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와이 왕국은 1795년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건국한 입헌군주국이다. 1778년 제임스 쿡의 하와이 제도 도착 이후 영국 문화를 수용하고, 1810년 하와이 제도 전체를 통일하며 입헌군주제를 확립했다. 1874년 미국인들의 이주를 허용한 후 경제적으로 종속되었고,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폐위 이후 샌포드 돌을 대통령으로 하는 하와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후 미국에 합병되어 1959년 하와이주가 되었으며, 현재 카와나나코아 가문이 왕실의 계승권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와이주 설립 이전의 역사 - 사진 신부
사진 신부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하와이와 미국 본토의 사탕수수 농장 등에서 노동력 보충을 위해 아시아 여성들이 사진으로 결혼 상대를 선택하여 이주한 현상을 의미한다. - 하와이주 설립 이전의 역사 - 하와이 공화국
하와이 공화국은 1894년부터 1898년 미국에 병합될 때까지 존재했던 국가로, 하와이 왕국을 전복시킨 친미 혁명 세력이 수립한 정부이며, 샌퍼드 B. 돌을 대통령으로 선포되었고, 미국 병합을 위한 과도기적 성격을 띠다가 하와이 준주를 거쳐 하와이주가 되었다. - 미국의 옛 나라 - 텍사스 공화국
1836년 텍사스 혁명으로 멕시코에서 독립한 텍사스 공화국은 짧은 존속 기간 동안 원주민과의 갈등, 멕시코의 침략, 정치적 분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미국 합병 후 미-멕시코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며 시민권 기준, 법 체계, 대학 설립 시도 등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미국의 옛 나라 - 버몬트 공화국
버몬트 공화국은 1777년 뉴욕, 뉴햄프셔 식민지 영유권 분쟁 지역에서 독립을 선포한 후 수립된 국가로,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독자적인 국가 시스템을 구축했으나, 미국과의 연합 희망으로 1791년 미국에 합병되었다. - 오세아니아의 옛 나라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 오세아니아의 옛 나라 - 통가 제국
통가 제국은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폴리네시아에서 해군력을 바탕으로 번성하며 투발루, 피지, 사모아 일부 등 광대한 영토에 영향력을 미쳤으나, 왕조 교체와 외부 세력의 방문 이후 쇠퇴한 해양 제국이다.
하와이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하와이 왕국 |
일반 명칭 | 하와이 |
정부 형태 | 절대 군주제 (1795–1840) 반입헌 군주제 (1840–1887) 입헌 군주제 (1887–1893) |
시작 연도 | 1795년 |
종료 연도 | 1893년 |
건국 사건 | 건국 |
건국 날짜 | 5월, |
사건 1 | 하와이 통일 |
날짜 1 | 1810년 3월/4월 |
사건 2 | 입헌 군주제 |
날짜 2 | 1840년 10월 8일 |
사건 3 | 영국에 의한 부분 점령 |
날짜 3 | 1843년 2월 25일 – 7월 31일 |
날짜 4 | 1843년 11월 28일 |
사건 4 | 영국-프랑스 선언 |
사건 5 | 프랑스에 의한 부분 점령 |
날짜 5 | 1849년 8월 22일 – 9월 5일 |
종료 사건 | 왕정 전복 |
종료 날짜 | 1893년 1월 17일 |
종료 이후 사건 |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의 강제 퇴위 |
종료 이후 날짜 | 1895년 1월 24일 |
이전 국가 1 | 고대 하와이 |
이전 국가 2 | 포레 사건 |
이전 국가 깃발 2 |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
다음 국가 1 | 포레 사건 |
다음 국가 깃발 1 |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
다음 국가 2 | 하와이 임시 정부 |
다음 국가 깃발 2 | Flag of Hawaii (1896).svg |
이전 국가 3 | 호놀룰루 프랑스 침공 |
이전 국가 깃발 3 | Flag of France.svg |
다음 국가 3 | 호놀룰루 프랑스 침공 |
다음 국가 깃발 3 | Flag of France.svg |
국장 설명 | 하와이 왕국의 국장 |
