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로원은 고대 로마에서 유래된 용어로, 현대에는 다양한 국가의 입법 기구인 상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고대 로마에서는 귀족으로 구성된 자문 기관을 원로원이라 불렀으며, 공화정 시대에는 실질적인 통치 기관의 역할을 수행했다. 로마 제국 시기에는 황제의 자문 기관으로 권한이 축소되었으나, 로마의 원로원을 본떠 설치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원로원은 동로마 제국 멸망까지 존속했다. 서구 세계에서 senatus는 '합의제에 의한 국가 의사 결정 기관'을 의미하는 보통 명사로 자리 잡았으며, 중세 시대 폴란드, 베네치아, 피렌체 등에서도 원로원 명칭이 사용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미국이 영국 양원제를 도입하면서 상원을 '원로원'으로 명명하면서 서구 문명을 계승하는 많은 국가들이 상원의 명칭으로 '원로원'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 각국은 상원을 '원로원', '연방 상원'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하며, 선출 방식과 기능은 국가별로 상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원 - 미국 상원
미국 상원은 미국 연방 의회의 상원으로, 각 주에서 2명씩, 총 1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6년 임기, 단계적 임기제를 통해 선출되며, 연방 법률 제정, 대통령 인사, 조약 비준, 탄핵 재판, 그리고 선거인단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지 못한 경우 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상원 - 프랑스 상원
프랑스 상원은 348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6년 임기 동안 법률안 심의, 정부 견제, 지방 자치 단체 보호 역할을 하며, 3년마다 절반씩 선거로 갱신된다. - 입법부 - 면책특권
면책특권은 의회 의원의 자유로운 의정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 발언 및 표결에 대한 면책과 체포·구금으로부터의 면책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역사적으로 왕권 또는 독재 정권의 탄압으로부터 의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고, 현대에는 의회의 독립성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특권 남용 논란으로 인해 각국은 면책특권 제도를 다르게 운영하며 개선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 입법부 - 상원
상원은 양원제 국가에서 하원과 함께 입법부를 구성하는 의회로서, 권한, 선출 방식, 의원 수, 임기 등에서 하원과 차이를 보이며 행정부 견제, 조약 비준, 고위 공직자 임명 동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원로원 | |
---|---|
기본 정보 | |
구분 | 양원제 입법부의 상원 |
기능 | |
기능 | 입법부의 한 부분 |
역사 | |
유래 | 고대 로마의 로마 원로원에서 유래 |
역사적 역할 | 로마 공화국과 제정 시대에 중요한 정치적 역할 담당 |
특징 | |
특징 | 일반적으로 하원보다 규모가 작음 선거 또는 임명을 통해 구성 입법 과정에서 하원과 다른 역할 수행 국가에 따라 다양한 권한과 책임 보유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상원 의원 의회 국회 양원제 |
참고 | |
로마 원로원 | 로마 원로원 |
2. 역사
현대의 '상원(senat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senātus'(상원)에서 유래하며, 이는 'senex'('노인')에서 나왔다.[3] 상원의 의원은 '상원의원(senator)'이라고 불린다. 라틴어 'senator'는 철자 변경 없이 영어로 채택되었다. 그 의미는 자문 또는 의사 결정권이 가장 연장자에게 주어지는 매우 오래된 사회 조직 형태에서 유래한다. 최초의 상원은 로마 상원이었으며, 기원후 603년까지 존속했다.[4]
양원제 의회 제도를 가진 현대 민주 국가에는 종종 상원이 있는데, 이는 하원과 선거 규칙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상원은 하원보다 의원 수가 적다. 일부 연방 국가에서는 하위 국가 수준에서도 상원이 존재한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연방 의회의 상원만 상원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에서는 주 의회의 마지막 상원인 바이에른 상원이 2000년에 폐지되었다.[5]
상원 의원 구성은 선거 또는 임명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리핀 상원 의원의 절반에 대한 선거는 3년마다 실시되며, 상원의원 임기는 6년이다.[6] 반대로, 캐나다 상원 의원은 총독이 캐나다 총리의 추천으로 임명하며, 사임하거나 해임되거나 의무적인 75세 정년에 도달할 때까지 직을 유지한다.
