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라이언 (187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라이언 (1870년)은 1888년 청나라 상하이를 방문하며 동아시아를 처음 방문했고, '리차오난'이라는 한자 이름을 사용했다. 1889년 하와이 호놀룰루를 거쳐 1890년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 정착했다. 1902년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에 입문하여 1905년부터 1906년까지 앨프리드 디킨 총리의 비서관을 지냈으며, 1938년 아일랜드를 방문하여 더글러스 하이드 대통령에게 국빈급 환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에 거주한 아일랜드인 -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
176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웰즐리 웰링턴 공작은 군인과 정치가로서, 마이소르 전쟁과 마라타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나폴레옹 전쟁과 워털루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영국 총리까지 역임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교관 - 케빈 러드
케빈 러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노동당 출신 정치인으로, 총리를 두 차례 역임했으며, 중국어에 능통하고 외교관 경력을 가진 인물로, 교토 의정서 비준, 원주민 사과 등의 정책을 추진했고 현재는 주미 호주 대사로 활동하며 저술 활동도 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교관 - 모리스 패리시
모리스 패리시는 2차 세계 대전에 참전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대한제국 독립 운동을 지원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고, 캘리포니아 주와 호주에서 정치 활동을 펼치면서 다양한 가명과 한국어 이름을 사용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아일랜드인 - 리엄 밀러
리엄 밀러는 셀틱 FC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등을 거치며 아일랜드 국가대표로도 활약한 축구 선수였으나, 췌장암으로 37세에 사망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아일랜드인 - 데이미언 더프
데이미언 더프는 아일랜드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으로, 선수 시절 윙어로 블랙번 로버스, 첼시, 풀럼 등에서 활약했으며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100경기 출전 및 2002년 FIFA 월드컵 16강 진출에 기여했고 은퇴 후 지도자로 변신하여 현재 셸본 FC의 감독을 맡고 있다.
토머스 라이언 (1870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토머스 라이언 |
원래 이름 | 李樵楠 |
로마자 표기 | Thomas Ryan |
출생일 | 1870년 1월 9일 |
출생지 | 영국 식민지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 |
사망일 | 1943년 11월 22일 |
사망지 | 오스트레일리아 뉴 사우스 웨일스 주 시드니 |
종교 | 아일랜드 성공회 → 로마 가톨릭 (세례명: 사도 토마스) |
학력 | 벨파스트 세인트 맬러키스 컬리지 중퇴 |
![]() | |
정치 경력 | |
임기 | 1905년 11월 26일 ~ 1906년 2월 26일 |
정당 | 무소속 |
경력 | 호주 외교관 출신 의회 의원 (1909년) 레이버 당 탈당 (1922년 1월 31일) |
총리 | 알프레드 디킨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
직책 |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실 예하 국제정치외교개혁특보비서관 |
2. 생애
토머스 라이언은 영국 벨파스트에서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1888년 청나라를 방문하여 장쑤성 상하이를 시작으로 허베이성 톈진, 푸젠성 푸저우, 광둥성 광저우, 홍콩, 마카오를 방문하며 동양에 대한 견문을 넓혔다. 이 시기에는 리차오난(李樵楠, 이초남)이라는 한자 이름을 사용했다.[1]
1889년 하와이 군주국 호놀룰루로 이주했으며, 1890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다. 1902년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에 입문하여 1905년부터 1906년까지 앨프리드 디킨 총리의 비서관을 지냈다.[1]
1938년 출생 국가인 아일랜드를 50여년 만에 방문하여 더글러스 하이드 아일랜드 대통령에게 국빈급 환영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와 동아시아 방문 (1888년 이전 ~ 1890년)
영국 벨파스트에서 고등학교를 중퇴한 후 1888년 청나라를 방문했다. 장쑤성 상하이를 시작으로 허베이성 톈진, 푸젠성 푸저우, 광둥성 광저우, 홍콩, 마카오를 방문하며 동양에 대한 견문을 넓혔다. 이 시기에는 리차오난(李樵楠, 이초남)이라는 한자 이름을 사용하였다.[1]2. 1. 1. 벨파스트 고등학교 중퇴와 청나라 방문
영국 벨파스트에서 고등학교를 중퇴한 후 1888년 청나라 장쑤성 상하이를 처음 방문하여 첫 동양 국가 도시 방문을 하였으며, 이어 청나라 허베이성 톈진, 푸젠성 푸저우, 광둥성 광저우를 거쳐 홍콩과 마카오를 방문하여 동양 국가 관련 견문을 넓혔다. 이 시절 '''리차오난'''(李樵楠, 이초남)이라는 한자어 이름을 사용하였다.[1]2. 1. 2. 한자 이름 '리차오난(李樵楠)' 사용
홍콩과 마카오를 방문하여 동양 국가 관련 견문을 넓혔고 이 시절에는 '''리차오난'''(李樵楠, 이초남)이라는 한자 이름을 사용하였다.[1]2. 2. 하와이와 오스트레일리아 이주 (1889년 ~ 1890년)
1889년 하와이 군주국 호놀룰루로 이주했으며, 1890년 하와이를 떠나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다.2. 3. 오스트레일리아 정치 입문과 활동 (1902년 ~ 1938년 이전)
1890년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 도착하여 1902년 오스트레일리아 정치 분야에 입문하였으며, 1905년부터 1906년까지 디킨 총리(당시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의 비서관 직책을 잠시 지냈다.[1]2. 4. 아일랜드 방문과 그 이후 (1938년 ~ )
1938년 자신의 출생 국가인 아일랜드를 출향 50여년만에 재방문하여 더글러스 하이드 아일랜드 대통령에게 국빈급 환영을 받았다.참조
[1]
웹사이트
2022-12-11
[2]
웹사이트
2022-08-05
[3]
웹사이트
Ryan, Thomas (1870–1943)
2022-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