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에게 명나라 황제가 하사한 8종류 15점의 유물을 통칭한다. 이 유물들은 이순신의 무공을 기리기 위해 명나라 장군 진린이 전달했으며, 도독인, 호두령패, 귀도, 참도, 독전기, 홍소령기, 남소령기, 곡나팔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통영 충렬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당시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영시의 문화유산 - 통영해저터널
    1932년 완공된 동양 최초의 해저 터널인 통영해저터널은 일제강점기에 통영과 미륵도를 잇는 주요 연결 통로로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보행자 전용 터널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통영시의 문화유산 - 통영오광대
    통영오광대는 경상남도 통영 지역에서 전승되는 가면극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양반 사회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으며, 사자춤을 포함하는 특징을 지닌 중요무형문화재이다.
  • 경상남도의 보물 - 영남루
    영남루는 밀양강변에 위치한 누각으로, 신라 시대 사찰에서 기원하여 고려 시대에 재건, 조선 시대에 중건을 거쳐 헌종 때 재건된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며, 익루 및 주변 비석들과 함께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 경상남도의 보물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불교 경전 등을 담은 총 54종 2,835판의 목판으로,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해인사 대장경판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한국 목판 인쇄술과 서각예술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 이순신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 이순신 - 김명원
    김명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이황의 문인이었으며, 정여립 모반 사건 수습 공로와 임진왜란 당시 도원수를 지낸 후 여러 판서를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에 이르렀고 재상으로 평가받았다.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한자 표기統營 忠烈祠 八賜品 一括
유형보물
지정 번호440
지정일1966년 3월 4일
주소경상남도 통영시 중앙로 61 (도천동, 통영시립박물관)
시대시대미상
소유자재단법인통영충렬사
수량15개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문화재청 ID12,04400000,38

2. 명나라 황제의 하사품

임진왜란이순신의 뛰어난 무공이 알려지자, 명나라 장군 진린이순신에게 8종류의 유물 15점을 보냈다. 명나라 신종 황제가 이순신 장군의 전공을 높게 평가하여 하사한 이 물품들을 팔사품이라고 한다.

팔사품은 도독인을 제외하면 모두 2점씩으로, 호두령패, 귀도, 참도, 독전기, 홍소령기, 남소령기, 곡나팔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이순신 장군 사후 현충사 성역화 때 통영에서 옮겨왔으나, 통영시민의 노력으로 통영 충렬사로 되돌려졌다.

이 유물들은 명나라 황제가 이순신 장군의 넋을 기리고 용기를 배우도록 하기 위해 보낸 것이며, 조선명나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 1. 도독인(都督印)

도독인은 동으로 만든 도장으로, 손잡이가 달려있다. 함에는 ‘황조어사인(皇朝御賜印)’이라고 쓰여 있어, 명나라 황제가 보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장에는 관방(關防)이라는 글자가 아홉 번 꺽어 새겨져 있다.

2. 2. 호두령패(虎頭令牌)

영패는 나무로 만든 팔각형 패로, 한쪽 면에는 '영(令)'자를 새기고 다른 한 면에는 '대장(大將)'자를 새겼다. 표범이 그려진 사슴가죽 주머니에 넣어 보관했다.

2. 3. 귀도(鬼刀)와 참도(斬刀)

귀도는 칼자루에 용머리와 귀신 머리가 장식되어 있는 칼이다. 오동나무로 만든 칼집은 종이로 싸서 붉은 칠을 하였다. 참도의 칼자루는 나무로 만들었으나, 상어 껍질로 싸고 붉은 칠을 한 다음 소가죽으로 감았다.

2. 4. 독전기(督戰旗), 홍소령기(紅小令旗), 남소령기(藍小令旗)

독전기는 전쟁터에서 전투를 독려하기 위해 지휘관이 사용한 깃발이다. 붉은색 바탕에 남색 비단으로 '독전(督戰)'이라 오려 붙였고, 중앙에는 "무릇 군사로써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자는 목을 벤다"라고 쓰여 있다. 깃대 머리에는 창이 꽂혀있다.

홍소령기는 군대의 명령을 전할 때 쓰는 깃발로, 문관에게 영을 내리는 신호기이다. 붉은색 비단 바탕에 남색으로 '영(令)'자를 오려 붙였고, 자루 끝에 창을 달았다.

남소령기는 홍소령기와 마찬가지로 군대의 명령을 전할 때 쓰는 깃발인데, 무관에게 영을 내리는 신호기이다. 남색 비단 바탕에 붉은색으로 '영(令)'자를 붙였다.

2. 5. 곡나팔(曲喇叭)

곡나팔은 구리로 만든 나팔이다. 목이 구부러진 모습이라 곡나팔이라고 한다. 나팔 입은 퍼졌고 붉은 술을 달았다.

3. 팔사품의 역사와 보관

팔사품은 임진왜란 때 이순신의 뛰어난 무공이 명나라에 전해지자, 명나라 장군 진린이 충무공 이순신에게 내린 8종류의 유물 15점이다. 이 유물들은 원래 현충사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통영시민들의 노력으로 충렬사로 되돌아왔다.

이 유물들은 이순신 장군의 넋을 기리고 용기를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유산이자, 임진왜란 시기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4. 세부 목록

(단체)지정일참조440-1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도독인
(統營 忠烈祠 八賜品 - 都督印)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100,38]440-2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호두령패
(統營 忠烈祠 八賜品 - 虎頭令牌)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200,38]440-3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귀도
(統營 忠烈祠 八賜品 - 鬼刀)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300,38]440-4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참도
(統營 忠烈祠 八賜品 - 斬刀)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400,38]440-5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독전기
(統營 忠烈祠 八賜品 - 督戰旗)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500,38]440-6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남소령기
(統營 忠烈祠 八賜品 - 藍小令旗)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600,38]440-7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홍소령기
(統營 忠烈祠 八賜品 - 紅小令旗)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700,38]440-8호통영 충렬사 팔사품 - 곡나팔
(統營 忠烈祠 八賜品 - 曲喇叭)경남 통영시 여황로 251, 충렬사 (명정동)충렬사1966년 3월 4일 지정[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4400800,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