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겐부르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겐부르크 전쟁은 1712년 스위스 연방 내에서 발생한 종교적 갈등으로, 장크트갈렌 수도원장과 토겐부르크 지역 개신교 신민 간의 종교적 대립이 배경이 되었다. 반종교개혁으로 가톨릭화 시도가 진행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정치적, 경제적 갈등으로 이어졌다. 1707년 토겐부르크가 자치 정부를 수립하려 하자 연방은 종교적 분열을 겪었고,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의 중재 시도가 실패하면서 무력 충돌이 시작되었다. 베른과 취리히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 세력과 루체른, 슈비츠 등 가톨릭 세력 간의 전투가 벌어졌고, 제2차 빌머겐 전투에서 개신교 세력이 승리하면서 전쟁의 주도권을 잡았다. 1712년 아라우 평화 조약으로 전쟁이 종식되었으며, 베른과 취리히는 공동 지배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고, 스위스 연방 내 종교적 평등을 확립했다. 이로써 개신교 세력의 우위가 확립되었고, 주의 자치권이 강화되었으며, 장크트갈렌 수도원의 쇠퇴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내전 - 제2차 카펠 전쟁
    제2차 카펠 전쟁은 1531년 스위스에서 개신교와 가톨릭 간의 종교적 갈등으로 발발하여 가톨릭 측의 승리로 끝났으며, 각 주의 종교 선택의 자유를 확인하고 공동 통치 지역에서 가톨릭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스위스의 내전 - 구취리히 전쟁
    구취리히 전쟁은 토겐부르크 백작의 사망으로 촉발된 상속 분쟁과 취리히 주의 영토 확장에 대한 주변 주의 반발로 시작되어 스위스 연방의 정치적 통합을 강화하고 국가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 연방 내 갈등이다.
  • 토겐부르크 - 키르히베르크
    키르히베르크는 스위스 장크트갈렌주의 자치체로, 투르가우주와 경계를 이루는 투어강 인근에 위치하며, 농업 및 산림 지역과 함께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화 유산인 교회와 마을을 포함하고, 빌-에브나트-카펠선과 장크트갈렌 S-반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 토겐부르크 - 구취리히 전쟁
    구취리히 전쟁은 토겐부르크 백작의 사망으로 촉발된 상속 분쟁과 취리히 주의 영토 확장에 대한 주변 주의 반발로 시작되어 스위스 연방의 정치적 통합을 강화하고 국가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 연방 내 갈등이다.
토겐부르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 명칭토겐부르크 전쟁
다른 명칭제2차 빌메르겐 전쟁
일부유럽 종교 전쟁
시기1712년 4월 12일 ~ 1712년 8월 11일
장소구스위스 연방
결과개신교 승리
영향아라우 평화 조약 (1712년 8월 11일)
바덴 평화 조약 (1718년 6월 16일)
장크트갈렌 수도원 약탈
가톨릭 헤게모니 종식
교전 세력
교전 1개신교
교전 1 세부취리히주
베른주
토겐부르크 반군
제네바
뇌샤텔
교전 2가톨릭
교전 2 세부장크트갈렌 수도원
루체른주
우리주
슈비츠주
운터발덴주
추크주
발레주
프라이 엠터
기타 정보
1712년 제2차 빌메르겐 전쟁 지도
1712년 제2차 빌메르겐 전쟁 지도

2. 배경

15세기부터 토겐부르크 지역은 복잡한 종교적, 정치적 상황에 놓여 있었으며, 이는 토겐부르크 전쟁 발발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460년 장크트갈렌 수도원에 속하게 된 토겐부르크 백국령은 1436년부터 글라루스주슈비츠주와 란트법(Landrecht)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종교개혁 이후 토겐부르크 주민 대다수가 개신교로 개종하면서 종교적 갈등이 커졌다.

토겐부르크의 개혁파 주민들은 스위스 동맹국인 취리히베른주로부터 종교 문제에서 평등한 대우를 약속받았지만, 장크트갈렌 수도원장은 반종교개혁의 일환으로 토겐부르크를 다시 가톨릭으로 되돌리려 시도했다.

