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라크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라크 칸은 칭기즈 칸의 4대손이자 차가타이 칸국의 칸이었다. 1266년 알루구의 뒤를 이어 칸위에 오른 바라크는 하이두와의 대립, 일 칸국과의 전쟁 등을 겪었다. 그는 카이두의 지원을 받아 일 칸국을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1270년 아바카에게 패배하여 부상을 입었다. 1271년 카이두의 군대에 포위되어 사망했으며, 이후 차가타이 한국은 오고타이 한국의 속국으로 전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71년 사망 - 야로슬라프 3세
    야로슬라프 3세는 야로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르 넵스키의 동생으로, 트베리 공국을 통치하며 발전시켰고, 블라디미르 대공위를 계승하여 친몽골 정책을 유지했으며, 사후 가문 간 권력 다툼을 야기한 인물이다.
  • 1271년 사망 - 후게치
    쿠빌라이 칸의 다섯 번째 서자 후게치는 1267년 운남왕에 봉해져 남방 진출을 시도했으나 1271년 독살되었고, 그의 죽음 이후 쿠빌라이 칸은 운남 통치 방침을 변경하여 운남 지배를 안정화하려 했다.
  • 차가타이 칸국의 칸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차가타이 칸국의 칸 - 투글루크 티무르
    투글루크 티무르는 14세기 중반 동서로 분열된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동차가타이 칸국 최초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칸이다.
  • 무슬림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무슬림 - 마마두 사코
    마마두 사코는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파리 생제르맹, 리버풀 등에서 뛰었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2014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2024년에는 토르페도 쿠타이시와 계약했다.
바라크 칸
기본 정보
칭호기야스 앗딘 바라크
칸위 계승차카타이 칸국의 칸
통치 기간1266년–1271년
이전 통치자무바라크 샤
다음 통치자네구베이
사망 년도1271년
가족두와
아버지예순토아

2. 생애

바라크는 칭기즈 칸의 4대손이자 차가타이의 증손자로, 1266년 알루구의 뒤를 이어 차가타이 칸국의 칸이 되었다.[7] 그는 오고타이 가문의 카이두와 중앙아시아의 지배권을 두고 대립했다.[10]

바라크는 쿠빌라이 칸의 권위를 부정하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 했다. 1266년 카이두는 킵차크 칸국의 망구 티무르의 지원을 받아 차가타이 칸국을 침입, 시르다라 강 근처와 코잔트에서 두 번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바라크는 사마르칸트부하라를 약탈하여 군대를 다시 모았고, 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카이두는 1269년 바라크와 강화를 체결했다.[10]

강화 결과, 카이두와 망구 티무르는 트란스옥시아나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카이두는 차가타이 칸국이 소유하던 투르키스탄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카이두는 이 땅을 망구 티무르에게 주지 않고 자신의 영토로 병합했다. 바라크는 강화에 만족하지 않고 부하라를 재정복하려 했으며, 사마르칸트를 약탈하려고도 했다.[10]

카이두는 바라크의 불만을 이용하여 일 칸국을 공격할 것을 종용했고, 바라크는 이에 동의하여 일 칸국 공격 준비에 나섰다. 카이두는 아들 차파르가 이끄는 군대를 지원했고, 킵차크 칸국도 군대를 지원했다.[10] 그러나 1270년 호라산에서 일 칸국의 아바카에게 대패했다.[14]

1271년, 바라크는 카이두에게 지원을 요청했으나, 카이두는 군대를 보내 바라크를 압박했다. 결국 바라크는 카이두의 군대에 둘러싸인 채 막사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17] 이후 카이두는 네구베이를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세웠고, 차가타이 칸국은 오고타이 칸국의 속국으로 전락했다.[18]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바라크는 칭기즈 칸의 4대손이자 차가타이의 증손자였다.[7] 아버지의 정치적 문제로 인해 중국으로 이주하여 쿠빌라이 칸의 진영에서 성장하며 두각을 나타냈다.[8]

1260년대 초, 중앙 아시아로 돌아와 무바라크 샤의 신임을 얻었다. 1266년 무바라크 샤가 다시 차가타이 칸으로 즉위했을 때, 바라크는 쿠데타를 위해 군대 내에서 지지를 얻어 그해 9월 무바라크 샤를 폐위시키고 차가타이 칸국의 칸위에 올랐다.[7] 그는 거의 즉시 대칸 쿠빌라이의 권위를 부인하고, 쿠빌라이의 투르키스탄 대표를 축출한 뒤 자신의 지사로 교체했다. 그의 월등히 우세한 군대는 쿠빌라이의 장교들이 그를 몰아내는 것을 막았고, 호탄은 그의 군대에 의해 유린되었다.