수도 | 와이키키 (1795–1796) 카일루아코나 (1796–1820) 호놀룰루 (1820-1823) 라하이나 (1823–1845) 호놀룰루 (1845–1893) |
국가 모토 | 대지의 생명은 정의로 영속된다 |
국가 | "" (1866년까지) "" (1866–1876) "" (1876–1898) |
공용어 | 하와이어 영어 |
종교 | 하와이 교회 |
통화 | 하와이 달러 |
지도자 직책 | 군주 |
지도자 1 | 카메하메하 1세 |
지도자 1 재임 기간 | 1795–1819 (초대) |
지도자 2 | 릴리우오칼라니 |
지도자 2 재임 기간 | 1891–1893 (마지막) |
부지도자 직책 | 쿠히나 누이 |
부지도자 1 | 카아후마누 |
부지도자 1 재임 기간 | 1819–1832 (초대) |
부지도자 2 | 케쿠아나오아 |
부지도자 2 재임 기간 | 1863–1864 (마지막) |
입법부 | 입법부 |
상원 | 귀족원 |
하원 | 대표원 |
인구 추정 (1780년) | 400,000–800,000 |
인구 추정 (1800년) | 250,000 |
인구 추정 (1832년) | 130,313 |
인구 추정 (1890년) | 89,990 |
현재 국가 | 미국 하와이 |
하와이 주권 운동 | |
주요 쟁점 | 하와이 왕국 전복 전복 반대 하와이의 법적 지위 미국 연방 정부의 하와이 원주민 인정 |
정부 | 추장령 왕국 임시 정부 망명 정부 공화국 준주 주 |
역사적 분쟁 | 하와이 반란 (1887–1895) 1889년 윌콕스 반란 카우아이 나병 환자 전쟁 검은 주간 (하와이) 1895년 윌콕스 반란 |
현대 사건 | 하와이 르네상스 2008년 이올라니 궁전 점거 전복 125주년 |
정당 및 단체 | 알로하 아이나당 하와이 자치당 하와이 원주민 사무국 |
문서 및 사상 | 주권 회복일 블라운트 보고서 모건 보고서 총검 헌법 제안된 1893년 헌법 쿠에 청원 뉴랜즈 결의안 하와이 기본법 사과 결의안 아카카 법안 |
책 | 하와이 여왕의 하와이 이야기 카우아 쿨로코 1895 |
2. 역사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에 도착했다. 당시 하와이 제도에는 폴리네시아인들과 타히티에서 온 사람들이 부족을 이루어 살고 있었다.[13][14] 제임스 쿡은 원주민과의 분쟁으로 사망했지만,[16] 카메하메하 1세는 제임스 쿡 일행에게서 영국식 문화와 기술을 적극 수용했고, 교류를 통해 얻은 무기로 통일 전쟁을 시작했다.
1810년, 카메하메하 1세는 하와이 제도 전체를 통일하고 하와이 제도 최초의 통일 국가를 선포했으며, 영국의 정치 체제를 크게 모방한 입헌군주제를 도입했다. 1874년 6대 국왕 칼라카우아가 미국인들의 이주를 허용하면서 하와이는 점차 미국에 경제적으로 예속되기 시작했다.
1891년 칼라카우아가 사망하자 그의 여동생 릴리우오칼라니가 왕위에 올랐다. 그녀는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국유화 조치를 실시했으나, 이는 친미주의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폐위되고, 샌포드 돌을 대통령으로 하는 하와이 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이후, 하와이 공화국은 샌포드 돌의 미합중국 가입 선언으로 멸망했고, 1898년 8월 12일 미국의 준주로 편입되었다.
1959년 8월 21일 하와이는 미국 50번째 주로 승격되었다.[55] 1993년 11월, 미국 의회는 하와이 병합 과정이 불법이었다고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양원 합동 결의를 했다.[55]
2. 1. 왕국의 기원
하와이는 6세기경 폴리네시아인들이 처음 정착한 곳으로, 각 섬은 독립적인 족장들이 다스리는 사회였다.[13][14] 고대 하와이 사회는 여러 계급으로 나뉘었으며, 지배자들은 '알리이' 계급 출신이었다. 각 섬은 별도의 '알리이 누이'가 다스렸는데,[14] 이들은 최초의 폴리네시아인 파파의 후손으로 여겨졌다.[15]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에 도착했다. 비록 제임스 쿡은 원주민과의 분쟁으로 사망했지만,[16] 이후 하와이 섬의 족장이었던 카메하메하 1세는 제임스 쿡의 일행으로부터 서구의 문물과 기술을 적극 수용하였다. 그는 서구식 무기와 존 영, 아이작 데이비스와 같은 고문들의 도움을 받아[16] 15년 동안의 군사 작전을 통해 섬들을 통일하고 1795년 하와이 왕국을 세웠다.[16] 1810년에는 카우아이섬의 족장이 카메하메하 1세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하와이 제도가 통일되었다.
하와이 왕국의 성립은 고대 하와이 사회를 종식시키고, 유럽식 입헌 군주제로 변모시켰다.[17][18] 이는 유럽인과의 접촉이 증가함에 따라 폴리네시아 사회에서 나타난 초기 군주제 사례 중 하나였다.[17][18] 타히티, 통가, 피지 등에서도 유사한 정치적 발전이 일어났다.