2. 1. 종교 갈등 심화

장크트갈렌 수도원의 대수도원장 레오데가 뷔르키서(''Leodegar Bürgisser'')는 반종교개혁 정책을 추진하며 토겐부르크 지역을 다시 가톨릭화하려 했다. 이는 개신교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7세기에 수도원장과 세속 집정관들은 수도원 영토를 보다 엄격하게 통치하려 했고, 이는 개신교 성직자 탄압으로 이어졌다. 일례로 1663년 토겐부르크 총독 볼프강 프리드리히 쇼르노는 개신교 목사 예레미아스 브라운에게 신성모독 혐의로 사형을 선고했다. 이는 개신교 주들의 개입으로 추방형으로 감형되었다.[4]

1695년, 가톨릭 주들과 장크트갈렌 수도원장은 "비가톨릭 종교"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1699년 슈비츠주는 군사적, 경제적 목적으로 우츠나흐바트빌 사이 리켄 고개에 새로운 도로 건설을 제안했다.

1697년, 뷔르키서는 바트빌에 도로 건설을 명령했지만, 주민들은 종교 자유 위협과 재정 압박을 이유로 거부했다. 뷔르키서는 반대파 탄압을 위해 가톨릭 신자인 요제프 게르만을 투옥했고, 이는 보호령 칸톤들의 개입을 불렀다. 세속 집정관 피델 폰 투른은 뷔르키서 편을 들어 신성 로마 제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고, 1702년 황제 레오폴트 1세와 보호 조약을 체결했다.[4] 뷔르키서는 제국 제후로 임명되기까지 했다. 이는 분쟁을 범유럽 수준으로 확대시킬 위험이 있었고, 스위스 연방의 주권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었다.

토겐부르크는 보호령인 슈비츠주글라루스주와 동맹을 맺고, 개신교 전초기지인 취리히베른주의 지지를 받았다. 1707년, 그들은 자치권 부여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뷔르키서는 응답하지 않았고, 결국 전쟁으로 확대되었다.[4]

2. 2. 정치적, 경제적 갈등

17세기 장크트갈렌 수도원의 수도원장과 세속 집정관들은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며, 절대군주제의 틀 안에서 토겐부르크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도원 당국이 개신교 성직자를 침해하는 사건들이 발생하며 갈등이 심화되었다. 예를 들어, 1663년 리히텐슈타이크의 토겐부르크 수도원 총독은 개혁주의 설교 중 신성모독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목사에게 사형을 선고하기도 했다.[4]

이러한 정치적 갈등은 토겐부르크 주민들의 자치권 요구와 충돌했다. 1695년, 7개의 가톨릭 주와 장크트갈렌 수도원장은 "비가톨릭 종교"에 대항하는 동맹을 결성했다. 1699년에는 슈비츠주우츠나흐바트빌 사이의 리켄 고개에 새로운 도로 건설을 제안했는데, 이는 가톨릭 군대의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전략적, 경제적으로 중요했다.[4]

1697년, 수도원장은 바트빌에 도로 건설을 명령했지만, 주민들은 종교 자유에 대한 위협과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거부했다. 수도원장은 반대파를 탄압하기 위해 토겐부르크 최고 치안판사를 투옥했고, 이는 보호령인 칸톤들의 개입을 불러일으켰다. 세속 집정관은 합스부르크 제국과 보호 조약을 체결하고, 수도원장은 제국 제후로 임명되어 분쟁이 확대될 위협을 가했다.[4] 이는 스위스 연방의 구조와 주권에 대한 심각한 위반으로 여겨졌다.[5]

토겐부르크는 보호주인 슈비츠주글라루스주와 동맹을 맺고, 취리히베른의 지원을 받았다. 1707년, 그들은 토겐부르크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하는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수도원장은 응답하지 않았고, 결국 전쟁으로 확대되었다.[4]

2. 3. 외교적 갈등

장크트갈렌 수도원장 피델 폰 투른은 170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와 보호 조약을 체결하고 뷔르키서를 번왕으로 임명했다.[1] 이는 분쟁을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시킬 수 있는 위협적인 사건이었다.[1]

이러한 행위는 합스부르크가로부터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수 세기 동안 투쟁해왔던 스위스 연방의 입장에서 연방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로 해석되었다.[1] 장크트갈렌 수도원은 1451년 이후 스위스 연방의 회원이었다.[1] 특히 아펜첼주취리히주는 이러한 상황을 용납할 수 없었다.[1] 번왕령은 연방 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인구를 수용했으며, 동부 스위스에서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1]

3. 위기의 고조

1707년 3월 23일, 토겐부르크인들은 란츠게마인데(토지 공동체 집회)를 열어 헌법 초안을 채택하고 베른취리히의 승인을 받았다. 이 헌법은 토겐부르크에 자치 정부를 수립하고, 장크트갈렌 수도원의 주권을 유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는 아펜첼의 란츠게마인데 민주주의를 따른 것으로, 모든 수도원 판사와 총독이 추방되고 종교의 자유가 선포되면서 가톨릭 칸톤들의 이익을 위협했다.

