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트리흐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주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로마 시대를 거쳐 중세 시대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켈트족, 로마인, 프랑크족의 지배를 받았으며, 중세 시대에는 상업과 문화의 중심지로 번성했다. 1204년 리에주 주교와 브라반트 공작의 공동 통치를 받았으며, 이후 네덜란드와 스페인, 프랑스 등의 지배를 받으며 요새 도시로 발전했다. 19세기 이후 산업화와 함께 도시가 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 점령되기도 했다. 현재는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과 마스트리흐트 대학교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로, 경제, 문화,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스트리흐트 - 마스트리흐트 조약
마스트리흐트 조약은 유럽 공동체를 유럽 연합으로 재편하고 법적 기반과 가치를 정립하기 위해 1993년에 발효되었으며, 유럽 연합 시민권 도입, 경제 및 통화 연합 구축, 공동 외교 및 안보 정책 수립, 사법 및 내무 분야 협력 강화 등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 네덜란드의 로마 유적 - 알펀안덴레인
알펀안덴레인은 네덜란드 사우스홀란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 라인강 경계의 요충지였으며 17세기 상업 중심지로 부상, 19세기 합병을 통해 확장되었고, 아르케온, 제거슬루트 레크리에이션 공원, 아비파우나 조류 공원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네덜란드의 로마 유적 - 헤이를런
네덜란드 림뷔르흐주에 있는 헤이를런은 로마 시대 군사 정착지에서 시작하여 중세 시대 중심지로 발전했고, 석탄 광업으로 성장했으나 광산 폐쇄 후 경제 재조정기를 거쳐 현재 유럽 최대 가구 거리와 세계 최초 광산수 발전소가 있는 도시이다. - 네덜란드의 유적 - 네이메헌
네이메헌은 네덜란드 헬데를란트주에 위치한 로마 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유럽 역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현재는 교육,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자 네이메헌 국제 사일 행진으로 유명하다. - 네덜란드의 유적 - 리메스 게르마니쿠스
리메스 게르마니쿠스는 로마 제국이 게르만족의 침입을 막고 통행을 통제하기 위해 1세기 후반부터 3세기 중반까지 라인 강과 도나우 강을 따라 건설한 국경 방어 시설로, 요새, 망루, 울타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잔해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마스트리흐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마스트리흐트 |
네덜란드어 표기 | Maastricht |
림뷔르흐어 표기 | Mestreech |
프랑스어 표기 (고어) | Maestricht |
스페인어 표기 (고어) | Mastrique |
별칭 | Sjeng (림뷔르흐어 닉네임) |
주 | 림뷔르흐 주 |
시청 소재지 | 마스트리흐트 시청 |
정착 시기 | 기원후 50년경 |
자치권 획득 | 점진적으로 획득 |
시장 | 빔 힐레나르 (CDA) |
면적 | 60.06 km² |
육지 면적 | 56.8 km² |
수면 면적 | 3.26 km² |
고도 | 49 m |
인구 | 121,565명 () 2024년 |
인구 밀도 | 2,070명/km² |
도시 지역 인구 | 277,721명 |
광역 도시권 인구 | ≈ 3,500,000명 |
시간대 | CET (UTC+1) |
하계 시간 (DST) | CEST (UTC+2) |
우편 번호 | 6200–6229 |
지역 번호 | 043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구역 수 | 7개 구역 |
구역 목록 | Centrum (Binnenstad, Jekerkwartier, Kommelkwartier, Statenkwartier, Boschstraatkwartier, Sint Maartenspoort, Wyck-Céramique) Noordoost (Beatrixhaven, Borgharen, Itteren, Meerssenhoven) Oost (Wyckerpoort, Wittevrouwenveld, Nazareth, Limmel, Amby, Scharn, Heugemerveld) Zuidoost (Randwyck, Heugem, Heer, De Heeg, Vroendaal) Zuidwest (Villapark, Jekerdal, Biesland, Campagne, Wolder, Sint Pieter) West (Brusselsepoort, Mariaberg, Belfort, Pottenberg, Malpertuis, Caberg, Malberg, Dousberg-Hazendans, Daalhof) Noordwest (Boschpoort, Bosscherveld, Frontenkwartier, Belvédère, Lanakerveld) |
상징 | |
![]() | |
![]() | |
국가 | Mestreechs Volksleed |
2. 역사
마스트리흐트라는 지명은 고대 네덜란드어 합성어 ''Masa-'' (''Maas'', "뫼즈강")와 갈로-로망스어 *TRA(I)ECTU에서 차용된 고대 네덜란드어 ''*treiekt''에서 유래되었다.[13][14] 왈롱어 이름 ''li trek''는 고전 라틴어 ''trajectus''("여울, 통과, 강을 건너는 장소")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후 위트레흐트의 ''-trecht''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Maas'' ("뫼즈")가 추가되었다.
8000년에서 25000년 전의 구석기 시대 유적이 마스트리흐트에서 발견되었다. 켈트족은 기원전 500년경 뫼즈강이 얕아 건너기 쉬운 곳에 정착했다. 로마 제국은 뫼즈강에 다리를 건설하고 쾰른으로 이어지는 길을 만들었다. 8세기에는 인근 리에주에 주교구 지위를 넘겨주었고, 881년에는 노르만인에게 점령당했다. 1204년 브라반트 공국이 영유권을 가지게 되면서 마스트리흐트는 도시권을 부여받았다. 이후 브라반트 공국과 리에주 주교령의 공동 통치는 1794년 바타비아 공화국의 프랑스 괴뢰 정부에 의한 지배를 받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1579년 알레산드로 파르네세의 공략으로 마스트리흐트를 포함한 남부 10주는 스페인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1632년 오라녜 공 프레데릭 헨드릭이 도시를 탈환했지만,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 공화국의 일부가 되지는 않았다.
1794년 바타비아 공화국 혁명 이후 프랑스 괴뢰 정권 하에서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 마스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일부가 되면서 림뷔르흐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30년 벨기에 독립 혁명이 일어났지만,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에 남는 것을 선택했고, 1839년 런던 조약으로 네덜란드 귀속이 확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가 1944년 해방되었다. 1991년 마스트리흐트에서 유럽 이사회가 개최되었고, 그 결과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연합과 유로화가 창설되었다.
2. 1. 초기 역사
네안데르탈인 유적이 마스트리흐트 서쪽(벨베데레 발굴지)에서 발견되었다. 더 후대에는 8,000년에서 25,000년 된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켈트족은 기원전 500년경, 뫼즈강이 얕아 건너기 쉬운 곳에 정착했다.
로마인이 마스트리흐트에 언제 도착했는지, 정착지가 로마인에 의해 세워졌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로마인들은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치세인 서기 1세기에 뫼즈강에 다리를 건설했다. 이 다리는 바베이와 쾰른을 잇는 주요 도로의 중요한 연결 고리였다. 로마 시대의 마스트리흐트는 비교적 작았다. 로마 도로, 다리, 종교 유적지, 로마 목욕탕, 곡물 창고, 몇 채의 집, 4세기의 카스트룸 성벽과 문 등의 유적이 발굴되었다. 로마 시대 마스트리흐트의 지방 로마 조각상 파편, 동전, 보석, 유리, 도자기 및 기타 물건들은 시립 도서관(''Centre Céramique'')의 전시 공간에 전시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아르메니아 출신인 성 세르바티우스 (통게렌 주교구의 주교)는 384년 마스트리흐트에서 사망했으며, 카스트룸 외곽의 로마 도로를 따라 매장되었다.[13] 투르의 그레고리에 따르면, 570년경 주교 모눌프가 세르바티우스의 묘 위에 최초의 석조 교회를 지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성 세르바티우스 대성당의 전신이다. 이 도시는 8세기 또는 9세기에 인근의 리에주에 그 지위를 넘겨주기 전까지 초기 기독교 교구로 남아 있었다.
2. 2. 중세 시대
초기 중세 시대의 마스트리흐트는 아헨, 리에주와 함께 카롤링거 왕조의 핵심 지역으로 여겨졌다. 이 시기에 이 도시는 강을 이용한 무역과 제조업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마스트리흐트에서 주조된 메로빙거 왕조의 동전이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881년에는 바이킹에게 약탈당했다. 10세기에는 잠시 하 로렌 공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11세기와 12세기 동안 이 도시는 문화적으로 번성했다. 성 세르바티우스 수도원의 여러 수도원장들이 신성 로마 제국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두 개의 교회는 이 시대에 크게 재건되고 재장식되었다. 마스트리흐트의 로마네스크 석조 조각과 은세공은 모잔 미술의 하이라이트로 여겨진다. 마스트리흐트 화가들은 볼프람 폰 에셴바흐의 파르지팔에서 칭찬을 받았다. 거의 같은 시기에 시인 헨리크 판 펠데케는 성 세르바티우스의 전설을 썼는데, 이것은 네덜란드 문학에서 가장 초창기 작품 중 하나이다. 두 주요 교회는 풍부한 성유물을 획득했고, 7년마다 열리는 마스트리흐트 유물 순례는 최대 10만 명의 순례자를 끌어모으는 중요한 행사가 되었다.
