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비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200년경 아카이아 동맹의 메갈로폴리스에서 태어난 그리스 역사가이다. 그는 정치가이자 군인이었으며, 로마에 인질로 잡혀간 기간 동안 로마의 유력 가문들과 교류하며 학문적 지식을 쌓았다. 폴리비오스는 《역사》를 저술하여 로마 공화정의 성장 과정을 기록했으며, 순환정체론과 혼합정체론 등 정치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암호 작성술에 기여했으며, 투키디데스의 계승자로서 객관적인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작은 리비우스, 몽테스키외,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 영향을 미쳤지만, 현대에는 그의 편향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역사가 -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는 기원전 2세기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신화학자, 역사가이며, 주요 저작으로는 《연대기》, 《신들에 대하여》 등이 있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 기원전 2세기 역사가 - 키레네 사람 야손
    키레네 사람 야손은 헬레니즘 유대인으로, 코이네 그리스어로 유다 마카베오와 마카베오 반란에 대한 5권의 책을 저술했으나 분실되어 2 마카베오기의 요약본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 헤로도토스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세기 소아시아 출신으로, 페르시아 전쟁을 중심으로 그리스 및 주변 지역의 역사, 문화, 풍습을 다룬 서양 최초의 역사서인 『역사』를 저술하여 '역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이다.
폴리비오스
이미지
회색 석판
클레이토르의 석비, 헬레니즘 미술, 기원전 2세기, 로마 문명 박물관
기본 정보
이름폴리비오스
로마자 표기Polybius
그리스어 (음역)Polýbios
출생기원전 200년경
출생지아르카디아, 메갈로폴리스
사망기원전 118년경 (향년 약 82세)
사망지로마령 그리스
국적그리스
직업역사가
주요 저서"역사" (로마 공화국 사건, 기원전 220–146년)
주요 관심사역사, 역사 철학
주요 사상아나키클로시스
영향을 준 인물투키디데스
셈프로니우스 아셀리오
영향을 받은 인물키케로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스트라본
리비우스
플루타르코스
아리아노스
마키아벨리
안제이 프레드로
존 로크
몽테스키외
존 애덤스
에드먼드 버크
조제프 드 메스트르
샤를 조제프 미나르
오르테가 이 가세트

2. 생애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203년경 아카이아 동맹의 주요 구성 국가였던 아르카디아의 메갈로폴리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리코르타스는 유력한 지주이자 정치가였다. 덕분에 폴리비오스는 어린 시절부터 군사와 정치 분야를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그는 승마와 사냥을 즐겼으며, 기원전 182년에는 당대 아카이아의 탁월한 정치가 필로포이멘의 장례식에서 유골함을 운구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기원전 170년 혹은 169년에 그는 기병대장(hipparchos)으로 선출되어 정치 경력 초기에 아카이아 연맹의 독립 유지에 힘썼다.

폴리비오스의 아버지 리코르타스는 마케도니아 왕국페르세우스와 로마 간의 전쟁에서 중립을 주장했다. 이로 인해 그는 로마의 의심을 사게 되었고, 기원전 168년 로마에 인질로 보내지는 아카이아 귀족 1000명 중 한 명이 되어 17년간 억류되었다.

기원전 150년, 아카이아인 인질들이 석방되면서 폴리비오스도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러나 바로 다음 해에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와 함께 아프리카로 가서 카르타고 함락을 지켜보고 이를 기록했다. 카르타고 멸망 후에는 히스파니아(에스파냐)와 아프리카 대서양 해안을 여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해 코린토스가 파괴된 후, 폴리비오스는 그리스로 돌아와 자신의 연줄을 이용해 현지 상황을 완화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그리스 도시에 새로운 정치 체제를 마련하는 어려운 임무를 맡았으며, 이 과정에서 높은 신망을 얻었다.

2. 1. 태생과 초기 활동

폴리비오스는 기원전 203년경 아카이아 동맹의 주요 구성 국가였던 아르카디아의 메갈로폴리스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 리코르타스는 유력한 지주이자 정치가로, 아카이아 동맹의 스트라테고스(최고 사령관)직을 역임했다.[6] 덕분에 폴리비오스는 30세가 되기 전까지 메갈로폴리스의 정치 및 군사 활동을 직접 경험하며 정치인으로서 경험을 쌓았다.[7] 어린 시절에는 아버지를 따라 대사로서 여행을 다녔다. 그는 승마와 사냥을 즐겼는데, 이는 훗날 로마에서의 포로 생활에 도움이 되었다.