취리히와 베른 포병대가 1712년 5월 21일 빌을 포격하는 모습


사무엘 프리싱 2세, 제2차 빌머겐 전투에서 베른 군대의 장군


가톨릭 보호 칸톤인 슈비츠가 수도원장의 편으로 돌아서면서 분쟁은 종교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스위스 연방은 장크트갈렌 수도원장과 개혁파 토겐부르크인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고, 신앙에 따라 입장을 정했다. 제국과 프랑스 사절들의 중재 시도는 모두 실패했고, 개혁파 칸톤들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끝나기 전에 분쟁을 해결하고자 했다.

3. 1. 무력 충돌의 시작

토겐부르크인들은 취리히의 지원을 받아 무장하고 뤼티스부르크, 이베르크, 슈바르첸바흐에 있는 수도원 요새들을 점령했다. 종교적 갈등은 토겐부르크인들 사이에서도 온건파 "린데(Lime Tree)"와 급진파 "하르테(Pine)"로 나뉘어 분열을 일으켰다. 1711년, 여러 가톨릭 자치 단체들이 수도원장에게 복종하자, "소나무"는 베른과 취리히의 묵인 하에 마그데나우와 노이 장의 자치 단체, 수도원 재산, 수도원을 군사적으로 점령했다.

가톨릭 주들은 수도원장 편에 서면서, 종교적, 정치적 갈등은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1712년 4월 13일, 베른과 취리히는 성 갈 수도원장에 대한 선언문을 발표하여 토겐부르크인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반면 루체른, 슈비츠, 우리, 추크, 운터발덴의 5개 가톨릭 내륙 칸톤은 반대 선언문을 발표하고 전쟁을 위해 무장했다.[6]

3. 2. 연방의 분열

스위스 연방은 종교적 분열에 따라 성 갈 수도원장과 토겐부르크 양측으로 나뉘었다. 베른, 취리히, 제네바, 뇌샤텔 등 개신교 주들은 토겐부르크를 지지한 반면, 루체른, 슈비츠, 우리 등 가톨릭 5개 주는 수도원장을 지지했다.[6] 바젤 주교령 소속 비엘, 무티에, 라 노브빌은 베른과 취리히를 지지하였고, 5개 칸톤은 발레와 티치노의 ''포크트''(총독 관할 구역), ''프라이에 엠터''(자유 관할 구역)에서 지원을 받았다. 프리부르와 졸로투른을 비롯한 나머지 칸톤들은 중립을 지켰고, 글라루스는 내부 분열을 겪었다. 세 동맹은 1707년부터 취리히와 동맹 관계에 있어 개신교 측을 지지하며 동원되었지만,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4. 전쟁의 경과

토겐부르크 전쟁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단계는 베른과 취리히가 주도한 공격이었다. 이들은 5월 22일 을 점령하고, 아라우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의 주도권을 잡았다.

두 번째 단계는 스비츠, 추크, 운터발덴의 ''란츠게마인데''가 교황 스위스 대사관의 자코모 카라치올로의 영향으로 아라우 조약을 거부하면서 시작되었다. 루체른과 우리에서도 주민들은 정부에 개신교 주에 대항하여 다시 무기를 들 것을 요구했다. 7월 20일, 다섯 주 병력은 진스에서 베른 군대를 공격했으나 무리 (진스 전투)에서 베른의 주력 부대에 합류하기 위해 후퇴했다. 7월 22일, 스비츠와 추크 병력은 리히터스빌과 휘텐에 있는 취리히의 요새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4. 1. 베른과 취리히의 공세

베른과 취리히는 오랫동안 전쟁을 준비해 왔기 때문에 먼저 공격을 감행했다. 베른은 4월 26일, 첫 번째 병력이 아어 강을 슈틸리에서 건너 투르가우 점령과 수도원 영지 공격을 위해 취리히를 지원하면서 첫 번째 전쟁 국면을 시작했다.[7] 5월 중순, 약 3000명의 취리히인, 2000명의 베른인, 2000명의 토겐부르크인, 1800명의 개신교 투르가우인이 공작령으로 진군했다. 그들은 5월 22일 짧은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된 수도원 도시 에 도달했다.[7] 동맹군은 이후 장크트갈렌으로 진격하여 장크트갈렌 수도원과 포크타이 라인탈을 점령했다. 수도원장은 수도원이 1699년에 획득한 보덴 호 북쪽의 영지인 노이라벤부르크로 도망쳤다. 다섯 개의 가톨릭 주는 라퍼스빌을 점령했지만, 처음에는 수도원장을 지원하지 않았다. 당시의 전쟁법에 따라, 수도원과 그 재산은 군사 통치 하에 놓였고, 그 동산과 재물은 베른과 취리히로 보내졌다.

