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뉴쿠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뉴쿠크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반에 활동한 돌궐 제2제국의 장군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다양한 어원 해석이 존재하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깊고 순수한 생각을 가진 자'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646년경 당나라에서 태어나 튀르크 민족의 중국 지배 시기를 겪었고, 당나라를 탈출하여 일테리쉬 카간을 도왔다. 그는 돌궐 카간국 건설에 기여했으며, 빌게 카간 시대에는 전략 대가로 임명되어 튀르크족의 전통적인 유목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당나라에 대항했다. 투뉴쿠크는 바인 초크토 비문에 그의 생애와 업적이 기록되었으며, 한국의 경주 설씨가 그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46년 출생 - 압드 알말릭 이븐 마르완
    압드 알말릭 이븐 마르완은 우마이야 왕조의 제5대 칼리파로, 제2차 내란을 종식시키고 칼리파국을 재통일했으며, 행정 개혁, 이슬람화 정책, 이슬람 통화 도입, 공용어 아랍어 변경, 예루살렘 바위 돔 건설 등의 업적을 통해 왕조의 기반을 강화하고 이슬람 국가의 영토를 확장했다.
  • 726년 사망 - 마나바나
    마나바나는 1762년 모리야 왕조를 종식시키고 즉위하여 35년간 통치한 군주로, 하타다타 군주에 의해 후계자로 책립되었으며 반다라데비와의 사이에서 비자야바후를 낳았다.
  • 동돌궐 - 시피 카간
    시피 카간은 609년 또는 611년에 동돌궐의 카간이 되어 수나라 멸망 전 세력을 확장하고 당나라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수나라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우고 수 양제를 포위하여 화친을 맺고 당 고조 이연을 지원했으나 619년 사망하여 동돌궐 제국에 혼란을 가져왔다.
  • 동돌궐 - 이넬 카간
    이넬 카간은 돌궐 제2제국의 카간이자 카파간 카간의 아들이었으나 왕위 쟁탈전 중 퀼 티긴에게 살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왕위 계승의 정당성 논란을 야기했다.
투뉴쿠크
기본 정보
톤유쿠크
톤유쿠크
본명아시데 위안전 (阿史德元珍)
칭호빌게 투뉴쿠크 (Bilgä Tuňuquq)
다른 칭호아파 타르칸
직업참모
대宰相
총사령관
작위
작위타르칸
봉직제2돌궐 제국
임기681년 또는 716년 - 716년 또는 717년
가문아시데 씨족
생애
출생기원후 646년경, 내몽골 위린, 당나라
사망기원후 726년경 (79~80세)
자녀포 베그
기타
기념물톤유쿠크 비문

2. 이름

이름은 돌궐 문자로 ''t1-o-ɲ-uq1-uq1'' (𐱃𐰆𐰪𐰸𐰸|ork)로 표기되며, ''Tunuquq'', ''Tonuquq'', ''Tuj-uquq'', '' Toɲ Yuguq'', ''Tujun-oq'', ''Tojuquq'', ''Tuɲoqoq'' 등 다양하게 불린다.[7][8][9][10][11]

2. 1. 어원

이 이름은 돌궐 문자로 ''t1-o-ɲ-uq1-uq1'' (𐱃𐰆𐰪𐰸𐰸|ork)로 표기되며, ''Tunuquq'', ''Tonuquq'', ''Tuj-uquq'', '' Toɲ Yuguq'', ''Tujun-oq'', ''Tojuquq'', ''Tuɲoqoq'' 등 다양하게 불린다. 어원에 대한 여러 제안이 있다. 세르트카야(Sertkaya)에 따르면, ''Tunuk''은 "맑고, 순수하며, 심연, 깊이에 도달한 자" 또는 "순수하고, 침투하는"을 의미하며, ''uq'' 또는 ''oq''는 "아이디어, 현명한, 박식한"을 의미한다. 따라서 토뉴쿠크(Tonuquq)는 깊고 순수한 생각을 가진 자이다.[7][8] 그의 칭호인 "빌게(Bilge)"는 현명하거나, 달인이라는 의미를 지닌다.[9] 클랴슈토르니(Klyashtorny)는 ''yuquq'' 요소가 "숨겨진, 보호받는 것, 가치, 보물, 보석"을 의미하며, 이는 "숨기다, 보호하다"를 뜻하는 동사 "yoq/yuq"(위구르 법률 문서에서 사용됨)에서 파생되었다고 보았다. 한편, ''ton'' 요소는 "첫 번째"를 의미하며, 그의 중국 이름 元珍(위안젠)은 그의 돌궐 이름 ''Tonyuquq''의 음역으로, 둘 다 "첫 번째 보물"을 의미한다.[10] 르네 M. 지로(René M. Giraud)는 이 이름을 ''tonïuquq''로 읽었으며, ''ton'' ("옷")에 소유격 ''I''와 ''yuquq''(동사 ''yuk-'' "붙다"에서 파생)을 붙여 "기름으로 축복받은 옷을 입은 자"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장-폴 루(Jean-Paul Roux)는 몽골의 요리 문화를 논하며, 그들이 더럽고 얼룩진 옷을 입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 이름을 "기름 바른 옷을 입은 자"라고 설명했다.[11]

