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에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에런은 벨기에 림뷔르흐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아두아투카 통그로룸'으로 불리며 키비타스 퉁고룸의 수도였다. 로마 시대에는 퉁그리가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으며, 4세기에는 성 서바티우스의 영향으로 기독교 교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고딕 양식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이 건설되었고, 리에주 공국 주교령의 '선량한 도시' 중 하나로 발전했다. 17세기에는 프랑스-네덜란드 전쟁으로 도시가 파괴되었으나, 1830년 이후 부활하여 현재는 림뷔르흐주의 사법 수도이다. 주요 명소로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베긴회, 성모 마리아 대성당, 갈로-로마 박물관 등이 있으며, 매주 골동품 박람회가 열리고, 7년마다 크로닝스페스텐 축제가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쾰른
쾰른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 위치한 독일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로, 로마 시대에 기원하여 중세 시대 신성 로마 제국의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으며, 쾰른 대성당을 비롯한 역사적 건축물과 축제로 유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후 라인-루르 지역의 주요 경제 및 문화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리메스 게르마니쿠스
리메스 게르마니쿠스는 로마 제국이 게르만족의 침입을 막고 통행을 통제하기 위해 1세기 후반부터 3세기 중반까지 라인 강과 도나우 강을 따라 건설한 국경 방어 시설로, 요새, 망루, 울타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잔해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림뷔르흐주 (벨기에)의 도시 - 하셀트
하셀트는 벨기에 림뷔르흐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예네버와 스페쿨라스 생산, 역사적 건축물, 일본 정원 등의 관광 명소, 발달된 교통망, 활발한 경제 활동, 교육 기관 및 스포츠팀을 갖춘 림뷔르흐주의 주요 중심지이다. - 림뷔르흐주 (벨기에)의 도시 - 헹크
벨기에 림뷔르흐주의 도시인 헹크는 룬 백국 시대부터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석탄 발견 후 산업화와 인구 증가를 겪었으나 현재는 경제 중심지이자 관광 명소로 탈바꿈했다.
통에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통에런 |
프랑스어 명칭 | 통그르 |
독일어 명칭 | 통에른 |
림뷔르흐어 명칭 | 통에러 |
위치 |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 림뷔르흐주 |
면적 | 68.41 km² |
인구 | 31,448 명 (2023년 1월 1일) |
인구 밀도 | 460 명/km² |
NIS 코드 | 73083 |
우편 번호 | 3700 |
정치 | |
시장 | 파트리크 드와엘 (오픈 VLD) |
집권 정당 | Tongeren.nu (오픈 VLD와 CD&V의 지역 연합) 및 SP.a |
추가 정보 | |
전화 지역 번호 | 012 |
웹사이트 | 통에런 공식 웹사이트 |
좌표 | 50°47′N 05°28′E |
2. 역사
게르마니 키스레나니로 알려진 벨가이 부족들 중 에부로네스는 통에런 주변에 살았던 가장 큰 부족이었다.[1]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원정 당시, 에부로네스를 중심으로 벨가이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기원전 54년에는 겨울을 나기 위해 주둔한 로마 군단을 파괴하기도 했다. 카이사르는 아두아투키 부족을 노예로 팔고 에부로네스족을 소멸시켰다고 기록했지만, 반란 지도자 암비오릭스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탈출에 성공했다.[2]
쾰른에서 바베이로 이어지는 중요한 도로가 건설되면서, 통에런은 1세기에 빠르게 가장 큰 갈로-로마 행정 및 군사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그러나 서기 70년 바타비족 반란 당시 발생한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다. 2세기에는 방어벽이 건설되었고, 그 일부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4세기, 살리 프랑크족이 북쪽에 정착할 무렵, 통에런은 통게렌 주교 성 세르바티우스의 영향으로 기독교 교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퉁그리안 주교직의 소재지는 마스트리흐트를 거쳐 리에주로 옮겨졌으며, 리에주 로마 가톨릭 교구는 퉁그룸족의 도시와 동일한 교회였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옛 주교의 집이 있던 자리에 새로운 교회를 건축하고 정경 사제를 설립하였다. 현재 바실리카는 고딕 건축 양식으로 13세기 초에 건설되기 시작했다. 13세기에는 중세 방어벽, 여러 개의 새로운 교회와 수도원, 베긴회가 건설되기도 했다. 이 도시는 리에주 공국 주교령의 "본 빌"( "좋은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1677년, 루이 14세의 군대에 의해 도시가 거의 완전히 불탔는데, 이는 재앙이었고, 통에런은 이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도시의 부활은 1830년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1977년에는 여러 지자체가 통에런으로 합병되었다.[6] 통에런은 현재 벨기에 림부르크주의 사법 수도이다.
