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페 베르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세페 베르디는 181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오페라 작곡가로, 이탈리아 오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842년 오페라 《나부코》의 성공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후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 《아이다》, 《오텔로》, 《팔스타프》 등 수많은 걸작 오페라를 작곡했다. 베르디의 작품은 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기 이탈리아인들의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까지도 전 세계 오페라 극장에서 자주 공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세페 베르디 - 아리고 보이토
아리고 보이토는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시인으로, 오페라 《메피스토펠레》 작곡과 《라 조콘다》, 《오텔로》, 《팔스타프》 같은 오페라 대본 집필, 그리고 바그너 음악 옹호와 더불어 시인, 평론가, 번역가로도 활동했다. - 주세페 베르디 - 데스티니 (1988년 영화)
제2차 세계 대전 중 처남-매부 관계를 알게 된 두 남자의 깊은 우정과 갈등을 그린 1988년 멜 해리스 감독의 영화 《데스티니》는 윌리엄 허트, 티모시 허튼, 멜리사 레오 등이 출연했고, 엔니오 모리코네가 음악을 맡았다. - 이탈리아의 자선가 - 안드레아 보첼리
안드레아 보첼리는 이탈리아 출신의 세계적인 테너 가수로, 시각 장애를 극복하고 법학을 전공한 변호사였지만,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Time to Say Goodbye'와 같은 히트곡을 내며 클래식과 팝을 넘나드는 활발한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이탈리아의 자선가 - 루치아노 파바로티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맑고 힘 있는 목소리와 뛰어난 가창력으로 '하이 C의 황제'라는 별칭을 얻은 이탈리아의 오페라 테너이자, '쓰리 테너'로서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인도주의적 활동에도 참여한 20세기 후반 세계적인 성악가이다.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 움베르토 조르다노
움베르토 조르다노는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베리스모 오페라 대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안드레아 셰니에》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나 후기 작품은 베리스모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대담한 조옮김을 활용해 극적인 음악을 만들었지만 드라마 내용이 따라가지 못하는 한계도 존재하며, 《안드레아 셰니에》는 그의 대표작으로 남아있다.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베네치아 피에타 고아원에서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로 널리 알려져 바로크 및 후대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빈곤 속에서 사망 후 20세기에 재평가되었다.
주세페 베르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본명 | 주세페 포르투니노 프란체스코 베르디 |
로마자 표기 | 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
별칭 | 오페라 왕 |
출생일 | 1813년 10월 10일 |
출생지 | 프랑스 제1제국 파르마현, , |
사망일 | 1901년 1월 27일 |
사망지 | 이탈리아 왕국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
국적 | 이탈리아 |
활동 정보 | |
분야 | 로맨틱 음악 |
직업 | 작곡가 |
활동 기간 | 1840년 - 1893년 |
가족 정보 | |
아버지 | 카를로 주세페 베르디 |
어머니 | 루이지아 우티니 |
아들 | 이치리오 로마노 베르디 |
딸 | 비르지니아 마리아 루이지아 베르디 |
배우자 | |
서명 | |
![]() | |
사진 | |
![]() | |
![]() |
2. 생애
주세페 베르디는 1813년 10월 10일 에밀리아로마냐 주 파르마현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카를로 주세페 베르디는 여인숙과 잡화상을 운영했고, 어머니는 방적공이었다.[32] 어린 시절 베르디는 음악적 재능을 보였지만, 천재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특별한 일화는 전해지지 않는다. 1832년, 베르디는 밀라노 음악원 입학 시험에 응시했지만, 나이 제한과 미숙한 실력을 이유로 불합격했다. 하지만 베르디는 밀라노에서 개인 교습을 받으며 작곡 공부를 시작했다.[36]
1833년, 베르디는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천지창조> 연주에서 대리 지휘를 맡아 실력을 인정받았고, 밀라노 악우협회로부터 오페라 작곡을 의뢰받았다. 1836년, 베르디는 아버지 친구의 딸과 결혼했다. 1839년, 가족과 함께 밀라노로 이주하여 오페라 <산 보니파치오의 백작 오베르토>를 초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조반니 리코르디에 의해 출판되었고, 스칼라 극장은 베르디에게 세 편의 오페라를 추가로 의뢰했다.[39] 그러나 베르디는 아들과 아내를 연이어 잃는 슬픔을 겪었고, 오페라 부파 <하루 만의 임금님>의 실패로 좌절하여 작곡을 포기하려 했다.[39]
친구들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한 베르디는 1842년부터 1850년까지 14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이 시기 작품 중에는 <제1회 십자군의 롬바르디아인>(1843), <에르나니>(1844), <잔 다르크>(1845), <레냐노의 전쟁>(1849) 등 애국적인 내용을 담은 작품들이 특히 주목받았다. 당시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의 압제 하에 있었고, 베르디의 오페라는 이탈리아인들의 독립 열망을 대변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베르디는 오페라에 애국주의를 불어넣어 새로운 생명을 부여했고, 이탈리아인들에게 애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루이지 세키, 이탈리아 부세토)
베르디는 국외에서도 명성을 얻어 런던과 파리에서 자신의 작품을 상연하며 이탈리아 오페라의 대표 작곡가로 자리매김했다. 1850년 이후, 베르디는 더욱 원숙한 오페라 작곡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850년, 37세의 베르디는 <리골레토>를 작곡했고, 이듬해 베네치아에서 초연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아리아 <여자의 마음>은 큰 인기를 얻었다.
<리골레토> 이후 베르디는 <일트로바토레>(1853), <라 트라비아타>(1853), <돈 카를로스>(1867), <아이다>(1871), <오텔로>(1887), <팔스타프>(1893) 등 걸작들을 발표했다. 이 작품들에서 베르디는 애국주의보다는 특정 상황 속 인간의 본질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셰익스피어의 명작을 바탕으로 한 <오텔로>는 비극 오페라의 정점으로 꼽힌다. <팔스타프>는 베르디의 유일한 희극이다.