기원전 182년, 폴리비오스는 저명한 아카이아 정치가 필로포이멘의 장례식에서 유골함을 운반하는 역할을 맡았다. 기원전 170년 또는 169년에는 히파르쿠스(기병대장)로 선출되어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로마를 지원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8] 히파르쿠스는 아카이아 동맹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지위였으며, 종종 스트라테고스 선출로 이어졌다.

2. 2. 로마에서의 생활과 스키피오 가문과의 교류

폴리비오스는 로마에서 높은 교양 수준 덕분에 유력 가문들에게 인정받았다.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승리한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는 그에게 자신의 아들 파비우스와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장남으로 입양되었다)의 교육을 맡겼다.[1] 폴리비오스는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와 오랜 우정을 나누며 조언자 역할도 했다.[1]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스키피오가 카르타고를 무찌를 때, 폴리비오스는 그의 고문으로 남아있었다. [2]

기원전 150년에 아카이아인 인질들이 석방되면서 폴리비오스도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지만, 이듬해 스키피오와 함께 아프리카로 가서 카르타고 함락을 지켜보며 이를 기록했다.[1][2]

2. 3. 귀환과 말년

그는 로마에서 역사서를 편찬하며 시간을 보냈으며, 때론 자신이 역사에서 다루는 지중해 나라에 긴 여행을 떠나 유적지에서 직접 지식을 얻었다. 또 그는 자신이 다루던 역사적 사건을 자세하게 쓰기 위해 참전 병사들을 찾아 대화도 나눈 것으로 보이며, 서고 문서들도 열람했다.[2] 이후 폴리비오스의 행적은 거의 알 수 없다. 그는 누만티아 전쟁 당시 스키피오와 함께 에스파냐로 가서 군사 조언자가 되기도 한 것으로 보이며, 나중에 이 전쟁에 대한 글을 썼지만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2] 그는 그리스에도 돌아간 것 같은데, 그곳에 그의 조상(彫像)과 비문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이다.[2] 가짜 루키아노스의 글에 따르면 "폴리비우스는 시골에서 올라오다 말에서 떨어져 병에 걸려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고 한다.[7] 그의 『역사』에서 언급된 마지막 사건은 기원전 118년 남프랑스도미티아 가도가 건설된 것이었다.[7]

3. 《역사》

폴리비오스는 로마에서 역사서를 편찬하며 시간을 보냈고, 지중해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유적지에서 직접 지식을 얻었다. 참전 병사들과 대화하고 서고 문서도 열람하는 등 역사적 사건을 자세하게 기록하기 위해 노력했다.[30] 그는 누만티아 전쟁 당시 스키피오의 군사 조언자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이 전쟁에 대한 글을 썼지만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리스에 그의 조상(彫像)과 비문이 많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그리스에도 돌아갔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18년에 낙마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신빙성이 높지는 않다.

폴리비오스는 여러 저작을 남겼지만 대부분 소실되었다. 그의 최대 저서인 역사는 앞쪽 5권까지 온전하게 남아있고, 6권 상당 부분과 나머지 단편이 전한다. 리비우스는 자신의 책을 쓸 때 폴리비오스의 저작을 참고했다.[31] 폴리비오스는 전승을 신중하게 검증하고 날카로운 비판을 통해 인과 관계에 따라 역사를 쓴 초기 역사가였다. 그는 자신의 ''역사''에서 역사적 사건의 주인공 및 목격자와 대화한 내용을 서술했다. 그는 국가주의, 외국인 혐오, 표리부동한 정치, 끔찍한 전투, 잔인함, 충성심, 용기, 용맹, 지성, 이성, 지략 등 인간 행위의 모든 면을 포착했다.[32] 세부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추론하는 폴리비오스의 시각을 통해, 그는 연대기가 아닌 통합적인 역사관을 제시했다.

그는 객관성과 비판적 논의 측면에서 투키디데스의 후계자이자, 근대 과학적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저작은 명확한 사건 전개, 통찰력, 건전한 판단을 중시하며, 특정한 결과에 영향을 주는 조건 중에서도 특히 지리적 요소를 강조했다.[33] 《옥스퍼드 고전 문학 안내서》는 그의 '성실한 진실 추구'와 사건의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높이 평가했다.

