은 한때 페로카릴 오에스테의 ''플라사 파르케'' 역이 있던 곳이다.
1960년, 테아트로 콜론 극장 내에 예술대학교(예술고등연구소, Instituto Superior de Arte del Teatro Colónes)가 설립되었다.
3. 건축 및 시설
객석은 말굽 모양이며 2,487석(런던 코벤트 가든의 왕립 오페라 하우스보다 약간 많음)과 1,000명을 위한 스탠딩 공간을 갖추고 있다.[10] 무대는 너비 20m, 높이 15m, 깊이 20m이다.[10] 저층 건물은 지상 6층, 지하 3층이며, 엘리베이터 7대와 겉면에 적용된 벽돌로 이루어져 있다.[11] 700개의 전구가 달린 큰 중앙 샹들리에가 있다. 원래 건축가는 이탈리아 출신의 프란체스코 탐부리니였으며, 그가 사망한 후 벨기에 건축가 줄리오 도르말이 완공하였다. 원래 객석에는 "금속 격자와 별도의 입구가 있는 8개의 박스석이 있어, 애도하는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고도 공연에 참석할 수 있었다".[12]
콜론 극장의 음향은 세계 최고의 공연장 5곳 안에 들 정도로 훌륭하다고 여겨진다.[13] 루치아노 파바로티도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14]연도 사건 1889년 건설 시작 (설계: 프란체스코 탐부리니, 비토리오 메아노) 1908년 줄리오 도르말 감독 하에 완공 1908년 5월 25일 개관 (공연 작품: 주세페 베르디의 아이다) 2006년 10월 - 2010년 개보수 공사[23]
4. 공연
콜론 극장은 역사적으로 오페라, 클래식 음악, 발레 등 다양한 분야의 세계적인 예술가들이 공연을 펼친 곳이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Arturo Toscanini), 바슬라프 니진스키(Vaslav Nijinsky), 엔리코 카루소(Enrico Caruso),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플라시도 도밍고(Plácido Domingo), 루치아노 파바로티(Luciano Pavarotti), 마르타 아르헤리치(Martha Argerich),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 등 세계적인 거장들이 이곳에서 공연했다. 아스토르 피아졸라(Astor Piazzolla), 훌리오 보카(Julio Bocca), 팔로마 에레라(Paloma Herrera) 등 아르헨티나 출신 예술가들도 콜론 극장의 무대에 섰다. 최근에는 크리스 코넬(Chris Cornell), 캐서린 젠킨스(Katherine Jenkins), 사라 브라이트만(Sarah Brightman) 등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도 공연하고 있다.
1946년 페론주의 정권은 대중 음악 개방, 민주화 정책을 펼쳤으나 1955년 축출 이후 중단되었다가 1983년 민주화 회복과 함께 재개되었다.
현재 극장은 1908년 5월 25일 개장했다.[15] 개장 공연은 루이지 만치넬리(Luigi Mancinelli) 지휘, 테너 아메데오 바시(Amedeo Bassi), 소프라노 루치아 크레스타니(Lucia Crestani) (아이다 역) 출연의 베르디 오페라 아이다였다. 이후 티타 루포(Titta Ruffo) 출연 토마스 햄릿([16]), 표도르 샬리아핀(Feodor Chaliapin) 출연 보이토 메피스토펠레, 안토니오 파올리(Antonio Paoli) 출연 베르디 오텔로 등 17편의 오페라가 공연되었다.
개장 당시 베르디의 아이다를 공연하며 라 스칼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와 경쟁하는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으로 발돋움했다.
1910년 무정부주의자들의 폭격으로 피해를 입었으나,[12] 다음 날 바로 수리 후 공연을 재개하는 저력을 보였다.[17]
콜론 극장에서는 아르헨티나 출신 무용수, 클래식 연주자들과 함께 리다 마르티놀리(Lida Martinoli) 등 발레 스타들이 공연했다.[18] 1971년에는 노르마 폰텐라(Norma Fontenla)와 호세 네글리아(José Neglia)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하여 라발레 광장에 추모비가 세워졌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거쳐 아르헨티나 200주년인 2010년 5월 24일 재개관했다.