2. 2. 카이두와의 갈등과 타협

1266년 알루구가 사망하고 무바라크 샤가 잠시 칸위를 차지했다가 바라크로 교체되었다. 바라크는 오고타이 가문의 카이두와 중앙아시아의 지배권을 두고 대립했다.[10]

바라크는 쿠빌라이 칸의 권위를 부정하고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려 했다. 1266년, 카이두는 킵차크 칸국의 만그 티무르의 지원을 받아 차가타이 칸국을 침입, 시르다라 강 근처와 코잔트에서 두 번의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바라크는 사마르칸트부하라를 약탈하여 군대를 다시 모았고, 전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카이두는 1269년 바라크와 강화를 체결했다.[10]

강화 결과, 카이두와 만그 티무르는 트란스옥시아나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카이두는 차가타이 칸국이 소유하던 투르키스탄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카이두는 이 땅을 만그 티무르에게 주지 않고 자신의 영토로 병합했다. 바라크는 강화에 만족하지 않고 부하라를 재정복하려 했으며, 사마르칸트를 약탈하려고도 했다.[10]

카이두는 바라크의 불만을 이용하여 일 한국을 공격할 것을 종용했고, 바라크는 이에 동의하여 일 한국 공격 준비에 나섰다. 카이두는 아들 차파르가 이끄는 군대를 지원했고, 킵차크 칸국도 군대를 지원했다.[10]

1269년 봄, 바라크와 카이두는 타라스 강 유역에서 회맹을 열어 차가타이 가문이 마와라안나흐르의 3분의 2를 영유하고 나머지를 오고데이 가문과 조치 가문이 분할하기로 약속했다(타라스 회맹).[12] 이 회맹에서 조치 가문과 차가타이 가문이 카이두를 공동의 칸으로 옹립하고 쿠빌라이의 카안위를 부정했다는 설이 있었으나, 현재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12]

2. 3. 일 칸국과의 전쟁과 패배

1269년 타라스 회맹의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 바라크는 영토 확장을 위해 일 칸국을 공격했다. 그는 카이두와 킵차크 한국의 지원을 받았으나, 내부 배신으로 인해 실패했다. 1270년 호라산에서 일 칸국의 아바카에게 대패했다.[14]

바라크는 아바카가 다스리는 일 칸국을 공격하라는 종용을 받고, 카이두와 킵차크 한국의 지원을 받아 공격을 준비했다. 그러나 킵차크 한국 군대는 바라크 휘하 장군과의 언쟁을 구실로 퇴각했고, 카이두가 보낸 차파르 역시 군대를 버리고 도망갔다.[15]

엎친 데 덮친 격으로 1270년 헤라트 인근 카라 수 평원의 전투에서 바라크의 군대는 아바카에게 대패했고, 바라크는 부상을 입었다. 이 패배로 몽케 테무르는 아바카의 승리를 축하하며 일 칸국과의 우호 관계를 회복하려 했다.[16]

2. 4. 의문의 죽음과 칸국 분열

1271년, 바라크는 카이두에게 지원을 요청했으나, 카이두는 군대를 보내 바라크를 압박했다. 결국 바라크는 카이두의 군대에 둘러싸인 채 막사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17] 일각에서는 카이두가 보낸 자객에게 독살당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후 카이두는 이름뿐인 칸 네구베이를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세웠고, 차가타이 칸국은 오고타이 칸국의 속국으로 전락했다.[18]

3. 유산

바라크 칸의 사후, 원정군에 참가했던 무바라크 샤가 카이두에게 귀순하는 등 차가타이 가문에서는 이해관계가 다른 왕족들 간의 내분이 일어나 대략 3파로 분열되었다[17]. 카이두, 아바카의 개입으로 차가타이 가문의 영토가 황폐해진 끝에[18], 결국 1282년에 카이두와 화해한 바라크의 유복자 두아가 카이두에 의해 당주로 임명되었고, 1301년 카이두가 죽을 때까지 차가타이 가문의 울루스는 그의 지배하에 놓였다.

4. 가계

바부르나마에서 바부르는 외조부 유누스 칸의 계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2]

"유누스 칸은 칭기즈 칸의 둘째 아들 차가타이 칸의 후손이다. 유누스 칸은 와이스 칸의 아들이고, 셰르-알리 아울론의 아들이며, 무함마드 칸의 아들이고, 히즈르 호자 칸의 아들이며, 투글루크 티무르 칸의 아들이고, 아이산 부가 칸의 아들이며, 다와 칸의 아들이고, 바라크 칸의 아들이며, 예순타와 칸의 아들이고, 무아투칸의 아들이며, 차가타이 칸의 아들이고, 칭기즈 칸의 아들이다."[2]

참조

[1]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2] 서적 The Babur Nama in English
[3] 서적 The Tarikh-i-Rashidi: a history of the Moghuls of central Asia S. Low, Marston and co. 1895
[4] 간행물 "Chughtai Khanates"
[5]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6]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8]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9]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0]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1]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2]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3]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4]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5]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6]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7]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下)世界経営の時代
[18] 서적 モンゴル帝국의 흥망(下)세계 경영의 시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