최근에는 폴리비오스의 서술에 대해 좀 더 비판적인 평가도 제기된다. 피터 그린은 폴리비오스가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자신과 아버지의 행적을 정당화하려 한다고 보았다. 또한 폴리비오스가 로마의 인질이자 스키피오 가문의 피호민이었고, 기원전 146년 이후에는 로마에 협력했기 때문에 자신의 참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34] 론 멜러 역시 폴리비오스가 스키피오에 대한 충성 때문에 편향적이었다고 본다.

폴리비오스는 크레타에 대해 부정적인 편견을 보이기도 했지만, 그의 글은 고대 크레타에 대한 상세한 사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그의 관찰은 스트라본, 스킬락스의 기록과 더불어 크레테의 사라진 고대 도시 키도니아의 위치를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

폴리비오스는 ''히스토리아''에서 플라톤이 탐구했던 순환정체론(anacyclosis)을 설명했다.

3. 1. 구성과 내용

폴리비오스는 여러 저작을 썼지만 대부분 남아있지 않다. 그의 첫 저서는 그리스 정치가 필로포이멘의 전기였고, 플루타르코스는 이 책을 참조했다. 그는 로마와 그리스의 군사 전술을 다룬 ''전술''이라는 제목의 광범위한 저작을 남겼는데, 이 책의 일부가 그의 주저 ''역사''에 들어있는 것으로 보이나, 책 자체는 소실되었다. 누만티아 전쟁을 다룬 그의 기록 또한 사라졌다. 그의 최대 저서인 역사는 앞쪽 5권까지 온전하게 남아있고, 6권 상당 부분과 나머지 단편이 전한다.[30][31][32][33][34]

리비우스는 자신의 책을 쓸 때 폴리비오스의 저작을 참고했다. 폴리비오스는 전승을 신중하게 검증하고 날카로운 비판을 하여 인과 관계에 따라 역사를 쓴 초기 역사가였다. 그는 자신의 ''역사''에서 자신이 생각했던 바와 더불어 역사적 사건의 주인공과 목격자와 대화한 내용을 서술했다. 그는 국가주의, 외국인 혐오, 표리부동한 정치, 끔찍한 전투, 잔인함, 충성심, 용기, 용맹, 지성, 이성, 지략 등 인간 행위의 모든 면을 포착했다. 세부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추론하는 폴리비오스의 시각을 통해, 그는 연대기가 아닌 통합적인 역사관을 제시했다.

그는 객관성과 비판적 논의 측면에서 투키디데스의 후계자로, 그리고 근대 과학의 맥락에서 학문적이고 성실한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이런 평가에 따르면 그의 저작은 명확한 사건 전개, 통찰력, 건전한 판단을 중시하며, 특정한 결과에 영향을 주는 조건 중에서도 특히 지리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폴리비오스는 고대의 역사 서술의 최고라 할 수 있다. 《옥스퍼드 고전 문학 안내서》(''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1937년)의 저자는 그의 '성실한 진실 추구'와 사건의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높이 평가했다.

최근 폴리비오스의 서술은 좀 더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영국의 역사학자인 피터 그린은 그가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과 아버지의 행적을 정당화하려 한다고 본다. 그는 아카이아 정치가 칼리크라테스를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독자로 하여금 칼리크라테스가 로마에 인질로 끌려간 것은 자신이 자초했다고 의심케 만들었다. 더 근본적으로 폴리비오스는 로마에 인질로 가서 스키피오 가문의 피호민이었고 기원전 146년 이후에는 로마에 협력한만큼 자신의 참된 의견을 제시하기에 자유롭지 못했다. 그린은 폴리비오스가 그리스 독자에게 로마에 대해 설명하여 그가 불가피하게 생각했던 로마의 지배에 순응할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그린의 입장에서도 폴리비오스의 역사서는 귀중한 가치가 있고, 그가 다룬 시대를 다룬 최고의 사료이다. 론 멜러도 폴리비오스가 스키피오에 대한 충성 때문에 편향적이고 스키피오의 정적을 비방하고 있다고 본다. 영국의 저자 애드리언 골드워시도 스키피오가 장군이던 시기에 폴리비오스의 사료를 이용할 때 두 사람의 관계를 늘 언급한다.