일본에서도 에도 시대까지 조직의 간부 직책에 ‘어른’, ‘노인’과 같은 연장자를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메이지 유신 이후의 태정관제에서는 1875년에 설치된 입법 자문 기관을 ‘원로원’이라고 불렀다.
2. 1. 고대 로마
라틴어로 ‘늙은이’를 뜻하는 senexla에서 유래한 senatusla는 ‘연장자 회의’를 의미하며, 이것이 원로원의 기원이다. 로물루스 왕은 유력자들을 귀족으로 삼아 종신직 원로원을 구성하고 왕의 자문 기관으로 삼았다.[3]로마 공화정에서는 왕정이 타도된 후 원로원이 실질적인 통치 기관이 되었다. 로마 제국으로 이행된 후에도 원로원은 존속했지만, 점차 권한이 축소되어 황제를 승인하고 황제의 자문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성격이 변해갔다.
로마 원로원은 7세기경 소멸하였으나,[4]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설치된 원로원은 1453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존속했다.
2. 2. 중세 및 근세
폴란드 왕국(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등에서 공화정 또는 귀족 공화정의 통치 기관으로 "원로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베네치아와 피렌체의 원로원은 "참사회"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고, 폴란드의 원로원은 "세나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로마노프 왕조의 러시아 제국에서는 표트르 1세가 자문 기관으로 원로원을 설치했다.[4]2. 3. 근대
근대 최초의 공화국인 미국은 구 종주국 영국의 양원제를 도입하면서 상원을 '원로원(Senate)'으로, 하원을 '하원(House of Representatives)'으로 명명했다. 이는 서구 문명을 계승하는 많은 국가, 특히 영국의 구 식민지였던 국가들이 상원의 명칭으로 '원로원'을 사용하는 계기가 되었다.[3]3. 구성 및 기능
현대에서 '상원(senat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senātus'(상원)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senex'('노인')에서 나왔다.[3] 상원 의원 또는 입법자를 '''상원의원(senator)'''이라고 한다. 라틴어 'senator'는 철자 변경 없이 영어로 채택되었다. 그 의미는 자문 또는 의사 결정권이 가장 연장자에게 주어지는 매우 오래된 사회 조직 형태에서 유래한다. '상원'이라는 단어는 고등 교육 기관 학부의 심의 기구처럼, 공동체의 최고 연장자들로 구성된 권력 기관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최초의 상원은 로마 상원이었으며, 기원후 603년까지 존속했다.[4] 동로마 제국에서는 비잔티움 상원이 4차 십자군(약 1202~1204년)까지 계속되었다. 여성형 '''senatrix'''도 존재했다.
양원제 의회 제도를 가진 현대 민주 국가에서 상원은 보통 하원과 다른 선거 규칙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상원은 하원보다 의원 수가 적으며, 상원 의원 구성은 선거 또는 임명을 통해 결정된다.
3. 1. 선출 방식
현대 민주 국가에서 양원제 의회 제도를 채택한 경우, 상원은 하원과 구별되는 선거 규칙을 가진다. 이러한 규칙에는 유권자와 후보자의 최소 연령, 선거 방식(예: 비례 대표제, 다수결, 과반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원은 하원보다 의원 수가 적다.일부 연방 국가에서는 주(state) 또는 지역 수준에도 상원이 존재한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주와 준주에 상원이 있으며, 연방 차원에는 미국 상원이 있다. 아르헨티나 역시 연방 차원의 상원 외에 8개 주에 상원이 있는 양원제 입법부를 두고 있다. 코르도바와 투쿠만은 단원제로 전환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연방 의회의 상원만 상원으로 불린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퀸즐랜드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 상원이 있으며, 캐나다의 주들은 과거에는 상원을 두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지되었다. 독일에서는 바이에른 상원이 2000년에 폐지되면서 주 의회 차원의 상원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5]
상원 의원 구성 방식은 국가별로 다르다. 필리핀 상원은 3년마다 절반의 의원을 선출하며, 상원의원 임기는 6년이다.[6] 반면, 캐나다 상원 의원은 총독이 캐나다 총리의 추천으로 임명하며, 75세 정년까지 직을 유지한다.