2. 2. 카메하메하 왕조 (1795년-1874년)
카메하메하 1세는 1791년 하와이섬의 대족장으로, 사로잡은 영국인들로부터 화기 사용법을 배우고 무기를 갖춘 후 다른 섬들을 정복하기 시작했다.[52] 1795년 하와이 제도를 사실상 통일하고 하와이 왕국을 건국했으며, 1810년에는 하와이 제도 전체를 완전히 지배하게 되었다.[52] 그는 제임스 쿡의 일행으로부터 서구 문물을 적극 수용하였고, 영국의 정치 체제를 모방한 입헌군주제를 도입했다.카메하메하 2세 (재위 1819년–1824년) 시기에는 기독교 선교사와 포경선이 도착하면서 왕국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52] 1820년부터 미국 선교 평의회(American Board) 파견단이 총 15회 하와이를 방문하여 지도적인 지위를 얻었다.[52]
카메하메하 3세 (재위 1825년–1854년)는 1840년 헌법을 제정하고, 1848년 대 마헬레를 통해 봉건적인 토지 소유 제도를 근대적인 사유 재산 제도로 전환했다. 많은 백인들이 헌법 제정과 입법에 자문역으로 참여했다.[52]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수입된 질병으로 인해 하와이 원주민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19]
카메하메하 4세 (재위 1854년–1863년)는 왕국에 앵글리칸 종교와 왕실 관습을 도입했다.
카메하메하 5세 (재위 1863년–1872년)는 하와이 민족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사망으로 카메하메하 가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 카메하메하 5세는 왕녀를 후계자로 지명하려 했으나, 그녀의 거절과 후계자 지명 전 사망으로 인해 왕조가 단절되었다.
2. 2. 1. 1839년 프랑스와의 관계
Artémise프랑스어 함장 라플라스는 프랑스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행위에 대한 보복을 요구하며 1839년 하와이 왕국을 방문했다.[44] 전쟁 위협 속에 카메하메하 3세는 관용 칙령에 서명하고 20000USD를 배상금으로 지불했다. 왕국은 가톨릭 예배의 자유와 가톨릭 신자들의 권리 보장을 선포했다.[44] 호놀룰루 로마 가톨릭 교구가 복귀했고, 카메하메하 3세는 교회 부지를 기증했다.2. 2. 2. 1840년대 외세의 침략
1843년 2월 13일, 영국 왕립 해군 군함 HMS 캐리스포트(1836년 진수)의 조지 폴릿 경은 호놀룰루 항에 들어와 카메하메하 3세 국왕에게 섬들을 영국 왕관에 넘길 것을 요구했다.[45] 프리깃함의 대포 아래에서 카메하메하 3세는 2월 25일 폴릿에게 항복했다.[46]
왕국의 재무장관이 된 선교사 게릿 피터 주드는 폴릿의 행동에 항의하기 위해 J.F.B. 마셜을 미국, 프랑스, 영국으로 몰래 보냈다.[47] 래드 & 코의 상업 대리인이었던 마셜은 테펙에 있는 영국 부영사에게 왕국의 항의를 전달했다. 폴릿의 상관인 리처드 덜턴 토마스 제독은 1843년 7월 26일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HMS 더블린(1812년 진수)을 타고 호놀룰루 항에 도착했다. 토마스 제독은 카메하메하 3세에게 폴릿의 행동에 대해 사과하고 1843년 7월 31일 하와이 주권을 회복시켰다. 복위 연설에서 카메하메하 3세는 미래의 하와이 주의 모토인 "''Ua Mau ke Ea o ka ʻĀina i ka Pono''"(땅의 생명은 정의 속에서 영속한다)라고 선언했다. 이 날은 'Lā Hoʻihoʻi Ea'(주권 회복 기념일)로 기념되었다.
1849년 8월, 프랑스 해군 제독 루이 트롬랭(Louis Tromelin)이 ''라 푸르수이반트''(La Poursuivante)호와 ''가상디''(Gassendi)호를 이끌고 호놀룰루 항에 도착했다. 트롬랭은 8월 22일, 카메하메하 3세 국왕에게 10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했는데, 주요 내용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완전한 종교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8월 25일까지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자, 두 번째 경고 이후 프랑스군은 소규모 병력을 압도하고 호놀룰루 요새를 점령하여 해안포를 무력화시키고, 발견된 다른 무기들(주로 소총과 탄약)을 파괴했다. 그들은 정부 건물과 호놀룰루의 일반 재산을 약탈하여 100000USD의 피해를 입혔다. 약탈 후 침공 부대는 요새로 철수했다. 트롬랭은 결국 부하들을 소환하여 9월 5일 하와이를 떠났다.