3. 생애

투뉴쿠크는 646년경 투울 강 근처 아시데 부족에서 태어났다.[12] 당나라에서 성장하며 모든 중국 전통을 배웠고, 국경과 만리장성의 틈새를 알게 되었다.[15] 679년 당나라를 탈출하여 681년 엘테리쉬에게 합류했다.[12]

𐰋𐰃𐰠𐰏𐰀 𐱃𐰆𐰪𐰸𐰸 𐰋𐰤 𐰇𐰕𐰢 𐱃𐰉𐰍𐰲 𐰃𐰠𐰭𐰀 𐰶𐰠𐰦𐰢 𐱅𐰇𐰼𐰚 𐰉𐰆𐰑𐰣 𐱃𐰉𐰍𐰲𐰴𐰀 𐰝𐰇𐰼𐰼 𐰼𐱅𐰃|Bilge Toñuquq bän özüm Tabγač eliŋä qılıntım Türk bodun Tabγačqa körür ärti|현명한 토니유쿠크는 나 자신이 타브가치 [즉, 당나라] 국가에서 태어났습니다. (전체) 튀르크 민족은 중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13][14]otk

설인귀와의 초기 전쟁에서 패했지만, 돌궐 카간국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687년, 엘테리쉬와 투뉴쿠크는 을 침공했다. 무후는 백제 출신 장군 흑치상지에게 이두좌의 지원을 받아 돌궐 공격에 대비하도록 명했고, 황화퇴(오늘날의 산서성 삭주)에서 돌궐군을 격파했다.

703년, 카간의 명으로 무주에 혼인을 제안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측천무후는 제안을 받아들였으나, 당 중종 즉위 후 혼인은 취소되었다.[1] 712년, 볼추 전투에서 투르크 군대를 지휘했으나, 돌궐 군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1]

이넬 카간 치세에는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았지만,[16] 716년 사위 빌게 카간에 의해 전략 대가(바가 타르칸)로 임명되었다.

빌게 카간은 불교로 개종하고 도시와 사찰을 세우려 했다. 그러나 투뉴쿠크는 유목 생활 방식이 당나라에 비해 더 강력한 군사력을 만든다는 점을 들어 만류했다.[18] 튀르크족의 힘은 기동성이었고, 불교 개종은 평화를 가져올 것이었다. 생존을 위해 텡그리교를 고수해야 했다.[19][20][21][22]

720년 당나라 재상 왕준은 바시미, 계 및 거란족과 함께 빌게 카간 공격 계획을 제안했다.[23] 당 현종카파간 카간의 아들 빌게 테긴과 모 테긴,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 쿠트루그 빌게 카간, 후오바 구이렌을 튀르크에 대항해 모집했다. 투뉴쿠크는 721년 가을, 바시미를 기습 공격하여 격파했다. 빌게는 간쑤성을 약탈하여 많은 가축을 빼앗았다. 그 해 말 거란족이, 이듬해 계도 격파되었다.

3. 1. 초기 생애 (646년 ~ 681년)



투뉴쿠크는 646년경 투울 강 근처 아시데 부족에서 태어났다.[12] 679년 당나라를 탈출하여 681년 엘테리쉬에게 합류했다.

𐰋𐰃𐰠𐰏𐰀 𐱃𐰆𐰪𐰸𐰸 𐰋𐰤 𐰇𐰕𐰢 𐱃𐰉𐰍𐰲 𐰃𐰠𐰭𐰀 𐰶𐰠𐰦𐰢 𐱅𐰇𐰼𐰚 𐰉𐰆𐰑𐰣 𐱃𐰉𐰍𐰲𐰴𐰀 𐰝𐰇𐰼𐰼 𐰼𐱅𐰃|Bilge Toñuquq bän özüm Tabγač eliŋä qılıntım Türk bodun Tabγačqa körür ärti|현명한 토니유쿠크는 나 자신이 타브가치 [즉, 당나라] 국가에서 태어났습니다. (전체) 튀르크 민족은 중국의 지배를 받았습니다.[13][14]otk

중국 자료에 따르면 투뉴쿠크의 이름은 "위안전"이었고, 모든 중국 전통을 배우고 국경과 만리장성의 틈새를 알고 있었다. 찬위 군정에서 항복한 부족들을 감독하는 동안 군정 장시에게 해고되어 투옥되었다.[15]

3. 2. 일테리쉬 카간 시대 (681년 ~ 691년)

그는 설인귀와의 초기 전쟁에서 패했지만, 돌궐 카간국을 세우는 데 강력한 힘을 발휘했다. 687년, 엘테리쉬와 아시데 위안전은 다시 한번 을 침공했다. 무후는 백제 출신의 장군 흑치상지에게 이두좌의 지원을 받아 돌궐의 공격에 대비하도록 명했고, 그들은 황화퇴(오늘날의 산서성 삭주)에서 돌궐군을 격파하여 돌궐군을 도망치게 했다.