4. 2. 가톨릭 주의 반격과 빌머겐 전투

베른과 취리히는 오랜 전쟁 준비를 바탕으로 먼저 공격을 시작했다. 베른은 4월 26일, 아어 강을 건너 슈틸리에서 투르가우 점령과 수도원 영지 공격을 위해 취리히를 지원하며 전쟁의 첫 국면을 열었다. 5월 중순에는 취리히, 베른, 토겐부르크, 개신교 투르가우 연합군이 을 포위 함락시키고, 장크트갈렌으로 진격하여 장크트갈렌 수도원과 포크타이 라인탈을 점령했다.[7] 당시 전쟁법에 따라 수도원과 재산은 군사 통치 하에 놓였고, 재물은 베른과 취리히로 보내졌다.

빌머르겐 2차 전투 계획


가톨릭 5개 주는 바덴, 멜린겐, 브렘가르텐을 점령하여 취리히와 베른 사이를 분열시키려 했다. 그러나 베른은 장 드 사코네 장군의 지휘 아래 반격하여 5월 22일 멜린겐 근처 바덴 백국에서 전투를 벌여 승리하고 도시를 점령했다. 5월 26일에는 피쉬바흐 전투에서 승리하고 브렘가르텐을 점령했다. 취리히 병력과 합류한 베른은 바덴을 공격하여 6월 1일에 항복을 받아냈다. 빌머르겐 1차 전쟁 이후 건설된 가톨릭 도시의 요새인 슈타인은 파괴되었다. 베른과 취리히는 5개 주가 아르가우에서 그들을 분열시키는 것을 막는 데 성공했다. 6월 3일,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고, 1712년 7월 18일 아라우에서 조약이 체결되어 5개 주는 바덴 백국의 공동 영지와 자유 행정구역에 대한 지분을 잃게 되었다.

그러나 전쟁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스비츠, 추크, 운터발덴의 ''란츠게마인데''는 교황 스위스 대사관의 자코모 카라치올로의 영향으로 아라우 조약을 거부했다. 루체른과 우리에서도 주민들은 정부에 개신교 주에 대항하여 다시 무기를 들 것을 요구했다. 7월 20일, 5개 주 병력은 진스에서 베른 군대를 공격했으나 무리에서 베른의 주력 부대에 합류하기 위해 후퇴했다. 7월 22일, 스비츠와 추크 병력은 리히터스빌과 휘텐에 있는 취리히의 요새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7월 25일, 빌머르겐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다. 사무엘 프리싱, 니클라우스 폰 디에스바흐, 장 드 사코네가 지휘하는 8,000명의 베른 병사들은 프란츠 콘라트 폰 존넨베르크와 루드비히 크리스티안 피퍼가 지휘하는 중앙 스위스 출신 12,000명의 병사들과 맞붙었다. 이 전투는 젠겐과 렌츠부르크에서 온 신규 병력과 베른 포병의 개입으로 베른의 승리로 끝났다. 전투 중 2,000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사망했다.[8] 빌머르겐 2차 전투의 승리로 베른과 취리히는 루체른, 추크, 운터발덴, 라퍼스빌을 거쳐 린텐 평원까지 진격하여 5개 주의 저항을 무너뜨렸다.[9]

4. 3. 제2차 빌머겐 전투



1712년 7월 25일, 빌머르겐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다. 사무엘 프리싱, 니클라우스 폰 디에스바흐, 장 드 사코네가 이끄는 8,000명의 베른 군대는 프란츠 콘라트 폰 존넨베르크와 루드비히 크리스티안 피퍼가 이끄는 12,000명의 중앙 스위스 군대와 맞붙었다. 오랫동안 지속된 이 전투는 젠겐과 렌츠부르크에서 온 새로운 병력과 뛰어난 베른 포병의 개입으로 마침내 베른 군의 승리로 끝났다. 이 전투에서 2,000명의 가톨릭 신자들이 사망했다.[8]

이 승리로 베른과 취리히는 전쟁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9]

5. 아라우 평화 조약 (제4차 란트프리덴)

1712년 8월 11일, 아라우 평화 조약(Paix d'Aarau프랑스어)이 체결되면서 토겐부르크 전쟁은 종결되었다. 이 조약은 연방 역사상 네 번째 란트프리덴이었다. 이 조약으로 베른취리히는 공동 지배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고, 1531년 이후 공동 지배 지역에서 가톨릭 주들의 정치적 패권은 종식되었다.[10] 이는 구 연방 내에서 타협적인 종교 평화의 회복을 의미했다.