2. 1. 고대 로마 시대 (아두아투카 통그로룸)
로마 시대 이전에 이 지역에는 게르마니 키스레나니로 알려진 벨가이 부족들이 거주했다. 이들 중 에부로네스는 통게렌 주변에 살았던 가장 큰 부족이었다.[1]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원정 당시, 에부로네스를 중심으로 벨가이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기원전 54년, 이들은 겨울을 나기 위해 주둔한 로마 군단을 파괴했다. 카이사르는 아두아투키 부족을 노예로 팔고 에부로네스족을 소멸시켰다고 기록했지만, 반란 지도자 암비오릭스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탈출에 성공했다.[2] 카이사르는 라인강 너머의 지감브리 부족 등을 초대하여 에부로네스 지역을 약탈하게 했는데, 이는 에부로네스가 로마인들의 전리품이 아두아투카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역효과를 낳았다.
카이사르가 언급하지 않은 퉁그리 부족이 로마 시대에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고, 현대 통에런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1] 타키투스는 퉁그리가 이전에 '게르마니'라고 불렸던 부족들의 새로운 이름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많은 현대 학자들은 이 지역의 갈로-로마 인구에 라인강 건너편에서 온 게르만 이민자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쾰른에서 바베이로 이어지는 중요한 도로가 건설되면서, 통에런은 1세기에 빠르게 가장 큰 갈로-로마 행정 및 군사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그러나 서기 70년 바타비족 반란 당시 발생한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다. 2세기에는 방어벽이 건설되었고, 그 일부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주변 지역에는 빌라와 묘총 (투물루스)이 건설되었다.
358년, 훗날 황제가 되는 율리아누스는 통게렌에서 톡산드리아 (현재 캄핀 지역)에 정착한 살리 프랑크족 대표단을 만났다. 율리아누스는 이들을 기습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냈고,[3] 이후 자신의 군대에 편입시켜 다른 게르만 부족과의 전투에 활용했다.[4]
2. 2. 중세 시대
4세기, 살리 프랑크족이 북쪽에 정착할 무렵, 통에런은 통게렌 주교 성 세르바티우스의 영향으로 기독교 교구의 중심지가 되었다. 성 세르바티우스는 384년에 사망하였다. 북쪽과 동쪽의 프랑크족은 이교도였기 때문에 수세기에 걸쳐 많은 지역을 개종해야 했으며, 여러 선교사들이 순교했다. 그러나 퉁그리안 주교직의 소재지는 성 세르바티우스가 로마 마을 근처에 묻힌 후 인근 마스트리흐트로 옮겨졌다. 이후 리에주는 리에주 로마 가톨릭 교구의 소재지가 되었으며, 이는 퉁그룸족의 도시와 동일한 교회였다. 이곳은 이 지역의 마지막 선교사 중 한 명인 마스트리흐트의 성 람베르투스의 안식처였으며, 그는 700년경에 사망했다.[5] 아두아투카 통그룸은 451년에 훈족에 의해 파괴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통에런은 이 기간 동안 중요성을 다소 잃었다.게르만족 정착민과 침략자들의 물결은 이 지역을 크게 변화시켰다. 5세기와 8세기 사이의 메로빙거 왕조 시대는 기록이 잘 남아 있지 않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옛 주교의 집이 있던 바로 그 자리, 오늘날까지 바실리카가 서 있는 곳에 새로운 교회를 건축하고 정경 사제를 설립하였다. 현재 바실리카의 건설은 당시 유행했던 고딕 건축 양식으로 13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새로운 상업 지역, 병원 및 장인 지구를 포함하여 다른 건물들이 도시의 종교적 핵심에 추가되었다. 13세기에는 중세 방어벽, 여러 개의 새로운 교회와 수도원, 베긴회가 건설되기도 했다. 이 도시는 리에주 공국 주교령의 "본 빌"( "좋은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2. 3. 17세기 이후 ~ 현대