대부분의 네덜란드 도시와 달리, 마스트리흐트는 특정 날짜에 도시 권리를 받지 않았다. 이것들은 오랜 역사 동안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1204년에는 도시의 공동 통치가 조약으로 공식화되어, 리에주 주교와 브라반트 공작이 도시를 공동 통치하게 되었다. 그 직후 최초의 중세 성벽이 건설되었다. 1275년에는 오래된 로마 다리가 행렬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붕괴되어 400명이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교회 면죄부로 자금을 조달하여 북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대체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현재까지 남아있는 성 세르바티우스 다리이다.[15]
중세 시대 내내 이 도시는 무역과 제조업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는데, 주로 모직과 가죽을 생산했지만 점차 경제적 쇠퇴가 시작되었다. 1500년경의 짧은 경제적 번영 이후, 이 도시는 16세기와 17세기의 유럽 종교 전쟁 동안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고, 19세기 초 산업 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회복되지 못했다.
2. 3. 근세 ~ 근대

마스트리흐트의 주요 강을 건너는 전략적 위치 때문에 이 기간 동안 도시 주변에 다양한 요새가 건설되었다. 스페인과 네덜란드의 수비대는 도시 경제의 중요한 요인이었다. 1579년, 파르마 공작이 이끄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도시가 약탈당했다(마스트리흐트 공방전, 1579년).[1] 이후 5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스페인 왕가는 마스트리흐트의 공동 주권에서 이전에 브라반트 공작이 맡았던 역할을 이어받았다. 1632년, 오렌지 공 프리드리히 헨리에 의해 도시가 점령되었고,[1] 네덜란드 연합주는 마스트리흐트의 공동 정부에서 스페인 왕가를 대체했다. 1634년 스페인군은 도시를 재탈환하려 했지만 실패했다.[1]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동안 마스트리흐트 공방전 (1673년)이 다시 일어났다. 1673년 6월, 루이 14세는 프랑스의 보급선이 위협받고 있었기 때문에 도시에 포위 공격을 가했다.[1] 이 포위 공격 동안, 유명한 프랑스 군사 기술자인 보방은 마스트리흐트를 둘러싼 강력한 요새를 무너뜨리기 위해 새로운 전술을 개발했다. 그의 체계적인 접근 방식은 20세기까지 요새를 공격하는 표준 방법으로 남아 있었다.[1] 1673년 6월 25일, 도시를 공격하기 위해 준비하는 동안, 다르타냥 백작으로도 알려진 기병 대위 샤를 드 바츠 드 카스텔모르는 통어르세 문 밖에서 머스킷 총에 맞아 사망했다. 이 사건은 알렉상드르 뒤마 페르의 소설 ''브라젤론 백작''과 다르타냥 로망스의 일부로 과장되었다.[1] 프랑스 군대는 1673년부터 1678년까지 마스트리흐트를 점령했다.[1]
1748년, 프랑스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동안 마스트리흐트 2차 포위로 알려진 사건에서 다시 도시를 정복했다. 각 포위 공격 후 도시의 요새는 복원되고 확장되었다.[1] 프랑스 혁명군은 1793년에 도시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지만, 1년 후에 성공했다.[1] 공유 통치권은 해체되었고, 마스트리흐트는 프랑스 제1 공화국, 나중에는 프랑스 제1 제국에 병합되었다. 거의 20년 동안 (1795년–1814년/1815년), 마스트리흐트는 프랑스 뫼즈 인페리에르 데파르트망의 수도였다.[1]
2. 4. 현대
나폴레옹 시대 이후, 마스트리흐트는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새로 형성된 림뷔르흐주 (1815–1839)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왕국의 남부 지역이 분리되었을 때, 마스트리흐트의 네덜란드 수비대는 빌럼 1세 네덜란드 국왕에게 충성을 유지했다. 심지어 도시와 주변 지역 주민 대부분이 벨기에 혁명가들을 지지했을 때에도 그랬다. 1831년, 열강의 중재로 이 도시는 네덜란드에 할당되었으나, 네덜란드와 벨기에 모두 이에 동의하지 않아 1839년 런던 조약까지 이 합의는 시행되지 않았다. 이 고립 기간 동안 마스트리흐트는 초기 산업 도시로 발전했다.
네덜란드 남동부에 위치한 이색적인 지리적 위치, 벨기에 및 독일과의 지리적, 문화적 근접성 때문에 마스트리흐트와 림뷔르흐의 네덜란드 통합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스트리흐트는 19세기 대부분 동안 뚜렷하게 네덜란드적이지 않은 모습을 유지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이 되어서야 비로소 북쪽을 바라보게 되었다.
네덜란드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스트리흐트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중립을 유지했다. 그러나 독일과 벨기에 사이에 끼여 많은 수의 난민을 수용하여 도시의 자원에 부담을 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이 도시는 1940년 5월 마스트리흐트 전투에서 나치 독일에 의해 기습적으로 점령되었다. 1944년 9월 13일과 14일에는 미국 제30보병사단의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에 의해 해방된 최초의 네덜란드 도시가 되었다. 뫼즈강의 세 다리는 전쟁 중에 파괴되거나 심하게 손상되었다. 네덜란드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마스트리흐트의 다수의 유대인들이 나치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16]

20세기 후반 동안, 마스트리흐트의 도자기(potteries)와 같은 전통 산업이 쇠퇴하고 도시의 경제는 서비스 경제로 전환되었다. 마스트리흐트 대학교는 1976년에 설립되었다. 여러 유럽 기관이 마스트리흐트에 기반을 두었다. 1981년과 1991년에 유럽 이사회가 마스트리흐트에서 개최되었으며, 후자의 이사회 결과 1년 후 마스트리흐트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 연합과 유로화가 창설되었다.[17] 1988년부터 세계 최고의 미술 박람회로 여겨지는 유럽 미술 박람회가 매년 가장 부유한 미술품 수집가들을 끌어모으고 있다.
1990년대 이후, 도시의 상당 부분이 개조되었다. 주요 기차역 주변 지역, 머리강을 따라 조성된 마스부르바르 산책로, 엔트르 되(Entre Deux) 및 모세 포럼(Mosae Forum) 쇼핑 센터, 주요 쇼핑 거리 등이 개조되었다. 국제 건축가들이 설계한 권위 있는 지역에는 시내 근처의 전 소시에테 세라미크(Société Céramique) 공장 부지에 새로운 보네판텐 미술관, 공공 도서관 및 극장이 포함되어 있다. A2 고속도로 주변 지역, 스핑크스 지구 및 벨베데레 지역의 재개발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2000년대 초, 마스트리흐트는 자유로운 네덜란드 법률을 악용하여 시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외국인 구매자를 막기 위해 마약 거래에 대한 여러 캠페인을 시작했다.[18]
3. 지리
마스트리흐트는 7개의 지역(wijk)과 44개의 구역(buurte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역과 구역은 CBS 코드를 나타내는 번호를 가지고 있다.
지역(wijk) 코드 | 지역(wijk) 이름 | 구역(buurten) 이름 |
---|---|---|
093500 | 마스트리흐트 센터 | 빈넨스타트, 예케르콰르티어, 콤멜콰르티어, 스타텐콰르티어, 보스스트라트콰르티어, 신트 마르텐스포르트, 윅-세라믹 |
093501 | 남서부 | 빌라파크, 예케르달, 비스란드, 캄파뉴, 볼더, 신트 피터 |
093502 | 서부 | 브뤼셀세포르트, 마리아베르흐, 벨포르트, 포텐베르흐, 말페르튀스, 카베르흐, 말베르흐, 도스베르흐-하젠단스, 달호프 |
093503 | 북서부 | 보스포르트, 보스체르벨트, 프론텐콰르티어, 벨베데레, 라나케르벨트 |
093505 | 북동부 | 베아트릭스하벤, 보르하렌, 이테렌, 메르센호벤 |
093504 | 동부 | 윅케르포르트, 비테브라우엔벨트, 나사렛, 림멜, 암비, 스하른, 호이게메르벨트 |
093506 | 남동부 | 란트윅, 호이겜, 헤르, 데 헤흐, 브론달 |
이테렌, 보르하렌, 림멜, 암비, 헤르, 호이겜, 스하른, 아우드-카베르흐, 신트 피터 그리고 볼더는 20세기 동안 마스트리흐트 시에 병합되기 전까지 별도의 자치구 또는 마을이었다.