베르디는 1859년 재혼했고, 1861년부터 1865년까지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음악 외적인 활동으로 바쁜 와중에도 베르디는 오페라 외 작품에도 착수했는데, 알레산드로 만초니를 추모하는 <레퀴엠>이 대표적이다. 부와 명성을 얻은 베르디는 1901년 1월 27일 밀라노의 한 호텔에서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장례식에는 20만 명이 넘는 군중이 모여 이탈리아 오페라 거장의 죽음을 애도했다.[86]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주세페 베르디는 1813년 10월 10일, 프랑스 제1제국 영토였던 부세토 근교의 작은 마을[32] 르 론콜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카를로 주세페 베르디는 여관, 잡화상 등을 운영했고, 어머니 루이지 우티니는 방적공이었다.[32] 베르디는 어릴 때부터 음악에 관심을 보였고, 순회 연주단과 마을 성 미카엘레 교회의 파이프 오르간을 열심히 들었다. 8세 때 부모는 중고 스피넷을 사주었고, 베르디는 하루 종일 스피넷에 매달릴 정도로 열중했다.[33]
1823년, 10세의 베르디는 하숙하며 고등학교에서 읽기와 쓰기, 라틴어를 배웠고, 음악학교에서는 페르디난도 프로베시에게서 음악의 기초를 배웠다. 베르디는 안토니오 바레치의 집에도 드나들며 사적으로나 공적으로 도움을 받았고, 마을의 음악 활동에도 참여했다. 작곡, 연주, 지휘 경험을 쌓으면서 베르디의 명성은 마을에 퍼져나갔다. 17세 무렵에는 바레치 집에 살면서 그의 장녀 마르게리타 바레치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34]
베르디는 더 발전하기 위해 당시 음악의 중심지였던 밀라노로 유학을 가고자 했다. 1832년 6월, 몬테 디 피에타(Monte di Pietà) 장학금[35]과 바레치의 지원을 받아[34] 밀라노로 이주했다.[36] 베르디는 음악원 입학 시험을 치렀으나, 나이 제한(18세)을 초과하여 불합격했다. 어쩔 수 없이 빈첸초 라비냐에게 개인 지도를 받게 되었다.[36]
thumb
스칼라 극장에서 작곡[37]과 연주를 담당했던 라비냐는 베르디의 재능을 알아보고 작곡을 지도하고, 수많은 연극을 감상하게 했으며, 스칼라 극장의 리허설까지 참관하게 했다.[36] 베르디는 지휘자 마씨니를 통해 참관한 리허설에서 부지휘자가 늦자 피아노 연주를 맡았는데, 열중한 나머지 한 손으로 지휘까지 시작했다. 마씨니는 이를 칭찬하며 본 공연 지휘를 맡겼고, 공연은 성공을 거두었다. 베르디에게는 적은 액수지만 음악 관련 의뢰가 들어오기 시작했다.[38]
2. 2. 초기 오페라 작곡 활동 (1834-1849)
1834년 중반, 베르디는 부세토에서 프로베시의 이전 직책을 얻고자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바레치의 도움으로 그는 "음악 지도자(maestro di musica)"라는 세속적인 직책을 얻었다.[39] 1835년 초 밀라노로 돌아가기 전 몇 달 동안 가르치고, 레슨을 하고, 필하모닉을 지휘했으며, 그해 7월 라비냐로부터 자격증을 취득했다.[39] 1835년 베르디는 3년 계약으로 부세토 학교의 교장이 되었다. 1836년 5월 바레치의 딸 마르게리타와 결혼했고, 1837년 3월 26일 첫 아이인 비르지니아 마리아 루이지아가 태어났다. 1838년 7월 11일에는 이킬리오 로마노가 태어났다. 그러나 두 아이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는데, 비르지니아는 1838년 8월 12일에, 이킬리오는 1839년 10월 22일에 사망했다.[39]1837년, 젊은 베르디는 밀라노에서 그의 오페라를 공연하기 위해 마시니의 도움을 요청했다.[39] 스칼라 극장의 임프레사리오(극장장)인 바르톨로메오 메렐리는 1839년 11월에 오베르토(테미스토클레 솔레라가 대본을 다시 쓴 개작된 오페라)를 공연하는 데 동의했다.[39] 이 작품은 13회의 추가 공연을 기록하며 성공을 거두었고, 메렐리는 베르디에게 세 작품에 대한 계약을 제안했다.[39] 1838-1839년 베르디는 밀라노 출판사 조반니 칸티를 통해 그의 첫 음악 작품을 출판했다.[1]
베르디가 두 번째 오페라 하루의 지배(Un giorno di regno)를 작업하는 동안, 아내 마르게리타는 26세의 나이로 뇌염으로 사망했다. 베르디는 아내와 아이들을 매우 사랑했고, 그들의 요절에 깊은 슬픔에 잠겼다. 희극인 "하루의 지배"는 몇 달 후 초연되었지만 실패작으로 기록되어 단 한 번만 공연되었다.[39] 이 실패 이후, 베르디는 다시는 작곡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고 전해진다.[39] 그러나 그의 "스케치"에서 그는 메렐리가 그에게 새로운 오페라를 작곡하도록 설득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베르디는 원래 작곡가 오토 니콜라이가 거절했던 대본을 사용하여 나부코의 음악 작업을 점진적으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나중에 "오늘 이 구절, 내일 저 구절, 여기 음표, 저기 전체 악절, 그리고 조금씩 오페라가 완성되었다"고 회상했다.[39] 1841년 가을, 원래 제목이 "나부코도노소르(Nabucodonosor)"였던 작품이 완성되었다. 1842년 3월 9일 초연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나부코는 베르디가 극장에서 은퇴할 때까지(29편의 오페라, 개정판 및 업데이트된 버전 포함) 그의 성공을 뒷받침했다.[39] 1842년 가을 시즌 스칼라 극장에서 재공연되었을 때 전례 없는(그리고 후에도 넘어서지 못한) 총 57회의 공연을 기록했다. 3년 안에 빈, 리스본, 바르셀로나, 베를린, 파리, 함부르크 등 여러 장소에서 공연되었고, 1848년에는 뉴욕, 1850년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공연되었다.


《나부코》의 성공 이후 베르디는 밀라노에 정착하여 많은 영향력 있는 인물들과 친분을 쌓았다. 그는 밀라노에서 클라라 마페이 백작 부인의 살롱인 "살로토 마페이"에 참석하여 평생 친구이자 서신 교환자 관계를 맺었다.[39] 1842년 라 스칼라 극장에서 《나부코》가 재공연되어 57회 공연을 기록했고,[39] 메렐리로부터 1843년 시즌을 위한 새로운 오페라 위촉을 받았다. 솔레라의 대본을 바탕으로 한 《십자군 원정의 롬바르디아인들》은 1843년 2월 초연되었다.