폴리비오스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는 적대적이기도 했다. 그는 크레타에 대해 부정적인 편견을 보였다. 그러나 한센은 폴리비오스가 크레테에 대해 쓴 글은 고대 크레테에 대단히 상세한 사료가 되고 있다고 썼다. 폴리비오스의 관찰은(스트라본과 스킬락스의 기록과 더불어) 크레테의 사라진 고대 도시 키도니아의 위치를 규명하게 하였다.

폴리비오스는 ''히스토리아''에서 몇 가지 이론을 제시했다. 이 책에는 플라톤이 이미 탐구했던 순환정체론(anacyclosis)을 설명하고 있다.

'''폴리비오스의 역사'''는 세계사(Universal history)로서, 로마 공화정이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 세계적인 강국으로 부상한 과정을 서술하고 설명한다. 이 저서는 기원전 264년부터 기원전 146년까지 헬레니즘 지중해 지역 전역의 정치 및 군사 문제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으며, 후반부에는 기원전 146년의 카르타고 함락과 코린토스 함락 및 아카이아 전쟁 이후 로마의 그리스 본토 합병에 대한 목격자 기록을 포함한다.[9]

폴리비오스의 ''역사''는 기원전 264년부터 기원전 146년까지의 기간을 다루지만, 주로 기원전 221년부터 기원전 146년까지의 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지정학적 경쟁자였던 카르타고, 마케도니아, 셀레우코스 제국을 극복함으로써 로마가 지중해에서 패권을 장악하게 된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다. 1권과 2권은 서론으로서, 기원전 221/0년 이전 이탈리아와 그리스에서 일어난 사건들, 즉 제1차 포에니 전쟁, 로마와 갈리아의 전쟁, 아카이아 동맹(폴리비오스 자신의 헌법)의 부상, 그리고 안티고노스 3세 도손과 필리포스 5세 치하에서 그리스에 대한 마케도니아 세력의 재확립 등을 다룬다.[10] 3권부터 39권까지는 고대 로마고대 카르타고, 고대 그리스와 고대 마케도니아, 셀레우코스 제국과 이집트를 포함한 주요 지중해 국가들의 정치 및 군사 문제를 상세히 묘사하며, 그들의 상호연관성과 각 국가가 로마의 패권 장악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설명한다. 1권부터 5권까지만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으며, 나머지는 다양한 정도로 단편화되어 있다.

역사적 서술을 끊는 정치, 역사 서술, 지리에 관한 세 권의 논의가 있다.

  • 6권에서 폴리비오스는 "헌법 순환"(아나키클로시스) 이론을 개괄하고 로마인들이 지중해의 경쟁자들을 물리칠 수 있었던 정치적, 군사적, 도덕적 제도를 설명한다. 폴리비오스는 로마인들이 국민들의 부정적인 충동을 균형 있게 제어하고 고귀한 행위에 대한 열망, 덕에 대한 사랑, 부모와 원로에 대한 경건함, 신에 대한 두려움(''데이시다이모니아'')을 증진시키는 관습과 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고의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 12권에서 폴리비오스는 역사를 쓰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 티마이오스를 포함한 많은 이전 역사가들의 역사적 기록을 비판한다. 그는 티마이오스의 관점이 부정확하고, 무효하며, 로마에 유리하게 치우쳐져 있다고 주장한다. 크리스티안 하비히트는 그의 티마이오스에 대한 비판이 악의적이고 편향적이라고 생각했다.[11] 그러나 폴리비오스의 ''역사''는 서로 다른 헬레니즘 버전의 역사를 분석하고 헬레니즘 시대 동안의 사건에 대한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설명으로 유용하다.

  • 34권은 지리적 문제와 역사적 기록과 국정 운영자의 교육에서 지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으나, 거의 전부 유실되었다.