1677년, 루이 14세의 군대에 의해 도시가 거의 완전히 불탔는데, 이는 재앙이었고, 통에런은 이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도시의 부활은 1830년 이후부터 시작되었다.1977년, 인접한 지자체인 베르흐, 디츠-어, 헤니스, '스-헤렌엘데렌, 코닌켐, 라우, 말, 네르레펜, 네렘, 오버레펜, 피링겐, 릭싱겐, 뤼턴, 슬루이젠, 프레렌, 위도이에가 통에런으로 합병되었다.[6]
통에런은 현재 벨기에 림부르크주의 사법 수도이다.
3. 유명 인물
- 오노레 가브리엘 리케티, 미라보 백작: 프랑스 정치인(1749–1791).
- 발렌티누스 파케: 로마 가톨릭의 복자. "헤트 헤일리흐 파테르케 판 하셀트"(하셀트의 성스러운 신부)로도 알려져 있다(1828–1905).[1]
- 필리프 부스망: 작곡가(1936년 출생).[2]
- 로버트 카일리아우: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을 공동 발명(1947년 출생).[3]
- 시리엘 데세르스: 축구 선수(1994년 출생).[4]
- 파트리크 드바일: 정치인, 전 플랑드르 총리, 시장(1955년 출생).[5]
- 윌프리드 넬리센 (1970): 도로 사이클 선수.[6]
- 예프 플리어스: 축구 선수 및 코치(1932 – 1994).[7]
- 존 반 스눅: 작곡가/음악가(1978년 출생).[8]
- 프레디 로익스: 랠리 드라이버(1970년 출생).
- 줄스 카스트로: 레이싱 드라이버(2004년 출생).
3. 1. 고대
기원전 1세기,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지역에서 원정을 벌이던 중, 벨가이는 에부로네스를 중심으로 카이사르에게 반란을 일으켰다.[1] 기원전 54년, 그들은 카이사르에게 겨울을 나겠다는 요구를 받은 군단을 파괴했다. 카이사르는 아두아투키를 노예로 팔고 에부로네스라는 이름을 없앴다고 보고했지만, 많은 수가 성공적으로 도망쳤으며, 반란 지도자 암비오릭스도 그중 하나였다. 카이사르는 로마군의 인명 피해를 감수하며 그들을 추격하는 대신, 지감브리와 같은 라인강 너머의 부족들을 초대하여 약탈하게 했다. 그러나 이는 에부로네스가 지감브리에게 로마인들이 아두아투카에 모든 전리품을 보관하고 있어 더 매력적인 약탈 대상이라고 알리면서 역효과를 낳았다.카이사르는 에부로네스의 요새를 아두아투카라고 불렀는데, 이는 이곳을 통에런과 동일시하는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로 이어졌다.[2] 그러나 "''아두아투카''"라는 단어가 이 지역의 요새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단어였을 가능성이 있어,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장소가 더 있었을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또한, 통에런은 로마 이전 점령 흔적이나 카이사르가 묘사한 언덕 지형을 보이지 않는다. 이 지역에는 아두아투키라는 별도의 부족도 있었다. 반면, 통에런은 동일한 이름과 지역 수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대체로 적절한 지역에 위치한다. 만약 통에런이 아니라면, 에부로네스의 아두아투카는 인근 림스트의 고대 요새 카에스터트일 가능성이 있다.
