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60년은 원나라 지정 20년, 일본 남조 쇼헤이 15년, 북조 엔분 5년, 쩐 왕조 다이찌 3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홍건적이 점령한 서경 수복, 스코네 지역 분쟁, 브레티니 조약 체결 등이 있었으며, 잉글랜드는 프랑스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프랑스 영토를 얻었다. 주요 인물로는 명나라 영락제, 조선의 맹사성 등이 태어났고, 조선의 환조, 중국의 쉬 쇼우후이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60년 | |
---|---|
지도 | |
1360년 | |
로마 숫자 | MCCCLX |
간지 | 경자년(庚子年) |
육십간지 | 37번째 |
단기 | 3693년 |
불기 | 1904년 |
황기 | 2020년 |
이슬람력 | 761년 ~ 762년 |
히브리력 | 5120년 ~ 5121년 |
페르시아력 | 738년 ~ 739년 |
2. 연호
3. 사건
- 홍건적이 점령한 서경을 수복하였다.[4]
- 6월 –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가 스코네를 공격하여 린드홀멘 성을 정복하였다.[1]
- 8월 – 헬싱보리에서의 중재를 통해 스웨덴과 덴마크 사이에 평화가 체결되었다. 마그누스 4세 에리크손은 북부 할란드를 제외한 스코네 지역을 덴마크에 할양하다. 그 대가로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는 마그누스의 내부 적들에 대항하여 그를 도와야 한다.[2]
- 10월 24일 – 브레티니 조약이 칼레에서 비준되면서 백년전쟁의 첫 번째 단계가 끝나다. 이 조약에 따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 왕위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프랑스 영토( 칼레와 가스코뉴 포함)를 받는 대가로 프랑스의 장 2세를 석방하다.[3]
- 홍건적의 난: 천유량이 서수휘를 살해하고 무창에서 한의 황제를 자칭한 후 주원장으로부터 남경을 함락시키려 했으나 실패하다.[4]
- 덴마크의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 왕이 1332년 이후 스웨덴이 점령하고 있던 스코네를 탈환하다.[1]
- 샤 슈자가 그의 형제인 샤 마흐무드의 죽음 이후 페르시아의 무자파르 부족의 지배권을 되찾다.
- 나브루즈 베그가 그의 형제 쿨파를 몰아내고 청호르드의 칸이 되다.
- 무함마드 6세가 그의 매형인 이스마일 2세를 몰아내고 그라나다(오늘날 스페인)의 왕이 되다.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가 백호르드의 칸에 의해 블라디미르(오늘날 러시아 서부)의 통치자로 임명되다.[5]
- 21세기에도 여전히 개최되는 오스만 제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키르크피나르 기름 씨름 대회.[6]
- 6월 22일 - (연문 5년/정평 15년 5월 9일) - 북조 측의 畠山國清(하타케야마 쿠니키요)에 의해 楠木正儀(쿠스노키 마사요시)의 아카사카 성이 함락되었다.
3. 1. 고려
홍건적이 점령한 서경을 수복하였다.[4]3. 2. 중국
홍건적이 점령한 서경을 고려가 수복하였다.[4] 천유량이 서수휘를 살해하고 무창에서 한의 황제를 자칭한 후 주원장으로부터 남경을 함락시키려 했으나 실패하였다.[4]3. 3. 일본
일본의 남조는 정평 15년, 북조는 연문 5년이었다.[4]3. 4. 유럽
6월,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가 스코네를 공격하여 린드홀멘 성을 정복하였다.[1] 8월에는 헬싱보리에서의 중재를 통해 스웨덴과 덴마크 사이에 평화가 체결되었다. 마그누스 4세 에리크손은 북부 할란드를 제외한 스코네 지역을 덴마크에 할양하였고, 그 대가로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는 마그누스의 내부 적들에 대항하여 그를 돕기로 하였다.[2] 10월 24일, 브레티니 조약이 칼레에서 비준되면서 백년전쟁의 첫 번째 단계가 종료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 왕위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고, 프랑스 영토(칼레와 가스코뉴 포함)를 받는 대가로 프랑스의 장 2세를 석방하였다.[3]3. 5. 기타 지역
- 홍건적이 점령한 서경을 수복하였다.
