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페라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페라토르는 본래 로마 공화정에서 원로원으로부터 임페리움을 부여받은 공직자를 의미하는 라틴어였으나, 대외 전쟁에서 승리한 군 사령관에게 주어지는 칭호로도 사용되었다. 로마 공화정 말기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후 아우구스투스가 임페라토르를 칭호로 사용하면서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후에는 로마 황제의 칭호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동로마 제국에서도 사용되었다. 서구권에서는 '황제'를 뜻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임페라토르의 여성형은 임페라트릭스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군사 계급 - 켄투리오
    켄투리오는 로마군의 백인대를 지휘하는 중·하급 장교로, 마리아누스 개혁 이후 약 80명의 병사를 지휘했으며, 경력에 따라 승진하여 높은 권위를 누리기도 했고, 신약성서에도 등장한다.
  • 고대 로마의 군사 계급 - 코메스
    코메스는 고대 로마에서 기원하여 영웅이나 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칭호로 사용되었으나, 로마 제정 시대에 황제의 측근 관료 직위로 발전하여 중세 시대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봉건 시대에는 다양한 작위에 대한 라틴어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 황족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황족 칭호 - 차트라파티
    차트라파티는 인도 마라타 제국의 군주들이 사용한 "황제", "왕",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시바지 1세가 마라타 제국 건국 시 처음 사용한 이후 그의 후계자들이 계승하였으며, 현재는 우다얀라제 보살레가 칭호를 이어받고 있다.
  • 고대 로마의 관직과 칭호 - 트리부누스
    트리부누스는 고대 로마에서 시작된 직책으로, 부족 지도자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여러 유형과 권한을 가진 관직을 의미한다.
  • 고대 로마의 관직과 칭호 - 켄투리오
    켄투리오는 로마군의 백인대를 지휘하는 중·하급 장교로, 마리아누스 개혁 이후 약 80명의 병사를 지휘했으며, 경력에 따라 승진하여 높은 권위를 누리기도 했고, 신약성서에도 등장한다.
임페라토르
개요
의미'무한의 권(imperium 인페리움)을 가진 자'
어원'la (인페라레)'
관련 어휘'fro (앙페뢰르)'
'[[:wikt:imperator#명사 (임페라토르)]]'
'[[:en:wikt:imperator#Noun_5 (임페라토르), emperor (엠페러)]]'
역사
기원고대 로마 공화정 시대
용도군사적 승리를 거둔 장군에게 수여하는 칭호
로마 군단병사들이 자신들의 사령관을 지칭하는 호칭
변화'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종신 임페라토르가 되면서 개인의 칭호로 변화'
'이후 로마 황제의 칭호로 굳어짐'
관련 칭호'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의미 확장
후대'카이저 (독일어)'
'차르 (러시아어)'
참고
관련 항목'황제'
'로마 황제'
'카에사르'
'카이저'
'차르'
'로마 제국'
'로마 제국주의'

2. 정의와 특징

임페라토르는 본래 명령권(임페리움)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20][21][22] 고대 로마에서는 대외 전쟁에서 성공한 군 사령관(개선 장군)의 칭호로도 사용되었다.[21] 원로원은 각지에 임페라토르(명령권 보유자)를 파견하여 로마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도 로마의 지배를 미치게 했다.[23]

율리우스 카이사르 이후 임페라토르는 로마 황제의 칭호 중 하나가 되었으며,[20]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등과 함께 로마에서 최고 권력자의 직함으로 인식되었다. 로마 황제는 '프린켑스'(제1인자)로도 불렸다. 수에토니우스의 『황제열전』에서는 '프린켑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세 용어가 모두 황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고대 중국의 황제(皇帝)와 달리, 로마의 '카이사르'(임페라토르)는 동시에 여러 명이 존재할 수 있었다.[33] 타키투스에 따르면, 티베리우스 시대까지는 황제 외에도 임페라토르 칭호를 받은 사람이 있었다.[6]

임페리움은 '최고 명령권'을 의미하며, 권위를 수반했다. 집정관(콘술), 법무관(프라이토르) 등 최고 책임자가 임페리움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임페리움은 후에 '제국'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24][25]