2. 3. 선거 군주제 (1873년-1874년)
카메하메하 5세가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사망하자, 하와이 의회는 선거를 통해 루날릴로를 국왕으로 선출했다.[20] 1873년 군주 선거에서 의례적인 국민 투표와 만장일치의 의회 투표를 통해 루날릴로는 하와이의 두 번째 선출 군주가 되었다. 그러나 루날릴로는 재위 1년여 만인 39세의 나이에 폐결핵으로 요절하면서, 하와이 왕국은 다시 한번 국왕 선출의 혼란을 겪게 되었다. 이후 데이비드 칼라카우아가 에마 왕비를 물리치고 경합 끝에 선거에서 승리하여 제2왕조를 시작했다.2. 4. 칼라카우아 왕조 (1874년-1893년)
1874년 의회 선거를 통해 칼라카우아가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칼라카우아는 하와이 원주민들의 민족주의를 고취하고 서구 열강에 대항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올라니 궁전을 건설하고 일본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자 했다.카메하메하 4세의 미망인 에마 여왕과 다비드 칼라카우아가 후보로 나선 국왕 선거는 비방과 암시가 난무하는 치열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칼라카우아는 루날릴로에 이어 두 번째로 선출된 국왕이 되었지만, 국민 투표를 거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에마 여왕 지지자들의 폭동이 일어났고, 미국과 영국군이 투입되어 진압되기도 했다.
칼라카우아는 자신의 여동생 릴리우오칼라니를 왕위 계승자로 선포하고, 유언장에 릴리우오칼라니, 카이울라니 공주, 카피올라니 왕비와 그녀의 여동생 포오마이켈라니 공주, 다비드 라아메아 카와나나코아 왕자, 조나 쿠히오 칼라니아나올레 왕자 순으로 왕위를 계승하도록 명시했다.[21] 그러나 이는 적절한 선포가 아니었고, 엘리자베스 케카아니아우와 같이 계승 자격이 있는 족장들이 있어 항의가 제기되었다.[22][23]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왕권을 행사해 카이울라니 공주를 계승자로 선포했다.[24]
칼라카우아의 수상 월터 M. 기브슨은 왕의 지출을 방관하고 폴리네시아 연합 수립을 시도하며 1887년 전함 카이밀로아를 사모아에 파견해 독일 해군의 의심을 사기도 했다.[26]

2. 4. 1. 1887년 헌법 (총검 헌법)
1887년 하와이 왕국 헌법은 칼라카우아 국왕 치하 내무부 장관 로린 A. 서스턴이 작성하였다. 이 헌법은 무장 민병대를 포함한 3,000명의 주민들이 국왕에게 서명하도록 요구하거나 폐위시키겠다고 요구한 회의 후 국왕에 의해 선포되었다. 이 문서는 영국과 같은 입헌 군주제를 만들어 국왕의 대부분의 권한을 박탈하고 입법부의 권한을 강화하며 내각 정부를 수립하였다. 칼라카우아의 협조를 얻기 위해 사용된 무력의 위협으로 인해 "총검 헌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887년 헌법은 시민들이 (이전에는 국왕이 임명했던) 귀족원 의원을 선출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다. 또한 시민이 투표할 자격을 얻기 위해 소유해야 하는 재산 가치를 1864년 헌법보다 높였다. 그리고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아시아인들의 투표권을 박탈했다 (이전에 귀화했던 일부 일본인과 중국인들은 투표권을 잃었다). 이는 선거권을 부유한 하와이 원주민과 유럽인들에게만 제한했다. 총검 헌법은 군주가 내각 장관을 임명할 수 있도록 계속 허용했지만, 입법부의 승인 없이 그들을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은 박탈했다.
