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게 카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게 카간은 716년부터 734년까지 동돌궐을 통치한 카간이다. 그는 683년에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군사 활동에 참여했으며, 716년 카파간 카간 사후 쿠데타를 통해 즉위했다. 통치 기간 동안 그는 튀르크족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불교 수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텡그리즘을 고수했다. 빌게 카간은 당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하려 했으나 부이룩 초르에게 독살되었고, 그의 사후 오르콘 비문이 세워져 그의 업적을 기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83년 출생 - 몬무 천황
    문무 천황은 15세에 즉위한 일본의 제43대 천황으로, 다이호 율령을 완성하여 일본 법제를 정비하고 국호를 왜에서 일본으로 변경하는 등 국가 체제 기틀을 마련했다.
빌게 카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빌게 카간
본명아시나 모질리안 (阿史那默棘連)
출생일683년
사망일734년 11월 25일
사망 장소오투칸
아버지일테리쉬 카간
어머니엘 빌가 하툰
배우자엘 에트미쉬 빌게 하툰
자녀욜릭 카간
빌게 쿠틀루크 카간
이름 없는 아들 둘
종교텡그리즘
통치
즉위717년 2월
퇴위734년 11월 25일
칭호카간
이전 통치자이넬 카간
섭정토뉴쿠크
다음 통치자욜릭 카간
가문아시나 가문
기타
빌게 카간의 대리석 조각상

2. 이름

당시 튀르크 관습에 따라 개인 이름과 카간 칭호를 받은 후의 이름은 달랐다. 그의 개인 이름은 중국 문헌에 阿史那默棘連|아사나묵극련중국어으로 기록되어 있다. 카간 칭호는 빌게 카간(Bilgä Qaγan)이며,[10][1] 고대 튀르크어로는 𐰋𐰃𐰠𐰏𐰀 𐰴𐰍𐰣으로 표기한다. 중국 문헌에는 이 칭호를 毗伽可汗|비가가한중국어으로 음차하여 기록하였다.

3. 어린 시절

빌게 카간은 683년, 돌궐 제2제국의 초기 시대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돌궐 제2제국을 건국한 아스나 골돌록이다. 아버지가 천수(天授) 연간(690년-692년) 초에 사망했을 때, 빌게 카간(당시 이름 묵극련/묵척련)은 아직 어렸기에, 그의 숙부인 아스나 묵절이 대신 카간의 지위에 올랐다. 빌게 카간은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여러 원정에 참여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았다.

697년, 숙부인 카파간 카간은 그에게 타르두쉬 샤드(Tardush shad) 작위를 수여하고 제국 서부 지역의 지휘권을 맡겼다. 이후 그는 여러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701년에는 동생 퀼 테긴과 함께 당나라의 장수 위원충(魏元忠)이 이끄는 군대를 격파했으며, 703년에는 바스밀(Basmyl) 부족을 다시 정복했다. 709년에는 예니세이 키르기즈를 항복시켰으나, 이들이 다시 반기를 들자 710년에 재차 정복하고 그들의 카간을 살해했다. 또한 볼추 전투에서는 튀르게쉬의 카간 사갈(娑葛, Saqal, 혹은 수오게 Suoge)을 죽이는 등 군사적 성공을 이어갔다.

카파간 카간 통치 말기인 714년부터 약 1년간, 빌게 카간은 네 차례의 큰 전투를 치르며 여러 부족을 다시 복종시켜야 했다. 그러나 716년에는 위구르의 매복 공격을 받아 목숨을 잃을 뻔한 위기를 겪기도 했다.[11][2]

4. 통치

코슈 차이담(Khoshoo Tsaidam)의 매장지에서 발굴된 빌게 카간의 금관


716년, 돌궐 제2제국카파간 카간이 토쿠즈 오구즈 연합과의 전투 중 사망하고 그의 머리는 당나라 수도 장안으로 보내졌다.[12][3] 카파간 카간의 아들 이넬 카간이 뒤를 이었으나, 빌게의 동생 퀼 테긴과 장인 투뉴쿠크쿠데타를 일으켜 이넬 카간을 살해하고 빌게를 새로운 카간으로 추대했다.[12][3] 그의 이름 '빌게 카간'은 문자 그대로 '현명한 왕'을 의미한다.