- 홍건적의 난: 천유량이 서수휘를 살해하고 무창에서 한의 황제를 자칭한 후 주원장으로부터 남경을 함락시키려 했으나 실패하였다.[4]
- 덴마크의 발데마르 4세 아테르다 왕이 1332년 이후 스웨덴이 점령하고 있던 스코네를 탈환하였다.[1]
- 샤 슈자가 그의 형제인 샤 마흐무드의 죽음 이후 페르시아의 무자파르 부족의 지배권을 되찾았다.
- 나브루즈 베그가 그의 형제 쿨파를 몰아내고 청호르드의 칸이 되었다.
- 무함마드 6세가 그의 매형인 이스마일 2세를 몰아내고 그라나다(오늘날 스페인)의 왕이 되었다.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가 백호르드의 칸에 의해 블라디미르(오늘날 러시아 서부)의 통치자로 임명되었다.[5]
- 21세기에도 여전히 개최되는 오스만 제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키르크피나르 기름 씨름 대회가 열렸다.[6]
- 간지 : 경자
- 일본
- * 남조 : 정평 15년
- * 북조 : 연문 5년
- * 황기 2680년
- 중국
- * 원 : 지정 20년
- ** 서수휘 : 천정 2년(구 윤5월까지)
- ** 한림아 : 용봉 6년
- ** 진우량 : 대의 원년 구5월 - 12월
- 조선
- * 고려 : 공민왕 9년
- * 단기 4353년
- 베트남
- * 진조 : 대치 3년
- 불멸기원 : 1902년 - 1903년
- 이슬람력 : 761년 - 762년
- 유대력 : 5120년 - 5121년
4. 탄생
- 5월 2일 - 명나라의 제3대 황제 영락제. (~1424년)
- 8월 28일 - 조선의 문신 맹사성. (~1438년)
- 1월 8일 – 울리히 폰 융잉겐, 독일 테우토 기사단의 대총장 (~1410년)
- 3월 31일 – 란카스터의 필리파, 포르투갈 왕비 (~1415년)
- 6월 24일 – 누누 알바레스 페레이라, 포르투갈 장군 (~1431년)
- 8월 10일 – 프란체스코 자바렐라, 이탈리아 법학자 (~1417년)
- 날짜 미상
- * 아마데우스 7세 (~1391년)
- * 바예지드 1세, 오스만 제국의 술탄 (~1403년)
- *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 이탈리아 은행가, 메디치가의 창시자 (~1429년)
- * 이종무, 조선의 장군 (~1425년)
- * 안드레이 루블료프, 러시아 화가 (~1430년)
- * 스타니스와프 스카르비미에르츠, 폴란드 종교 작가 (~1431년)
- *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 동로마 제국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플라톤 학자 (+ 1452년)
4. 1. 고려
1360년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태어났다. 조선의 문신 맹사성이 8월 28일에 태어났다. 조선의 무관 이종무도 이 해에 태어났으며, 1425년에 사망했다.4. 2. 중국
5월 2일 - 명나라의 제3대 황제 영락제가 태어났다.8월 28일 - 조선의 문신 맹사성이 태어났다.
날짜 미상
- 이종무 - 조선의 무관이 태어났다.
- 안드레이 루블료프 - 러시아의 수도승이자 이콘 화가가 태어났다.
- 바예지드 1세 -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태어났다.
-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 - 이탈리아 은행가, 메디치가의 창시자가 태어났다.
