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율리아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아누스는 33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난 로마 황제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이복동생의 아들이었다. 그는 기독교 신앙으로 자랐으나, 네오플라토니즘 철학을 공부하며 이교로 개종했다. 355년 카이사르로 임명되어 갈리아에서 게르만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360년에는 군대에 의해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었다. 이후 콘스탄티우스 2세와 대립하다가 황제가 되었고, 기독교 우대 정책을 폐지하고 전통 신앙 부흥을 시도했다. 363년 사산조 페르시아 원정 중 사망하면서 로마의 종교 정책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그는 사후 앙카라에 기둥이 세워질 정도로 숭배받았으며, 다양한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63년 사망 - 장현정
    장현정은 오호십육국시대 전량의 군주로, 어린 나이에 옹립되어 권신들에게 휘둘리다 장천석에게 살해당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연호를 사용하고 전진에 복속되기도 했다.
  • 331년 출생 - 요양
    요양은 후조 장군 요익중의 아들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후조 혼란기에 활약하고 동진에 귀순했으나, 결국 배반하여 독자 세력을 형성했으나 전진과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세력은 동생 요장에 의해 계승되어 후진 건국으로 이어졌다.
  • 331년 출생 - 요장
    요장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에 강족 출신으로 후진을 건국한 군주이며, 전진의 장군으로 공을 세웠으나 반란을 일으켜 후진을 건국하고 장안을 점령하여 황제에 즉위했지만 재위 기간 동안 불안정한 통치를 이어갔다.
율리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금화, 오른쪽을 향하고 수염을 기르고 머리에 장식을 한 남자. 가장자리의 텍스트는 시계 방향으로 FL CL IVLIANVS P F AVG라고 쓰여 있음.
안티오키아에서 주조된 솔리두스의 율리아누스.
율리아누스 }}.}}
이름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로마자 표기Flavius Claudius Iulianus
별칭아포스타타
출생일331년
출생지콘스탄티노폴리스, 로마 제국
사망일363년 6월 26일 (향년 31–32세)
사망지사마라, 메소포타미아, 사산 제국
매장지타르수스, 이후 신성 사도 교회
배우자헬레나 (355년 결혼, 360년 사망)
아버지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어머니바실리나
종교헬레니즘 종교, 이전에는 기독교
로마 황제
즉위361년 11월 3일 – 363년 6월 26일 (360년 2월에 선포)
유형아우구스투스
선임자콘스탄티우스 2세
후임자요비아누스
부제 재위355년 11월 6일 – 360년
부제 유형카이사르
왕조
왕조콘스탄티누스 왕조
기타
군주호로마 황제
로마자 표기Flavius Claudius Julianus
전체 이름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황제 호칭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2. 생애

331년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출생한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조카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재건 이후 태어난 최초의 황족이었다.[6] 그의 아버지는 콘스탄티누스의 이복 동생인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였고, 어머니는 비티니아 귀족 바실리나였다.[6] 율리아누스는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기독교 신앙으로 자랐다.[6]



337년 콘스탄티누스 사후, 율리아누스의 사촌인 콘스탄티우스 2세는 율리아누스의 가까운 친척 대부분을 학살했다.[9] 율리아누스와 그의 이복형제 콘스탄티우스 갈루스만이 살아남아 엄격한 감시 속에 기독교 교육을 받았다.[9]

율리아누스는 비티니아에서 외할머니의 손에서 자랐고, 일곱 살 때에는 니코메디아 주교 에우세비우스의 후견을 받았다.[10] 342년 에우세비우스가 사망한 후, 율리아누스와 갈루스는 카파도키아의 마켈룸에 있는 황실 영지로 옮겨졌다.[10] 18세에 유배가 해제된 후,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니코메디아에 거주하며 기독교 교회의 렉토르가 되었다.[10]

율리아누스는 20세 무렵 기독교에서 이교로 개종했다.[11] 351년 소아시아에서 네오플라토니즘 연구를 시작했고, 에페소스의 막시무스를 스승으로 삼았다.[12]

354년 갈루스가 처형된 후, 율리아누스는 메디오라눔(밀라노)의 콘스탄티우스 궁정으로 소환되어 1년 동안 구금되었다.[13] 에우세비아 황후의 도움으로 무죄가 밝혀진 후, 아테네에서 공부하며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와 카이사레아의 바실을 알게 되었다.[13]

360년 율리아누스는 갈리아에서 야만족과 대처하고 있을 때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샤푸르 2세메소포타미아를 침범하여 아미다를 함락시켰다. 콘스탄티우스 2세는 율리아누스에게 갈리아 병력을 차출해 동부 전선으로 보내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에 반발한 율리아누스의 군대는 360년 2월 율리아누스를 루테티아에서 황제(''Augustus'')로 추대했다.

361년 7월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 2세와의 대결을 위해 동방으로 진군했다. 같은 해 11월 3일 콘스탄티우스 2세가 갑작스럽게 죽으면서 율리아누스가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363년 율리아누스는 사산조 페르시아 원정을 떠났다. 안티오키아에서 9만 명의 병력을 모아 진군하였으나, 크테시폰에서 사산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여 퇴각을 결정하였다. 퇴각 중 6월 26일 적의 창에 맞아 사망했다.[187] 율리아누스의 죽음으로 로마의 페르시아 원정은 실패했고, 후임으로 요비아누스가 황제로 세워졌다.[188]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 경로는 다음과 같다.