폴리비우스는 여러 저술을 남겼지만, 대부분은 사라졌다. 그의 초기 작품은 그리스 정치가 필로포이멘의 전기였는데, 이 작품은 나중에 플루타르코스가 그의 『영웅전』을 쓸 때 자료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원본 폴리비우스의 글은 남아있지 않다. 또한 폴리비우스는 『전술(Tactics)』이라는 방대한 논문을 저술했는데, 이것은 로마와 그리스의 군사 전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작품의 일부는 그의 주요 저작인 『역사(Histories)』에 남아 있을 수도 있지만, 작품 자체는 사라졌다. 또 다른 사라진 작품은 누만티아 전쟁에 관한 역사적 논문이다. 폴리비우스의 가장 큰 저술은 『역사』인데, 이 중 처음 다섯 권은 완전히 온전하게 남아 있고, 여섯 번째 권의 상당 부분과 나머지 부분의 단편들이 남아 있다. 카토 대(Cato the Elder)](기원전 234~149년)와 함께 그는

3. 2. 주요 특징

폴리비오스는 여러 저작을 썼지만 대부분 남아있지 않다. 그의 저서 ''역사''는 앞쪽 5권까지 온전하게 남아있고, 6권 상당 부분과 나머지 단편이 전한다. 리비우스는 자신의 책을 쓸 때 폴리비오스의 저작을 참고했다.[30] 폴리비오스는 전승을 신중하게 검증하고 날카로운 비판을 하여 인과 관계에 따라 역사를 쓴 초기 역사가였다. 그는 자신의 ''역사''에서 자신이 생각했던 바와 더불어 역사적 사건의 주인공과 목격자와 대화한 내용을 서술했다. 그는 국가주의, 외국인 혐오, 표리부동한 정치, 끔찍한 전투, 잔인함, 충성심, 용기와 용맹, 지성, 이성, 지략 등 인간 행위의 모든 면을 포착했다.[31] 세부적이면서도 비판적으로 추론하는 폴리비오스의 시각을 통해, 그는 연대기가 아닌 통합적인 역사관을 제시했다.

그는 객관성과 비판적 논의 측면에서 투키디데스의 후계자로, 그리고 근대 과학의 맥락에서 학문적이고 성실한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저작은 명확한 사건 전개, 통찰력, 건전한 판단을 중시하며, 특정한 결과에 영향을 주는 조건 중에서도 특히 지리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그리하여 폴리비오스는 고대의 역사 서술의 최고라 할 수 있다. 《옥스퍼드 고전 문학 안내서》(''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1937년)의 저자는 그의 '성실한 진실 추구'와 사건의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높이 평가했다.

최근 폴리비오스의 서술은 좀 더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영국의 역사학자인 피터 그린은 그가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과 아버지의 행적을 정당화하려 한다고 본다. 그는 자의적으로 아카이아 정치가 칼리크라테스를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독자로 하여금 칼리크라테스가 로마에 인질로 끌려간 것은 자신이 자초했다고 의심케 만들었다는 것이다.[32] 더 근본적으로 볼 때 폴리비오스는 로마에 인질로 가서 스키피오 가문의 피호민이었고 기원전 146년 이후에는 로마에 협력한만큼 자신의 참된 의견을 제시하기에 자유롭지 못했다. 그린은 폴리비오스가 그리스 독자에게 로마에 대해 설명하여 그가 불가피하게 생각했던 로마의 지배에 순응할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그린의 입장에서도 폴리비오스의 역사서는 귀중한 가치가 있고, 그가 다룬 시대를 다룬 최고의 사료이다. 론 멜러도 폴리비오스가 스키피오에 대한 충성 때문에 편향적이고 스키피오의 정적을 비방하고 있다고 본다.[33] 애드리언 골드워시도 스키피오가 장군이던 시기에 폴리비오스의 사료를 이용할 때 두 사람의 관계를 늘 언급한다.

폴리비오스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는 적대적이기도 했다. 가령 그는 크레타에 대해 부정적인 편견을 보이고 있다.[34] 그러나 한센은 폴리비오스가 크레테에 대해 쓴 글은 고대 크레테에 대단히 상세한 사료가 되고 있다고 썼다. 사실 폴리비오스의 관찰은(스트라본과 스킬락스의 기록과 더불어[33]) 크레테의 사라진 고대 도시 키도니아의 위치를 규명하게 되었다.[34]

3. 3. 순환정체론 (Anacyclosis)

폴리비오스는 ''히스토리아''에서 플라톤이 이미 탐구했던 순환정체론(anacyclosis)을 설명하고 있다.