3. 1. 위치 및 지형
마스트리흐트는 마스강을 사이에 두고 서쪽의 구시가지와 동쪽의 위크(Wyck) 지구, 위크 지구 남쪽의 세라믹(Céramique) 지구로 나뉜다. 마스트리흐트역은 위크 지구 동쪽에 있으며, 구시가지 중심 광장인 프라이트호프 광장(Vrijthof)까지는 마스강에 놓인 성 세르파티우스 다리를 건너 약 1.1km 떨어져 있다.구시가지에는 13~14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이중 성벽의 일부가 남쪽에 남아있으며, 성벽 주변은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1229년에 세워진 옛 성문인 지옥문(Helpoort)은 이후 화약고나 예술가들의 아틀리에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현재도 성벽을 통과하는 문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곳은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성문이기도 하다.
세라믹 지구에는 센터 세라믹 도서관과 본네판텐 미술관(Bonnefantenmuseum)이 있다. 본네판텐 미술관은 이 지역의 고고학 자료, 중세 회화 및 현대 미술 작품을 전시하며, 구시가지에서 마스강 건너편에 알도 로시가 설계한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3. 2. 기후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 대부분 지역과 같은 서안 해양성 기후(Cfb)를 보이지만, 언덕 사이에 위치한 내륙 지역이기 때문에 여름은 더 덥고(특히 기상 관측소보다 70m 낮은 뫼즈 계곡), 겨울은 약간 더 춥다. 하지만 그 차이는 일 년 중 며칠 동안만 느껴진다. 기록상 최고 기온은 2019년 7월 25일 39.6°C였다.[52][53][54]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5.7°C | 6.7°C | 10.7°C | 15°C | 18.8°C | 21.7°C | 23.8°C | 23.5°C | 19.7°C | 14.8°C | 9.7°C | 6.3°C | - |
일 평균 기온 (°C) | 3.2°C | 3.7°C | 6.6°C | 10.1°C | 13.8°C | 16.8°C | 18.8°C | 18.4°C | 15°C | 11°C | 6.8°C | 4°C | 10.7°C |
평균 최저 기온 (°C) | 0.5°C | 0.7°C | 2.7°C | 5°C | 8.7°C | 11.7°C | 13.8°C | 13.4°C | 10.6°C | 7.3°C | 3.8°C | 1.4°C | 6.6°C |
강수량 (mm) | 63.8mm | 57.6mm | 54.6mm | 41mm | 57.7mm | 68.9mm | 72.8mm | 82.8mm | 57.5mm | 63.6mm | 62.2mm | 74.3mm | 756.8mm |
평균 강수일수 (≥ 1mm) | 12.0 | 10.8 | 10.4 | 8.4 | 9.4 | 9.7 | 10.2 | 10.2 | 8.8 | 10.7 | 11.7 | 13.2 | 125.7 |
평균 적설일수 | 6.1 | 6.7 | 3.3 | 0.3 | 0.1 | 0.0 | 0.0 | 0.0 | 0.0 | 0.1 | 1.1 | 4.7 | 22.2 |
평균 상대 습도 (%) | 86.4 | 83.2 | 77.7 | 71.7 | 72.1 | 72.8 | 73.1 | 74.8 | 79.4 | 83.9 | 87.9 | 88.3 | 79.3 |
월 평균 일조시간 | 66.9 | 86.0 | 138.5 | 180.8 | 208.7 | 205.5 | 209.0 | 197.5 | 157.0 | 118.2 | 74.1 | 53.5 | 1695.7 |
3. 3. 행정 구역
마스트리흐트 시와 직접 접경한 인접 자치단체는 다음과 같다.- 북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시계 방향:
- 분데
- 메르센
- 베르흐 엔 테르블레이트
- 베멜렌
- 카디르 엔 케르
- 흐론스벨트
- 오스트
- 라네이 (B)
- 프티-라네이 (B)
- 칸네 (B)
- 브룬호벤 (B)
- 케셀트 (B)
- 벨트웨젤트 (B)
- 라네켄 (B)
- 네르하렌 (B)
(B)는 벨기에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3. 4. 국경
마스트리흐트의 도시 경계는 벨기에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다. 대부분은 벨기에의 플란데런 지역에 접해 있지만, 남쪽의 작은 부분은 벨기에의 왈롱 지역과도 마주하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유럽의 쉥겐 지역에 속해 있으므로 국경 통제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 외의 가까운 도시로 왈롱 지역의 리에주 시까지 25.5km, 독일 서부의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아헨 시까지 31km 떨어져 있다.4. 인구
마스트리흐트는 다양한 국적과 출신 국가의 사람들이 거주하며,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종교적으로도 다채로운 모습을 보이는 도시이다.
4. 1. 인구 변화
연도 | 인구 |
---|---|
1400 | 7,000 |
1500 | 10,000 |
1560 | 13,500 |
1600 | 12,600 |
1650 | 18,000 |
1740 | 12,500 |
1796 | 17,963 |
1818 | 20,000 |
1970 | 93,927 |
1980 | 109,285 |
1990 | 117,008 |
2000 | 122,070 |
2010 | 118,533 |
4. 2. 국적 구성
국적 | 2021 | 2014[22] | 2010 | 2000 |
---|---|---|---|---|
네덜란드 | 100,297 | 107,418 | 109,722 | 116,171 |
독일 | 3,908 | 3,869 | 1,956 | 783 |
이탈리아 | 1,572 | 653 | 387 | 280 |
벨기에 | 1,475 | 1,055 | 946 | 909 |
스페인 | 913 | 431 | 232 | 241 |
영국 | 842 | 815 | 386 | 280 |
중국 | 739 | 595 | 248 | 87 |
프랑스 | 686 | 351 | 214 | 120 |
미국 | 665 | 623 | 277 | 162 |
터키 | 436 | 404 | 368 | 404 |
출생 국가 | 2020 | 2013[23] | 2010 | 2000 |
---|---|---|---|---|
네덜란드 | 93,162 | 100,269 | 102,433 | 109,632 |
독일 | 3,949 | 4,100 | 2,467 | 1,444 |
벨기에 | 2,355 | 1,920 | 1,839 | 1,900 |
미국 | 1,380 | 753 | 383 | 217 |
인도네시아 | 1,020 | 1,199 | 1,267 | 1,556 |
중국 (홍콩 및 마카오 제외) | 1,019 | 651 | 373 | 215 |
터키 | 973 | 919 | 836 | 784 |
영국 | 926 | 677 | 404 | 310 |
모로코 | 829 | 838 | 867 | 859 |
폴란드 | 563 | 437 | 316 | 152 |
4. 3. 언어
마스트리흐트는 여러 언어권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국제적인 학생 인구로 인해 언어적 다양성을 가진 도시이다.- 네덜란드어는 국가 언어이자 초등 및 중등 교육(국제 교육 기관 제외)과 행정의 언어이다. 마스트리흐트에서 네덜란드어는 종종 독특한 림뷔르흐어 사투리 억양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림뷔르흐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 림뷔르흐어는 네덜란드 림뷔르흐주와 벨기에 림뷔르흐주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 방언의 포괄적인 용어이다. 마스트리흐트 방언('Mestreechs')은 림뷔르흐어의 여러 변종 중 하나일 뿐이다. 이 방언은 길게 늘어진 모음과 어휘에 대한 약간의 프랑스어 영향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마스트리흐트 방언은 쇠퇴하고 있으며(방언 평준화) 표준 네덜란드어로의 언어 전환이 관찰되었다.[24]
- 프랑스어는 한때 마스트리흐트의 교육 및 문화 언어였다. 18세기 후반에 사법 및 행정 언어로서 강력한 지위를 얻었으며, 그 이후 한 세기 동안 상류층이 선호하는 언어였다. 1851년과 1892년 사이에 프랑스어 신문('Le Courrier de la Meuse')이 마스트리흐트에서 발행되었다.[25] 프랑스어는 종종 중등학교 교육 과정의 일부이다. 많은 고유 명칭이 프랑스어이고, 이 언어는 지역 방언에 많은 흔적을 남겼다.
- 독일어는 프랑스어와 마찬가지로 종종 중등학교 교육 과정의 일부이다. 마스트리흐트가 독일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도시에 많은 독일인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독일어가 널리 사용된다.
- 영어는 교육에서 중요한 언어가 되었다. 마스트리흐트 대학교와 호헤스홀 즈위드에서는 많은 강좌의 교육 언어이다. 많은 외국인 학생과 해외 거주자가 공용어로 영어를 사용한다. 영어는 또한 네덜란드 중등학교의 필수 과목이다.