순서날짜내용
1363년 3월 5일안티오키아 출발, 8만~9만 명의 병력[179]
2아르메니아 왕 아르사케스에게 식량과 원군 제공 지시
3히에라폴리스에서 보급 체제 확인 후 유프라테스 강 건너 메소포타미아 진입[180]
4칼라에에서 프로코피우스와 세바스티아누스에게 3만 명의 병력 맡겨 메디아 정복 명령[181]
5본대는 유프라테스 강 연안 칼리니쿰으로 향하여 함대와 합류 (약 1,000척의 배, 식량, 무기, 공성 병기, 부교용 평저선)[182]
6키르케시움에서 하부르 강 건너 유프라테스 강 따라 하류로 이동
7두라-유로포스, 아나타, 티르타, 아카이아카라, 바락스말카, 디아키라, 오조갈다나 등 경유[182]
8피리사보라 함락 후 운하 나할말카 도착[183]
9트라야누스가 배를 운반했던 경로 열고 유프라테스 강에서 티그리스 강으로 배 이동[184]
10크테시폰 근교 전투 승리, 그러나 점령 실패[185]
11티그리스 강에서 남하 예정이었던 원군 미도착, 샤푸르 2세 군대 접근으로 함대 불태우고 철수[186]
126월 26일적 공격 대응 지휘 중 투창에 맞아 진중에서 사망[187]



새 황제 요비아누스는 후퇴로 확보를 위해 샤푸르와 강화했다.[18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331년 ~ 355년)

331년 비잔티움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이복동생인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어머니는 그의 두 번째 부인 바실리나였다. 그의 친할아버지는 황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이고 할머니는 그의 두 번째 부인이자 막시미아누스의 딸인 테오도라였다.[6]

337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죽자 그 혼란 속에서 콘스탄티누스 일가에 대한 대학살이 일어났는데, 이는 율리아누스의 사촌 형인 콘스탄티우스 2세가 자신의 권력을 확고히 하기 위해 뒤에서 조종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와 테오도라 사이에서 태어난 혈통은 거의 몰살당했는데, 콘스탄티누스 왕가에서 남은 사람은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 삼 형제와 율리아누스(당시 6살), 그리고 율리아누스의 사촌인 갈루스 부제(당시 12살)뿐이었다.[9]

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 삼 형제에 의해 3등분되었고, 콘스탄티우스 2세는 살아남은 갈루스와 율리아누스에게 엄격한 아리우스 기독교 교육을 시키며 감시했다.

처음에 율리아누스는 비티니아에서 외할머니의 손에서 자랐고, 일곱 살 때에는 아리우스주의자 유세비우스에게 교육을 받았으며, 고트족 출신 노예 마드니우스에게서 호메로스같은 그리스 고전을 배웠다.[10]

342년 유세비우스가 사망한 후, 율리아누스와 갈루스는 모두 카파도키아(Cappadocia)의 황실 영지로 옮겨졌다. 여기서 율리아누스는 기독교 주교인 카파도키아의 조지를 만났고, 그는 율리아누스에게 고전 전통의 책들을 빌려주었다. 18세에 유배가 해제되었고, 그는 잠시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니코메디아에 거주했다. 그는 기독교 교회의 하급 직책인 렉토르가 되었고, 그의 후기 저술은 성경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보여준다.[131]

율리아누스는 351년 소아시아에서 네오플라토니즘 연구를 시작했다. 율리아누스는 에우세비우스로부터 에페소스의 막시무스의 가르침을 알게 되었는데, 에우세비우스는 그를 네오플라토니즘 테우르기의 더 신비로운 형태 때문에 비판했다. 에우세비우스는 막시무스와의 만남을 이야기했는데, 그 신비주의자는 그를 헤카테(Hecate)의 사원으로 초대하여 찬송가를 부르며 여신의 동상이 미소짓고 웃고 횃불이 켜지게 했다. 에우세비우스는 율리아누스에게 "이러한 것들에 놀라지 말라. 나도 놀라지 않듯이, 오히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성에 의해 얻어지는 영혼의 정화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에우세비우스가 "감각을 속이는 마술과 마법의 사기"와 "지상의 물질적인 힘을 행사하도록 잘못 이끌린 미치광이 마술사들의 작품"에 대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율리아누스는 호기심을 느꼈고, 막시무스를 새로운 스승으로 삼았다. [12]

354년, 부제였던 갈루스가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처형되었다. 율리아누스는 354년 메디오라눔(Mediolanum)(밀라노)에 있는 콘스탄티우스의 궁정으로 소환되었고, 반역 음모 혐의로 1년 동안 구금되었다. 처음에는 그의 형제와, 그 다음에는 클라우디우스 실바누스와 함께 혐의가 있었지만, 에우세비아 황후가 그의 편에 서서 개입했기 때문에 무죄가 밝혀졌고, 그는 아테네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되었다. 거기서 율리아누스는 나중에 주교이자 성인이 된 두 사람,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와 카이사레아의 바실을 알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율리아누스는 나중에 복원하려고 했던 엘레우시스 신비 의식에 입문했다.[13]

2. 2. 부제 시절 (355년 ~ 361년)

354년 율리아누스는 이복형인 갈루스가 처형당한 후, 메디오라눔 궁정으로 소환되어 구금되었다.[139] 355년 아테네에서 유학했고,[139] 같은 해 11월 6일 콘스탄티우스 2세는 유일하게 남은 혈육인 율리아누스를 밀라노로 불러 여동생 헬레나와 결혼시키고 부제(''Caesar'')로 삼아 제국의 서방을 통치하도록 했다.[139] 12월 1일, 율리아누스는 갈리아로 파견되었다.[139]

율리아누스가 처음 부제가 되었을 때 맡은 임무는 제국을 침범한 야만족을 격퇴하는 일이었다. 부제가 되었을 당시 그는 그리스 철학에 심취한 어린 소년에 불과했다. 그러나 갈리아에서 게르만 부족들과의 전투에서 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여주었다.[140] 356년 콜로니아 아그리피나를 회복했고,[141] 357년 8월 아르겐토라툼 전투에서 3배 가까운 알레만니족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142] 그 후 라인강을 건너 알레만니족의 땅을 공격했다.[142] 358년 하류 지역에서 단호한 군사 행동을 취했고, 상류 지역에서도 별동대가 라인강을 건너 정복하여 로마 제국의 지배 영역을 리메스 게르마니쿠스와 라인강·도나우강 두 대하의 발원지 부채꼴 지역(아그리 데쿠마테스)까지 되찾는 데 성공했다.[143] 359년 율리아누스의 군사 행동은 줄어들었다.[143]

360년 율리아누스가 갈리아에서 야만족과 대처하고 있을 때 사산조 페르시아의 샤푸르 2세메소포타미아를 침범해 아미다를 함락시켰다. 콘스탄티우스 2세는 율리아누스에게 갈리아의 병력을 차출해 동부 전선으로 보내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은 율리아누스의 군대의 반감을 가져왔고, 360년 2월 그의 군대는 율리아누스를 루테티아에서 황제(''Augustus'')로 추대했다.

