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스 패리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스 패리시는 호주 출신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독립 운동을 지원한 인물이다. 1942년 한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 독립을 지원하고, 워싱턴 한인자유대회 등에서 지지 연설을 했다. 195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도리언 르 갤리언
도리언 르 갤리언은 멜버른에서 태어나 호주와 영국에서 교육받고 ABC와 신문사에서 활동한 작곡가, 피아니스트, 음악 평론가로, 신고전주의 신포니에타, 낭만주의 교향곡 1번, 존 던 시에 곡을 붙인 작품 등을 남겼으며, 한국에서 피아니스트로 활동했고,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는 상이 제정되었으며 21세기에 재조명받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교관 - 케빈 러드
케빈 러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노동당 출신 정치인으로, 총리를 두 차례 역임했으며, 중국어에 능통하고 외교관 경력을 가진 인물로, 교토 의정서 비준, 원주민 사과 등의 정책을 추진했고 현재는 주미 호주 대사로 활동하며 저술 활동도 하고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외교관 - 토머스 라이언 (1870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중국, 하와이를 거쳐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한 토머스 라이언(1870년)은 오스트레일리아 정계에서 활동하며 총리 비서관을 지냈고, 후에 아일랜드에서 국빈급 환영을 받는 등 다채로운 국제적 삶을 살았다.
| 모리스 패리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모리스 윌리엄 패리시 |
| 원어명 | 高雲驥 (고운기) |
| 출생지 | 대영제국 자치직할식민지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주 애들레이드 |
| 사망지 |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
| 종교 | 개신교 |
| 정치 경력 | |
| 정당 | 무소속 |
| 기타 경력 |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의원 출신 |
| 주요 경력 | |
| 직책 | 고문 |
| 임기 | 1948년 2월 24일 ~ 1948년 5월 29일 |
| 수상 |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
| 대통령 | 해리 트루먼 미국 대통령 |
| 장관 |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장관 |
| 훈장 | |
| 서훈 | 1950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
|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2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3 |
2. 별칭
1925년 말부터 1926년 초까지 약 한 달간 아일랜드 더블린에 잠시 머물렀는데, 이때 '''Robinson Piruet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아일랜드 더블린 중앙행정청에 소개되었다. 1946년 6월 1일 이후 남조선 과도정부 시대 서울의 미군정청에서는 '''Maurice William영어'''으로 불렸다. 1948년 2월 21일, 미 군정 하의 대한민국 서울을 방문했을 때는 '''고운기'''(高雲驥)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였다.
모리스 패리시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이다.[1] 초기에는 농부로 생활하였으나, 1914년 정계에 입문하여 활동하였다.[1] 특히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독립 운동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펼쳐, 한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
3. 생애
3. 1. 정치 활동
1909년부터 1914년까지 고향에서 농부로 지냈으며, 1914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정치 분야에 입문하였다. 이후 정치가 겸 외교관으로 활동하였다.
3. 2. 대한민국 독립 운동 지원 관련 활동
1942년 1월, 미국에서 한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3월 1일에는 워싱턴에서 열린 한인자유대회에 참석하여 대한제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였다. 이어 5월에는 뉴욕에서 대한제국 관련 선전회를 개최하여 미국 내 여론을 환기시키고자 노력했으며, 8월 9일에는 상항에서 대한인국민회 지방회가 주최한 환영식에 참석하여 연설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그의 활동은 일제강점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비롯한 독립운동 세력의 외교적 노력에 힘을 보태고, 국제사회에 한국의 독립 의지를 알리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4. 서훈
1950년 3월 1일, 대한민국 정부에서 수여하는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참조
[1]
뉴스
Mr. M. W. Parish
https://nla.gov.au/n[...]
The Herald (Adelaide)
1915-03-20
[2]
뉴스
The mayor retires
https://nla.gov.au/n[...]
1927-11-18
[3]
뉴스
Municipal elections
https://nla.gov.au/n[...]
1932-11-18
[4]
간행물
2022-12-07
[5]
뉴스
The elections
https://nla.gov.au/n[...]
The Advertiser (Adelaide)
1915-04-01
[6]
뉴스
Our Elder Statesmen
https://nla.gov.au/n[...]
The News (Adelaide)
1947-10-01
[7]
뉴스
Labor split, at Murray Bridge
https://nla.gov.au/n[...]
1917-03-30
[8]
뉴스
The National Party
https://nla.gov.au/n[...]
The Advertiser (Adelaide)
1917-06-28
[9]
뉴스
Murray coalition candidates
https://nla.gov.au/n[...]
The Register (Adelaide)
1918-01-18
[10]
뉴스
South Australian Coalition
https://nla.gov.au/n[...]
1918-01-19
[11]
뉴스
South Australian elections
https://nla.gov.au/n[...]
1918-04-25
[12]
웹사이트
Murray Valley Standard
http://www.samemory.[...]
State Library of South Australia
[13]
뉴스
Conscription recalled
https://nla.gov.au/n[...]
The Advertiser (Adelaide)
1929-09-21
[14]
뉴스
L.C.L. Nomination For District Of Murray
https://nla.gov.au/n[...]
1946-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