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 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 켈》은 1960년 필립 솔레르스와 장-에데른 알리에가 파리에서 창간한 프랑스의 문학 잡지이다. 초기에는 구조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를 소개하며 프랑스 및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잡지는 프랑스 공산당 지지에서 마오주의 지지로 입장을 바꾸었으나, 1976년 마오주의와 거리를 두었다. 1982년 출판이 중단되었으며, 솔레르스가 편집을 맡아 《랑피니》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폐간 - 샤를리 에브도
    샤를리 에브도는 프랑스의 주간 풍자 잡지로, 세속주의, 이성, 공화주의 이념을 표방하며 극우, 종교 근본주의 등을 비판해왔으나, 무함마드 풍자 만화 게재 등으로 테러를 겪고 표현의 자유 논쟁을 야기했으며, 내부 갈등 및 법적 분쟁, 과격한 풍자로 인한 사회적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1982년 폐간 - 뉴욕 로커
    뉴욕 로커는 주요 주제와 하위 주제가 정의되지 않은 미완성 위키 페이지이다.
  • 프랑스의 문예지 - 라 누벨 르뷔 프랑세즈
    라 누벨 르뷔 프랑세즈는 앙드레 지드 등을 중심으로 1909년 창간되어 프랑스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실존주의 문학을 비롯한 주요 사조 형성에 기여한 프랑스 문학 잡지이다.
  • 프랑스의 문예지 - 저널 데사반스
    《저널 데 사반》은 1665년 창간되어 프랑스 혁명으로 중단 후 재발행된 프랑스의 학술 저널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루며 프랑스 학술원 등의 후원을 받아 발행되었고, 프랑수아 베르니에의 인종 분류,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 등 학술 발전에 기여했다.
  • 파리의 잡지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1954년 창간된 프랑스 월간지로, 외교·지정학을 다루다 냉전 종식 후 신자유주의 비판, 국제 문제 심층 분석 등으로 영역을 넓혔으며, 재정적·편집적 독립 후 다양한 언어로 발행되지만, 음모론 게재 및 편향적 보도에 대한 비판도 있다.
  • 파리의 잡지 -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
    르 누벨 옵세르바퇴르는 1950년 창간되어 여러 제호 변경을 거쳐 1964년 현재 이름으로 재창간된 프랑스의 시사 주간지로, 정치, 경제, 문화, 국제 문제 등 다양한 분야를 심층적으로 보도하며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국제 문제에 대한 분석과 논평을 제공한다.
텔 켈 - [회사]에 관한 문서
잡지 정보
제목텔 켈
원어 제목Tel Quel
분류문학
언어프랑스어
발행 빈도계간
국가프랑스
소재지파리
출판사스이유 출판사
창립자필립 소렐스
장에데른 알리에
창간1960년
폐간1982년
ISSN0040-2419

2. 역사

《텔 켈》은 1960년 필립 솔레르스[1][2]와 장-에데른 알리에가 파리에서 창간했으며, 에디시옹 뒤 세이유에서 출판되었다. 초기에는 구조주의적 경향을 띠었으나, 점차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를 향한 중요한 에세이들을 게재하며 프랑스 현대 사상의 발전을 주도했다. 1978년에는 이탈리아의 테러리즘을 위한 특별 섹션을 마련했으며, 마리아 안토니에타 마치오키와 레오나르도 샤샤가 기고자로 참여했다.[5] 1982년에 출판이 중단되었고, 잡지는 솔레르스가 계속 편집을 맡아 ''랑피니''로 이어졌다.[2]

2. 1. 창간 배경

《텔 켈》은 프랑스어로 "있는 그대로"를 의미하며,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긍정한다고 한 프리드리히 니체의 말에서 유래했다.[6][9] 초기 사상적 입장은 장 폴 사르트르시몬 드 보부아르가 1945년에 창간한 좌파 정치·철학·문학 잡지 《레 탕 모데른》과 문단의 거물 장 폴랭이 이끄는 《누벨 르뷔 프랑세즈》 사이에 위치했다.[6]

2. 2. 편집위원회 구성 및 변화

1960년에 창간된 잡지 ''텔 켈''의 초기 편집위원은 필립 솔레르스, 장-르네 위그냉프랑스어, 장-에데른 알리에프랑스어였다.[6] 1961년에 ''공원''[7]으로 메디시스 상을 수상한 솔레르스가 주도적인 역할을 맡게 되었고,[8] 1962년에는 솔레르스를 중심으로 장-피에르 파이유, 마르슬랭 플레네프랑스어, 자클린 리세프랑스어, 장 리카르두, 드니 로슈프랑스어, 장 티보도프랑스어로 구성된 새로운 편집위원회가 결성되었으며, 곧 줄리아 크리스테바도 참여했다.[6]

이후 편집위원회는 필립 솔레르스, 장-에데른 알리에, 장-르네 위그냉, 장 리카르두, 장 티보도, 미셸 드귀, 마르셀랭 플레네, 드니 로슈, 장-루이 보드리, 장-피에르 페, 자클린 리세, 프랑수아 발, 그리고 줄리아 크리스테바(1967년부터 필립 솔레르스와 결혼)로 구성되었다.