361년 7월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 2세와의 대결을 위해 동방으로 진군했다. 같은 해 11월 3일 콘스탄티우스 2세가 갑작스럽게 죽으면서 율리아누스가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2. 3. 황제 즉위와 개혁 (361년 ~ 363년)

360년 초, 콘스탄티우스갈리아에서 동방 국경으로 원군을 보내라고 명령하면서 율리아누스의 평화는 급변했다.[144] 요구된 병력은 율리아누스가 지휘하는 전체 군대의 절반에 가까웠다. 궁정 내 반(反)율리아누스 세력이 콘스탄티우스를 부추겨 이러한 지시를 내렸을 가능성은 있지만, 당시 정세를 고려하면 안정된 서방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동방으로 병력을 이동시키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기도 했다. 359년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요충지 아미다(현 디야르바크르(Diyarbakır))를 파괴하는 등 페르시아 군이 공세에 나섰기 때문이다.[145]

율리아누스의 입장에서는 이 명령이 고심 끝에 결단을 내려야 하는 것이었다. 대상 병사들의 대부분이 갈리아 출신으로 고향을 떠나는 것을 원하지 않았고, 율리아누스 자신도 그들에게 알프스 산맥을 넘을 것이라고는 이전에 선언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146] 결국, 콘스탄티우스의 명령대로 원군을 보내기 위해 병사들을 루테티아(현 파리(Paris))에 집결시켰지만, 파병되는 일은 없었다. 병사들은 율리아누스를 둘러싸고 환호하며 황제(정제)로 추대했다.

19세기 묘사. 360년 2월 파리(당시 황궁으로 여겨졌던 클뤼니 온천으로 상상력을 더해 묘사됨)에서 율리아누스가 프랑크 방식으로 방패 위에 서서 황제로 선포되는 모습


페르시아와의 전쟁에 전력을 다해야 했던 콘스탄티우스는 경고만 할 뿐, 즉시 율리아누스를 반역자로 처단하려 하지 않았다. 율리아누스 또한 콘스탄티우스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부제(副帝)"를 자칭했다. 그러나 율리아누스의 갈리아 체류 5주년을 기념하여 현지에서 발행된 화폐에는 두 사람 모두 황제로 새겨져 있었고, 실제로 율리아누스는 황제(정제)로서 행동하고 있었다.[147]

알레만니족의 왕[148]을 사로잡고 갈리아에서의 군사 행동에 마침표를 찍은 율리아누스는, 신뢰하는 살루스티우스에게 갈리아를 맡기고, 361년 여름, 콘스탄티우스와의 대결을 위해 진군을 시작했다.[149] 행군 속도는 매우 빨라 10월에는 실미움(현 세르무스카 미트로비차(Sremska Mitrovica))에 도착했다. 이 도시에서는, 후에 문인 동료가 되는 역사가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를 만났다.[150] 같은 달 말에는 나이스스(현 니슈(Niš))에 도착했다. 더 이상 율리아누스를 방치할 수 없게 된 콘스탄티우스는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중단하고 서쪽으로 향한다. 그러나 361년 11월 3일, 서진하는 도중 킬리키아 지방에서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했다.[151] 임종 자리에서 유일한 친족인 율리아누스를 후계자로 지명했다고 전해진다. 율리아누스는 같은 달 말, 나이스스에서 그 소식을 접했다.

12월 11일, 율리아누스는 유일한 황제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입성한다.[152] 곧바로 콘스탄티우스의 장례식을 거행하고, 이 황제에게 깊은 존경심을 표했다. 콘스탄티우스에게 충성을 맹세했던 동방의 병사들을 억누르기 위해서도, 찬탈자가 아니라 정당한 후계자로서 황제에 즉위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153] 실제로 유언이 있었는지는 불명이나, 콘스탄티우스가 죽기 직전에 율리아누스를 후계자로 인정했다는 소문이 장례식 후에 퍼져나갔다.[154]

콘스탄티우스의 장례식이 끝나고 이듬해 초, 전 황제를 따랐던 부정 행위자들을 재판하는 법정이 칼케돈에서 열렸다. 율리아누스 자신은 법정에 서지 않고, "이교도"이며 오리엔스(Oriens)의 총독장관인 살티우스 세쿤두스를 대리인으로 선택했다.[155] 이 재판의 판사는 살티우스를 포함해 5명이었는데, 그중 4명은 현직 또는 전직 무관이었으며, 새로운 황제의 권력의 근원으로서 군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의미가 컸다.[156] 따라서 율리아누스는 직접 참석하지 않고 불공정한 판결을 묵인했다고 여겨진다.[157]

칼케돈에서 재판이 열리는 동안, 율리아누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궁정 개혁에 착수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이후의 후기 로마 제국에서는 궁정에 페르시아를 모델로 한 새로운 양식이 도입되어 기능이 비대해졌다.[158] 금욕적인 새로운 황제는 이를 단숨에 축소했다. 기독교 관료와 교회 사가들 중에는 이 개혁의 목적이 기독교도 추방에 있다고 생각하는 자들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궁정 인원의 대부분은 분명 기독교도였지만, 율리아누스는 그 수를 줄이는 것만으로 그쳤고 "이교도"와 교체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159]

궁정과 관료 조직의 규모를 축소하는 한편, 로마 원로원의 권위를 부흥시키려는 노력도 했다.[160] 궁정 외부에서는 도시 재편에도 착수했다. 부황 등극 이전에 여러 도시를 유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각 도시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참사회의 권한을 강화하려고 했다. 율리아누스에게 있어 도시(특히 동부 제국)는 그리스 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는 존재였으며, 헬레니즘과의 조화가 필요하다고 믿었다.[161]

즉, 율리아누스 개혁의 목적은 과거의 전통으로 회귀하는 것이었다. "이교"가 중심이 되는 세상을 목표로 했던 것이다.[162] 그렇게 하기 위해 시민 황제라는 이미지를 재구축하려고 시도했다. 갈리아 시대에도 그러했듯이, 율리아누스가 그리는 황제상은 단순한 것이었고, 잘난 체하지 않고, 사치스럽지 않고, 시민과 가까운 존재였다. 율리아누스의 마음속에 있던 모델은, 『미소포곤』과 『황제 향연』의 기록으로 보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였던 것으로 여겨진다.[163] 리바니우스도 유사한 설명을 하고 있다.[164]