3. 2. 기능
양원제 의회 제도를 가진 현대 민주 국가에는 종종 상원이 있으며, 이는 "하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하원과 선거 규칙으로 구분된다. 상원은 일반적으로 하원보다 의원 수가 적다. 상원 의원 구성은 선거 또는 임명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리핀 상원 의원의 절반은 3년마다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6년이다.[6] 반면, 캐나다 상원 의원은 총독이 캐나다 총리의 추천으로 임명하며, 75세 정년에 도달할 때까지 직을 유지한다.4. 한국의 상원 (참의원)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5. 세계 각국의 상원
양원제 의회 제도를 가진 현대 민주 국가에는 종종 상원이 있는데, 이는 하원과 선거 규칙으로 구분된다. 상원은 하원보다 의원 수가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선거 규칙에는 유권자와 후보자에게 요구되는 최소 연령, 비례 대표제 또는 다수결 (과반수) 사용, 선거 기반 등이 있다.
일부 연방 국가에서는 하위 국가 수준에서도 상원이 존재한다. 미국에서는 네브래스카주,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워싱턴 D.C.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와 준주에 상원이 있으며, 연방 차원에는 미국 상원이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도 연방 차원의 상원 외에 8개 주에 상원이 있는 양원제 입법부가 있다. 코르도바와 투쿠만은 단원제로 전환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연방 의회의 상원만 상원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퀸즐랜드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는 입법 평의회로 알려진 상원이 있다. 캐나다의 여러 주들도 한때 입법 평의회를 두었지만, 모두 폐지되었다.
독일에서는 바이에른 상원이 2000년에 폐지되었다.[5]
상원 의원 구성은 선거 또는 임명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필리핀 상원 의원의 절반은 3년마다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임기는 6년이다.[6] 반면, 캐나다 상원 의원은 총독이 캐나다 총리의 추천으로 임명하며, 75세 정년까지 직을 유지한다.
5. 1. 명칭
현대의 '상원(senat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단어 'senātus'(상원)에서 유래하며, 이는 'senex'('노인')에서 나왔다.[3] 라틴어 'senator'는 철자 변경 없이 영어로 채택되었다. 그 의미는 자문 또는 의사 결정권이 가장 연장자에게 주어지는 매우 오래된 사회 조직 형태에서 유래한다.고대 로마에서는 초대 로물루스 왕 이래로 많은 일족을 거느린 유력자들을 “귀족(파트리키)”으로 하여 종신직인 “원로원”을 구성하고 왕의 “자문 기관”으로 삼았다. 이것이 최초의 “원로원”이다. 라틴어로 “늙은 자”를 의미하는 senexla가 어원이며, 여기서 파생된 senatusla “연장자”라는 낱말이 “연장자 회의”라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로마의 원로원은 기원전 27년의 제정 이행 후에도 존속했지만, 점차 권한이 축소되어 정당한 황제를 승인하는 기관, 그리고 황제의 자문 기관으로 단계적으로 성격이 변해갔다. 로마의 원로원은 7세기경에 사라졌지만, 로마의 원로원을 본떠 설치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원로원은 1453년 동로마 제국 멸망까지 존속했다.
서구가 경험한 유일한 공화정이 로마 공화정이며, 귀족의 권위에 의존하지 않는 합의제 통치 기관으로 서구가 아는 유일한 실례가 로마 원로원이었던 점에서, 서구 세계에서 senatusla가 각국어로 변화된 단어가 “합의제에 의한 국가의 의사결정 기관” 또는 “높은 권위를 가진 합의제 국가 기관”을 나타내는 보통명사가 되었다.