2. 4. 2. 일본과의 관계
1867년 일본과 하와이 왕국은 일하 친선 협정을 체결하여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53] 1868년에는 일본에서 민간 제1호 이민단 153명이 하와이로 건너갔는데, 이들은 메이지 원년(明治元年)에 해당하기 때문에 "원년자(元年者)"라고 불린다.[53] 하와이 왕국은 이후에도 일본인 이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에, 21세기 현재에도 하와이에는 일계인이 많다.[53] 당시 도쿄에는 하와이 왕국 공사가 주재하고 있었으며, 군마현의 이카호 온천에는 그 별장도 현재까지 남아 있다.[53]1881년, 세계 일주 여행의 첫 방문국으로 일본을 방문한 칼라카우아 국왕은 메이지 천황을 알현했을 때, 하와이 왕국의 안녕을 위해 일본과 하와이의 연방화를 제안했다.[53] 칼라카우아가 제안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일본·하와이 연방화[53]
- 일본·하와이 간 핫라인 설치
- 일본 주도의 아시아 공동체 창설
- 카이울라니 공주와 산카이노미야 사다마로 왕의 혼담[53]
- 같은 유색 인종인 일본인의 하와이 이민 (당시 하와이는 서구에서 유입된 전염병으로 원주민 인구가 격감하고 있었다)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대립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제안들을 “'''친구 무츠히토'''”의 어필이 들어간 친서를 가지고 정중하게 거절했다.[53] 그러나 이민 촉진에 관해서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여, 1885년에는 일하 이민 조약이 체결되고, 관제 이민단이 조직되기 시작했다.[53] 관제 이민은 1885년부터 1894년까지 계속되었고, 총 2만 9339명이 하와이로 건너갔다.[53]
1893년 쿠데타 당시, 메이지 정부는 “체류 邦人 보호”를 명목으로 순양함 “나니와”(함장: 도고 헤이하치로 대좌), 범선 콜벳 “콩고”를 호놀룰루 항에 파견하여, 미 함선 보스턴의 바로 옆에 닻을 내려 신정부를 견제했다.[53] 이것은 왕국 정부 측의 요청이었다는 설도 있으며, 도고는 신정부를 완전히 무시하고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의 측근과만 접촉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53]
2. 5. 하와이 왕국의 멸망 (1893년)
1874년 칼라카우아가 미국인들의 이주를 허용한 직후부터 하와이는 미국에 경제적으로 예속되기 시작했다. 1891년 칼라카우아가 사망하자 그의 여동생 릴리우오칼라니가 왕위에 올랐다. 그녀는 맥킨리 관세법으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국유화 조치를 실시했으나, 이는 친미주의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893년 1월 14일, 릴리우오칼라니는 1887년 헌법을 부정하고 왕권을 강화하며 백인 주민의 선거권을 제한하는 새 헌법을 공포했다.[52][54] 이에 친미적인 백인 정치인과 상인들은 합병 클럽(Annexation Club)을 조직하여 비밀리에 활동했고, 유럽계 미국인 사탕수수 재배지 소유주, 기독교 선교사의 후손, 유럽계 미국인 자본가를 대표하는 안전 위원회(the Committee of Safety)가 조직되었다.[54]
같은 날 밤, 이들 백인 집단과 미국 하와이 공사 존 스티븐스가 주도한 쿠데타가 발생했다.[54] 미국 해군 군함 보스턴이 주모자 샌포드 돌과 로린 A. 서스턴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호놀룰루에 도착했고, 1월 17일 안전 위원회는 왕정 폐지와 임시 정부 수립을 선언했다.[54]

역사가들은 사업가들이 유리한 무역 조건을 얻기 위해 하와이 전복과 미국 합병을 지지했다고 평가한다.[31][32][33][34]
임시 정부는 미국과의 합병을 협상하기 위해 서스턴을 단장으로 하는 사절단을 워싱턴에 파견했다.[54] 1893년 2월 14일 미국과 하와이 임시 정부 간 체결된 합병 조약(제1차)은 미국 의회의 승인을 얻지 못했고, 3월 4일 새 대통령으로 취임한 그로버 클리블랜드가 합병에 반대하여 무산되었다.[54]
클리블랜드는 하와이 혁명을 문제 삼아 제임스 A. 브라운트 대령을 파견하여 조사했고, 1893년 7월 17일 보고서를 제출받았다.[54] 1893년 10월 18일 클리블랜드 정권은 여왕 복위안을 확인하고, 릴리우오칼라니에게 적대 행위 가담자 전원 사면을 요구했으나, 릴리우오칼라니는 법적 구속을 이유로 거부했다.[54] 샌포드 돌 역시 내정 간섭이라며 복위를 거부했다.[54] 1893년 12월 18일,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연설에서 합병 반대 근거를 밝혔지만, 사면 등의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를 의회 결정에 맡기겠다고 했다.[54]