빌게 카간은 즉위 후 동생 퀼 테긴을 카간 다음 가는 권력자인 좌현왕에 임명하여 군권을 맡겼고,[12][3] 장인이자 경험 많은 정치가였던 투뉴쿠크를 최고 전략가로 삼아 국정 운영의 조언을 구했다.[12][3] 또한, 716년에 위구르를 다시 복속시키는 등 제국의 안정을 꾀했다.[12][3]

이러한 새로운 개혁과 통치 안정화 노력 덕분에 이전에 돌궐 제국을 떠났던 여러 부족들이 다시 돌아오기 시작했다.[12][3] 한편, 당나라에서는 재상 왕준이 항복했던 돌궐인들이 다시 돌궐 제국으로 돌아갈 것을 염려하여 이들을 당나라 중심부로 강제 이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왕준의 계획이 실행되기도 전에, 협질사태(𨁂跌思泰)와 아실란(阿悉爛) 등이 이끄는 돌궐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설눌과 왕준이 이들을 공격하여 패배를 안겼지만, 반란군은 결국 포위를 뚫고 돌궐 제국으로 도망치는 데 성공했다. 이 사건의 책임을 물어 설눌은 관직에서 물러나야 했다.[12][3]

4. 1. 종교 정책

빌게 카간은 한때 불교로 개종하고 도시에 정착하는 정책을 추진하려 했다.[12][3] 그러나 그의 조언자였던 투뉴쿠크(토니쿠쿠)는 이에 강하게 반대하였다.[12][3] 투뉴쿠크는 투르크족의 인구가 적고 주된 힘의 원천은 기동성이기 때문에, 도시에 정착하면 중국의 공격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12][13][3][4] 또한 불교로 개종할 경우 백성들 사이에 평화주의가 퍼져 민족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13][4] 따라서 투뉴쿠크는 기존의 전통 신앙인 텡그리즘을 고수하는 것이 투르크족의 생존에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13][14][4][5]

4. 2. 통치 후기

몽골의 빌게 카간 기념비


720년, 당나라의 장수 왕준(王晙)은 복고(僕固)와 협질(頡跌) 부족이 동돌궐과 연합하여 당을 공격할 것을 우려하여, 연회를 열어 이들 부족의 추장들을 살해하고 부족을 공격하여 거의 전멸시켰다. 이후 왕준은 바스밀(Basmyl, 拔悉蜜), 고막해(庫莫奚), 거란(契丹)과 연합하여 빌게 카간을 공격할 것을 제안했다.[12][3] 당 현종 역시 카파간 카간의 아들 빌게 테긴(Bilgä Tigin)과 모 테긴(Mo Tigin), 예니세이 키르기스 카간 쿠틀룩 빌게 카간(Kutluk Bilgä Qaghan) 등을 동원하여 돌궐과 싸우게 했다.[12][3]

721년 가을, 재상 토뉴쿠크는 기습적으로 바스밀을 공격하여 격파했다.[12][3] 빌게 카간은 감숙(甘肅) 지역을 침공하여 많은 가축을 약탈했다.[12][3] 같은 해 말에는 거란, 이듬해에는 고막해가 돌궐에게 격파되었다.[12][3]

726년, 빌게 카간의 장인이자 재상이었던 토뉴쿠크가 사망했다.[12][3]

727년, 빌게 카간은 부이룩 초르(Buyruk Chor, 梅錄啜)를 당 현종에게 사신으로 보내 말 30필을 선물했다.[12][3] 또한 사신을 통해 토번의 왕 메 악촘이 당나라에 대항하는 연합을 제안했음을 알리며 경고했다.[12][3] 이 정보는 같은 해 토번의 장군 웨 타드라 콩로(We Tadra Khonglo)가 당나라의 과주(瓜州), 상락(常樂), 장문군(長門軍), 안서(安西) 등을 공격하여 약탈함으로써 사실로 확인되었다.[12][3]