그 후, 중세의 폴란드 왕국(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등에 공화정 또는 귀족 공화정이 성립되자, 그 통치 기관에도 “원로원”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베네치아와 피렌체의 기관은 “참사회”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고, 폴란드의 기관은 “원로원”으로 번역되거나 그대로 “세나트”라고 불린다. 또한, 동로마 제국의 황제권을 계승하는 형태로 성립된 로마노프 왕조의 러시아 제국에서는 표트르 1세가 자문 기관으로 설치한 기관에 “원로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근세가 되어, 체계적인 국가 구조와 미래 전망을 가진 최초의 근대적 공화국으로 미국이 독립하자, 그 의회에 구 종주국 영국의 양원제를 도입하면서도, 그 “귀족원·하원”이라는 명칭을 바꾸어 “원로원·하원”으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결과, 현재도 고대 로마를 원천으로 하는 서구 문명을 계승하는 국가들, 특히 영국·프랑스·스페인·미국의 구 종주국이나 그 구 식민지에서 20세기에 독립한 국가의 대부분이 상원의 공식 명칭에 “원로원”을 사용하게 되었다.
일본에서도 에도 시대까지 조직의 간부 직책에 “어른”, “노인”과 같은 연장자를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막부의 정책 결정자를 “로쥬”나 “타이로”라고 부르거나, 스모의 장로를 “노인”이라고 부르는 예가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의 태정관제에서는 1875년에 설치된 입법 자문 기관을 “원로원”이라고 불렀다.
5. 2. 예시
; 미국: 미국 원로원
:
:: 참고로, 각 주의 주 의회에도 원로원이 있다.
; 독일
: 독일에서는 베를린, 브레멘, 함부르크 등 단일 도시로 구성된 주에는 Senat이라는 기관이 있지만, 중앙 정부나 다른 주의 내각에 해당하는 합의제 행정 기관이며, 시의회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과거 바이에른 주의회에는 이 상원으로 존재하였다.
; 캐나다
: 상원
: ,
; 멕시코
: 공화국 원로원
: [20]
; 필리핀
: 상원
: ,
; 프랑스
: 상원
:
; 스페인
: 상원
:
; 이탈리아
: 상원
:
; 폴란드
: 폴란드 원로원
:
; 아일랜드
: 세아나드 에이런
: Seanad Éireann|샤나드 에이렌ga
; 브라질
: 연방 원로원
:
; 태국
: 상원
: วุฒิสภา|웃티사파th
; 말레이시아
: 상원
: 말레이어: Dewan Negara
; 레소토
: 상원
: Senate ea Lesothost
; 칠레
: 상원
:
; 카메룬
: 상원
; 로마 공화정 및 고대 로마 제국
: 원로원(senatus) - 기원전 509년 왕정 타도 이후부터 존재했던 집정관의 자문 기관.
; 동로마 제국
: 콘스탄티노폴리스 원로원 - 로마의 원로원을 본떠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설치된 황제의 자문 기관. 850년대까지 존재했다.[21][22]
; 러시아 제국
: 원로원 - 1711년 표트르 1세에 의해 설치된 국가 권력과 법률의 최고 기관.
; 일본
: 원로원 - 1875년부터 1890년까지 존재했던, 수십 명의 원로원 의관으로 구성된 입법 자문 기관.
6. 기타
'상원' 또는 '상원의원'이라는 용어가 반드시 입법부의 상원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8]
- 핀란드 상원은 1918년까지 행정부이자 최고 법원이었다.
- 라트비아 상원(lv)은 1918년~1940년 사이에 유사한 사법 기능을 수행했다.
- 독일 정치에서:
- 베를린(베를린 상원), 브레멘(브레멘 상원)과 함부르크(함부르크 상원) 같이 독일의 연방주(Bundesländer) 중 도시 국가(독일어: ''Stadtstaat'')의 상원(''Senat''(독일어))은 행정부이며, 상원의원(''Senator'')은 장관직을 맡는다.[7]
- 한자 동맹(발트해와 북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들)에 속했던 그라이프스발트, 뤼베크, 로스토크, 슈트랄준트, 비스마르 등 여러 도시의 시정부도 상원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바이에른에서는 상원이 1999년 폐지될 때까지 입법부의 상원이었다.