2. 5. 1. 하와이 공화국 (1894년-1898년)
1894년 7월 4일, 샌포드 돌은 '''하와이 공화국'''의 성립을 선포하고, 그 나라의 초대이자 마지막 대통령이 되었다.1895년 1월, 왕당파의 마지막 대규모 무력 봉기가 일어났지만 진압되었고, 1월 16일에는 릴리우오칼라니가 사저에서 다량의 무기가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폐위되었다.[54] 샌포드 돌은 하와이를 미국에 합병하는 조약을 만들었고, 이 조약이 성립되었을 때 '''하와이 준주'''의 초대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2. 6. 미국의 하와이 준주 병합 (1898년)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폐위되고 샌포드 돌을 대통령으로 하는 하와이 공화국이 잠시 들어섰다. 샌포드 돌은 미합중국 가입을 선언했고, 하와이 공화국은 멸망했다.1893년, 하와이 왕국에 살던 비원주민 6명, 미국인 5명, 영국인 1명, 독일인 1명[30] 등으로 구성된 사업가와 정치인들이 왕정을 무너뜨리고 정부를 장악했다. 역사가들은 사업가들이 더 유리한 무역 조건을 얻기 위해 미국과의 합병을 지지했다고 말한다.[31][32][33][34]
1893년 7월 17일, 샌포드 B. 돌과 그의 위원회는 정부를 장악하고 "미국 합병까지 통치하기 위한" 하와이 임시 정부를 선포했다.[35] 임시 정부는 1894년 하와이 공화국으로 재편되었고, 돌은 두 정부 모두의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로버 클리블랜드 대통령은 이 전복을 불법적인 전쟁 행위로 간주하고 합병을 거부했으며, 처음에는 여왕을 왕위에 복귀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1893년 12월 14일부터 1894년 1월 11일까지 블랙 위크로 알려진 대치 상황이 미국, 일본 제국 및 영국과 임시 정부 사이에서 발생하여 임시 정부에 여왕을 복귀시키도록 압력을 가했다. 1894년 7월 4일, 하와이 공화국은 클리블랜드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가 끝날 때까지 기다려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하와이 공화국은 해산되었고, 하와이 제도는 "뉴랜드 결의안"으로 알려진, 미국에 하와이 제도를 병합하기 위한 공동 결의안에 의해 미국에 합병되었다.[36]
1898년 8월 12일, 당시 미국 대통령 윌리엄 맥킨리는 하와이의 미국령 편입을 선포했고, 같은 날 이올라니 궁전에 게양되었던 하와이 왕국 국기가 내려지고 성조기가 게양되었다. 옛 하와이 주민들은 슬픔의 목소리를 냈다고 한다. 이로써 하와이는 미국의 준주로 편입되었고, 왕국의 약 100년 역사는 완전히 막을 내렸다.
하와이는 준주가 된 후에도 표면적으로는 미국 영토로 취급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미국 영토로 변모해 갔다. 이는 준주 지사가 설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자치령이라는 형태를 취했기 때문이었다.
2. 7. 미국의 하와이주 승격 (1959년)
1959년 8월 21일 하와이는 미국 50번째 주로 승격되었다.[55]2. 8. 하와이 주권 운동
1993년 11월, 미국 의회는 하와이 병합 과정이 불법이었다고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양원 합동 결의를 했다.[55] "하와이 헌법 제정 회의 2008"은 웹사이트(HAWAII - INDEPENDENT & SOVEREIGN[56])를 개설하고 있다.3. 정치
1840년 헌법 제정에 따라 하와이 왕국은 입헌군주제를 채택했다. 이 헌법에 따라 국왕은 국가 수반이자 행정부 수반이었고, 의회는 칙선의원으로 구성된 상원과 민선의원으로 구성된 하원의 양원제였다. 사법부는 국왕이 임명하는 장관을 장으로 하였다. 지방 행정은 국왕이 임명하는 지사가 담당했다.
4. 경제
1778년 제임스 쿡의 하와이 제도 도달 이후, 카메하메하 1세는 영국과의 교류를 통해 얻은 무기와 문화를 바탕으로 1810년 하와이 제도 최초의 통일 왕국을 건설했다. 초기 하와이 왕국의 경제는 샌달우드를 중국에 수출하면서 시작되었고, 섬 전체에 화폐와 무역이 도입되었다.[37]
카메하메하 1세 사후, 카아후마누 여왕은 카푸라 불리는 여러 금기를 없애고, 기독교를 도입하여 사회 변화를 이끌었다. 또한 선교사들은 하와이어 문자를 만들어 19세기 후반 하와이의 문해율을 90% 이상으로 높이는 데 기여했고, 이는 정부 통합과 서면 헌법 제정에 도움이 되었다.
1848년, 카메하메하 3세는 그레이트 마헬레를 통해 토지 제도를 개혁했다.[37] 토지의 98%는 알리이(족장 또는 귀족)에게, 2%는 평민에게 할당되었으며, 토지 매매는 금지되었다.