평화를 위한 영토 조건은 첫 번째 평화 조약보다 다소 강화되었다. 취리히와 베른은 글라루스와 함께 바덴 백국과 낮은 프라이에 엠터에 대한 소유권을 유지했으며, 라퍼스빌 영지를 획득하고, 프라이엔바흐에 있는 슈비처 후르덴을 공동 지배 지역으로 만들었다. 베른은 투르가우, 포그타이 라인탈, 사르간스 백국 및 상부 프라이에 엠터 등 베른이 지분을 가지고 있지 않던 모든 공동 지배 지역에서 공동 통치권을 갖게 되었다.

법적으로 네 번째 란트프리덴은 1531년의 제2차 카펠 란트프리덴을 무효화했으며, 1656년의 제3차 란트프리덴에서 확인되었다. 공동 지배 지역과 토겐부르크에서 신민들은 가톨릭과 개신교 종교를 모두 행사할 권리를 유지했다. 개신교는 법 앞에서 가톨릭과 동등한 대우를 받게 되었으며, 종교 문제는 취리히, 베른, 루체른우리 출신의 대표들로 구성된 "란트프리히리헤 코미션"이 감독하게 되었다.[11]

5. 1. 영토 변화

1712년 8월 11일의 아라우 평화 조약(Paix d'Aarau프랑스어)으로 취리히베른은 바덴 백국과 프라이에 엠터 일부에 대한 소유권을 유지했으며, 이는 오버룬코펜과 파르방겐 사이의 선으로 제한되었다. 이를 통해 취리히와 베른의 아르가우 지역 간의 군사적 연결이 확보되고 가톨릭 주들의 북쪽 접근이 차단되었다.[10] 라퍼스빌 영지는 취리히, 베른 및 글라루스가 획득했다. 프라이엔바흐에 있는 슈비처 후르덴은 취리히와 베른의 공동 지배 지역이 되었다.

베른은 투르가우, 포그타이 라인탈, 사르간스 백국, 상부 프라이에 엠터 등 이전에는 지분이 없던 모든 공동 지배 지역에서 공동 통치권을 얻었다.[10]

5. 2. 종교적 평등

아라우 평화 조약(Paix d'Aarau|아라우 평화 조약프랑스어)은 공동 지배 지역과 토겐부르크에서 신민들이 가톨릭과 개신교 종교를 모두 행사할 권리를 보장했다.[10] 이는 스위스 연방 내에서 종교적 평등을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타크자충과 포그타이의 통치에서 개신교는 법 앞에서 공식적으로 동등하게 취급되었으며, 두 종교가 모두 관련된 모든 갈등은 이제 동등성을 갖게 되었다.[11] 란트포그타이 투르가우, 바덴, 사르간스 및 라인탈에서 개혁 공동체는 취리히 주권 하에 종교적 행사의 보장을 유지했으며, 가톨릭의 권리도 보장되었다. 단순히 관용하는 대신, 개신교는 전통적으로 우대받던 가톨릭 종교와 법 앞에서 동등한 대우를 받았다. 취리히, 베른, 루체른우리 출신의 대표들로 구성된 "란트프리히리헤 코미션"이 종교 문제를 감독하기 시작했다.[11]

6. 전쟁의 결과 및 영향

토겐부르크 전쟁은 스위스 연방 내 종교적, 정치적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참조

[1] 간행물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2002
[2] 논문 The Swiss civil war of 1712 in contemporary sources http://www.bl.uk/ebl[...] 1993
[3] 서적 Ancien Régime 1977
[4] 문서 Second War of Villmergen
[5] 서적 Ancien Régime 1977
[6] 문서
[7] 간행물 Blätter aus der Schweizer Militärgeschichte Huber 1995
[8]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McFarland & Company, Inc. 1992
[9] 문서 Villmergerkriege Administration des historisch-biographischen Lexikons der Schweiz 1934
[10] 문서 Aarauer Friede Administration des historisch-biographischen Lexikons der Schweiz 1921
[11] 서적 Ancien Régime 1977
[12] 간행물 Encarta-encyclopedie Winkler Prins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2002
[13] 논문 The Swiss civil war of 1712 in contemporary sources http://www.bl.uk/ebl[...] 1993
[14] 서적 Ancien Régime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