2. 4. 종교 정책: 전통 신앙 부흥과 기독교 억압

362년 2월 4일 율리아누스는 모든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이 포고령에서 모든 종교는 법앞에서 평등하며, 모든 로마의 영토에서 로마 제국이 특정 종교를 강요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밀라노 칙령 이후 특정 종교를 박해하던 정책을 멈추고 로마가 가진 본래의 종교적 관용 정신을 반영한 것이었다.[165]

율리아누스는 로마 제국의 상실된 힘을 회복하기 위해 제국의 종교 개혁을 시작했다. 그는 헬레니즘 다신교를 국교로 복원하는 것을 지지했다. 그의 법은 부유하고 교육받은 기독교인들을 겨냥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의 목표는 기독교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제국의 통치 계급에서 종교를 몰아내는 것"이었다.[74] 그는 콘스탄티누스 시대 이후 몰수되었거나 부유한 시민들에 의해 착취된 이교 사원들을 복원했다.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 주교들에게 수여한 봉급을 폐지하고, 임명에 대한 자문권 및 사법 재판권을 포함한 다른 특권들을 박탈했다. 또한 이전에 기독교인들에게 주어졌던 일부 특혜를 철회했다.[74]

율리아누스는 기독교 내부의 대립을 부추겼다.[165] 그는 탄압과 같은 폭력적인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교묘하게 종교계의 항쟁을 유도했다.[166] 이교 의식의 정비를 진행한 것과, 유대교예루살렘 성전 재건을 허가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167] 율리아누스는 362년 6월에 공포한 칙령에서 교사가 자신이 믿지 않는 것을 가르치는 것을 금지했다.[168] 이것은 기독교도가 교사가 되는 것을 금지한 것은 아니었지만, 실질적으로 기독교도는 이교의 고전 문학을 가르칠 수 없게 되었다.[169]

율리아누스는 표면적으로는 종교적인 차별을 하지 않았지만, 그 내면에서는 분명히 기독교 세력을 타도하려 했다.[171]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오랫동안 기독교도들에게는 “배교자 (Apostatala)”라는 멸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율리아누스가 부흥을 목표로 했던 “이교”는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제정 이전부터의 전통인 로마의 국가 종교는 아니었다고 한다. 율리아누스가 생각하는 그리스적 종교는 그리스 신화나 로마 신화에 대표되는 전통적인 다신교가 아니라, 태양신[172]과 그 하강 형태인 신들로 이루어진 일신교 (henotheism영어)였다.[173][174]

2. 5. 페르시아 원정과 죽음 (363년)

363년 율리아누스는 전임 황제인 콘스탄티우스 2세가 준비하다가 끝내 이루지 못한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원정을 떠났다. 안티오키아에서 9만 명의 병력을 모아 그중 3만 명을 프로코피우스에게 주어 아르메니아로 보내고 거기서 아르메니아 동맹군과 합세해 북쪽에서 사산 제국의 수도로 진격하게 했다.[179] 율리아누스 자신은 직접 나머지 병력을 이끌고 사산 제국의 영토로 쳐들어가 몇 번의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수많은 도시들을 함락시키고 진군하였으며 트라야누스 황제가 250년 전에 만든 운하까지 이용하였다.[184] 그러나 사산 왕조의 수도인 크테시폰에서 사산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였고,[185] 게다가 프로코피우스의 제2군은 갈라진 지 50일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결국 율리아누스는 퇴각을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186]

퇴각 중 6월 23일 사산 병력의 갑작스러운 공격에 율리아누스는 갑옷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전위와 후위를 돌아다니며 용맹하게 싸우다가 적의 창에 복부를 깊숙이 찔렸다(기독교도인 로마 병사의 창에 찔렸다는 이야기도 있다).[187] 율리아누스의 개인 주치의이자 친구였던 오리바시우스가 모든 조치를 다 취했으나 결국 율리아누스의 부상을 치료할 수 없었고 젊은 황제는 밤에 사망했다.[53] 죽기 전 황제는 "갈릴리 사람들이여, 너희가 이겼다!"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54]

율리아누스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로마사산 제국 원정은 실패했고 로마 군단은 후임으로 기독교인인 요비아누스를 황제로 세웠다.[188] 요비아누스와 그 뒤를 이은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스의 치세에 율리아누스의 모든 반 기독교적인 정책은 폐기되었고, 로마 다신교적인 로마 제국의 역사는 율리아누스를 끝으로 막을 내린 셈이 되었다.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 경로는 다음과 같다.

순서날짜내용
1363년 3월 5일안티오키아 출발, 8만~9만 명의 병력[179]
2아르메니아 왕 아르사케스에게 식량과 원군 제공 지시
3히에라폴리스에서 보급 체제 확인 후 유프라테스 강 건너 메소포타미아 진입[180]
4칼라에에서 프로코피우스와 세바스티아누스에게 3만 명의 병력 맡겨 메디아 정복 명령[181]
5본대는 유프라테스 강 연안 칼리니쿰으로 향하여 함대와 합류 (약 1,000척의 배, 식량, 무기, 공성 병기, 부교용 평저선)[182]
6키르케시움에서 하부르 강 건너 유프라테스 강 따라 하류로 이동
7두라-유로포스, 아나타, 티르타, 아카이아카라, 바락스말카, 디아키라, 오조갈다나 등 경유[182]
8피리사보라 함락 후 운하 나할말카 도착[183]
9트라야누스가 배를 운반했던 경로 열고 유프라테스 강에서 티그리스 강으로 배 이동[184]
10크테시폰 근교 전투 승리, 그러나 점령 실패[185]
11티그리스 강에서 남하 예정이었던 원군 미도착, 샤푸르 2세 군대 접근으로 함대 불태우고 철수[186]
126월 26일적 공격 대응 지휘 중 투창에 맞아 진중에서 사망[187]



새 황제 요비아누스는 후퇴로 확보를 위해 샤푸르와 강화했다.[188]


  • 사산 왕조는 아르자네네, 목소에네, 자부디케네, 레히메네, 코르두에네의 5개 트란스티그리타니아 지역을 15개의 요새와 함께 얻었다.
  • 사산 왕조는 니시비스, 싱가라, 카스트라 마우로룸을 얻었다.
  • 로마 제국은 니시비스와 싱가라에서 군대와 주민을 철수시켜도 좋았다.
  • 로마 제국은 앞으로 아르사케스를 돕고 사산 왕조에 대항하지 않는다.