그러나 외부 세계와의 접촉은 천연두와 같은 질병을 확산시켜 하와이 원주민 인구를 급감시켰다. 1778년 약 128,000명[38]이었던 인구는 1853년 71,000명, 1920년에는 24,000명으로 감소했다.[39]
19세기 중반, 미국 선교사와 그들의 자녀들은 강력한 엘리트 계층이 되어 사탕수수 설탕 산업을 장려했다.[40] 1850년 이후 미국인들은 농장을 설립했고,[41] 원주민 노동력 부족으로 중국, 일본, 필리핀, 포르투갈 등지에서 계약 노동자들이 유입되었다.[42] 1850년에서 1900년 사이에 약 20만 명의 계약 노동자들이 하와이에서 일했으며, 1908년까지 약 18만 명의 일본인 노동자가 도착했다.[42]
5. 사회와 문화
하와이 왕국은 폴리네시아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사회 문화를 형성했다.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유럽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하와이 제도에 도달했을 당시, 하와이에는 폴리네시아인들과 타히티에서 온 사람들이 부족을 이루어 살고 있었다.[1] 이후 카메하메하 1세는 제임스 쿡 일행으로부터 영국식 문화와 기술을 적극 수용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무기로 통일 전쟁을 시작했다.[1]
6. 현재의 왕실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재위 시절, 왕비 카피올라니의 여동생 키노이키의 배우자 가문인 카와나나코아 가문에 카라카우아 가문 다음으로 왕위 계승권이 부여되었다. 카이우라니 공주의 사망으로 카라카우아 가문은 1899년에 단절되었다. 왕국 시대에 정해진 왕위 계승 순서에 따라 키노이키의 장남 카하레포우리가 왕세자를 계승하였으나, 1908년에 사망하였다. 이후 카하레포우리의 장남 '''카라카우아 2세'''가 1917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서거 후 왕위를 계승하였다. (명목상의) 신 국왕 카라카우아 2세는 어린 군주였기 때문에, 그의 삼촌인 조나 쿠히오 카라니아나올레가 섭정 겸 가문 대행을 맡았다. 1953년 카라카우아 2세 사망 후, 그의 누이 카피오라니가 가문의 수장을 계승하였다. 카피오라니 이후에는 케리이아오누이가 가문의 수장이 되었으며, 케리이아오누이의 적장자가 현 당주인 쿠히오이다. 거성(居城)이었던 이올라니 궁전은 카피오라니 여왕의 조카 Abigail Kinoiki Kekaulike Kawānanakoa|아비게일 공주영어를 중심으로 발족한 자원봉사 단체 '''이오라니 궁전 친구의 모임'''이 관리 및 유지를 하고 있다.
구 하와이 왕실은 오늘날에도 하와이 주민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2020년 현재, 가장은 카피올라니 공주의 직계 손자이자 전 하와이주 하원의원인 퀸틴 카와나나코아이다.
대수 | 이름 | 재위 기간 |
---|---|---|
초대(제9대) | David Kalākaua Kawānanakoa|카라카우아 2세영어 | 1917년 - 1953년 |
제2대(제10대) | Abigail Kapiolani Kawānanakoa|카피오라니 여왕영어 | 1953년 - 1961년 |
제3대(제11대) | Edward A. Kawānanakoa|케리이아오누이영어 | 1961년 - 1997년 |
제4대(제12대) | Quentin Kawānanakoa|쿠히오영어 | 1997년 - |
참조
[1]
서적
The Hawaiian Kingdom 1778–1854, Foundation and Transformation
http://www.ulukau.o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5-08-01
[2]
서적
Waikiki, 100 B.C. to 1900 A.D.: An Untold 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서적
1,000 Places to See in the USA and Canada Before You Die
https://books.google[...]
Workman Pub.
[4]
서적
Hawaii: The Big Island
https://books.google[...]
Hunter Publishing, Inc
2011-01-04
[5]
서적
FAP-30 (Honoapiilani Highway) Realignment, Puamana to Honokowai, Lahaina District, Maui County: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Americas: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7]
서적
Legacy of the landscape: an illustrated guide to Hawaiian archaeological si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서적
The Uniting States: Alabama to Kentuck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서적
Capital Citie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An Encyclopedia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5-23
[10]
서적
Engineering Magazine
https://books.google[...]
Engineering Magazine Company
[11]
서적
Kaua Kuloko 1895
http://www.ulukau.or[...]
Papapai Mahu Press Publishing Company
[12]
서적
Hawaiian by Birth: Missionary Children, Bicultural Identity, and U.S. Colonialism in the Pacific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3]
서적
K_ Kanaka, Stand Tall: A Search for Hawaiian Valu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3-01-01
[14]
서적
Ancient Hawaiian Civilization: A Series of Lectures Delivered at THE KAMEHAMEHA SCHOOLS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2-12-21
[15]
서적
N_ Pua Aliì O Kauaì: Ruling Chiefs of Kauaì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01-01
[16]
서적
Old Time Hawaiians and Their Works
https://books.google[...]