베르디는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적절한 보수를 받도록 재정 계약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베니스에서 《롬바르디아인들》과 《에르나니》(1844)에 대해 12000ITL(제작 감독 포함)를 받았고, 《아틸라》와 《맥베스》(1847) 각각에 대해 18000ITL를 받았다. 1847년 출판사 리코르디와의 계약은 신작, 초연, 편곡 등에 대한 수령액을 매우 구체적으로 명시했다.[39] 그는 점점 더 커지는 부를 이용하여 고향 근처에 토지를 투자하기 시작했다. 1844년에는 농가와 부속 건물이 있는 23ha의 농지를 "일 풀가로"라는 이름으로 매입하여 1844년 5월부터 부모님이 거주할 수 있도록 했다. 같은 해 후반에는 부세토의 메인 거리인 비아 로마에 팔라초 카발리(현재 팔라초 오를란디로 알려짐)를 매입했다.[39] 1848년 5월, 베르디는 한때 그의 가족이 소유했던 부세토의 산타가타에 있는 토지와 주택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39] 그는 이곳에 자신의 집을 지었는데, 1880년에 완공된 이 집은 현재 빌라 베르디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185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이곳에 살았다.[2]
1843년 3월, 베르디는 비엔나를 방문하여 《나부코》 공연을 감독했다. 베르디의 재능을 알아본 가에타노 도니체티는 1844년 1월 편지에서 "베르디와 같은 재능 있는 사람들에게 길을 양보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좋은 베르디가 곧 작곡가 집단에서 가장 영예로운 지위 중 하나에 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라고 적었다.[39] 베르디는 파르마 레지오 극장에서 주세피나 스트레포니가 출연하는 《나부코》를 공연하는 파르마로 이동했다. 베르디에게 이 공연은 특히 그의 아버지 카를로가 초연에 참석했기 때문에 그의 고향에서 개인적인 승리였다. 베르디는 예정된 출발일보다 몇 주 더 파르마에 머물렀는데, 이는 베르디가 스트레포니에게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라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스트레포니는 그들의 관계가 1843년에 시작되었다고 진술했다).[39]

베니스에서 《나부코》가 성공적으로 상연된 후(1842/43 시즌에 25회 공연), 베르디는 라 페니체 극장의 임프레사리오와 《롬바르디아인들》을 공연하고 새로운 오페라를 작곡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마침내 빅토르 위고의 《에르나니》가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를 대본 작가로 선정되어 선택되었다. 《에르나니》는 1844년에 성공적으로 초연되었고, 6개월 이내에 이탈리아의 다른 20개 극장과 비엔나에서도 공연되었다.[39]
이 기간 동안 베르디는 대본 작가들과 더욱 꾸준히 작업하기 시작했다. 그는 1844년 11월 로마에서 공연된 《두 포스카리 형제》에 대해 다시 피아베에게 의존했고, 1845년 2월 라 스칼라에서 《잔 다르크》에 대해 다시 한번 솔레라에게 의존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의 《알지라》에 대해 살바도레 카마라노와 함께 작업할 수 있었다. 솔레라와 피아베는 라 페니체 극장을 위한 《아틸라》(1846년 3월)에 함께 작업했다.[39]

1844년 4월, 베르디는 자신보다 8살 어린 에마누엘레 무치오를 제자이자 필사가로 받아들였다. 그는 바레치의 다른 보호 대상 중 한 명으로 1828년경부터 그를 알고 있었다.[39] 베르디의 유일한 제자인 무치오는 작곡가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다. 무치오는 베르디와 계속해서 관계를 유지하면서 악보와 필사 작업을 준비하고, 나중에는 미국과 이탈리아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 그의 많은 작품을 초연 지휘했다. 그는 베르디에 의해 유언집행자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지만 1890년에 베르디보다 먼저 사망했다.[39]
한동안 병을 앓은 후 베르디는 1846년 9월 《맥베스》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이 오페라를 바레치에게 헌정했다. "나는 당신이 나에게 아버지이자 은인이자 친구였기 때문에 오랫동안 당신에게 오페라를 헌정할 의향이 있었습니다. 만약 강압적인 상황이 저를 막지 않았다면 더 일찍 이행했어야 할 의무였습니다. 이제 저는 제 다른 모든 오페라보다 소중히 여기고 따라서 당신에게 바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맥베스》를 보냅니다."[39]
베르디는 1847년 5월까지 런던을 위한 《마스나디에리》를 완성했지만, 오케스트레이션은 남겨두었다. 그는 "제니 린드의 목소리를 듣고 그녀의 역할을 그녀에게 더 잘 맞도록 수정"하기 위해 오페라가 리허설 중일 때까지 남겨두었다.[39] 베르디는 1847년 7월 22일 헤르 메제스티 극장에서 초연과 두 번째 공연을 지휘하기로 합의했다.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이 초연에 참석했고, 대부분의 언론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39]

그 후 2년 동안, 정치적 불안 시기에 이탈리아를 두 번 방문한 것을 제외하고 베르디는 파리에 거주했다.[39] 1847년 7월 파리로 돌아온 지 일주일 만에 그는 파리 오페라로부터 첫 번째 위촉을 받았다. 베르디는 《롬바르디아인들》을 새로운 프랑스어 대본에 맞게 각색하는 데 동의했고, 그 결과 파리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음악과 구조에 상당한 변화(광범위한 발레 장면 포함)가 포함된 《예루살렘》이 탄생했다.[39] 베르디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의 슈발리에 훈장을 받았다. 출판사와의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베르디는 《일 코르사로》를 서둘러 완성했다.