4. 3. 일본
1360년은 일본과 관련된 기록은 없다.4. 4. 유럽
5월 2일 - 명나라의 제3대 황제 영락제가 태어났다.(~1424년)8월 28일 - 조선의 문신 맹사성이 태어났다.(~1438년)
1월 8일 - 독일 테우토 기사단의 대총장인 울리히 폰 융잉겐(Ulrich von Jungingen)이 태어났다. (~1410년)
3월 31일 - 포르투갈 왕비 란카스터의 필리파(Philippa of Lancaster)가 태어났다.(~1415년)
6월 24일 - 포르투갈 장군 누누 알바레스 페레이라(Nuno Álvares Pereira)가 태어났다.(~1431년)
8월 10일 - 이탈리아 법학자 프란체스코 자바렐라(Francesco Zabarella)가 태어났다.(~1417년)
날짜 미상으로, 아마데우스 7세(Amadeus VII, Count of Savoy) (~139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Bayezid I) (~1403년), 이탈리아 은행가이자 메디치가의 창시자인 조반니 디 비치 데 메디치(Giovanni di Bicci de' Medici) (~1429년), 조선의 장군 이종무 (~1425년), 러시아 화가 안드레이 루블료프(Andrei Rublev) (~1430년), 폴란드 종교 작가 스타니스와프 스카르비미에르츠(Stanislaw of Skarbimierz) (~1431년)가 태어났다.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Георгиос Гемист Плифон)은 동로마 제국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플라톤 학자로, 이 해에 태어났다.(+ 1452년)
5. 사망
- 조선의 추존 환조. (1315년~)
- 2월 26일 – 로저 모티머, 마치 백작 2세/Roger Mortimer, 2nd Earl of March영어,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 (1328년 출생)
- 9월 16일 – 윌리엄 드 보헌, 노섬프턴 백작 1세/William de Bohun, 1st Earl of Northampton영어 (1319년 출생)
- 9월 29일 – 조안나 1세 드 오베르뉴/Joanna I of Auvergne프랑스어, 프랑스 왕비 (1326년 출생)
- 11월 4일 – 엘리자베스 드 클레어/Elizabeth de Clare영어, 잉글랜드 귀족 여성 (1295년 출생)
- 12월 26일 – 토마스 홀랜드, 켄트 백작 1세/Thomas Holland, 1st Earl of Kent영어
- 날짜 미상
- * 다비드 9세/다비드 9세ka, 조지아의 왕
- * 제프리 더 베이커/Geoffrey the Baker영어, 잉글랜드 연대기 작가
- * 이사벨라 드 브리엔느 백작 부인/Isabella, Countess of Brienne영어, 레체 백작 부인
- *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Νικηφόρος Γρηγοράςel, 비잔티움 역사가 (1295년 출생)
- * 쉬 쇼우후이/徐壽輝중국어, 중국 홍건적 반란 지도자, 천완의 황제 (1320년 출생)[4]
- 1월 18일 - 루도비코 1세 곤자가(Ludovico I Gonzaga), 곤자가가(Gonzaga)의 첫 번째 만토바(Mantua)의 僭主(* 1268년)
- 3월 31일(연문 5년/정평 15년 3월 14일) - 니조 요사다(二条為定),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공경, 가인(* 1293년?)
- 4월 21일(연문 5년/정평 15년 4월 6일) - 도인 공현(洞院公賢),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공경(* 1291년)
- 7월 21일(연문 5년/정평 15년 6월 8일) - 도쿠다이지 공세이(徳大寺公清),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공경(* 1312년)
- 9월 25일(연문 5년/정평 15년 8월 15일) - 난부 마사나가(南部政長), 남북조 시대의 무장(* 생년 미상)
- 9월 29일 - 잔느 1세 (오베르뉴 백작 부인)(Jeanne I, Countess of Auvergne), 오베르뉴(Auvergne) 백작 부인, 프랑스 왕 장 2세 (프랑스 왕)(Jean II of France)의 두 번째 왕비(* 1326년)
- 12월 26일 - 토마스 홀랜드 (초대 켄트 백작)(Thomas Holland, 1st Earl of Kent), 잉글랜드의 귀족, 초대 켄트 백작(* 1314년)
- 차화포저(茶和布底), 참파 왕국의 국왕(* 생년 미상)
- 서수휘(徐寿輝), 원 말의 군웅(* 생년 미상)
5. 1. 고려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5. 2. 유럽
1360년 유럽에서는 여러 인물들이 사망했다. 2월 26일에는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인 로저 모티머, 마치 백작 2세가 사망했다. 9월 16일에는 윌리엄 드 보헌, 노섬프턴 백작 1세가 사망했고, 9월 29일에는 프랑스 왕비 조안나 1세 드 오베르뉴가 사망했다. 11월 4일에는 잉글랜드 귀족 여성 엘리자베스 드 클레어가 사망했으며, 12월 26일에는 토마스 홀랜드, 켄트 백작 1세가 사망했다.5. 3. 중국
쉬 쇼우후이(Xu Shouhui)는 중국 홍건적 반란 지도자이자 천완의 황제였다.[4]5. 4. 일본
1360년(연문 5년/정평 15년)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사망했다.참조
[1]
웹사이트
Chronology of Sweden
2023-06-15
[2]
서적
I kung Magnus tid (In the Times of King Magnus)
[3]
서적 #추정.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정보 부족)
2001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
서적 #추정.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The Mongols and Russia
[6]
뉴스
Historical Kırkpınar oil wrestling festival kicks off in northwestern Turkey
https://www.dailysab[...]
2018-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