이로써 사산 왕조의 우세는 결정적이 되었고, 이후 양국 간에 대규모 무력 충돌은 없어졌다. 4세기 말 테오도시우스 1세가 일시적으로 공세에 나섰지만, 아르메니아를 동서로 분할하여 서쪽 일부를 로마 측의 것으로 하는 것이 한계였다.[189]

3. 사상과 저술

율리아누스는 초기에 그리스 철학과 사상에 심취하였다. 아테네에서 공부하면서 신플라톤주의자가 되었다. 그의 저술은 단편적으로 몇 편이 전해져 내려온다.

부데(Budé)날짜작품설명라이트(Wright)
I356/7[95]콘스탄티우스 찬가 (Panegyric in Honour of Constantius)콘스탄티우스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보여주기 위해 쓴 글.I
II~357년 6월[95]우스비아 찬가 (Panegyric in Honour of Eusebia)우스비아의 지지에 대한 감사를 표현한 글.III
III357/8[96]콘스탄티우스의 영웅적 업적 (The Heroic Deeds of Constantius)비판적이면서도 콘스탄티우스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는 글 (때로는 "콘스탄티우스에 대한 두 번째 찬가"라고도 불림).
IV359[17]살루티우스의 떠남에 대한 위로 (Consolation Upon the Departure of Salutius)[97]갈리아에서 가까운 고문의 제거에 대한 고뇌를 담은 글.VIII
V361[98]아테네 상원과 시민들에게 보내는 편지 (Letter to the Senate and People of Athens)반란으로 이어진 행동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 글.
VI362년 초[99]철학자 테미스티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Letter to Themistius the Philosopher)테미스티우스의 아첨하는 편지에 대한 답장으로, 율리아누스의 정치적 견해를 설명하고 있다.
VII362년 3월[100]키니크파 헤라클레이오스에게 (To the Cynic Heracleios)키니크파 철학자들에게 그들의 종교적 책임에 대해 바로잡으려는 시도.VII
VIII~362년 3월[101]신들의 어머니에 대한 찬가 (Hymn to the Mother of the Gods)헬레니즘과 로마 전통에 대한 옹호.V
IX~362년 5월[102]교양 없는 키니크파에게 (To the Uneducated Cynics)키니크파 철학의 원칙을 따르지 않는다고 생각한 키니크파에 대한 또 다른 비판.VI
X362년 12월[103]카이사르들 (The Caesars)[104]로마 황제들 사이의 최고의 황제를 가리는 경쟁을 묘사한 풍자. 콘스탄티누스에 대한 강한 비판이 담겨 있다.
XI362년 12월[105]태양왕 찬가 (Hymn to King Helios)율리아누스가 본 로마 종교를 묘사하려는 시도.IV
XII363년 초[106]미소포곤(수염 혐오자) (Misopogon, or Beard-Hater)자신을 풍자하면서 안티오크 시민들의 단점을 공격한 글.
362/3[107]갈릴리인들에 대하여 (Against the Galileans)기독교에 대한 논쟁으로, 현재는 단편만 남아 있다.
362사제에게 보낸 편지의 단편 (Fragment of a Letter to a Priest)그가 긍정적이라고 생각했던 기독교의 측면을 반박하려는 시도.
359–363편지들 (Letters)그의 경력 대부분에 걸쳐 작성된 개인적 및 공적인 편지들.
?에피그램들 (Epigrams)소수의 짧은 운문 작품.


  • 부데(Budé)는 율리아누스의 ''Opera''의 부데 판본(1963년 & 1964년)에서 아타나시아디가 사용한 번호를 나타낸다.
  • 라이트(Wright)는 W. C. Wright가 편집한 율리아누스 작품에서 제공하는 연설 번호를 나타낸다.


''Ioulianou autokratoros ta sozomena'' (1696)


종교 관련 작품에는 복잡한 철학적 사색이 담겨 있으며, 콘스탄티우스에 대한 찬사는 형식적이고 정교한 문체를 사용한다.

  • 미소포곤(혹은 "수염 혐오자")은 율리아누스가 황제에게 어울리지 않는 수염과 지저분한 외모로 조롱당한 후 안티오키아 주민들과의 갈등을 가볍게 다룬 이야기이다.
  • ''카이사르들''은 주목할 만한 로마 황제들인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트라야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콘스탄티누스, 그리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경쟁하는 유쾌한 이야기이다. 이것은 최근의 콘스탄티누스를 풍자적으로 공격한 것으로, 기독교인이자 로마 제국의 지도자로서의 그의 가치에 대해 율리아누스는 심각하게 의문을 제기한다.
  • 신들의 향연에 역대 로마 황제들이 차례로 나타난다. 그중 가장 뛰어난 자를 뽑게 되는데, 율리우스 카이사르, 옥타비아누스, 트라야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악례로서) 콘스탄티누스 1세 외에 알렉산드로스 3세도 모인다. 각자의 연설과 헤르메스와의 문답 결과, 신들의 투표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가장 뛰어난 자로 결정되었다.[190]
  • 그의 소실된 작품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기독교를 반박하기 위한 ''갈릴래아인들에 반대하며''이다. 이 작품에서 살아남은 부분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이 그의 율리아누스 반박 논문인 ''Contra Julianum''에서 세 권의 첫 번째 책에서 발췌한 부분뿐이다. 이러한 발췌는 작품에 대한 충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지 않는다. 키릴은 자신이 여러 가지 중요한 논거를 복사하지 않았다고 고백한다.
  • 『왕이신 태양에 대한 찬가』- “이교” 신학의 체계화를 시도한 저서