1848년 "친퀘 조르나테", "5일간의 싸움" 소식을 듣고 베르디는 밀라노로 갔다.[39] 그는 피아베가 새로 선포된 산 마르코 공화국의 "시민 피아베"가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베니스에 있는 그에게 애국적인 편지를 쓰면서 베르디는 "모든 사소한 시정부의 생각을 버려라! 우리 모두는 형제애의 손을 내밀어야 하며, 이탈리아는 앞으로 세계 최고의 국가가 될 것이다... 나는 기쁨에 취해 있다! 더 이상 독일인이 없다는 것을 상상해 보라!!"라고 결론지었다.[39]
베르디는 시인 주세페 주스티에게서 애국적인 주제를 외면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시인은 그에게 "이탈리아 국민의 [슬픔]을 키우고, 그것을 강화하고, 목표로 향하게 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라"고 간청했다.[39] 카마라노는 조제프 메리의 1828년 희곡 《툴루즈 전투》를 각색할 것을 제안했는데, 그는 이 이야기를 "가슴에 이탈리아인의 영혼을 지닌 모든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야 하는 이야기"라고 묘사했다.[39] 초연은 1849년 1월 말로 예정되었다. 베르디는 1848년 말 이전에 로마로 갔다. 그는 그 도시가 며칠 만에 《레냐노 전투》의 열렬한 환영을 받은 초연이 시작된 짧은 수명의 공화국이 되려는 직전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당시 정신을 반영하는 것은 테너 영웅의 마지막 말, "조국을 위해 죽는 사람은 악의적인 마음을 가질 수 없다"였다.[39]
베르디는 1848년 초에 이탈리아로 돌아갈 계획이었지만, 일과 질병, 그리고 아마도 스트레포니에 대한 애정이 점점 커졌기 때문에 막혔다. 베르디와 스트레포니는 1849년 7월에 파리를 떠났는데, 그 직접적인 원인은 콜레라 발생이었고,[39] 베르디는 부세토로 직접 가서 그해 후반에 나폴리에서 공연하기 위해 그의 최신 오페라 《루이사 밀러》를 완성하는 작업을 계속했다.[39]
2. 3. 중기: 명성과 성공 (1849-1860)
1850년 봄, 베르디는 조반니 리코르디 출판사에 트리에스테에서 공연될 오페라(후에 《스티펠리오》가 됨)를 맡겼다. 이후 라 페니체 극장과의 협상을 거쳐 피아베와 함께 대본을 만들고 1851년 3월 베네치아에서 공연될 《리골레토》 (빅토르 위고의 《왕은 즐거워》를 바탕으로 함)의 음악을 작곡했다. 이 작품은 그가 오페라 거장으로서의 명성을 확고히 하는 세 작품(《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가 이어짐) 중 첫 작품이었다.[39]《스티펠리오》의 실패는 베르디로 하여금 이 작품을 수정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했지만, 완전히 새롭게 다듬은 《아롤도》(1857년) 버전조차도 관객을 만족시키지 못했다.[40] 왕족 살해를 암시하고 음울한 속성을 지닌 《리골레토》 역시 검열관들을 불편하게 했다. 베르디는 타협하지 않았다.
검열관들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그들이 그 결과에 대해 걱정하는가? …그들이 나보다 더 잘 안다고 생각하는가? …내가 보기에 영웅이 더 이상 추하고 곱추가 아니게 되었다!! 왜? 노래하는 곱추…왜 안 되는가? …나는 이 인물을 외적으로는 기형이고 우스꽝스럽게, 내적으로는 열정적이고 사랑으로 가득 차게 보여주는 것이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바로 이런 특성 때문에 이 소재를 선택했다…만약 그것들이 제거된다면 나는 더 이상 음악을 작곡할 수 없다.it
베르디는 왕 대신 공작을 등장시켰고, 이 오페라에 대한 대중의 반응과 이후 이탈리아와 유럽 전역에서의 성공은 작곡가의 정당성을 입증했다.[41] 공작의 노래 "La donna è mobile"("여자는 변덕스럽다")의 선율이 인기 히트곡이 될 것을 알고 있던 베르디는 이 노래를 오페라 오케스트라 연습에서 제외하고 테너와 따로 연습했다.[42]

몇 달 동안 베르디는 가족 문제에 몰두했다. 이는 부세토 시민들이 그와 사실혼 관계를 맺고 있던 주세피나 스트레포니를 대하는 방식에서 비롯되었다. 그녀는 마을과 교회에서 외면당했고, 베르디는 무관심한 듯 보였지만 그녀는 결코 그렇지 않았다.[43] 게다가 베르디는 산타가타에 새로 구입한 부동산 관리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44] 베르디와 그의 부모 사이의 점점 커지는 소원은 아마도 스트레포니 때문이었을 것이다.[45] (베르디와 스트레포니 사이에 태어난 아이를 버려진 아이로 키운다는 주장은 확실한 증거가 부족하다). 1851년 1월 베르디는 부모와 관계를 끊었고 4월에는 그들에게 산타가타를 떠날 것을 명령했다. 베르디는 그들을 위해 새 집을 찾아주고 그들이 새 집에 정착할 수 있도록 재정적으로 도왔다. 1849년부터 1853년까지 베르디가 작곡한 여섯 개의 오페라(《라 바탈리아》, 《루이자 밀러》, 《스티펠리오》,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가 모두 그의 작품 중 유일하게 오페라 평론가 조셉 커먼의 말처럼 "성적 일탈, 실제 또는 인식된 성적 일탈 때문에 고통받는 여성영어"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커먼은 심리학자 제럴드 멘델스존처럼 이러한 소재 선택이 베르디의 스트레포니에 대한 불안한 열정의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베르디와 스트레포니는 1851년 5월 1일 산타가타로 이사했다.[46] 5월에는 라 페니체에서 새 오페라 제작 제안이 들어왔고, 베르디는 결국 이를 《라 트라비아타》로 완성했다. 이어 로마 오페라 극장과 1853년 1월 《일 트로바토레》를 공연하기로 계약을 맺었다.[47] 베르디는 이제 원한다면 은퇴할 만큼 충분한 수입을 올리고 있었다.[48] 그는 제삼자의 의뢰에 의존하기보다는 자신의 의지대로 오페라를 개발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사실 《일 트로바토레》는 그가 (《오베르토》를 제외하고) 특별한 의뢰 없이 처음으로 작곡한 오페라였다.[49] 같은 무렵 그는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을 바탕으로 오페라를 만들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처음 (1850년) 카마라노에게 대본을 의뢰했지만(결국 나오지 않았다) 나중에 (1857년) 안토니오 소마에게 의뢰했지만 이것도 난항을 겪었고 음악은 전혀 작곡되지 않았다.[50] 1896년 베르디는 그의 《리어 왕》 자료를 피에트로 마스카니에게 제공했는데, 그는 "거장님, 왜 음악으로 만들지 않으셨습니까?it"라고 물었다. 마스카니에 따르면, "그는 부드럽고 천천히 '리어 왕이 황야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장면이 저를 두렵게 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it"[51] 베르디는 1851년 6월 어머니가 사망한 후 《일 트로바토레》 작업을 시작했다. 이것이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에게 초점을 맞춘 베르디의 유일한 오페라영어"라는 사실은 아마도 그의 어머니의 죽음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1851년에서 1852년 겨울에 베르디는 스트레포니와 함께 파리로 가기로 결심했고, 그곳에서 오페라 극장과 계약을 맺고 그랑 오페라 스타일의 그의 첫 번째 독창적인 작품인 《시칠리아 섬의 만종》을 작곡했다. 1852년 2월 두 사람은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희곡 《춘희》를 관람했고, 베르디는 곧 후에 《라 트라비아타》가 될 작품의 음악을 작곡하기 시작했다.[52]
1853년 1월 《일 트로바토레》를 위해 로마를 방문한 후 베르디는 《라 트라비아타》 완성 작업을 했지만, 그 시즌에 참여한 가수들에 대한 그의 불신으로 인해 성공을 기대하지 못했다.[53] 게다가 경영진은 오페라가 현대적 배경이 아닌 역사적 배경을 가져야 한다고 고집했다. 3월 초연은 실제로 실패였고, 베르디는 "내 잘못인가, 가수들의 잘못인가? 시간이 말해줄 것이다it"라고 적었다.[54] 이후 2년 동안 유럽 전역에서 일부 수정을 거쳐 공연된 작품은 작곡가의 정당성을 완전히 입증했고, 로저 파커는 "《일 트로바토레》는 꾸준히 베르디 레퍼토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세 작품 또는 네 작품 중 하나로 남아 있지만,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은 적은 없다영어"고 적었다.[55]
2. 4. 정치 참여와 후기 작품 활동 (1860-1901)
1859년, 베르디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참여하여 지방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토리노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국왕을 만났다.[86] 1861년부터 1865년까지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지만, 정치보다는 음악 활동에 더 집중했다.[43]1862년, 베르디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황실 극장의 의뢰로 《운명의 힘》을 작곡했다.[87] 1867년에는 파리 만국박람회를 기념하여 《돈 카를로스》를 작곡했다.[46]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을 기념하기 위해 이집트 정부로부터 오페라 작곡을 의뢰받은 베르디는 1871년 《아이다》를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86] 《아이다》는 베르디 오페라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86]