2. 3. 주요 기고 작가 및 협력자

롤랑 바르트, 미셸 푸코, 모리스 블랑쇼, 피에르 불레즈, 자크 데리다, 장 카이롤, 장-피에르 페, 쇼샤나 펠만 등이 주요 작가 및 협력자로 참여했다.[1]

2. 4. 프랑스 공산당과의 결별 및 마오주의 지지

초기에는 프랑스 공산당의 사상을 지지했지만, 중국의 문화 대혁명을 둘러싸고 의견이 대립하여 공산당을 비판하고 마오쩌둥주의를 지지했다.[11][12] 1971년 《텔 켈》은 프랑스 공산당과 결별하고 마오주의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3] 장-피에르 파이유는 1967년에 편집위원을 사임하고, 1968년에 잡지 《샹주(변화)》를 창간했다.[13][14] 1974년 필립 솔레르스, 마르셀랭 플레네, 프랑수아 발, 롤랑 바르트, 줄리아 크리스테바 등 편집위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3] 이 방문은 중국 정부 관리들이 엄격하게 조직했으며, 나중에 참가자들의 여러 에세이와 책에서 다루어졌다. 1976년 가을, 《텔 켈》은 마오주의와 명확하게 거리를 두었다.[4]

2. 5. 종간 및 《랑피니》로의 이행

1980년 롤랑 바르트, 1981년 자크 라캉의 잇따른 사망은 《텔 켈》에서 《랑피니》로의 이행에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필립 솔레르스는 말한다.[20] 《텔 켈》의 종간에서 《랑피니》의 창간으로의 이행은, 1981년 구두점 없는 모놀로그가 300페이지나 이어지는 실험적인 소설 《낙원》(Paradis)을 세이유사에서 발표한 솔레르스가,[21] 2년 후인 1983년에는 비교적 "고전적인" 묘사로 심리적인 소설 《여자들》을 갈리마르사에서 발표한 것과 궤를 같이했다.[20] 《텔 켈》은 1982년에 출판이 중단되었고, 잡지는 솔레르스가 계속 편집을 맡아 《랑피니》로 이어졌다.[2]

3. 사상적 경향 및 영향

《텔 켈》은 니체가 세계를 "있는 그대로" 긍정한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 "텔 켈(Tel Quel)"[6][9]이라는 이름처럼, 초기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 해체주의로 이어지는 프랑스 현대 사상의 흐름을 주도했다. 장 폴 사르트르시몬 드 보부아르가 창간한 좌파 잡지 《레 탕 모데른》과 장 폴랭이 이끌던 《누벨르 르뷔 프랑세즈》 사이에서[6], 프랑스 공산당의 사상을 지지했지만, 중국의 문화 대혁명을 둘러싸고 의견이 대립하면서 공산당을 비판하고 마오쩌둥주의를 지지하기도 했다.[11][12]

이러한 사상적 변화는 편집위원들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장-피에르 파이유는 1967년에 편집위원을 사임하고 잡지 《샹주(변화)》를 창간했으며,[13][14] 제라르 주네트는 1970년에 《포에티크》를 창간하여 엘렌 식수와 함께 활동했다.[16][17][18] 롤랑 바르트자크 라캉의 사망은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20]

3. 1.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초기 《텔 켈》은 구조주의적 경향을 띠었으나, 196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문학, 예술, 음악 비평의 재평가를 반영하며 포스트구조주의로 나아갔다.[1]

3. 2. 해체주의의 확산

《텔 켈》은 자크 데리다해체주의를 적극적으로 소개하는 장이 되었다.[1] 이 잡지에는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주의에 관한 중요한 에세이들이 게재되었다.[2] 이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해체주의가 확산되는 데 기여했다.

4. 기타

(내용 없음)

4. 1. 이탈리아 테러리즘 특별 섹션 (1978년)

1978년, 《텔 켈》은 이탈리아의 테러리즘을 다룬 특별 섹션을 마련했으며, 마리아 안토니에타 마치오키와 레오나르도 샤샤가 기고자로 참여했다.[5]

4. 2. 관련 서적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Fra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1-22
[2] 웹사이트 Revue L'Infini http://www.gallimard[...] 2016-05-04
[3] 서적 Saluting the Yellow Emperor: A Case of Swedish Sinography https://doi.org/10.1[...] Brill
[4] 학술지 The Sideways Gaze: Roland Barthes's Travels in China https://lareviewofbo[...] 2012-06-23
[5] 서적 Imagining Terrorism. The Rhetoric and Representation of Political Violence in Italy 1969-2009 https://doi.org/10.4[...] Routledge
[6] 웹사이트 TEL QUEL, revue https://www.universa[...] 2020-04-25
[7] 서적 公園 新潮社
[8] 웹사이트 Éditions du Seuil https://republique-d[...] La République des Lettres 2020-04-24
[9] 웹사이트 Les numéros de Tel Quel https://next.liberat[...] 1995-04-06
[10] 웹사이트 ポーラン https://kotobank.jp/[...] 2020-04-25
[11] 서적 コロンビア大学 現代文学・文化批評用語辞典 松柏社
[12] 웹사이트 テル・ケル https://kotobank.jp/[...] 2020-04-22
[13] 웹사이트 FAYE Jean-Pierre https://maitron.fr/s[...] Maitron 2009-07-03
[14] 웹사이트 ジャン・ピエール ファイユ https://kotobank.jp/[...] 2020-04-25
[15] 웹사이트 Change (1968-1983) https://www.revues-l[...] Revues littéraires 2020-04-24
[16] 웹사이트 Collection littéraire : Revue Poétique https://www.seuil.co[...] Éditions du Seuil 2020-04-25
[17] 웹사이트 Collection littéraire : Poétique https://www.seuil.co[...] Éditions du Seuil 2020-04-25
[18] 웹사이트 ポエティック https://kotobank.jp/[...] 2020-04-25
[19] 서적 Les revues et la dynamique des ruptures http://books.openedi[...]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2015-07-17
[20] 학술지 前衛(アヴァンギャルド)の墓掘り人夫 ― フィリップ・ソレルスと前衛 ― http://id.nii.ac.jp/[...] 東京海洋大学 2020-02-28
[21] 웹사이트 Paradis, Philippe Sollers, Littérature française https://www.seuil.co[...] Éditions du Seuil 2020-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