극장 폐쇄 직전 마지막 공연은 콜론 극장 상주 발레단과 부에노스아이레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백조의 호수(9월 30일)[20], 콜론 극장 상주 오케스트라와 극장 합창단의 보리스 고두노프(보리스 고두노프) 오페라(10월 28일)였다.[21]
2005년 보수 공사 전 마지막 공연은 페드로 이냐시오 칼데론 지휘, 아르헨티나 국립교향악단과 메르세데스 소사의 콘서트였다.
2008년 5월 25일 100주년 기념 재개관 예정이었으나 지연되어 2010년 5월 24일 102주년 및 아르헨티나 200주년 전야에 갈라 콘서트와 3D 애니메이션(차이콥스키 백조의 호수, 푸치니 라보엠 2막)으로 재개관했다. 5월 6일에는 관계자 대상 음향 테스트 비공개 콘서트가 열렸다.[22] 2013년 9월 6일, 콜론 극장에서 제125차 IOC 총회 개막식이 개최되었다.
5. 부속 기관
5. 1. 콜론 극장 고등예술원 (Instituto Superior de Arte del Teatro Colón)
1960년, 테아트로 콜론 극장 내에 예술대학교(예술고등연구소, Instituto Superior de Arte del Teatro Colónes)가 설립되었다. 국제적으로 유명한 졸업생으로는 발레리나 팔로마 에레라, 릴리아나 베르피오레, 무용수 훌리오 보카, 마키시밀리아노 게라, 오페라 연출가 콘스탄티노 유리, 니콜라스 이사시, 성악가 베르날다 핀크, 마리아 크리스티나 키아가 있다.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eatro Colón
https://buenosaires.[...]
[2]
웹사이트
Aspectos Generales del Plan de Obras del Teatro Colón
https://web.archive.[...]
2014-05-04
[3]
웹사이트
Top 10: Opera Houses
https://web.archive.[...]
2018-03-16
[4]
서적
Concert Halls and Opera Houses: Music, Acoustics, and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4
[5]
뉴스
An Operatic Drama Performed Mostly Offstag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11-10
[6]
웹사이트
Teatro Colón de Buenos Aires
http://www.operas-co[...]
2016-05-15
[7]
서적
Viejo BsAs
https://books.google[...]
Del Nuevo Extremo
2005
[8]
웹사이트
Adelaida Negri in memoriam – 12 December 1943-17 August 2019 @www.classicalsource.com
http://www.classical[...]
2019-12-06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ón Theatre (in English)
http://www.teatrocol[...]
2008-05-17
[10]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http://www.teatrocol[...]
2008-05-13
[11]
웹사이트
Teatro Colón
https://www.emporis.[...]
2017-06-13
[12]
웹사이트
Buenos Aires, Argentina − The Teatro Colón opera house in Buenos Aires is finally restored to its luscious former glory
https://www.architec[...]
The Architectural Review
2017-06-13
[13]
간행물
What is So Special About Shoebox Halls? Envelopment, Envelopment, Envelopment
http://mlacoustics.c[...]
Acoustics Today
2009-04
[14]
문서
Luciano Pavarotti's reaction to the acoustics in Lynn
[1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eatro Colón from haciendoelcolon.buenosaires.gob.ar (in Spanish)
http://www.haciendoe[...]
2010-11-09
[16]
웹사이트
Teatro Colon website (in Spanish)
http://www.operas-co[...]
[17]
서적
Notes de voyage dans l'Amérique du sud : Argentine, Uruguay, Brésil
http://catalogue.bnf[...]
Hachette
1911
[18]
서적
The Music Magazine/Musical Courier
https://books.google[...]
[19]
문서
Lynn
[20]
웹사이트
Official Schedule for September 2006
http://www.teatrocol[...]
Teatro Colón
2007-07-17
[21]
웹사이트
Official Schedule for October 2006
http://www.teatrocol[...]
Teatro Colón
2007-06-13
[22]
뉴스
Probaron que la acústica del Teatro Colón está intacta
https://www.clarin.c[...]
Clarín (Buenos Aires)
2010-07-05
[23]
웹사이트
IHT.com
http://www.iht.com/a[...]
[24]
웹사이트
Official site
http://www.teatrocol[...]
2008-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