율리아누스의 저술들은 르네상스 이후 여러 차례 편집되고 번역되었는데, 대부분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1913년 윌머 케이브 라이트(Wilmer Cave Wright)가 편집한 로브 고전 문고 판본에는 많은 저술이 번역되어 있다. 그러나 라이트는 율리아누스의 방대한 저술 모음집, 특히 율리아누스에게 돌려지는 편지들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언급한다.[108] 오늘날 존재하는 편지 모음집들은 여러 개의 작은 모음집들의 결과물이며, 이들은 다양한 조합으로 여러 개의 율리아누스 저술을 포함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로렌치아누스 58.16에서는 율리아누스에게 돌려지는 편지들의 가장 큰 모음집이 발견되었는데, 43개의 사본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모음집에 있는 많은 편지들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조셉 비데즈(Joseph Bidez)와 프랑수아 퀴몽(François Cumont)은 1922년에 서로 다른 모음집들을 편찬하여 총 284개의 항목을 도출했다. 이 중 157개는 진품으로 간주되었고, 127개는 위작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앞서 언급된 라이트의 모음집과 극명하게 대조되는데, 라이트의 모음집에는 73개의 진품과 10개의 위서 편지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마이클 트랩(Michael Trapp)은 비데즈와 퀴몽의 작업과 라이트의 작업을 비교할 때, 비데즈와 퀴몽이 라이트의 진품 편지 중 최대 16개를 위작으로 간주한다고 지적한다.[109] 따라서 어떤 저술이 율리아누스에게 귀속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많다.

율리아누스의 저술 모음집을 둘러싼 문제는 율리아누스가 적극적인 저술가였다는 사실 때문에 더욱 악화된다. 즉, 그의 짧은 통치에도 불구하고 훨씬 더 많은 편지가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율리아누스 자신은 그가 써야 했던 많은 편지의 수에 대해 증언하는데, 그 편지 자체가 진품일 가능성이 높다.[110] 율리아누스의 종교적 의제는 그가 새롭게 스타일을 정한 이교도 사제들을 교육하고 불만을 품은 기독교 지도자들과 공동체들을 다루면서 평균 황제보다 더 많은 일을 하게 만들었다. 그가 이교도 사제들을 교육한 예는 테미스티우스에게 보낸 편지에 삽입된 보시우스(Vossianus) 사본의 단편에서 찾을 수 있다.[111]

또한, 율리아누스의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은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의 율리아누스에 대한 비난처럼 기독교 저술가들의 악의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12][113] 의심할 여지 없이 기독교인들은 율리아누스의 저술 중 일부를 억압했다.[114] 이러한 기독교의 영향은 라이트의 훨씬 더 작은 율리아누스 편지 모음집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그녀는 내용이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낼 때 갑자기 편지가 잘려나가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이 기독교 검열의 결과라고 믿는다. "사제에게 보낸 편지의 단편"과 "대사제 테오도루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주목할 만한 예가 나타납니다.[115][116]

율리아누스의 개인적인 종교는 이교적이면서 동시에 철학적이었다. 그는 전통적인 신화들을 우주적 초월적 존재(철학적 신)의 여러 측면을 보여주는 우화로 여겼다. 주요 자료로는 찬사(panegyric) 형식으로 쓰여진 그의 저서 『헬리오스 왕에게』(To King 헬리오스)와 『신들의 어머니에게』(To the 신들의 어머니)가 남아 있다.[65]

로마 제국의 마지막 이교도 통치자였던 율리아누스의 신앙은 역사가들에게 큰 관심사이지만, 그 내용에 대해서는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그는 에페소스의 막시무스(Iamblichus의 제자)에게서 신비주의 의례를 배웠다.[66] 그의 사상 체계는 플로티누스의 신플라톤주의와 어느 정도 유사하며, 폴리므니아 아타나시아디는 미트라교와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지만, 그가 미트라교에 입교했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그리고 그의 사상의 특정 측면(예: 대사제 아래에서의 이교 재편성 및 그의 근본적인 일신론)은 기독교의 영향을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 원천 중 일부는 우리에게 전해지지 않았고, 모든 원천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더해진다.[67]

한 이론(특히 글렌 바워속의 이론)에 따르면, 율리아누스의 이교는 신비주의적 접근 방식을 띤 플라톤 철학, 때로는 '신비주의 의례' 또는 '신플라톤주의'로 불리는 것의 강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매우 기이하고 비정형적이었다. 다른 이들(특히 로랜드 스미스)은 율리아누스의 철학적 관점은 당시 "교양 있는" 이교도에게는 전혀 특이한 것이 아니었으며, 어쨌든 율리아누스의 이교는 철학에만 국한되지 않았고, 그는 당시 다른 이교도들과 마찬가지로 신들과 여신들에게 깊이 헌신했다고 주장한다.

신플라톤주의적 배경 때문에 율리아누스는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묘사된 인류의 창조를 받아들였다. 율리아누스는 이렇게 썼다. "제우스가 모든 것을 질서 있게 정돈할 때, 그의 신성한 피가 떨어졌고, 그들로부터 인간의 종족이 생겨났다고 한다."[68] 또한 그는 "단 한 명의 남자와 여자만을 창조할 능력이 있었던 자들은 동시에 많은 남자와 여자들을 창조할 수 있었다..."라고 썼다.[69] 그의 견해는 인류가 아담과 이브라는 한 쌍으로부터 유래되었다는 기독교적 신념과 대조된다. 다른 곳에서는 그는 단일 쌍 기원에 반박하며, 자신의 불신을 나타내면서 예를 들어 "그들의 신체가 얼마나 다른가, 게르만인과 스키타이인은 리비아인과 에티오피아인과는 얼마나 다르다"라고 언급한다.[70][71]

기독교 역사가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는 율리아누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다른 몸에" 윤회하여 "피타고라스와 플라톤의 가르침에 따라" 믿었다고 생각했다.[72]

율리아누스의 식단은 주로 채식이었다고 한다.[73]

4. 유산과 평가

율리아누스는 후퇴 도중 사산 왕조 군대의 공격을 받아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타르수스에 묻혔다가 나중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겨졌다.[55] 율리아누스가 기독교인 병사에게 암살당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56] 당대 역사가들은 이를 입증하지 않았다. 요한 말라라스는 카이사레아의 바실이 암살을 지시했다고 전하며,[57] 후대 기독교 역사가들은 성 메르쿠리우스가 율리아누스를 죽였다는 전설을 퍼뜨렸다.[58]