1874년, 베르디는 이탈리아의 애국 시인 알레산드로 만초니를 추모하는 《레퀴엠》을 작곡했다.[43] 1887년에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오텔로》를 발표하여 오페라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80] 1893년에는 그의 마지막 오페라 《팔스타프》를 발표했다.[84] 《팔스타프》는 베르디의 유일한 희극으로, 그의 음악적 성숙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84]
말년에 베르디는 자선 사업에 힘썼으며, 밀라노에 은퇴한 음악가들을 위한 요양원(en:Casa di Riposo per Musicisti)을 설립했다.[86] 1901년 1월 27일, 베르디는 밀라노의 한 호텔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6][87] 그의 장례식에는 20만 명이 넘는 군중이 몰려들어 이탈리아 오페라 거장의 죽음을 애도했다.[86]
3. 평가
베르디는 이탈리아 오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탈리아 가극의 장점인 성악적인 아름다움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극적인 진실성을 존중하는 개성적인 표현을 추구했다. 만년에는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관현악법을 발전시켜 장대한 가극을 창작하기도 했다.
베르디의 오페라 작품은 시기에 따라 3~4가지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이탈리아 독립 정신을 고취하는 애국적인 작품들이 돋보였다. 중기에는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 등 3대 걸작을 통해 복잡한 인간성을 음악과 융합하여 그려냈다. 후기에는 《아이다》를 통해 이탈리아식 그랜드 오페라의 성숙을 보여주었으며, 말년에는 《오텔로》와 《팔스타프》를 통해 음악과 연극의 융합을 추구했다.
그의 작품은 때때로 멜로드라마적 경향과 온음계적 음악 어법으로 비판받기도 했지만,[7] 그의 위대한 작품들은 한 세기 반 동안 전 세계 오페라 극장의 주요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7] 베르디의 오페라는 그에게 대중적인 인기를 가져다주었지만, 당대 모든 비평가들이 그의 작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아니었다. 영국의 비평가 헨리 콜리(Henry Chorley)는 베르디의 결점이 심각하며, 그의 음악이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취향을 파괴하고 저하시킨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베르디 사후 그의 명성은 확고해졌고, 1910년판 그로브 사전은 그를 "19세기 가장 위대하고 인기 있는 오페라 작곡가 중 한 명"이라고 선언했다.[7]
베르디는 제자를 두지 않았고, 그의 스타일을 따르는 작곡가들의 학교도 없었다. 그가 죽을 무렵에는 베리즘이 젊은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받아들여지는 스타일이 되었다.[7] 1959년에는 베르디 연구의 주요 연구 및 출판 센터인 국립 베르디 연구소(Istituto Nazionale di Studi Verdiani)가 설립되었고,[7] 1970년대에는 뉴욕대학교에 미국 베르디 연구소가 설립되었다.[8]
3. 1. 민족주의와 베르디
베르디의 초기 오페라 작품들은 당시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의 지배를 받던 이탈리아인들의 독립 열망을 대변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특히, 1842년 작 오페라 《나부코》의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이탈리아인들에게 깊은 공감을 얻어, 제2의 국가처럼 불리기도 했다.[35] 이 합창은 억압받는 이탈리아인들의 상황을 대변하는 듯 했고, 리소르지멘토(이탈리아 통일 운동) 시기에는 "바, 펜시에로"라는 가사로 인해 더욱 큰 상징성을 띠게 되었다.[4]1840년대부터 베르디의 음악과 이탈리아 민족주의 정치의 연관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101] 1848년에는 민족주의 지도자 주세페 마치니가 베르디에게 애국가 작곡을 요청하기도 했다. 1859년에는 "Viva VERDI"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레''' '''디'''이탈리아 만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이탈리아 국왕))라는 구호가 이탈리아 전역에 퍼져나가기도 했다.[80]
베르디는 1861년 통일 이탈리아 왕국의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정치에 참여하기도 했다.[69] 카무이요 벤소 디 카브르 백작의 설득으로 정계에 입문한 베르디는 피에몬테-사르데냐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카브르 백작 사후 정치에 대한 흥미를 잃고 의정 활동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1874년에는 이탈리아 상원 의원으로 임명되었지만, 역시 의회 활동에는 참여하지 않았다.[6]
하지만 베르디의 오페라가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19세기 후반 국수주의 역사가들이 베르디 오페라의 정치적 측면을 과장했다고 주장한다.[14] 당시 음악 비평가들은 베르디의 작품에서 정치적 주제를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디의 음악, 특히 초기 작품들이 이탈리아인들의 애국심을 고취하고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베르디는 그의 작품을 통해 이탈리아인들의 정서를 대변했고, 이는 그를 "국민의 아버지"로 불리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40]
4. 주요 작품
베르디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품 제목 | 원어 제목 | 대본가 | 초연 장소 | 초연 시기 |
---|---|---|---|---|
산 보니파초의 백작, 오베르토 | Oberto, Conte di San Bonifacio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39년 |
하루만의 임금님 | Un Giorno di Regno | 펠리체 로마니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0년 |
나부코 | Nabucco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2년 |
롬바르디아 인 | I Lombardi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3년 |
에르나니 | Ernani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44년 |
두 사람의 포스카리 | I due Foscari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로마, 아르헨티나 극장 | 1844년 |
잔 다르크 | 'Giovanna dArco''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5년 |
알지라 | Alzira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 1845년 |
아틸라 | Attila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46년 |
맥베스 | Macbeth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피렌체, 페르골라 극장 | 1847년 |
군도 | I masnadieri | 안드레아 마페이 | 런던, 여왕 폐하의 극장 | 1847년 |
예루살렘 (I Lombardi의 개정판) | Jérusalem | Alphonse Royer와 Gustave Vaëz | 파리,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47년 |
해적 | Il corsar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트리에스테, 대극장 | 1848년 |
레냐노의 전쟁 | La battaglia di Legnano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로마, 아르헨티나 극장 | 1849년 |
루이자 밀러 | Luisa Miller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 1849년 |
스티펠리오 | Stiffeli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트리에스테, 대극장 | 1850년 |