카이사르가 언급하지 않은 퉁그리는 로마 시대에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고, 현대 통에런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1] 타키투스는 퉁그리가 이전에 ''게르마니''라고 불렸던 부족들의 새로운 이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많은 현대 작가들은 이 지역의 갈로-로마 인구에 라인강 건너편에서 온 게르만 이민자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쾰른에서 바베이로 이어지는 중요한 도로에 위치하고, 리베르쉬를 통해 연결되며, 헤스베이 지역의 비옥한 토지로 둘러싸인 로마 시대의 통에런은 1세기에 빠르게 가장 큰 갈로-로마 행정 및 군사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70년 바타비족 반란 당시 바타비족의 포위 공격으로 파괴적인 화재를 겪었지만, 2세기에 방어벽이 세워졌고 그 일부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전형적인 로마 건물들이 도시에 세워졌고, 주변 지역에는 빌라와 묘총(투물루스)이 흩어져 있었다.
358년, 훗날 황제 율리아누스는 통에런에서 톡산드리아 (현재 캄핀 지역)에 정착한 살리 프랑크족 대표단을 만났다. 그들은 평화를 원했지만 "자신들이 점령한 땅이 정당하게 자신들의 소유인 것처럼" 말했다. 율리아누스는 모호한 답변을 했고, 회의 후 마스 강 또는 뫼즈 강을 따라 기습 공격을 가했다. "그들은 저항보다는 간청으로 그를 맞이했고, 그는 그들과 그들의 자녀의 항복을 받았다".[3] 이들은 이때부터 점점 더 중요해졌다. 조시무스는 율리아누스가 다른 게르만 부족과의 전투에서 이들을 군대의 일부로 활용했다고 기록했다.[4]
3. 2. 현대
- 오노레 가브리엘 리케티, 미라보 백작: 프랑스 정치인(1749–1791).
- 발렌티누스 파케: 로마 가톨릭의 복자, "헤트 헤일리흐 파테르케 판 하셀트"(하셀트의 성스러운 신부)로도 알려짐(1828–1905).[1]
- 필리프 부스망: 작곡가(1936년 출생).[2]
- 로버트 카일리아우: 팀 버너스리와 함께 월드 와이드 웹의 공동 발명가(1947년 출생).[3]
- 시리엘 데세르스: 축구 선수(1994년 출생).[4]
- 파트리크 데바일: 정치인, 전 플랑드르 총리, 시장(1955년 출생).[5]
- 윌프리드 넬리센 (1970): 도로 사이클 선수.[6]
- 예프 플리어스(1932 – 1994): 축구 선수 및 코치.[7]
- 존 반 스눅: 작곡가/음악가(1978년 출생).[8]
- 프레디 로익스: 랠리 드라이버(1970년 출생).
- 줄스 카스트로: 레이싱 드라이버(2004년 출생).
참조
[1]
서적
Toponymisch Woordenboek van België, Nederland, Luxemburg, Noord-Frankrijk en West-Duitsland
http://www.wulfila.b[...]
[2]
서적
Archaeology in Confrontation: Aspects of Roman Military Presence in the Northwest (Studies in Honour of Prof. Em. Hugo Thoen)
Ghent University
[3]
간행물
Res Gestae
http://www.tertullia[...]
[4]
간행물
Nova Historia
http://www.tertullia[...]
[5]
웹사이트
Servatius of Tongeren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4-05-20
[6]
웹사이트
Tongeren
https://inventaris.o[...]
1990
[7]
웹사이트
Flemish Béguinages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11-06
[8]
웹사이트
Belfries of Belgium and France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