4. 4. 종교
2010년에서 2014년까지 마스트리흐트 인구의 69.8%가 스스로 종교가 있다고 여겼다. 전체 인구의 60.4%가 로마 가톨릭과의 연관성을 밝혔으며, 13.9%가 한 달에 최소 한 번 종교 의식에 참석했다.[27]5. 경제
마스트리흐트는 사피(Sappi), 몬디(Mondi)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유로컨트롤, 유럽 공공 행정 연구소(EIPA)와 같은 유럽 및 국제기구들이 위치하여 국제적인 경제 중심지로 성장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이러한 기관들이 들어서면서 외국인들에게 많은 고용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5. 1. 산업 구조


5. 2. 주요 기업
마스트리흐트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업들이 있다.기업명 | 사업 분야 |
---|---|
사피(Sappi) | 펄프 및 제지 산업 |
로열 모사(Royal Mosa) | 세라믹 타일 |
O-I 글라스(O-I Manufacturing) | 유리 (이전 크리스탈루니 마스트리흐트) |
BASF | 안료 (이전 텐 혼) |
몬디(Mondi) | 포장 |
러버 리소스/엘기 러버(Rubber Resources/Elgi Rubber) | 고무 재활용 (이전 브레데스타인) |
라듐 폼스(Radium Foams) | 탈랄레이 제품 |
휴렛 팩커드(Hewlett-Packard) | 전자 데이터 시스템 제조업체 (이전 인디고) |
보다폰(Vodafone) | 이동 통신 |
Q-파크(Q-Park) | 국제 주차장 운영 |
DHL | 국제 특급 우편 서비스 |
텔레퍼포먼스(Teleperformance) | 컨택 센터 서비스 |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 유럽 고객 컨택 센터 |
VGZ | 건강 보험, 고객 컨택 센터 |
파이 메디컬 이미징(Pie Medical Imaging) | 심혈관 정량 분석 소프트웨어 |
에사우테(Esaote) | 의료 및 수의학 진단 장비 제조업체 (구 파이 메디컬 장비) |
바이오파트너 센터 마스트리흐트(BioPartner Centre Maastricht) | 생명 과학 스핀오프 기업 |
메드트로닉(Medtronic) | 의료 기기, 연구 개발 센터 |
5. 3. 공공 기관


1980년대 이후, 다수의 유럽 및 국제 기구들이 마스트리흐트를 기지로 삼았다. 이들은 마스트리흐트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에게 점점 더 많은 고용 기회를 제공한다.
기관명 | 설명 |
---|---|
행정 | 림뷔르흐 네덜란드 지방 |
마스-라인 유로지역 | |
림뷔르흐 개발 회사 LIOF | |
RHCL 및 SHCL | 림뷔르흐 지방 기록 보관소 |
유로컨트롤 | 유럽 항공 안전 기구 |
유럽 저널리즘 센터 | |
유럽 공공 행정 연구소(EIPA) | |
유럽 개발 정책 관리 센터(ECDPM) | |
유럽 일과 사회 센터(ECWS) | |
마스트리흐트 초 대서양 연구 센터(MCTS) | |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및 개발 협력을 위한 전문가 센터(ECSAD) | |
유럽 지방 자치 단체 및 지역 협의회(REGR) | |
유럽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센터(EC/DC) | |
유엔 대학교-MERIT | |
기술 및 조직 경제학 마스트리흐트 연구 학교(METEOR) | |
지식 시스템 연구소(RIKS) | |
키케로 재단(CF) |
6. 문화 및 관광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와 그 너머에서 활기찬 광장, 좁은 거리, 역사적인 건물로 유명하다. 도시 전체 중심부는 보존 구역(''beschermd stadsgezicht'')이며 대부분 차량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관광 안내 사무소(VVV)는 흐로테 스타트(Grote Staat)를 내려다보는 중세 후기 법원인 딩후이스(Dinghuis)의 지하실에 위치해 있다.
- '''마스강((Maasnl))''' 주변에는 여러 공원과 산책로가 있으며, 몇 개의 흥미로운 다리가 있다.
- 성 세르바티우스 다리는 부분적으로 13세기에 지어졌으며,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다리이다.
- 호게 브뤼흐("높은 다리")는 르네 그라이쉬가 설계한 현대적인 보행자 다리이다.
- '''도시 요새'''
- 헬포르트("지옥의 문")는 1230년경에 건설되었으며,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문이다.
- 호게 프론텐(또는: 뒤 물랭의 라인)은 17세기와 18세기 요새의 잔해이다.
- 생 피터 산 측면에 있는 18세기 초 요새인 생 피터 요새는 가이드 투어와 도시의 파노라마 전망을 제공한다.
- 카세마트는 대포와 총을 위한 보호된 진지로 건설된 지하 터널 네트워크로, 가이드 투어가 가능하다.
- '''비넨스타트'''는 도심 보행자 구역으로, 쇼핑 거리와 브리트호프, 온제 리브라우에플레인, 마르크트 등 세 개의 주요 광장이 있다.
- '''위크'''는 마스강 오른쪽 제방에 있는 오래된 구역이다.
- 성 마틴 교회는 피에르 쿠이퍼스가 1856년에 설계한 고딕 리바이벌 교회이다.
- 스테이션스트라트와 위커 브뤼흐스트라트는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건물이 대부분인 우아한 거리이며, 동쪽 끝에는 1913년부터 마스트리흐트 기차역이 있다.
- '''세라미크'''는 이전 소시에테 세라미크 도자기 공장 부지에 있는 현대적인 이웃이다.
- 위벤가할은 1912년부터 네덜란드의 모더니스트 건축의 초기 사례이다.
- 라 포르테자는 마리오 보타의 붉은 벽돌 사무실 및 아파트 건물이다.
- 지아 타워는 알바로 시자 비에이라의 아연과 흰색 대리석으로 덮인 주거용 타워이다.
- '''신트-피터스베르흐'''("생 피터 산")는 도시 남쪽에 있는 완만한 언덕이자 자연 보호 구역이다.
- 마스트리흐트 동굴은 석회암 채석장의 인공 터널("동굴") 네트워크로, 가이드 투어가 가능하다.
- ENCI 채석장은 여러 호수가 있는 이전의 채석장 및 자연 보호 구역이다.
- 리히텐베르흐는 폐허가 된 중세 성채와 인접한 18세기 농가이다.
- 드 노bservant ("관찰자")는 인공 언덕이며, 현재 자연 보호 구역이다.
앙트르 듀는 여러 국제 상을 수상한 포스트모던 스타일로 재건된 쇼핑 센터이다.[28] 13세기 도미니크 교회의 일부였던 서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2008년 영국 신문 ''가디언''은 이곳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점으로 선언했다.[29]
6. 1. 문화 유산
마스트리흐트는 네덜란드에서 활기찬 광장, 좁은 거리, 역사적인 건물로 유명하며, 특히 1,677개의 국가 유산 건물(''rijksmonumenten'')은 암스테르담을 제외하고 네덜란드 도시 중 가장 많다.- 도시 성벽:
- 13세기 및 14세기에 건설된 최초 및 두 번째 중세 성벽의 잔해와 여러 개의 탑이 남아있다.
- 헬포르트(지옥의 문)는 1230년경에 건설된 두 개의 탑이 있는 인상적인 문으로,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문이다.
- 위커 워터포르트는 마스강에서 도시로 접근하는 데 사용되었던 위크(Wyck)의 중세 문으로, 19세기에 철거되었다가 재건되었다.
- 예케르콰르티에르: 작은 강 예케르의 이름을 딴 이웃으로, 서쪽 부분은 대학 건물과 (공연) 예술 학교가 있는 마스트리흐트 라틴 지구로 불린다.
- 13세기 최초의 프란체스코 수도원을 포함한 여러 교회와 수도원이 있다.
- 흐로테 루이러스트라트("대 가죽 세공인의 거리")에는 우아한 집, 도시의 빈민 구호원 (현재 대학 도서관의 일부) 및 전형적인 네덜란드 호프제인 신트-마르텐스호프제가 있다.
- 콤멜콰르티에르, 스타텐콰르티에르 및 보슈트라트콰르티에르: 여러 수도원, 대학 건물 및 산업 유산 건물이 있는 세 개의 비교적 조용한 도심 이웃이다.
- 십자 수도원은 잘 보존된 고딕 양식의 수도원으로, 현재 5성급 호텔이다.
- 신트-마티아스케르크는 성 마태에게 헌정된 14세기 교구 교회이다.
- 신트-피터스베르흐("생 피터 산"): 도시 남쪽에 있는 완만한 언덕이자 자연 보호 구역으로, 주요 휴양지이자 전망대 역할을 한다.
- 슬라반테는 19세기 이전의 신사 클럽으로, 프란체스코 수도원 부지에 있었으며 현재 인기 있는 휴식 장소로, 마스 계곡의 파노라마 전망을 제공한다.
- 위크: 마스강의 오른쪽 제방에 있는 오래된 구역.