리골레토 | Rigolett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51년 |
일 트로바토레 | Il trovatore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로마, 아폴로 극장 | 1853년 |
라 트라비아타 | La Traviata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53년 |
시칠리아인의 저녁 기도 | Les vêpres siciliennes | 외젠 스크리브와 Charles Duveyrier | 파리,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55년 |
일 트로바토레에 발레가 첨가된 개정판 | Le trouvère | 살바토레 캄마라노 |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57년 |
시몬 보카네그라 | Simon Boccanegra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57년 |
아롤도 (스티펠리오의 개정판) | Arlod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리미니, 누오보 극장 | 1857년 |
가면 무도회 | Un ballo in maschera | 안토니오 솜마 | 로마, 아폴로 극장 | 1859년 |
운명의 힘 | La forza del destin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상트페테르부르크, 황실 극장 | 1862년 |
맥베스 (개정판) | Macbeth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파리, 리리크 극장 | 1865년 |
돈 카를로스 | Don Carlos | 조셉 메리와 카미유 두로클 |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67년 |
운명의 힘 (개정판) | La forza del destin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라 스칼라 극장 | 1869년 |
아이다 | Aida | 안토니오 기슬란초니 | 카이로,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 | 1871년 |
시몬 보카네그라 (1857년 판본의 개정판) | Simon Boccanegra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라 스칼라 극장 | 1881년 |
돈 카를로 (2번째 개정판, 4막 판본) | Don Carlos | 조셉 메리와 카미유 두로클 | 라 스칼라 극장 | 1884년 |
돈 카를로 (3번째 개정판, 5막 판본) | Don Carlos | 조셉 메리와 카미유 두로클 | 모데나, Teatro Municipale | 1886년 |
오텔로 | Otello | 아리고 보이토 | 라 스칼라 극장 | 1887년 |
팔스타프 | Falstaff | 아리고 보이토 | 라 스칼라 극장 | 1893년 |
이 표는 베르디의 오페라 작품들을 정리한 것이며, 그 외 작품으로는 현악 4중주 마단조(1873년)와 레퀴엠 진혼미사곡(1873년~1874년), 4편의 성가, 테 데움 등이 있다.
4. 1. 오페라
베르디의 오페라 작품들은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작품 제목 | 원어 제목 | 대본가 | 초연 장소 | 초연 시기 |
---|---|---|---|---|
산 보니파초의 백작, 오베르토 | Oberto, Conte di San Bonifacio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39년 |
하루만의 임금님 | Un Giorno di Regno | 펠리체 로마니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0년 |
나부코 | Nabucco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2년 |
롬바르디아 인 | I Lombardi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3년 |
에르나니 | Ernani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44년 |
두 사람의 포스카리 | I due Foscari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로마, 아르헨티나 극장 | 1844년 |
잔 다르크 | 'Giovanna dArco'' | 테미스토클레 솔레라 |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1845년 |
알지라 | Alzira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 1845년 |
아틸라 | Attila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46년 |
맥베스 | Macbeth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피렌체, 페르골라 극장 | 1847년 |
군도 | I masnadieri | 안드레아 마페이 | 런던, 여왕 폐하의 극장 | 1847년 |
예루살렘 (I Lombardi의 개정판) | Jérusalem | Alphonse Royer와 Gustave Vaëz | 파리,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47년 |
해적 | Il corsar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트리에스테, 대극장 | 1848년 |
레냐노의 전쟁 | La battaglia di Legnano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로마, 아르헨티나 극장 | 1849년 |
루이자 밀러 | Luisa Miller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 1849년 |
스티펠리오 | Stiffeli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트리에스테, 대극장 | 1850년 |
리골레토 | Rigolett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51년 |
일 트로바토레 | Il trovatore | 살바토레 캄마라노 | 로마, 아폴로 극장 | 1853년 |
라 트라비아타 | La Traviata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53년 |
시칠리아인의 저녁 기도 | Les vêpres siciliennes | 외젠 스크리브와 Charles Duveyrier | 파리,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55년 |
일 트로바토레에 발레가 첨가된 개정판 | Le trouvère | 살바토레 캄마라노 |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57년 |
시몬 보카네그라 | Simon Boccanegra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 | 1857년 |
아롤도 (스티펠리오의 개정판) | Arlod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리미니, 누오보 극장 | 1857년 |
가면 무도회 | Un ballo in maschera | 안토니오 솜마 | 로마, 아폴로 극장 | 1859년 |
운명의 힘 | La forza del destin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상트페테르부르크, 황실 극장 | 1862년 |
맥베스 (개정판) | Macbeth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파리, 리리크 극장 | 1865년 |
돈 카를로스 | Don Carlos | 조셉 메리와 카미유 두로클 | 왕립 음악 아카데미 극장 | 1867년 |
운명의 힘 (개정판) | La forza del destino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라 스칼라 극장 | 1869년 |
아이다 | Aida | 안토니오 기슬란초니 | 카이로,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 | 1871년 |
시몬 보카네그라 (1857년 판본의 개정판) | Simon Boccanegra |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 | 라 스칼라 극장 | 1881년 |
돈 카를로 (2번째 개정판, 4막 판본) | Don Carlos | 조셉 메리와 카미유 두로클 | 라 스칼라 극장 | 1884년 |
돈 카를로 (3번째 개정판, 5막 판본) | Don Carlos | 조셉 메리와 카미유 두로클 | 모데나, Teatro Municipale | 1886년 |
오텔로 | Otello | 아리고 보이토 | 라 스칼라 극장 | 1887년 |
팔스타프 | Falstaff | 아리고 보이토 | 라 스칼라 극장 | 1893년 |
《오텔로》의 성공 이후, 베르디는 비극적인 작품을 많이 썼으니 이제는 희극을 다룰 때라고 생각했다. 그는 아리고 보이토에게 자신의 생각을 털어놓았고, 보이토는 셰익스피어의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을 바탕으로 《헨리 4세 1부》와 《헨리 4세 2부》의 내용을 추가하여 대본을 썼다. 베르디는 1889년 7월 초 대본 초고를 받고 긍정적으로 답했지만, 자신의 나이와 건강, 프로젝트 완료 능력에 대한 의구심을 가졌다. 그러나 1889년 7월 10일, "팔스타프를 만들자!"라며 의지를 다졌다.