Gin and Company
[17]
서적
Culture Contact in the Pacific: Essays on Contact, Encounter and Respon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7-04
[18]
서적
A History of the Pacific Isla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07-04
[19]
서적
Kuykendall, The Hawaiian Kingdom, Vol.1
[20]
서적
Kuykendall, THK, Vol. 2
[21]
웹사이트
Daily Alta California 18 March 1891 —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2019-07-30
[22]
뉴스
The Hawaiian gazette. (Honolulu [Oahu, Hawaii]) 1865–1918, March 31, 1891, Image 2
https://chroniclinga[...]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1891-03-31
[23]
웹사이트
Nuhou 3 February 1874 — Papakilo Database
https://www.papakilo[...]
2019-07-30
[24]
뉴스
The Hawaiian gazette. (Honolulu [Oahu, Hawaii]) 1865–1918, March 24, 1891, Image 5
https://chroniclinga[...]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1891-03-24
[25]
웹사이트
Queen Lili'uokalani
https://www.nps.gov/[...]
[26]
웹사이트
Mormon Beginnings in Samoa: Kimo Belio, Samuela Manoa and Walter Murray Gibson
https://scholarsarch[...]
Brigham Young University
2020-05-24
[27]
Webarchive
Hawaii's Story by Hawaii's Queen, Appendix A
http://digital.libra[...]
2007-08-21
[28]
Webarchive
Morgan Report, p804-805
http://morganreport.[...]
2007-09-28
[29]
웹사이트
U.S. Navy History site
http://www.history.n[...]
2006-08-19
[30]
웹사이트
Annexation of Hawaii |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Library
https://libweb.hawai[...]
2022-06-15
[31]
서적
"Overthrow: America's Century of Regime Change from Hawaii to Iraq"
[32]
서적
"American Expansion in Hawaii, 1842–1898"
Russell & Russell
[33]
서적
"To Steal a Kingdom: Probing Hawaiian History"
[34]
논문
"The Political Instability of Reciprocal Trade and the Overthrow of the Hawaiian Kingdom"
1997-03
[35]
서적
The Hawaiian Revolution (1893–94)
https://books.google[...]
Susquehanna University Press
[36]
간행물
Joint Resolution to Provide for Annexing the Hawaiian Islands to the United State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1898-07-07
[37]
서적
Who Owns the Crown Lands of Hawaiʻi?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38]
서적
Pre-censal Population History of Hawai'i
https://evols.librar[...]
NA
2016-04-04
[39]
서적
Pau Hana: Plantation Life and Labor in Hawaii, 1835–1920
https://books.google[...]
[40]
서적
"The American frontier in Hawaii: the pioneers, 1789–1843"
Stan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Lost Kingdom: Hawaii's Last Queen, the Sugar Kings and America's First Imperial Adventure"
2012
[42]
서적
Working in Hawaii: A Labor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3]
웹사이트
Hawaiian Territory
http://www.hawaiiank[...]
Hawaiian Kingdom
2013-10-05
[44]
웹사이트
Kamehameha III issues the Edict of Toleration, June 17, 1839 – Tiki Central
http://www.tikiroom.[...]
2013-02-06
[45]
웹사이트
The US Navy and Hawaii-A Historical Summary
http://www.history.n[...]
2006-11-27
[46]
간행물
An unpublished chapter of Hawaiian History
https://books.google[...]
[47]
뉴스
Lā Kūʻokoʻa: Events Leading to Independence Day, November 28, 1843
http://www.alohaques[...]
2000-11-01
[48]
웹사이트
503–517
http://morganreport.[...]
2006-11-27
[49]
웹사이트
Hawaiian Independence Day
http://www.hawaiiank[...]
2006-11-28
[50]
뉴스
Polynesian. [volume] (Honolulu [Oahu], Hawaii) 1844–1864, July 20, 1844, Image 1
https://chroniclinga[...]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1844-07-20
[51]
간행물
創文 第 384~405 号
[52]
논문
ハワイ王国の文化と社会-その変遷と多元社会の形成
https://hdl.handle.n[...]
明治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06-03-26
[53]
웹사이트
東京新聞:ハワイの王様 何しにきたの 120年以上前、横浜に
http://www.tokyo-np.[...]
2024-03-15
[54]
논문
19世紀末のハワイ王国滅亡における人種と帝国―立憲主義的ハワイ人支配の確立―
https://opac.tenri-u[...]
天理大学
2022-02-26
[55]
웹사이트
Hawai‘i Statehood 50th Anniversary ハワイ州誕生50周年
http://www.gohawaii.[...]
ハワイ州観光局(Hawai‘i Tourism Japan:HTJ)
[56]
웹사이트
HAWAII - INDEPENDENT & SOVEREIGN
http://www.hawai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