- 레흐트스트라트와 호흐브뤼흐스트라트는 위크에서 가장 오래된 거리로, 많은 역사적인 건물과 전문점, 미술관 및 레스토랑이 있다.
- '''브리트호프''': 마스트리흐트에서 가장 크고 잘 알려진 광장으로, 많은 펍과 레스토랑이 있다.
- 성 세르바티우스 성당은 주로 로마네스크 양식의 교회로, 인상적인 웨스트워크와 중요한 12세기와 13세기 조각품이 있다. 성 세르바티우스의 무덤은 기독교 순례의 인기 있는 장소이며, 교회에는 중요한 교회 보물이 있다.
- 성 얀스케르크는 1632년부터 도시의 주요 개신교 교회로, 성 세르바티우스 성당 옆에 위치한 성 요한 세례자에게 헌정된 고딕 양식의 교회이며, 붉게 칠해진 독특한 석회암 탑이 있다.
- '''온제 리브라우에플레인''': 여러 노상 카페가 있는 나무가 늘어선 광장.
- 성모 교회는 부분적으로 11세기에 지어진 교회로, 네덜란드에서 가장 중요한 로마네스크 양식 건물 중 하나이며, 인상적인 모잔 웨스트워크와 중요한 교회 보물이 있다.
- '''마르크트''': 도시의 역사적인 시장 광장.
- 시청은 피터 포스트가 17세기에 지었으며 네덜란드 바로크 건축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로 간주된다.
- '''세라미크''': 이전 소시에테 세라미크 도자기 공장 부지에 있는 현대적인 이웃.
- 보네판텐 미술관은 알도 로시의 작품으로, 랜드마크 로켓 모양의 타워가 특징이다.
- 세트르 세라미크는 요 코넨의 공공 도서관 및 전시 공간이다.
6. 2. 박물관 및 미술관
- 본네판텐 미술관은 림부르크주에서 고대 거장 및 현대 미술을 대표하는 미술관이다. 소장품에는 중세 조각상(성 안나와 아기 예수를 안고 있는 성모 마리아), 초기 이탈리아 회화(조반니 델 비온도,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 야코포 델 카젠티노, 사노 디 피에트로, 피에트로 넬리), 남부 네덜란드 및 독일 르네상스 회화(콜린 드 코터, 로엘란트 사베리, 피터 쿠에케 반 알스트, 피터 브뤼헐 더 영거, 루카스 크라나흐 더 에더), 현대 미술(솔 르윗, 로버트 망골드, 리처드 세라, 루치아노 파브로, 마르셀 브로드타에르스, 요제프 보이스, 네오 라우흐, 길버트 & 조지, 피터 도이그, 게리 흄, 그레이슨 페리, 뤽 튀이만스, 아이 웨이웨이) 등이 있다.
- 성 세르바티우스 성당 보물관에는 4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종교 유물이 보관되어 있으며, 특히 성 세르바티우스와 관련된 유물이 많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성물함, 성 세르바티우스의 열쇠와 주교 지팡이, 그리고 파르마 공작 알렉산더가 기증한 유물 흉상이 있다.
- 성모 마리아 대성당 보물관에는 중세 시대부터 그 이후 시대까지의 종교 예술품, 직물, 성물함, 전례 용기 및 기타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 데를론 박물관켈더는 호텔 지하에 보존된 고고학 유적지로, 로마 시대와 로마 이전 시대의 유물이 있다.
- 마스트리흐트 자연사 박물관은 림부르크의 지질학, 고생물학, 식물상 및 동물상과 관련된 소장품을 전시한다. 소장품의 하이라이트로는 생 피에르 산의 채석장에서 발견된 모사사우루스 뼈대 조각들이 있다.
- 프리트호프 사진 박물관은 16세기 스페인 정부 건물에 위치한 지역 사진 박물관으로, 시대별 방과 사진 작가의 임시 전시회를 개최한다.
- 본네판텐 미술관은 이 지역의 고고학 자료, 중세 회화와 현대 미술을 전시하고 있다. 구시가지에서 마스강 건너편에 있는, 알도 로시가 설계한 건물 안에 있다.
6. 3. 행사 및 축제
- 마스트리흐트 대학교의 개교 기념일인 ''디에스 나탈리스''(Dies natalis)에는 명예 학위 수여식이 열리는 성 요한 교회로 대학 교수진의 행렬이 이어진다. (1월 9일)[1]
- 카니발(마스트리흐트 방언: ''바스텔라오벤트''(Vastelaovend))는 네덜란드 남부에서 열리는 전통적인 3일간의 축제이다. 마스트리흐트에서는 주로 야외에서 전형적인 ''자테 헤르레메니''(Zaate Herremenie)와 함께 열린다. (2월/3월)[1]
- 유럽 미술 박람회(TEFAF)는 세계 최고의 미술 및 골동품 박람회이다. (3월)[1]
- 타투 엑스포 마스트리흐트는 연례 국제 타투 전시회이다. (3월)[1]
- 암스텔 골드 레이스는 마스트리흐트에서 출발하는 국제 사이클 대회이다. (보통 4월)[1]
- 쿤스트투어(KunstTour)는 연례 미술 축제이다. (5월)[1]
- 유럽 모델 유엔 (EuroMUN)은 연례 국제 회의이다. (5월)[1]
- ''스타드 프로세시''('Stadsprocessie')는 성 토게렌의 세르바티우스와 다른 지역 성인의 유물을 모시고 하는 종교적 행렬이다. (5월 13일 이후 첫 번째 일요일)[1]
- 유물 순례(네덜란드어: ''헤일링돔스바르트''Heiligdomsvaart)는 중세 시대부터 시작된 유물 전시 및 행렬을 포함하는 기독교 순례이다. (5월/6월, 7년에 한 번, 다음: 2025년)[1]
- 거인 행렬 (네덜란드어: ''뢰우젠스토트''Reuzenstoet)은 주로 벨기에와 프랑스에서 온 행렬 거인의 퍼레이드이다. (6월, 5년에 한 번, 다음: 2024년)[1]
- ''마스트리흐트스 무이스테''('Maastrichts Mooiste')는 연례 달리기 및 걷기 행사이다. (6월)[1]
- 패션클래쉬는 도시 전체에서 열리는 국제 패션 행사이다. (6월)[1]
- 안드레 류와 요한 슈트라우스 오케스트라의 브라이트호프 콘서트가 열린다. (7월/8월)[1]
- ''프뢰베네멘트''('Preuvenemint')는 브라이트호프 광장에서 열리는 대규모 요리 행사이다. (8월)[1]
- ''인콤''('Inkom')은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전통적인 학년 시작 및 오리엔테이션이다. (8월)[1]
- 무지카 사크라(Musica Sacra)는 종교(클래식) 음악 축제이다. (9월)[1]
- ''네덜란드 댄스다겐''('Nederlandse Dansdagen')(네덜란드 댄스 데이)은 현대 무용 축제이다. (10월)[1]
- 재즈 마스트리흐트는 과거 예커 재즈로 알려진 재즈 축제이다. (가을)[1]
- ''11데 판 데 11데''('11de van de 11de')는 카니발 시즌의 공식 시작이다. (11월 11일)[1]
- 점핑 인도어 마스트리흐트는 국제 ''콩쿠르 에피크''(장애물 경기)이다. (11월)[1]
- 매직 마스트리흐트(''마기스 마스트리흐트''Magisch Maastricht)는 브라이트호프 광장과 도시 전역의 다른 장소에서 열리는 겨울 테마의 유원지와 크리스마스 마켓이다. (12월/1월)[1]
- 마스트리흐트 전시 및 컨벤션 센터(MECC)는 연중 많은 행사를 주최한다.[1]
6. 4. 자연



마스트리흐트에는 여러 도시 공원과 레크리에이션 구역이 있다.[30]
- 시립공원(Stadspark)은 마스트리흐트의 주요 공원으로, 19세기에 조성된 부분과 중세 시대 성벽의 잔해, 예커강 지류, 작은 동물원, 여러 공공 조각상(예: 알덴호프 공원(Aldenhofpark)에 있는 달타냥 동상)이 있다. 시립공원의 확장 구역으로는 켐플란드(Kempland), 헨리 헤르만스파크(Henri Hermanspark), 몽세뇨르 놀렌스파크(Monseigneur Nolenspark), 발데크파크(Waldeckpark) 등이 있다. 2014년부터는 구 타피인 군사 기지 부지가 점차 공원에 추가될 예정이다.
- 예커 공원(Jekerpark)은 예커 강을 따라 조성된 새로운 공원으로, 시립공원과는 번잡한 도로로 분리되어 있다.
- 프론텐공원(Frontenpark)은 도심 서쪽에 있는 새로운 공원으로,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마스트리흐트의 요새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 찰스 에이크 공원(Charles Eykpark)은 1990년대 후반 스웨덴의 조경 건축가 군나르 마틴손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대중 도서관과 본네판텐 미술관 사이에 위치한 뫼즈 강 동쪽 제방에 있는 현대식 공원이다.