731년 2월 27일, 동생이자 유능한 장수였던 퀼 테긴이 사망하자 빌게 카간은 크게 슬퍼하며 성대한 장례식을 치르도록 명령했다.[15][6]

733년, 반란을 일으킨 거란 부족을 진압하였다.[10][1]

734년, 빌게 카간은 신하였던 부이룩 초르(梅錄啜)에게 독살당했다. 독을 마셨으나 바로 죽지 않은 빌게 카간은 부이룩 초르와 그의 일당을 처형한 뒤 결국 독의 영향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이넬 카간이 뒤를 이어 카간이 되었다.

5. 사망

현종에게 사신을 보내 화친을 제안한 직후, 빌게 카간은 부이룩 초르(Buyruk Chor)에게 독살당했다.[16][7] 빌게 카간은 독살 시도에도 즉시 사망하지는 않았고, 죽기 전에 부이룩 초르와 그의 가족을 처형할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12][3] 그는 734년 11월 25일에 사망했으며,[16][7] 장례는 이듬해인 735년 6월 22일에 치러졌다.[16][3]

6. 가족

빌게 카간은 토뉴쿠크의 딸인 엘 에트미쉬 빌게 카툰과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구분이름한자 표기비고
아내엘 에트미쉬 빌게 카툰토뉴쿠크의 딸
아들욜릭 카간阿史那伊然 (아사나 이란)
伊然可汗 (이연가한)
아들텡그리 카간阿史那骨咄 (아시나 골돌/쿨툭)
登利可汗 (등리가한)
아들이름 불명 (2명)쿠툴룩 야브구 카간 치하에서 괴뢰 카간이 됨
이름 불명 (대락공주?)술룩과 결혼
아들포 벡744년 이후 당나라에 항복


7. 유산

빌게 카간이 사망한 후, 그의 조카인 욜리그 테긴(Yollig Tegin)은 오르콘강(Orkhon River) 옆 오르콘계곡(Orkhon Valley)의 호쇼 차이담(Khöshö Tsagaan) 지역에 비석을 세웠다. 이 비석은 『빌게 카간 비문』(Bilge Kaghan Inscription)이라고 불리며, 발견된 장소의 이름을 따서 『호쇼 차이담 비문』(Khöshö Tsagaan Inscription) 또는 『오르콘 비문』(Orkhon Inscription)이라고도 한다. 이 오르콘 비문들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대 튀르크어 비문으로 알려져 있다.

8. 대중문화

참조

[1] 웹사이트 Bilge kagan's Memorial Complex, TÜRIK BITIG http://irq.kaznpu.kz[...]
[2] 서적 Gök-Türkler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1995
[3] 문서 Old Book of Tang zh:s:舊唐書/卷194上
[4] 문서 Wenxian Tongkao
[5] 문서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6] 웹사이트 Kultegin's Memorial Complex https://web.archive.[...] 2018-07-29
[7] 간행물 Erkin Ekrem, "Sarı Uygurların Kökeni", Modern Türklük Araştırma Dergisi http://mtad.humanity[...] 2007
[8] 문서 ビルゲ・カガンとは「賢明なる可汗」の意。
[9] 문서 咸亨年間(670年 - 674年)に、東突厥諸部落の来降附者の多くは、豊州・勝州・霊州・夏州・朔州・代州の六州に移住させられた。これを降戸と言う。
[10] 웹인용 Bilge kagan's Memorial Complex, TÜRIK BITIG http://irq.kaznpu.kz[...]
[11] 서적 Gök-Türkler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1995
[12] 문서 Old Book of Tang zh:s:舊唐書/卷194上
[13] 문서 Wenxian Tongkao
[14] 문서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15] 웹인용 Kultegin's Memorial Complex https://web.archive.[...] 2018-07-29
[16] 웹인용 Erkin Ekrem, "Sarı Uygurların Kökeni", Modern Türklük Araştırma Dergisi http://mtad.humanity[...]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