《팔스타프》 초연은 1893년 2월 9일 라 스칼라 극장에서 열렸다. 초연 당시 티켓 가격은 평소보다 30배나 높았으며, 유럽 전역의 왕족, 귀족, 비평가, 예술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공연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여러 곡이 앙코르되었으며, 베르디와 출연진에게 1시간 동안 박수갈채가 이어졌다.
《리골레토》의 성공으로 베르디는 창작 활동의 자유를 얻었다. 하지만 주세피나를 향한 부세토의 엄격한 시선 때문에, 베르디는 부모와 거리를 두고 1851년 봄 이전에 구입했던 산타가타 농장으로 거처를 옮겼다.
1853년 1월 로마에서 초연된 『일 트로바토레』는 카바티나 형식의 걸작으로[57] 성공했고, 거의 동시에 구상한 『라 트라비아타』는 3월 베네치아 초연에서 실패했지만[59], 배역 등을 재검토하여 5월 같은 베네치아에서 재연하여 갈채를 받았다. 이 작품은 베르디 유일의 프리마돈나 오페라였다.[60]
베르디는 그랑 오페라에 도전하고자 파리로 갔지만, 『시칠리아의 저녁 기도』 제작에서 대본 작가 외젠 스크리브의 작업 지연과 내용에 만족하지 못했다. 이 일로 1년 이상 구속되었고, 결국 계약 파기까지 언급했다. 1855년 6월에 공연되어 호평을 받았지만, 베르디에게는 만족스럽지 못했다.
산타가타 농장은 베르디의 안식처였다. 그는 음악을 잊고 주세피나와 농사일을 즐겼지만, 작곡에 대한 충동으로 다시 제작에 착수했다. 『스티펠리오』를 개정한 『아롤도』를 발표했고, 『시몬 보카네그라』는 1857년 3월 초연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63]
베르디의 차기작 『구스타보 3세』는 스웨덴 왕 구스타프 3세를 소재로 하여 검열 당국의 허가를 받지 못했다. 나폴레옹 3세 암살 미수 사건까지 발생하여 상황은 악화되었다.[64] 베르디는 『구스타보 3세』를 로마로 가져와 무대를 미국 보스턴으로 변경하고 편곡한 후 1859년 2월 『가면무도회』를 개막했다.[65]
『가면무도회』는 음악의 아름다움과 연극성을 높은 수준으로 양립시킨 뛰어난 작품으로, 시대 분위기와 맞물려 관객들은 열광했다. 사르데냐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통일을 향한 연설을 했고, 이탈리아 전역에서 "Viva VERDI"(베르디 만세)라는 슬로건이 베르디를 시대의 총아로 만들었다.[65]
4. 2. 그 외 작품
베르디는 오페라 외에도 기악곡과 종교음악을 작곡했다. 기악곡으로는 1873년에 작곡한 현악 4중주 마단조가 있으며, 종교음악으로는 레퀴엠 진혼미사곡(1873년~1874년), 4편의 성가, 테 데움 등이 있다.5. 베르디와 관련된 장소
이탈리아 부세토는 베르디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으로, 1850년대에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베르디 극장이 있다. 극장 옆에는 루이지 세키가 1913년에 제작한 앉아있는 베르디의 동상이 있는데,[16] 이것은 이탈리아에 있는 많은 베르디 동상 중 하나이다.
밀라노는 베르디가 18세에 음악 공부를 하기 위해 온 도시이다. 밀라노 음악원 입학에는 실패했지만, 개인 교습을 받으며 작곡 공부를 시작했다. 이곳에서 베르디는 오페라 작곡가로 성장했으며, 조반니 리코르디가 그의 오페라 출판을 맡고 라 스칼라 극장에서 3편의 오페라 작곡을 의뢰받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밀라노 음악원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6]
파르마는 베르디의 고향 근처에 있으며 베르디 연구소가 있다.
6. 현대의 베르디
베르디의 오페라는 전 세계적으로 자주 공연된다.[3] 그의 모든 오페라는 녹음[24] 및 DVD로 출시되었으며, 낙소스 레코드(Naxos Records)는 전곡 박스 세트를 제공한다.[25]
현대 공연은 작곡가가 원래 구상했던 것과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조나단 밀러(Jonathan Miller)의 1982년 영국 국립 오페라(English National Opera)를 위한 ''리골레토'' 버전은 현대 미국 마피아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26] 그러나 같은 단체의 2002년 ''가면무도회'' 공연은 칼릭스토 비에이토(Calixto Bieito)가 연출했는데, "사탄적인 성 의식, 동성애 강간, 악마 같은 난쟁이" 등을 포함하여 대체로 비판을 받았다.[27]
1997년 다이애나 황태자비 장례식에는 레퀴엠의 일부가 연주되었다.[79] 2011년 3월 12일, 이탈리아 통일 150주년을 기념하여 로마 오페라 극장(Opera di Roma)에서 열린 ''나부코'' 공연 중 지휘자 리카르도 무티(Riccardo Muti)는 "Va, pensiero" 후 잠시 멈춰 당시 이탈리아 총리 실비오 베를루스코니(Silvio Berlusconi)를 포함한 관객들에게 문화 예산 삭감에 대해 항의했고, 관객들은 합창을 다시 따라 불렀다.[28] 2014년 팝 가수 케이티 페리(Katy Perry)는 발렌티노가 디자인한 드레스를 입고 그래미 어워드(Grammy Award)에 등장했는데, 드레스에는 ''라 트라비아타'' 서곡의 "Dell'invito trascorsa è già l'ora" 음악이 수놓아져 있었다.[29] 2013년 베르디 탄생 200주년은 전 세계적으로 공연과 방송을 통해 기념되었다.[30]
참조
[1]
백과사전
Canti, Giovanni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웹사이트
Story
http://www.villaverd[...]
2015-06-10
[3]
웹사이트
Operabase website
http://operabase.com[...]
2015-06-28
[4]
웹사이트
Author's summary
http://ebooks.cambri[...]
2015-07-18
[5]
뉴스
Senator wants to change Italy's national anthem – to opera
http://www.csmonitor[...]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9-08-24
[6]
뉴스
Senato del Regno
1874-12-10
[7]
웹사이트
Who we are
http://www.studiverd[...]
2015-06-27
[8]
웹사이트
American Institute for Verdi Studies
http://www.nyu.edu/p[...]