6권에서 폴리비오스는 유명한 "헌법 순환"(아나키클로시스) 이론을 개괄하고 로마인들이 지중해의 경쟁자들을 물리칠 수 있었던 정치적, 군사적, 도덕적 제도를 설명한다. 폴리비오스는 로마인들이 현재 국민들의 부정적인 충동을 균형 있게 제어하고 고귀한 행위에 대한 깊은 열망, 덕에 대한 사랑, 부모와 원로에 대한 경건함, 신에 대한 두려움(''데이시다이모니아'')을 증진시키는 관습과 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고의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짓는다.[30][31][32][33][34]

3. 4. 혼합정체론

폴리비오스는 6권에서 "헌법 순환"(아나키클로시스) 이론을 설명하고, 로마인들이 지중해의 경쟁자들을 물리칠 수 있었던 정치적, 군사적, 도덕적 제도를 분석한다. 그는 로마인들이 국민들의 부정적인 충동을 균형 있게 제어하고, 고귀한 행위에 대한 열망, 덕에 대한 사랑, 부모와 원로에 대한 경건함, 신에 대한 두려움(''데이시다이모니아'')을 장려하는 관습과 제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최고의 권력을 가질 수 있었다고 결론짓는다.

4. 암호 작성술

폴리비오스는 숫자 체계를 이용하여 문자를 쉽게 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폴리비오스 정사각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고안했는데, 이는 통신에 유용하다.[23] 이 아이디어는 암호화스테가노그래피에도 활용될 수 있다.

그는 저서 『역사』에서 이 암호가 횃불을 올리고 내리는 방식으로 각 문자의 열과 행을 나타내어 장거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불 신호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것은 이전의 불 신호 방식에서 미리 정해진 코드만 보낼 수 있었던 것보다 큰 발전이었다.

또한, 『역사』에는 로마군에 맞서 시라쿠사를 방어하기 위해 아르키메데스가 고안한 기계에 대한 자세한 논의와, 장군들에게 천문학의 유용성을 분석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폴리비오스는 '노인(아르키메데스)'과 그의 기술을 최고의 찬사로 칭찬했다.

4. 1. 로마자 및 그리스 문자 암호표

로마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형식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형식

12345
1ABCDE
2FGHI/JK
3LMNOP
4QRSTU
5VWXYZ



두 번째 형식

12345
1ABCDE
2FGHIJ
3KLMNO
4PQRST
5UVWXY/Z



폴리비우스는 숫자 체계를 이용하여 문자를 쉽게 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폴리비우스 정사각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고안했는데, 이는 통신(telegraphy)에 유용하다.[23] 이 아이디어는 암호화스테가노그래피에도 활용될 수 있다. 서유럽 언어, 예를 들어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에서 현대적으로 구현된 폴리비우스 정사각형은 일반적으로 해당 언어가 쓰이는 로마자 알파벳을 사용한다. 하지만 폴리비우스 자신은 그리스어로 글을 썼으므로, 그의 암호 정사각형은 그리스 알파벳으로 구현되었을 것이다.

12345
1ABCDE
2FGHI/JK
3LMNOP
4QRSTU
5VWXYZ



12345
1ABΓΔE
2ZHΘIK
3ΛMNΞO
4ΠPΣTY
5ΦXΨΩ



폴리비우스 정사각형에서는 알파벳 문자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5×5 정사각형에 배열했다. 26자의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I와 J 두 글자를 결합한다. 정확히 한 글자 적은 글자가 있는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하는 경우, 마지막 "5,5" 코드 포인트는 단어 사이의 공백을 나타낸다. 또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글을 쓸 때 문장이나 단락의 끝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다섯 개의 숫자를 정사각형의 윗부분에 나란히 배열하고, 다섯 개의 숫자를 정사각형의 왼쪽에 세로로 배열한다. 일반적으로 이 숫자들은 1부터 5까지 배열되었다. 정사각형 격자를 따라 두 숫자를 교차 참조하여 문자를 유추할 수 있었다.

『역사(The Histories)』에서 폴리비우스는 이 암호가 횃불을 올리고 내리는 방식으로 각 문자의 열과 행을 나타내어 장거리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불 신호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것은 이전의 불 신호 방식(예: "만약 우리가 불을 피우면, 적이 도착했다는 뜻이다")에서 미리 정해진 코드만 보낼 수 있었던 것보다 큰 발전이었다.