- 그리엔트 공원(Griendpark)은 강 동쪽 제방에 있는 현대식 공원으로, 인라인 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코스가 있다.
- 동마스트리흐트의 게셀트공원(Geusseltpark)과 서마스트리흐트의 J.J. 반 데 베네파크(J.J. van de Vennepark)는 모두 정교한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7. 스포츠
- 축구에서 마스트리흐트는 MVV 마스트리흐트(네덜란드어: ''Maatschappelijke Voetbal Vereniging Maastricht'')가 대표하며, (2016-2017 시즌 기준) 네덜란드 국내 리그의 1부 리그(에레디비시)에서 활동한다. MVV의 홈구장은 A2 고속도로 근처의 호설트 경기장이다.
- 마스트리흐트는 마스트리흐트 와일드캣츠, AFBN(네덜란드 미식축구 협회)의 미식축구 리그 팀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 1998년부터 마스트리흐트는 매년 열리는 유일한 네덜란드 사이클 클래식인 암스텔 골드 레이스의 전통적인 출발 지점이었다. 수년간 이 경주는 마스트리흐트에서 결승점을 통과했지만, 2002년부터는 발켄부르흐 시에서 결승점을 치렀다. 톰 뒨물린은 마스트리흐트에서 태어났다.
- 2000년부터 마스트리흐트는 라크로스 팀이 있는 네덜란드의 첫 번째 도시가 되었다. 학생 스포츠 협회 "마스락스"는 마스트리흐트 대학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NLB(네덜란드 라크로스 연맹)의 회원이다.

8. 정치
마스트리흐트의 정치에서는 시의 마약에 대한 접근 방식이 수년간 논쟁거리였다. 네덜란드 연성 마약 정책에 따라, 개인은 특정 조건하에 대마초를 '커피숍'에서 구매할 수 있다. 1980년대부터 마스트리흐트에는 벨기에, 프랑스, 독일 등 인접 국가에서 온 '마약 관광객'이 증가했다. 시 정부는 도심 내 불법 하드 드럭 판매 및 반사회적 행위를 포함한 부정적인 부작용을 줄이려고 노력했다.
2008년에는 커피숍을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자는 제안[45]이 있었으나, 일부 벨기에 인접 자치단체와 네덜란드 및 벨기에 의회에서 반대했다. 2010년 12월, 커피숍 출입을 지역 주민으로 제한하는 마스트리흐트 법은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에서 유지되었고,[46] 네덜란드 정부는 2012년에 유사한 국가 법률을 도입했다.[47] 이 새로운 시스템으로 인해 마스트리흐트 내 대마초 상점의 마약 관광은 감소했지만, 거리에서의 마약 거래는 증가했다.[48] 2018년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2012년 이후 마약 관련 불쾌 행위는 실질적으로 감소했지만, 경찰 예산 삭감으로 인해 범죄 마약 네트워크가 증가했다.[49]
8. 1. 시의회
정당 | 2014[34] | 2018[35] | 2022[36] |
---|---|---|---|
Senioren Partij Maastricht (SPM) | 6 | 5 | 5 |
기독교민주당 아펠(CDA) | 5 | 5 | 4 |
민주66(D66) | 5 | 5 | 4 |
녹색당(GroenLinks) | 4 | 5 | 4 |
노동당(PvdA) | 5 | 3 | 4 |
자유민주국민당(VVD) | 3 | 3 | 3 |
Partij Veilig Maastricht | 3 | 3 | 3 |
사회당(SP) | 5 | 3 | 2 |
동물보호당(PvdD) | – | – | 2 |
볼트(Volt) | – | – | 2 |
자유당(PVV) | – | 2 | 1 |
Liberale Partij Maastricht (LPM) | 1 | 1 | 1 |
50플러스(50+) | – | 1 | 1 |
Sociaal Actieve Burgerpartij (SAB) | – | 1 | 1 |
M:OED | – | 2 | 1 |
포럼 for 뎀크라시(FvD) | – | – | 1 |
Stadsbelangen Mestreech (SBM) | 1 | – | – |
Christelijke Volkspartij (Maastricht) | 1 | – | – |
합계 | 39 | 39 | 39 |
마스트리흐트 시 정부는 시의회, 시장, 그리고 여러 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된다. 시의회는 39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입법 기구로, 4년마다 직접 선출되며, 각 선거 이후 두 개 이상의 정당 간의 연립 협약을 바탕으로 시의원을 임명한다.
8. 2. 시장 및 시의원
시장과 시의원은 시정부의 행정부를 구성한다.헤르트 레어스(CDA)는 2002년부터 시장을 역임했으나, 불가리아의 별장 프로젝트에서 불법 행위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으로 2010년 1월 사임했다.[37] 그의 후임인 온노 후스(VVD)는 동성애자 남편과 공식적으로 결혼한 네덜란드 유일의 남성 시장이었다. 2013년 후스는 다른 여러 남성과의 친밀한 관계가 폭로되면서 논란이 되었지만, 시장직을 유지했다.[38] 2014년에 새로운 불륜이 드러난 후, 후스는 결국 사임했다.[39]
2015년 7월부터 안네마리 펜-터 스트라케가 시장이 되었다.[40] 그녀는 무소속이었지만, 그녀의 남편은 마스트리흐트 시니어 정당의 전 의장이었다.[41][42] 그녀는 수년 동안 네덜란드 사법 시스템에서 근무했으며, 시장 재임 기간 동안에도 검찰총장으로 활동했다.[43] 2023년 7월에는 Wim Hillenaar(CDA)가 시장직을 승계했다.[44]
8. 3. 대마초 정책
네덜란드 연성 마약 정책에 따라, 개인은 특정 조건 하에 대마초를 '커피숍'에서 구매할 수 있다. 1980년대부터 마스트리흐트에는 주로 인접한 벨기에, 프랑스, 독일에서 온 '마약 관광객'이 증가했다. 시 정부는 도심 내 불법 하드 드럭 판매 및 반사회적 행위를 포함한 부정적인 부작용을 줄이려고 시도했다.2008년에는 커피숍을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자는 제안[45]이 있었으나, (일부 벨기에) 인접 자치단체와 네덜란드 및 벨기에 의회에서 반대했다. 2010년 12월, 커피숍 출입을 지역 주민으로 제한하는 마스트리흐트 법은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에서 유지되었고,[46] 네덜란드 정부는 2012년에 유사한 국가 법률을 도입했다.[47] 새로운 시스템으로 인해 마스트리흐트의 대마초 상점의 마약 관광이 감소했지만, 거리에서의 마약 거래는 증가했다.[48] 2018년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연구에 따르면 2012년 이후 마약 관련 불쾌 행위가 실질적으로 감소했지만, 경찰 예산 삭감으로 인해 범죄 마약 네트워크가 증가했다.[49]
9. 교통
마스트리흐트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수상 교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도시이다.
9. 1. 도로
마스트리흐트는 A2와 A79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브뤼셀과 쾰른에서는 약 1시간, 암스테르담에서는 약 2시간 30분이면 이 도시에 도착할 수 있다.A2 고속도로는 이중 데크 터널을 통해 마스트리흐트를 통과한다. 2016년 이전에는 A2 고속도로가 시내를 통과했는데, 교통 체증이 심했고, 도심 지역의 대기 오염을 유발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2층 터널 건설은 2011년에 시작되어 2016년 12월까지 (단계적으로) 개통되었다.[50]
몇몇 대규모 지하 주차장에도 불구하고, 시내 주차장은 많은 방문객들로 인해 주말과 공휴일에 주요 문제로 작용한다. 주차 요금은 방문객들이 대중교통이나 시내에서 떨어진 환승 주차장 시설을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높게 책정되어 있다.
