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퇴촌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퇴촌면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의 면으로, 1912년 6월 20일에 설치되었다. 지명은 조선 태종의 총애를 받은 조영무가 은퇴 후 머물며 자신의 호를 딴 설과 고려 말 두 상서가 이곳에서 물러나 살았다는 설에서 유래했다. 현재 광동리 등 10개의 법정리와 여러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토마토, 오이, 표고버섯 등의 특산물이 생산된다. 도수초등학교, 광수중학교, 분원초등학교가 있으며, 신흠 묘역 및 신도비가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퇴촌 공설운동장이 위치해 있으며, 광주시민운동장, 오포공설운동장, 실촌공설운동장도 인근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시의 행정 구역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 광주시의 행정 구역 -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면은 경기도 광주시의 면으로,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가 깊이 간직된 지역이며, 산성리, 엄미리, 광지원리 등 8개의 법정리와 1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남한산성과 남한산성 행궁을 비롯한 다양한 문화재와 포도, 느타리버섯, 아욱 등의 특산물이 있다.
  • 경기도의 읍·면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의 읍·면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퇴촌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퇴촌면
한자 표기退村面
영문 표기Toechon-myeon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광주시
면적60.75
세대6,385 (2018년 9월 30일 기준)
인구14,213 (2018년 9월 30일 기준)
법정리광동리, 관음리, 우산리, 영동리, 도수리, 오리, 도마리, 무수리, 원당리, 정지리
행정리19
54
면사무소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탑골길 6
홈페이지퇴촌면 행정복지센터

2. 연혁


  • 1912년 6월 20일: 퇴촌면 관내 이석리(현 남종면)의 개인 집에서 업무를 시작했으며, 이후 광동리 204번지로 이전했다.
  •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면 청사가 유실되자, 면민들의 기부금으로 광동리 307번지에 청사를 새로 지었다.
  • 1950년 10월: 한국전쟁 중 1.4 후퇴 때 청사가 크게 파손되어 개보수 후 사용했다.
  • 1959년 12월 25일: 국비 지원을 받아 광동리 327번지에 청사를 새로 지었다.
  • 1959년 12월: 면사무소 부지에 복지회관을 건립했다. (1993년 철거)
  •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사리, 삼성리, 이석리가 남종면으로 편입되었다.[1]
  • 1991년 4월 27일: 현재 사용 중인 청사를 신축했다.
  • 1995년: 오리 73-1번지에 퇴촌문화복지회관을 신축했다.

3. 지명 유래

퇴촌면이라는 지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전해진다. 하나는 조선시대 초기 개국공신 조영무가 노년에 정계를 은퇴하고 광동리에서 살면서 자신의 호(號)인 '퇴촌(退村)'을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다.[2] 다른 하나는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에 기록된 것으로, 고려 말 왕(王)씨와 백(白)씨 성을 가진 두 상서(尙書)가 함께 관직에서 물러나 이곳에 살았기 때문에 '퇴촌'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다.

3. 1. 조영무 관련 설

조선시대 초기의 개국공신이자 조선 태종의 총애를 받았던 한산군(漢山君) 조영무가 노년에 정계를 은퇴하고 광주의 동쪽 마을인 광동리에서 말년을 보냈다. 이때 자신의 호(號)를 '퇴촌(退村)'이라 지었는데, 이것이 지명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2]

3. 2. 고려 말 상서 관련 설

『중정남한지(重訂南漢志)』에 기록된 또 다른 설에 따르면, 고려 말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했을 때 왕(王)씨와 백(白)씨 성을 가진 두 상서(尙書)가 함께 벼슬을 버리고 이곳으로 내려와 살았다고 한다. 두 사람은 지붕을 맞대고 이웃하여 살면서 살구나무 수백 그루를 심었다고 전해진다. 당시 이 마을은 '상서동(尙書洞)' 또는 '행방(杏坊)'이라 불렸는데, 두 상서가 관직에서 물러나(퇴촌, 退村) 살았다는 데서 '퇴촌'이라는 지명이 유래했다고 한다.

4. 법정리 및 자연마을

법정리자연마을비고
광동리광백이(광동2리), 동지벌말(광동1리), 웃광백이, 탑골면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관음리넘말, 도장골, 중투말
우산리박석거리마을, 소미, 매내미
영동리거먹골(거북골), 구룡동, 석둔
도수리도지동, 수동리(참샘이), 삼백골, 탑선이, 사기장골, 학아동(하랑방), 쇠메기, 오래실마을, 지새울마을
오리안가루개마을, 샛골, 넘말
도마리윗도마치, 아래도마치, 중간말, 응달말
무수리새끼무술, 아래무술, 윗무술
원당리원댕이마을(원당), 가새골, 양지말, 무럭골
정지리정자동, 지위동, 중투말


5. 특산물

6. 교육

7. 문화재

8. 체육 시설

'''퇴촌 공설운동장'''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이다. 현재는 주로 아마추어 축구 경기 및 기타 활동에 사용된다.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 웹사이트 퇴촌면의 유래 http://sil.gjcity.go[...] 2012-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