- 독일 법률에서:
- 상급 항소 법원에서 ''Senat''(상원)이라는 용어는 "법정"을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으로, 특정 사건 관할권을 다루는 사법부 구성원(보통 5명의 판사)을 집합적으로 의미한다. 그러나 판사는 "상원의원"이라고 불리지 않는다. 독일 법원의 ''Strafsenat''(직역: 형사 상원)은 ''형사 관할권 법정''으로, ''Zivilsenat''(직역: 민사 상원)은 ''민법 관할권 법정''으로 번역된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각각 8명의 판사로 구성된 두 개의 상원으로 구성된다. 이 구분은 주로 업무량 분담과 같은 조직적인 성격을 띤다. 두 상원 모두 동일한 종류의 헌법 사건을 다룬다. 과거에는 한 상원이 더 보수적이고 다른 상원이 더 진보적인 것으로 여겨졌지만, 2011년 현재는 그렇지 않다.
- 스코틀랜드에서는 스코틀랜드 고등법원의 판사를 대법관 상원의원이라고 부른다.
- 단원제 입법부를 가진 대부분의 연방 국가에서는 일부 입법자들이 다른 입법자들과 다르게 선출되며 상원의원이라고 불린다. 연방 국가에서는 이러한 상원의원들이 지역을 대표하는 반면, 다른 구성원들은 일반 국민을 대표한다(이 장치는 이원제 입법부를 설립하지 않고도 연방 대표성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됨). 세인트 키츠 네비스, 코모로, 미크로네시아가 그러하다. 다른 비연방 국가에서는 '상원의원'이라는 용어가 그러한 구성원과 다른 입법자들 간의 차이점(예: 선출 방식)을 나타낸다. 도미니카의 도미니카 의회와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의회가 그러하다. 2022년까지 저지 주 의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8]
- 웨일스에는 '상원'에 해당하는 단어인 "Senedd"로 웨일스어로 번역된 Senatus가 있다. 이 단어는 처음에는 현재 세네드 의사당으로 불리는 것을 특별히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나중에는 그곳에서 열리는 자치 단원제 입법부인 "웨일스 국민의회"를 가리키는 의미론적 은유가 되었다. 2020년 5월 "Senedd Cymru" 또는 "웨일스 의회"라는 이름을 채택하면서 "세네드"라는 용어가 웨일스어와 영어 모두에서 이 기관의 일반적인 약칭이 되었다. 웨일스어에는 "의회"를 직역하는 단어가 없으며, 세네드(상원의 동족어)는 "상원"과 "의회" 모두를 의미한다.
- 대학 상원은 일부 대학의 통치 기구이다.
- 그리스 독립 전쟁 초기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반군에 의해 다양한 지역 입법 및 행정 기구가 설립되었다. 그중 펠로폰네소스 상원과 서부 그리스 대륙 상원 두 곳은 "상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oration
1965
[2]
서적
Bicameral Legislatur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Hague
2015
[3]
웹사이트
senate
http://dictionary.re[...]
[4]
서적
The Papacy: Gaius-Proxi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5]
서적
Rescaling the European State: The Making of Territory and the Rise of the Meso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10
[6]
웹사이트
Why only 12 are elected to the 24-member Senate
https://www.pna.gov.[...]
2022-04-26
[7]
위키
Senate of Berlin, Senate of Bremen and Senate of Hamburg
[8]
뉴스
Removal of Jersey senator roles given final approval
https://www.bbc.co.u[...]
BBC News
2021-04-22
[9]
위키
Greek Senate
[10]
웹사이트
'Developing Constitutional Culture in the Context of Constitutional Implementation': The Case of the Maldives' First Democratic Constitution
https://law.unimelb.[...]
Melbourne Forum on Constitution-Building
[11]
위키
Kenyan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12]
위키
South African Senate
[13]
위키
Control Yuan
[14]
위키
Chadian Senate
[15]
위키
Philippine Senate
[16]
웹아카이브
1844, 1847, 1859, 1871, 1917 Constitutions of Costa Rica
http://esociales.fcs[...]
[17]
서적
El Salvador: A Country Study
1990
[18]
위키
Turkish Senate
[19]
웹사이트
http://japan.usembas[...]
[20]
웹사이트
Senado de la República
https://www.senado.g[...]
[21]
서적
元老院
評論社
2001
[22]
서적
古代ローマ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