9. 2. 철도
마스트리흐트는 3개의 철도 운영사가 운행하며, 모든 열차가 시내 중심가 근처의 마스트리흐트 중앙역에 정차하고, 2개는 비즈니스 및 대학교 구역 근처의 마스트리흐트 란드윅에 정차한다. 2013년에 개통된 마스트리흐트 노르트에는 아리바(Arriva)만이 정차한다. 암스테르담, 아인트호벤, 덴 보스, 위트레흐트 방면으로 가는 인터시티 열차는 네덜란드 철도공사에서 운행한다. 헤를렌, 발켄부르흐, 케르크라데로 가는 노선은 아리바에서 운영한다. 벨기에 국철은 벨기에의 리에주 방면으로 운행한다. 하셀트 (벨기에)로 가는 서쪽 철도는 1954년에 폐쇄되었다. 아헨으로 가는 이전 철도는 1980년대에 폐쇄되었지만, 헤를렌을 통해 갈 수 있다.[1]네덜란드 철도의 마스트리흐트역은 네덜란드 간선 철도 노선망의 최남단 주요 역이다. 주요 노선의 열차는 다음과 같다.[1]
운행사 | 종류 | 노선 | 빈도 |
---|---|---|---|
네덜란드 철도공사 | 인터시티 | 위트레흐트, 암스테르담 중앙역 경유 알크마르행 | 1시간에 2대 |
아리바 | 각역정차(Stoptrein) | 시타르트행 | 1시간에 2대 |
아리바 | 각역정차(Stoptrein) | 헤를렌행 | 1시간에 2대 |
아리바 | 급행(Sneltrein; RE) | 헤를렌 경유 아헨행 | 1시간에 2대, 이 중 1대는 헤를렌 종착 |
벨기에 국철 | 로컬 열차 | 벨기에의 리에주 경유 (토, 일, 공휴일은 리에주-기유맹 종착) 하셀트행 | 1시간에 1대 |
그 외에 마스트리흐트 란트윅역(Maastricht Randwyck)과 마스트리흐트 북역(Maastricht-Noord)도 있다.[1]
9. 3. 버스
정규 버스 노선은 시내, 외곽 지역, 상업 지구 및 기차역을 연결한다. 지역 아리바 버스 네트워크는 남부 림뷔르흐 대부분 지역과 아헨(독일)까지 확장된다. 데 라인의 지역 버스는 마스트리흐트와 하셀트, 통에렌 및 마스메헬렌을 연결하며, 소시에테 레지오날 발론 뒤 트랜스포트(TEC)가 운영하는 버스 한 대가 마스트리흐트와 리에주를 연결한다. 플릭스버스 및 유로라인스와 같은 다양한 버스 회사는 마스트리흐트에서 여러 유럽 목적지로 가는 시외 버스를 제공한다.9. 4. 항공
마스트리흐트 아헨 공항(MST, EHBK)은 베이크 인근에 있어, 비공식적으로 이 공항을 지칭하기도 한다. 시내 중심에서 북쪽으로 약 10km 떨어져 있다. 코렌돈 더치 항공과 라이언에어가 운항하며 지중해, 카나리아 제도, 북아프리카 주변 목적지로 가는 정기 항공편과 2022년 3월부터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으로 운항한다. 엔터 에어가 운항하는 루르드행 전세 항공편도 있다.[1]9. 5. 수상 교통
마스트리흐트에는 강 항구(Beatrixhaven)가 있으며, 뫼즈강, 율리아나 운하, 알베르트 운하, 주이드-빌렘스바르트를 통해 벨기에 및 네덜란드 전역과 물길로 연결되어 있다. 다른 도시로 가는 정기적인 배편은 없지만, 다양한 관광객 대상의 유람선이 마스트리흐트와 리에주와 같은 벨기에 도시를 연결한다.10. 교육
- 베르나르트 리브고드스쿨 (인간지학 교육)
- 본네판텐컬리지
- 포르타 모사나 컬리지
- 생트 마르텐스컬리지
- 마스트리흐트 연합 세계 대학(United World College Maastricht)
-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Universiteit Maastricht|위니베르시테이트 마스트리흐트nl 또는 UM)
- *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칼리지
- * 마스트리흐트 경영대학원(2022년 UM과 통합)
- 자위트 응용과학 대학교 (Hogeschool Zuyd|호허스홀 자위트nl, 시타르트 및 헤를렌에도 부서가 있음)
- * 마스트리흐트 연극 아카데미 (Toneelacademie Maastricht|토넬아카데미 마스트리흐트nl)
- * 마스트리흐트 미술 아카데미 (Academie Beeldende Kunsten Maastricht|아카데미 벨덴더 퀸스터 마스트리흐트nl)
- * 마스트리흐트 음악 아카데미 (Conservatorium Maastricht|콘세르바토리엄 마스트리흐트nl)
- * 건축 아카데미
- * 국제 비즈니스 및 커뮤니케이션 학부
- * 마스트리흐트 호텔 경영 학교
- 테이쿄 대학교 (마스트리흐트 캠퍼스는 2007년에 폐쇄)
- 얀 반 에이크 아카데미 - 포스트 아카데미 예술 연구소
- 베를리츠 어학원 마스트리흐트
- Talenacademie Nederland
1976년에 설립된 마스트리흐트 대학교는 구 시가지 중심부와 시가지 남부 마스트리흐트 란도윅역 주변의 2곳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학생 수는 약 11,500명이다. 또한, 남부 고등 전문 학교의 캠퍼스 일부가 마스트리흐트에 위치해 있다.
11. 국제 관계
마스트리흐트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결연을 맺고 있다.
도시 | 국가 |
---|---|
청두 | 成都|청두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2012년부터) |
엘 라마 | El Rama|엘 라마es (니카라과) |
코블렌츠 | Koblenz|코블렌츠de (독일) |
리에주 | Liège|리에주프랑스어 (벨기에) |
12. 출신 인물




- 앙드레 류 (1949년 출생) -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 및 작곡가[1]



- 장-외젠-샤를 알베르티 (1777–1843 이후) - 화가[1]
- 앙리 아렌츠 (1921–1993) - 지휘자[1]
- 도리스 바텐 (1956년 출생) - 성우[1]
- 헤라르트 베르골츠 (1939년 출생) - 축구 선수[1]
- 미케 데 부어 (1980년 출생) - 여성 다트 선수[1]
- 알폰스 부스턴 (1893–1951) - 건축가[1]
- 테오 보벤스 (1959년 출생) - 정치인[1]
- 조셉 브뤼이에르 (1948년 출생) - 벨기에 사이클 선수[1]
- 유 반 분 (1918–2002) - 축구 선수[1]
- 장-밥티스트 코클레르 (1696–1772) - 화가[1]
- 루이 베르나르 코클레르 (1740–1817) - 화가[1]
- 빌헬름 르네 드 롬 드 쿠르비에르 (1733–1811) - 프로이센 원수[1]
- 로빈 프리인스 (1991년 출생) - 레이싱 드라이버[1]
- 헨드릭 프롬안티유 (1633/4 – 1693년 이후) - 정물 화가[1]
- 욥 하엑스 (1911–2002) - 정치인[1]
- 앙드레 앙리 콘스탕 반 하셀트 (1806–1874) - 프랑스어 작가이자 시인[1]
- 위베르 헤르만스 (1937년 출생) - 심리학자이자 대화적 자아 이론 창시자[1]
- 피터 반 덴 호헨반트 (1978년 출생) - 수영 선수이자 올림픽 3관왕[1]
- 피에르 켐프 (1886–1967) - 시인[1]
- 스헹 케르부시 (1947–1991) - 행동 유전학자[1]
- 마티외 케셀스 (1784–1836) - 조각가[1]
- 마스트리흐트의 람베르투스 - 주교, 성인[1]
- 마리-루이즈 린센-바에센 (1928–1993) - 자유형 수영 선수[1]
- 에릭 판 데르 뤼어 (1965년 출생) - 축구 선수, 축구 감독[1]
- 피에르 리오네 (1708–1789) - 박물학자, 암호 해독가, 조각가[1]
- 펠릭스 드 메로드 (1791–1857) - 정치인, 작가[1]
- 다비드 드 메이네 (1569–1620) - 화가이자 지도 제작자[1]
- 안드레아스 빅토르 미힐스 (1797–1849) -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군 및 행정 장교[1]
- 브람 모슈코비츠 (1960년 출생) - 전 변호사[1]
- 베니 네이만 (1951–2008) - 대중가요 가수[1]
- 톰 나이센 (1964년 출생) - 테니스 선수[1]
- 자크 오흐 (1948년 출생) - 하프시코드 연주자[1]
- 얀 페우만스 (1951년 출생) - 벨기에 정치인[1]
- 귀도 피터르스 (1948년 출생) - 영화 감독[1]
- 딕 라아예메이커스 (1930–2013) - 작곡가, 연극 제작자[1]
- 프린스 라즈코마르 (1985년 출생) - 축구 선수[1]
- 루이 레고트 (1861–1915) - 정치인[1]
- 프레드 롬펠베르흐 (1945년 출생) - 사이클 선수, 전 세계 기록 보유자[1]
- 루이 루트겐 (1884–1946) - 네덜란드 지질학자[1]
- 앙리 사롤레아 (1844–1900) - 철도 사업가 및 계약자[1]
- 브라이언 스메츠 (1992년 출생) - 축구 선수[1]
- 위베르 수당 (1946년 출생) - 지휘자[1]
- 자크 P. 테이스 (1865–1945) - 식물학자, 환경 운동가[1]
- 제르메인 티센스-발렌틴 (1902–1987) - 피아니스트[1]
- 아드 반 티겔렌 (1958년 출생) - 판타지 작가 에이드리언 스톤(Adrian Stone)[1]
- 프란스 티메르만스 (1961년 출생) - 정치인[1]
- 요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티슈바인 (1750–1812) - 초상화가[1]
- 막시메 페르하겐 (1956년 출생) - 정치인[1]
- 카렐 데 보겔라르 (1653–1695) - 화가[1]
- 위베르 보스 (1855–1935) - 화가[1]
- 아드 와이나안스 (1959년 출생) - 사이클 선수, 투르 드 프랑스 스테이지 우승자[1]
- 예룬 빌렘스 (1962–2012) - 배우, 가수[1]
- 헨리 윙켈만 (1876–1952) - 장군[1]
- 대니 윈트옌스 (1983년 출생) - 축구 골키퍼[1]
- 보데바인 젠덴 (1976년 출생) - 축구 선수[1]
- 킴 스바르츠 (1955년 출생) - 사진 작가[1]
- 윌리 브로캄프 (1946년 출생) - 축구 선수[1]
- 예룬 브라우어르스 (1940–2022) - 작가, 저널리스트[1]
- 마스트리흐트의 곤돌프 (524년경–607년경) - 주교, 성인[1]
- 테오 히데마 (1944년 출생) - 변호사[1]
- 빌렘 호프휘젠 (1915–1986) - 화가[1]
- 마스트리흐트의 모눌프 (6세기) - 주교, 성인[1]
- 막스 모스kowicz (1926–2022) - 변호사[1]
- 얀 판 스테페스베르트 (15/16세기) - 조각가, 목각가[1]
- 아르트 판 트릭트 (15/16세기) - 금속 주조공[1]
- 헨릭 판 펠데케 (12세기) - 시인, 성인전 작가[1]
참조
[1]
웹사이트
Mrs. Annemarie Penn-te Strake
http://www.gemeentem[...]