4. 2. 한글 암호표

12345
1
2
3
4
5ㅐ/ㅔ


5. 평가 및 영향

폴리비오스는 여러 저작을 남겼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플루타르코스가 참조한 필로포이멘 전기, 로마와 그리스의 군사 전술을 다룬 ''전술''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주저인 ''역사''는 앞쪽 5권과 6권 일부, 그리고 나머지 단편만이 남아있다.

리비우스는 자신의 저술에 폴리비오스의 저작을 참고했다. 폴리비오스는 전승을 신중하게 검증하고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여 인과 관계에 따라 역사를 서술한 초기 역사가였다. 그는 역사적 사건의 주인공 및 목격자와의 대화를 통해 생생한 묘사를 추구했다. 국가주의, 외국인 혐오, 정치, 전투, 잔인함, 충성심, 용기, 지성, 이성, 지략 등 인간 행위의 모든 면을 포착하여 연대기가 아닌 통합적인 역사관을 제시했다.

그는 객관성과 비판적 논의를 중시한 투키디데스의 후계자이자, 근대 학문적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저작은 명확한 사건 전개, 통찰력, 건전한 판단, 특히 지리적 요소의 강조를 통해 고대 역사 서술의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 《옥스퍼드 고전 문학 안내서》(''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는 그의 '성실한 진실 추구'와 사건의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높이 평가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우스는 폴리비오스의 문체를 서투르다고 평가했지만, 그의 ''역사''는 로마인과 그리스인 모두에게 널리 읽혔다. 키케로, 디오도로스, 리비우스, 플루타르코스, 아리아누스 등 많은 학자들이 폴리비오스를 인용하거나 참고했다.

폴리비오스의 저작은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에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리비우스에 관한 논고''에서 폴리비오스에 대한 이해를 드러냈다. 16세기에는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영어 번역본이 등장하면서 학계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삭 카소봉, 자크 오귀스트 드 투, 윌리엄 캠던, 파올로 사르피 등의 서신은 폴리비오스 저작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폴리비오스는 여전히 대중에게 널리 읽히지 않는 "역사가의 역사가"로 남아 있었다.[26]

폴리비오스의 정치 분석은 키케로에서 몽테스키외를 거쳐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28] 존 애덤스는 폴리비오스를 헌법 이론의 가장 중요한 스승 중 하나로 여겼다.[28] 계몽 시대 이후 폴리비오스는 헬레니즘 그리스와 초기 로마 공화국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나, 그의 정치 및 군사 저술은 학계에서 점차 영향력을 잃었다. 최근에는 폴리비오스의 그리스어 원문과 역사적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역사가로서의 폴리비오스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높아지고 있다.

에드워드 터프테에 따르면, 폴리비오스는 샤를 조제프 미나르가 그린 제2차 포에니 전쟁한니발이탈리아 침공 경로를 묘사한 지도의 주요 출처였다.[29] 호세 오르테가 이 가셋은 폴리비오스를 "위대한 정신" 중 하나로 칭송하며, 그의 ''역사''가 소실된 것을 큰 손실로 평가했다.

5. 1. 비판적 시각

폴리비오스의 저작은 대부분 소실되었지만, 그의 역사관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리비우스는 폴리비오스의 저작을 참고했으며, 폴리비오스는 신중한 사료 검증과 비판적 시각으로 인과 관계에 따라 역사를 서술한 초기 역사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직접 사건의 당사자들과 대화하며 인간 행위의 다양한 면모를 포착하려 노력했다.

폴리비오스는 객관성과 비판적 논의를 중시한 투키디데스의 후계자이자, 근대 학문적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그의 저작은 명확한 사건 전개, 통찰력, 지리적 요소 강조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옥스퍼드 고전 문학 안내서》는 그의 '성실한 진실 추구'와 체계적인 인과 관계 탐구를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폴리비오스의 서술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피터 그린은 폴리비오스가 자신의 행적을 정당화하기 위해 편향된 시각을 가졌으며, 칼리크라테스를 부정적으로 묘사했다고 비판한다.[30] 폴리비오스가 로마의 인질이자 피호민이었기 때문에 자유로운 의견 제시가 어려웠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론 멜러는 폴리비오스가 스키피오 가문에 대한 충성 때문에 편향적이었다고 본다.[31] 애드리언 골드워시 역시 폴리비오스의 사료를 이용할 때 이러한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폴리비오스는 크레타에 대해 부정적인 편견을 보이기도 했다.[32] 그러나 그의 글은 고대 크레타에 대한 상세한 사료로 활용되기도 하며, 키도니아의 위치를 규명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34]