3. 3. 카파간 카간 시대 (691년 ~ 716년)

703년, 투뉴쿠크는 카간의 명을 받아 무주에 혼인을 제안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측천무후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오연수를 석방했지만, 당 중종이 즉위하면서 정치적 상황이 변하여 혼인은 취소되었다.[1]

712년, 투뉴쿠크는 볼추 전투에서 투르크 군대를 지휘했으나, 이 전투는 돌궐 군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1]

3. 4. 이넬 카간 시대 (716년)

그는 이넬 카간 치세 동안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았으며, 그를 정당한 통치자로 인정했다.[16] 비록 목숨을 잃지는 않았지만, 그의 막강한 권위와 나이 때문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을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그가 빌게 카간의 장인이었다는 사실일 것이다.[17]

3. 5. 빌게 카간 시대 (716년 ~ 726년)

716년에 투뉴쿠크는 사위인 빌게 카간에 의해 전략 대가(바가 타르칸)로 임명되었다.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빌게 카간은 불교로 개종하고 도시와 사찰을 세우기를 원했다. 그러나 투뉴쿠크는 유목 생활 방식이 당나라에 비해 그들을 더 강력한 군사력으로 만들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만류했다.[18] 튀르크족의 힘은 그들의 기동성에 있었고, 불교로의 개종은 백성들 사이에 평화를 가져올 것이었다. 따라서 생존을 위해서는 텡그리교를 고수하는 것이 필요했다.[19][20][21][22]

720년에 당나라 재상 왕준은 바시미, 계 및 거란족과 함께 빌게 카간을 공격하는 계획을 제안했다.[23] 당 현종은 또한 카파간 카간의 아들 빌게 테긴과 모 테긴,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 쿠트루그 빌게 카간, 후오바 구이렌을 튀르크에 대항하여 모집했다. 투뉴쿠크는 721년 가을, 바시미를 기습 공격하여 완전히 격파했다. 그동안 빌게는 간쑤성을 약탈하여 많은 가축을 빼앗았다. 그 해 말에는 거란족이, 이듬해에는 계도 격파되었다.

4. 가족 관계

엘레트미쉬 빌게 카툰의 아버지였으며, 빌게 카간의 장인이었고, 욜리그와 텡리 카간의 할아버지였다.

5. 유산 및 평가

그의 생애, 업적, 국가 행정에 대한 조언은 716년경(그의 사망 전) 울란바토르 날라이흐 구에 위치한 바인 초크토에 돌궐 문자로 새겨졌다.[24] 원나라의 위구르 관료 셰원즈(楔文質) 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주 설씨도 투뉴쿠크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5]

그는 이후 고창에서 발견된 일부 위구르 마니교 텍스트에서 언급되고 기억되었다.[26]

고창에서 발견된 베를린 마니교 사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그러자 현명한 투뉴크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튀르크(민족)는 멸망했고 (구원의) 기회를 잃었다.

6. 대중문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KBS에서 방영한 드라마 대조영에서 김성훈이 투뉴쿠크를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p. 13' 1892
[2] 간행물 'I. Milletler Arası Türkoloji Kongresi: Türk dili ve edebiyatı' Istanbu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urkology 1979
[3] 논문 BİLGE TONYUKUK Tonyuquq the Wise Asya Araştırmaları Dergis
[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 1992
[5] 서적 Ülkü Türkiye Cumhuriyet Halk Partisi
[6] 서적 Central Asia in World History
[7] 문서 'p. 33' 2003
[8] 문서 'Orhon–Eniseisk mark’s reading” and “Etymology of the name of Tonuquq'
[9] 웹사이트 Bahis Siteleri - En İyi ve Güvenilir 8 Sağlam Canlı Bahis Sitesi İncelemesi http://www.turkbilig[...] 2023-10-22
[10] 문서 'pp. 202–205' 1966
[11] 문서 "On the name and titles of Tonyuquq" Türkbilig 2019
[12] 웹사이트 National History Museum of Mongolia https://www.flickr.c[...] 2019-09-07
[13] 서적 Divanü Lügati't Türk Turkish Language Association 2006
[14] 문서 'p. 104' 2017
[15] 문서 'p. 63' 2004
[16] 문서 'Textological Structure and Political Message of the Old Turkic Runic Inscriptions' http://www.turkdille[...] Talât Tekin Armağanı, Türk Dilleri Araştırmaları 18 2008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1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문서 Wenxian Tongkao
[20] 문서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21] 문서 'p. 9' 2002
[22] 문서 'pp. 295–296' 2016
[23] 문서 Old Book of Tang
[24] 문서 "Die Alttürkenzeit in Mittel- und Zentralasien. Archäologische und historische Studien"
[25] 서적 Subjects and masters : Uyghurs in the Mongol Empire
[26] 논문 The Khocho Toñukuk Tradition in Runiform, Uyghur and Chinese Sources // 探討高昌突厥石碑和維吾爾語、中文文獻上的暾欲谷記 2017
[27] 뉴스 "<사람들> 튀르크어학 전문가 이용성 박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