2015-06-27
[9]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Music and Nationalism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5-05-31
[10]
논문
Verdi, Musica e Risorgimento
Rassegna Storica del Risorgimento
2001
[11]
서적
Aspects of Verdi
https://books.google[...]
Limelight Editions
[12]
서적
Verdi, Italian Romanticism, and the Risorgimento
Balthazar
[13]
논문
How political were Verdi's operas? Metaphors of progress in the reception of I Lombardi alla prima crociata
Journal of Modern Italian Studies
2013
[14]
논문
Verdi politico: a wounded cliché regroups
Journal of Modern Italian Studies
2012
[15]
논문
Verdi e il Risorgimento
Rassegna Storica del Risorgimento
2001
[16]
웹사이트
Storia
http://www.consmilan[...]
2015-06-27
[17]
웹사이트
Conservatorio Statale di Musica Giuseppe Verdi, Torino
http://www.conservat[...]
2015-06-27
[18]
웹사이트
Conservatorio di musica "Giuseppe Verdi" of Como
http://www.conservat[...]
2015-06-27
[19]
웹사이트
Verdi Memorial, (sculpture)
http://siris-artinve[...]
[20]
웹사이트
Giuseppe Verdi
https://www.imdb.com[...]
2015-06-27
[21]
웹사이트
Verdi (1982)
https://www.imdb.com[...]
2015-06-27
[22]
웹사이트
After Aida
http://www.robertfox[...]
2015-06-27
[23]
웹사이트
Risorgimento
http://www.tcbo.it/i[...]
2015-06-27
[24]
웹사이트
Opera Discography Encyclopedia
http://www.carlomari[...]
2015-06-28
[25]
웹사이트
Tutto Verdi
http://www.naxos.com[...]
2015-06-28
[26]
뉴스
Jonathan Miller's Mafia 'Rigoletto'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2-23
[27]
뉴스
Revamped opera fails to shock
http://news.bbc.co.u[...]
BBC News
2002-02-22
[28]
뉴스
Against Silvio Berlusconi's idea of culture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2011-03-24
[29]
뉴스
Katy Perry's Verdi dress steals show at Grammys
http://www.classicfm[...]
Classic FM (UK)
2014-01-28
[30]
뉴스
Verdi: How his 200th birthday is being celebrated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3-10-09
[31]
서적
イントロダクション
[32]
서적
生誕
[33]
서적
憩いの家, 生誕
[34]
서적
少年の夢
[35]
웹사이트
ジュゼッペ・ヴェルディのオペラ「ナブッコ」がイタリア統一運動に与えた音楽的影響の考察
https://cir.nii.ac.j[...]
Ci-Nii Article、大阪城南女子短期大学
2011-02-25
[36]
서적
烙印
[37]
서적
初期のヴェルディ作品
[38]
서적
焦燥
[39]
서적
イントロダクション
[40]
서적
ナブッコ、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41]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cir.nii.ac.j[...]
null
[41]
서적
(제목 없음)
[41]
서적
(제목 없음)
[41]
서적
(제목 없음)
[42]
서적
(제목 없음)
[43]
서적
囚われの時代 その1
[44]
웹사이트
オペラの歓び
https://web.archive.[...]
2006-04-08
[45]
서적
囚われの時代 その2
[46]
서적
改革者への道
[47]
서적
マクベス、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48]
서적
(제목 없음)
[49]
서적
ドーヴァー
[50]
서적
恋と革命
[51]
서적
市民たちの戦争
[52]
서적
宴のあと
[53]
서적
孤独な帰郷
[54]
서적
リゴレット、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55]
서적
(제목 없음)
[56]
서적
瘤を背負った道化師、あるいは愛しすぎた父
[57]
서적
トロヴァトーレ、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58]
서적
歌を極める
[59]
서적
トラヴィアータ、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60]
서적
道を踏み外した女、あるいはお伽噺
[61]
서적
平原と大都会の間で
[62]
서적
シモン・ボッカネグラ、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63]
서적
転機
[64]
서적
仮面舞踏会、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65]
서적
イタリア、あるいは「ヴェルディ万歳」
[66]
서적
(제목 없음)
[67]
서적
(제목 없음)
[68]
서적
(제목 없음)
[69]
서적
再婚
[70]
웹사이트
Giuseppe Verdi politico e deputato, Cavour, il Risorgimento
http://www.liberalso[...]
2010-01-02
[71]
서적
円熟期のヴェルディ、メルカダンテとパチーニの後期作品
[72]
서적
再び音楽へ
[73]
서적
権力者の孤独、あるいはパリとの決別
[74]
서적
集大成<アイーダ>
[75]
웹사이트
Giuseppe Verdi: un mito italiano
http://www.internetc[...]
[76]
서적
アイーダ、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77]
서적
Budden, Volume 3
[78]
웹사이트
サクサクFAQ
http://www.yamaha.co[...]
ヤマハ
2011-02-25
[79]
서적
咆哮する死
[80]
서적
復活、そして原点
[81]
서적
The Lives of the Great Composers
https://books.google[...]
[82]
논문
The Lives of the Great Composer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1-02-20
[83]
서적
The Lives of the Great Composers
https://books.google[...]
[84]
서적
微笑みの花園
[85]
웹사이트
Verdi aux répétitions de "Falstaff" / Michelet, sc. ; croquis d'après nature de M. ; Maurice Feuillet
http://gallica.bnf.f[...]
[86]
서적
死
[87]
웹사이트
グランドホテル・エ・デ・ミランのホームページ
http://www.grandhote[...]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ヴェルディの創作区分
[92]
서적
音楽史 ヴェルディのオペラ
[93]
서적
≪マクベス≫における作劇の転換から中期の三大名作へ
[94]
서적
アイーダ、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95]
서적
レパートリー・システムの確立と専業指揮者の台頭
[96]
서적
ヴェルディ時代の重要オペラ指揮者
[97]
서적
オテッロ、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98]
서적
ファルスタッフ、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99]
서적
Verdi
Rusconi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運命の力、ヒストリー&エピソード
[103]
웹사이트
Giuseppe Verdi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1-01-23
[104]
웹사이트
Casa Barezzi: where Verdi was discovered
https://www.italianw[...]
Italian Ways
2019-01-23
[105]
웹사이트
Villa Verdi official website
https://en.villaverd[...]
[106]
뉴스
Il pianoforte di Verdi suona all'Accademia dei Musici
https://www.cronache[...]
Cronache Ancona
2017-10-28
[107]
웹사이트
Casa Barezzi: where Verdi was discovered
https://www.italianw[...]
2019-01-23
[108]
웹사이트
Villa Verdi official website
https://en.villave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