5. 2. 현대적 의의

폴리비오스는 역사가로서, 특히 객관성과 비판적 논의를 중시한 점에서 투키디데스의 후계자이자 근대 학문적 역사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30] 그의 저작은 사건의 명확한 전개와 통찰력, 지리적 요소의 강조를 통해 고대 역사 서술의 최고 수준을 보여준다.[30]

그러나 폴리비오스의 서술은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다. 피터 그린은 폴리비오스가 편향된 시각으로 자신과 아버지의 행적을 정당화하려 했으며, 칼리크라테스를 부정적으로 묘사했다고 비판한다.[30] 또한 폴리비오스가 로마의 피호민이었고 로마에 협력한 만큼, 진정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30] 론 멜러 역시 폴리비오스가 스키피오 가문에 대한 충성 때문에 편향성을 보였다고 주장한다.[31] 애드리언 골드워시는 폴리비오스의 사료를 이용할 때 스키피오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폴리비오스는 특정 주제에 대해 편견을 보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크레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지만,[32] 그의 기록은 고대 크레타에 대한 상세한 사료로 활용되며, 키도니아의 위치를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34]

폴리비오스의 정치 분석은 키케로부터 몽테스키외,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28] 존 애덤스는 폴리비오스를 헌법 이론의 중요한 스승으로 여겼다.[28]

에드워드 터프테에 따르면, 폴리비오스는 샤를 조제프 미나르의 한니발의 이탈리아 침공 경로를 묘사한 지도의 주요 출처였다.[29] 호세 오르테가 이 가셋은 폴리비오스를 "위대한 정신" 중 하나로 칭송하며, 그의 '역사' 손실을 큰 손실로 평가했다.

참조

[1] 서적 Statues and Cities: Honorific Portraits and Civic Identity in the Hellenistic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 웹사이트 Polybius and the Founding Fathers: The separation of powers http://mlloyd.org/md[...]
[3] 서적 Polybius
[4] 서적 Philip V of Mace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5] 서적 On Writing History from Herodotus to Herodian Penguin UK 2017
[6]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39, chapter 35 https://www.perseus.[...] 2016-11-02
[7] 서적 Philip V of Mace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8] 서적 Ancient Historians: A Student Handbook Continuum 2012
[9] 서적 The Rise of the Roman Republic Penguin Books 1979
[10] 서적 Philip V of Macedon in Polybius's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11] 서적 Athens from Alexander to Antony
[12] 논문 A Likely Story: Rhetoric and the Determination of Truth in Polybius's Histories https://scholar.dick[...] 2015-02
[13] 서적 Philip V of Macedon in Polybius's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14] 서적 Plb. 8.9.3-4
[15] 서적 Philip V of Macedon in Polybius's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16] 서적 Plb. 1.1.1-2
[17] 서적 Alexander to Actium
[18] 서적 The Historians of Ancient Rome
[19] 서적 Piracy in the Ancient World
[20] 서적 Sources for the Ancient Greek City-State: Symposium 1995
[21] 서적 Travels in Crete J. Murray 1837
[22] 웹사이트 Cydonia http://www.themodern[...] Themodernantiquarian.com 2010-02-28
[23] 웹사이트 Polybius (1), Greek historian,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oxfordre.com[...] 2016-03-07
[24] 서적 Comp. 4
[25] 서적 The Rise of the Roman Empire Penguin Classics 1979
[26] 학술지 A Survey of the Popularity of Ancient Historians, 1450-1700 History and Theory, Vol. 5, No. 2 1966
[27] 학술지 A Survey of the Popularity of Ancient Historians, 1450-1700 History and Theory, Vol. 5, No. 2 1966
[28] 웹사이트 Polybius and the Founding Fathers: the separation of powers http://mlloyd.org/md[...] 1998-09-22
[29] 웹사이트 Minard's figurative map of Hannibal's war http://www.edwardtuf[...] Edwardtufte.com 2010-02-28
[30] 서적 Alexander to Actium
[31] 서적 The Historians of Ancient Rome
[32] 서적 Sources for the Ancient Greek City-State: Symposium 1995
[33] 서적 Travels in Crete J. Murray 1837
[34] 웹사이트 Cydonia http://www.themodern[...] 2008-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