율리아누스의 뒤를 이은 요비아누스는 기독교의 특권적 지위를 재확립했다. 리바니우스는 율리아누스를 신처럼 존경하며 그에게 기도로 축복을 구하는 도시들이 많다고 묘사했지만, 로마 중앙 정부는 그러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율리아누스의 임종 시 "네가 이겼다, 갈릴리 사람아"라는 말은 외경으로 여겨지며,[59] 그의 죽음으로 기독교가 제국의 국교가 될 것이라는 인식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의 유해는 타르수스에 매장되었다가[60]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도 사도 교회에 재매장되었다.[62] 오늘날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는 율리아누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자주색 현무암 석관이 있다.[64]

율리아누스의 저술은 르네상스 이후 여러 차례 편집, 번역되었으나, 그의 방대한 저술과 위작 문제로 인해 어떤 저술이 진품인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존재한다. 율리아누스의 기독교에 대한 적대감은 기독교 저술가들의 악의적인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그의 저술 중 일부가 억압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14]

벨기에 통헤런에 있는 율리아누스 조각상


율리아누스의 통치는 여러 문학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수리아어 로망스인 '''율리아누스 로망스'''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그의 통치를 다루고 있다.[117] 19세기 독일 신학자 다비트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는 율리아누스를 "속세를 모르는 몽상가"로 풍자했으며,[118] 헨리크 입센은 희곡 '''황제와 갈릴레오'''에서 그의 삶을 다뤘다.[119] 고어 비달의 소설 '''율리아누스'''(1964)는 그의 삶과 시대를 묘사하며 기독교에 대한 비판으로 유명하다.[121]

영국 위임 통치령 시대 예루살렘의 '율리아누스 길'은 이스라엘 건국 후 다윗 왕 거리로 개명되었다.[125][126]