Gemeente Maastricht
2013-10-12
[2]
문서
Dutch municipality total area
[3]
웹사이트
Postcodetool for 6211DW
http://www.ahn.nl/po[...]
Het Waterschapshuis
2013-10-12
[4]
문서
Dutch municipality population
[5]
문서
Dutch municipality population urbanmetro
[6]
문서
Including the Belgian municipalities of [[Lanaken]], [[Riemst]] and [[Maasmechelen]] to the west and [[Visé]] to the south.
[7]
문서
Basically, the metropolitan areas of Maastricht, [[Liège]], Hasselt-Genk, Sittard-Geleen, Heerlen-Kerkrade and Aachen-Düren constitute the densely populated urban core of the [[Meuse–Rhine Euroregion]].
[8]
웹사이트
Maastricht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4-04
[9]
Encyclopedia
Maastricht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Maastricht
Merriam-Webster
2019-04-04
[11]
웹사이트
Zicht op Maastricht
http://www.zichtopma[...]
zichtopmaastricht.nl
2012-08-19
[12]
뉴스
The Economist ''Charlemagne: Return to Maastricht'' Oct 8th 2011
http://www.economist[...]
Economist.com
2011-10-08
[13]
웹사이트
As ''Treiectinsem urbem'', "the city of Trajectum", in [[Gregory of Tours]], [http://www.thelatinlibrary.com/gregorytours/gregorytours2.shtml ''Historia Francorum'', 2, 5]
2015-03-16
[14]
문서
M. Gysseling, ''Toponymisch Woordenboek van België, Nederland, Luxemburg, Noord-Frankrijk en West-Duitsland (vóór 1226)'' (Tongeren, 1960) [http://bouwstoffen.kantl.be/tw/facsimile/?find=maastricht p. 646].
[15]
서적
Christendom and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s: The Relations Between Religion, Church,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6]
문서
About 77% of Maastricht's relatively small Jewish community of 505 members did not survive the war. {{aut|P.J.H. Ubachs & I.M.H. Evers}} (2005): ''Historische Encyclopedie Maastricht'', pp. 256-257. Walburg Pers, Zutphen. {{ISBN|90-5730-399-X}}.
[17]
간행물
European union after Minsk and Maastricht
1992
[18]
웹사이트
Coffee Corner: Dagblad de Limburger
http://www.limburger[...]
Limburger.nl
2012-05-23
[19]
웹사이트
Klimaatviewer
https://www.knmi.nl/[...]
Royal Netherlands Meteorological Institute
2023-01-12
[20]
웹사이트
Daggegevens van het weer in Nederland
https://www.knmi.nl/[...]
Royal Netherlands Meteorological Institute
2023-01-12
[21]
웹사이트
Climatologie de l'année à Maastricht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16
[22]
간행물
Bevolking; geslacht, leeftijd, nationaliteit en regio, 1 januari ''(in Dutch)''
http://statline.cbs.[...]
Centraal Bureau voor de Statistiek
2014-10-24
[23]
간행물
Bevolking op 1 januari; leeftijd, geboorteland en regio ''(in Dutch)''
http://statline.cbs.[...]
Centraal Bureau voor de Statistiek
2013-07-17
[24]
웹사이트
The dialect of Maastricht
http://www.let.kun.n[...]
University of Nijmegen, Centre for Language Studies
2009-07-12
[25]
서적
Maastricht, Maestricht, Mestreech
https://books.google[...]
Uitgeverij Verloren
2012-02-11
[26]
웹사이트
Kerkelijkheid en kerkbezoek, 2010/2013
https://www.cbs.nl/n[...]
Centraal Bureau voor de Statistiek
[27]
문서
'[https://www.cbs.nl/nl-nl/maatwerk/2015/20/religie-en-kerkbezoek-naar-gemeente-2010-2014 ''Religie en kerkbezoek naar gemeente 2010-2014''], on website ''cbs.nl'', 13 May 2015 (download Excel file).
[28]
웹사이트
Entre Deux
http://www.entredeux[...]
Entredeux.nl
2012-05-23
[29]
뉴스
Top shelves
https://www.theguard[...]
2008-03-03
[30]
웹사이트
Category:Parks in Maastricht -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31]
웹사이트
Category:Meuse River in Maastricht -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32]
웹사이트
Category:Sint Pietersberg -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33]
웹사이트
Category:Dousberg -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34]
웹사이트
Maastricht municipal election 2014
https://www.verkiezi[...]
2024-04-28
[35]
웹사이트
Maastricht municipal election 2018
https://www.verkiezi[...]
2024-04-28
[36]
웹사이트
Maastricht municipal election 2022
https://www.verkiezi[...]
2024-04-28
[37]
뉴스
Maastrichtse burgemeester Leers stapt op
http://www.nu.nl/pol[...]
2010-01-14
[38]
웹사이트
Onno Hoes mag blijven
https://www.telegraa[...]
2013-12-19
[39]
간행물
Maastricht mayor Hoes resigns amidst sex smear campaign
http://www.nltimes.n[...]
NL Times
2014-12-10
[40]
웹사이트
Annemarie Penn geïnstalleerd als burgemeester Maastricht
http://www.1limburg.[...]
2015-07-01
[41]
웹사이트
Olaf Penn stopt bij Senioren Partij Maastricht
https://www.1limburg[...]
2015-04-23
[42]
웹사이트
Annemarie Penn nieuwe burgemeester Maastricht - NU - Het laatste nieuws het eerst op NU.nl
http://www.nu.nl/bin[...]
2015-04-23
[43]
웹사이트
Mr. J.M. Penn-te Strake - Openbaar Ministerie
https://www.om.nl/or[...]
2015-07-03
[44]
웹사이트
Benoeming burgemeester Maastricht
https://archief28.si[...]
2024-04-28
[45]
뉴스
Cannabis Cafes Get Nudge to Fringes of a Dutch City
https://www.nytimes.[...]
2006-08-20
[46]
웹사이트
Marc Michel Josemans v. Burgemeester van Maastricht, case C‑137/09
http://curia.europa.[...]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2010-12-16
[47]
웹사이트
Weed pass sparks new problems
http://www.rnw.nl/en[...]
[48]
뉴스
Vier Limburgse steden in landelijke top 6 qua drugsoverlast'
https://web.archive.[...]
2017-07-24
[49]
뉴스
Meer zicht krijgen op georganiseerde drugsnetwerken
https://web.archive.[...]
2018-10-04
[50]
웹사이트
A2maastricht.nl - Homepage A2 Maastricht
[5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Maastricht: Maastrichts Volkslied
http://www.maastrich[...]
N.A. Maastricht
[52]
웹인용
Klimaatviewer
https://www.knmi.nl/[...]
네덜란드 왕립 기상연구소
2023-01-12
[53]
웹인용
Daggegevens van het weer in Nederland
https://www.knmi.nl/[...]
네덜란드 왕립 기상연구소
2023-01-12
[54]
웹인용
Climatologie de l'année à Maastricht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