참조

[1] 서적 Roman Coins and Their Values Spink
[2] 논문 Antoniani of Julian of Pannonia https://hrcak.srce.h[...]
[3] 웹사이트 Evil Emperors https://press.khm.at[...] Kunsthistorisches Museum Wien
[4] 서적 Julien le philosophe : César des Gaules Sagittaire
[5]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6] 서적 The New Roman Empire: A Histo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Notes on the Coinage of Julian the Apostate https://www.jstor.or[...]
[8] 논문 Fel Temp Reparatio: image, audience and meaning in the mid-4th century https://www.academia[...]
[9] 문서 Letter to the senate and people of Athens
[10] 서적
[11] 문서 Letter 47: To the Alexandrians
[12] 웹사이트 Maximus Lives of the Philosophers and Sophists (English translation) http://www.tertullia[...] 2019-03-19
[13] 서적 The Emperor Julian London
[14] 논문 On the 'Standard-Bearers' at Strasbourg: Libanius, or. 18.58–66
[15] 서적 Res Gestae
[16] 서적 Res Gestae
[17] 서적
[18] 서적 Historia Nova
[19] 문서 Letter to the Athenians
[20] 서적 Res Gestae
[21] 서적 Res Gestae
[22] 서적
[23] 서적 Byzantium: The Early Centuries
[24] 서적
[25] 서적 The Churches and Catacombs of Early Christian Rome: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6] 논문 De nouveaux portraits de l'empereur Julien https://www.jstor.or[...]
[27] 서적 Res Gestae
[28]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29] 서적 Orations
[30] 서적 Orations
[31] 서적 Res Gestae
[32] 서적 Res Gestae
[33] 서적 Res Gestae
[34] 문서 Letter 622 http://www.ccel.org/[...]
[35] 서적 Oration 12
[36] 서적 Res Gestae
[37] 서적 Historia Nova
[38] 서적 Warfare in Roman Europe AD 350–425
[39]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40] 서적 Res Gestae
[41] 서적 Notes
[42] 서적 Epistulae
[43] 서적 The Roman Eastern Frontier and the Persian Wars
[44] 서적 Res Gestae
[45] 서적 The Roman Eastern Frontier and the Persian Wars
[46] 서적 Rerum gestarum libri XXXI Loeb Classical Library
[47] 서적 How Rome Fell Yale University Press
[48] 서적 Res Gestae
[49] 서적 Rome in the ancient world
[50] 서적 Res Gestae
[51] 서적 The Roman Eastern Frontier and the Persian Wars
[52] 서적 Res Gestae
[53] 논문 Fatal Wounding of the Byzantine Emperor Julian the Apostate (361–363 A.D.): Approach to the Contribution of Ancient Surgery
[54] 웹사이트 Julian's Afterlife. The Reception of a Roman Emperor https://brill.com/di[...] Brill 2023-11-15
[55] 서적 The Roman Emperors Barnes and Noble Books
[56] 서적 Orations
[57] 서적 Chronographia Patrologia Graeca XCII
[58]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59]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60] 서적 The Fathers of the Church: Selected Prose Works
[61] 서적 Oration
[62] 서적
[63] 논문 The tombs of the Byzantine emperors at the Church of the Holy Apostles in Constantinople
[64] 논문 Imperial Porphyry Sarcophagi in Constantinople https://lucazavagno.[...]
[65] 백과사전 Julian
[66] 서적 Res Gestae
[67] 서적 Julian the Apostate Edinburgh University Press
[68] 서적 Letter to a Priest
[69] 서적
[70] 서적 Against the Galilaeans
[71] 서적 Race: The History of an Idea in America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Press / Oxford University Press, US
[72] 서적 Church History
[73]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74] 서적 The World of Late Antiquity W. W. Norton
[75] 서적 Epistulae
[76] 서적 Neoplatonism and Gnosticism https://books.google[...] SUNY Press
[77] 서적 Res Gestae
[78] 서적 The Last Pagan Sutton Publishing Limited
[79] 서적 The Last Pagan Sutton Publishing Limited
[80] 서적 God against the Gods Penguin Group
[81] 간행물 The Later Paganism
[82] 간행물 The Later Paganism
[83] 간행물 The Demise of Paganism 2014-09-23
[84] 서적 The Cult of the Saints (select homilies and letters) St. Vladimir's Seminary Press
[85] 서적 The Social Results of Early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Wm. Isbister 2013-02-09
[86] 서적 Judaism and Christianity in the Age of Constantine: History, Messiah, Israel, and the Initial Confront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9-15
[87] 서적 Res Gestae
[88] 뉴스 Julian and the dream of a Third Temple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18-02-07
[89]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Or,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Volume 8; Volume 12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 Company
[90] 웹사이트 Orations 5 https://www.tertulli[...] Public Domain 2023-10-18
[91]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The Modern Library
[92] 웹사이트 Julian and the Jews 361–363 CE / Julian the Apostate and the Holy Temple http://www.fordham.e[...]
[93] 서적 A Psychoanalytic History of the Jews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94]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2023-11-15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웹사이트 Julian: Caesars – translation http://www.attalus.o[...]
[105] 서적
[106] 문서 Athanassiadi
[107] 문서 Athanassiadi
[108] 서적 Letters. Epigrams. Against the Galilaeans. Fragments. Harvard University Press
[109] 서적 The Emperor's Shadow: Julian in his Correspondence Classical Press of Wales
[110] 서적 Julian. Letters. Epigrams. Against the Galilaeans. Fragment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11] 서적 Julian, Volume II. Orations 6–8. Letters to Themistius. To The Senate and People of Athens. To a Priest. The Caesars. Misopogon Harvard University Press
[112] 웹사이트 Oration 4: First Invective Against Julian. http://www.tertullia[...] 2003-01-01
[113] 웹사이트 Oration 5: Second Invective Against Julian. http://www.tertullia[...] 2003-01-01
[114] 서적 Julian. Letters. Epigrams. Against the Galilaeans. Fragments. Harva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Julian, Orations 6–8. Letters to Themistius, To the Senate and People of Athens, To a Priest. The Caesars. Misopogon Harvard University Press
[116] 서적 Julian. Letters. Epigrams. Against the Galilaeans. Fragments. Harvard University Press
[117] 학술지 Julian Romance https://gedsh.bethma[...]
[118] 서적 Iron Kingdom
[119] 서적 Text and Supertext in Ibsen's Drama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989-09-08
[120] 서적 London and the Life of Literature in Late Victorian England: the Diary of George Gissing, Novelist Harvester Press
[121] 뉴스 Engaged in Life and in a Pagan Past https://archive.nyti[...] The New York Times 2022-08-20
[122] 웹사이트 Mining the Genre Asteroid: THE DRAGON WAITING by John M. Ford https://skiffyandfan[...] 2022-08-20
[123] 웹사이트 Elizabeth Finch by Julian Barnes review – the problem with ambiguity https://www.theguard[...] 2022-09-05
[124] 학술지 The Julian Poems of C. P. Cavafy https://www.jstor.or[...] 1967-01-01
[125] 웹사이트 Focus on Israel: Jerusalem-Architecture in the British Mandate Period https://mfa.gov.il/m[...]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9-03-19
[126] 웹사이트 THE GRAND HOTEL OF JERUSALEM http://www.eretz.com[...] Eretz Magazine 2019-03-19
[127] 웹사이트 Julian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128] 문서 「異教」という言葉は、あくまでもキリスト教の側から見たときの呼称であるため、今日では「多神教」などと表記する傾向が強くなっている。
[129] 문서 331年が有力とされる。月日については不明。
[130] 문서 ガッルスは当時、病で間もなく死ぬと思われていた。
[131] 문서 ユリアヌスに仕えた歴史家アンミアヌス・マルケリヌスは、ニコメディアで主教(司教)エウセビオス([[ニコメディアのエウセビオス]]{{enlink|Eusebius of Nicomedia}})の手に委ねられたと伝えているが、ユリアヌス自身はこのようなことは述べていない。
[132] 문서 リバニオスの話を直接聞くことはコンスタンティウスに禁じられていたため、代理の者にノートを取らせていた。
[133] 서적 ミトラの密議 ちくま学芸文庫
[134] 문서 ガッルスの統治が評価しがたいものであったことはユリアヌスも認めており、処刑はともかく副帝解任には正当性があった。
[135] 문서 Tougher
[136] 문서 バワーソック
[137] 문서 バワーソック
[138] 문서 ユリアヌスの異母兄ガッルスもコンスタンティウスの妹の一人で従姉にあたるコンスタンティナ([[コンスタンティヌス1世]]とその後妻ファウスタの長女。[[マクシミアヌス]]の孫娘の一人。[[マクセンティウス]]の姪。ヘレナの同母姉)と結婚し、一人娘アナスタシアを儲けている。アナスタシアの子孫に[[アナスタシウス1世]]とその弟妹がおり、弟妹の血筋が後世に存続している。
[139] 문서 Ammianus
[140] 문서 バワーソック
[141] 書籍 バワーソック
[142] 書籍 バワーソック
[143] 書籍 バワーソック
[144] 書籍 バワーソック
[145] 書籍 倉橋
[146] 書籍 Ammianus
[147] 書籍 バワーソック
[148] 書籍 バワーソック
[149] 書籍 バワーソック
[150] 書籍 バワーソック
[151] 書籍 バワーソック
[152] 書籍 Tougher
[153] 書籍 バワーソック
[154] 書籍 バワーソック
[155] 書籍 バワーソック
[156] 書籍 Tougher
[157] 書籍 バワーソック
[158] 書籍 バワーソック
[159] 書籍 バワーソック
[160] 書籍 バワーソック
[161] 書籍 Tougher
[162] 書籍 バワーソック
[163] 書籍 Tougher
[164] 書籍 Libanius, Funeral Oration for Julian
[165] 書籍 バワーソック
[166] 書籍 バワーソック
[167] 書籍 バワーソック
[168] 書籍 Julian, Rescript on Christian Teahers
[169] 書籍 バワーソック
[170] 書籍 バワーソック
[171] 書籍 バワーソック
[172] 書籍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1999
[173] 書籍 後藤
[174] 書籍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1999
[175] 書籍 Pagan Monotheism in Late Antiquity CLARENDON PRESS • OXFORD 1999
[176] 서적 バワーソック
[177] 서적 バワーソック
[178] 서적 Tougher
[179] 서적 バワーソック
[180] 서적 バワーソック
[181] 서적 Ammianus
[182] 서적 Ammianus
[183] 서적 Ammianus
[184] 서적 バワーソック and Bennett
[185] 서적 バワーソック
[186] 서적 バワーソック
[187] 서적 バワーソック
[188] 서적 Blockley
[189] 서적 倉橋
[190] 서적 Orations 6-8. Letters to Themistius, To the Senate and People of Athens, To a Priest. The Caesars. Misopogon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