로마 공화정 문헌과 금석문에 따르면, 임페라토르는 임페리움을 가진 행정관이었다. 후기 로마 공화정과 공화정 말기의 내전 동안, ''임페라토르''는 주로 특정 군 지휘관들이 사용한 명예 칭호였다. 특히 큰 승리를 거둔 후, 야전의 군대는 지휘관을 ''임페라토르''라고 선포했는데, 이는 장군이 원로원개선식을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경례였다. ''임페라토르''로 추대된 후, 승리한 장군은 개선식 때까지 자신의 이름 뒤에 이 칭호를 사용할 권리가 있었으며, 개선식에서 그는 칭호와 그의 임페리움을 포기했다.[3]

아우구스투스로마 제국을 건국한 후, ''임페라토르''라는 칭호는 일반적으로 황제에게만 주어졌지만, 제국 초기에는 그의 가족 구성원에게도 가끔 부여되었다. 영구적인 칭호로서, ''임페라토르''는 로마 황제들이 프라이노멘으로 사용했으며, 즉위 시 사용되었다. 티베리우스 통치 이후, 임페라토르로 선포되는 행위는 황제 즉위 행위로 변모했다.

''임페라토르''라는 칭호는 일반적으로 그리스어로 ''아우토크라토르''("스스로 통치하는 자")로 번역되었다.

3. 역사적 전개

기원전 209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이베리아반도를 제압했을 때 병사들이 그를 '임페라토르'라고 환호한 것이 이 칭호의 역사상 최초 등장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확실하게 확인되는 것은 기원전 189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아누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가 '임페라토르' 칭호로 고시된 사례이다.[20][30][31] 로마인들은 대외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선식을 올리는 장군들을 향해 '임페라토르'라고 환호했다.

제국 성립 이전 내란기에는 임페라토르가 군사 지휘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종신 독재관이 되어 로마군 최고 지휘권을 장악하면서 '임페라토르'를 최초로 영구적인 칭호 및 개인 이름으로 사용했다. 아우구스투스 역시 '임페라토르'를 개인 이름으로 사용했지만, 아우구스투스 이후 초기 프린켑스(제1인자)들의 경우에는 대체로 카이사르와의 혈연 관계를 나타내는 '카이사르' 칭호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는 '카이사르'를 칭하면서도 '임페라토르'를 자칭했다. 네로 치세에 '임페라토르' 칭호는 불완전하게 부활하여, 베스파시아누스 이후 황제 이름 앞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임페라토르'는 프린켑스의 칭호로 자리잡았고, '황제'를 의미하는 단어로 변화해 갔다.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그리스어가 제국의 공용어가 되면서 그리스어로 같은 의미인 '아우토크라토르(αυτοκράτωρ)'가 황제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임페라토르'는 '카이사르'와 더불어 서구에서 '황제'를 뜻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로마 제정 시대에 황제를 가리키는 단어였던 '아우구스투스'의 영향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그러나 역사학에서는 '임페라토르' 칭호를 가지고 로마 황제의 군주로서의 성격을 논하기보다는 원수정 초기 아우구스투스와 그 후계자의 위치를 가지고 논하는 경우가 많으며, 임페라토르에 대해서도 제정 시기 로마 황제가 내포하고 있던 다양한 특성의 하나였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5세기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라틴어동로마 제국의 공식 언어로 계속 사용되었다. 이 시대의 로마 황제(역사적으로는 비잔틴 황제라고 칭함)는 라틴어 문헌에서 ''임페라토르''로 불렸으며, 그리스어로는 ''바실레우스''(왕)와 ''아우토크라토르''(황제)가 사용되었다.

800년 이후, ''임페라토르''는 카롤링거 왕조와 독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1806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1918년까지)에 의해 공식 라틴 칭호로 ''아우구스투스''와 함께 사용되었다.

중세 스페인에서는 9세기부터 다양한 상황에서 ''임페라토르''라는 칭호가 사용되었지만, 1086년에서 1157년 사이에 공식적이고 실질적인 칭호로 사용이 절정에 달했다. 이는 주로 레온 왕국 국왕과 카스티야 왕국에서 사용되었지만, 나바라 왕국에서도 통용되었으며 카스티야 백작과 적어도 한 명의 갈리시아 왕국 공작에 의해 사용되었다. 이는 여러 시점에서 왕이 비잔틴 황제 및 신성 로마 황제와 동등하다는 것을 나타냈고, 정복 또는 군사적 우위를 통한 통치, 여러 민족 또는 종교 집단에 대한 통치, 그리고 기독교와 이슬람 모두에 걸쳐 반도의 다른 왕들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는 것을 의미했다.

1077년부터 알폰소 6세는 ''ego Adefonsus imperator totius Hispaniae''("나, 알폰소, 모든 스페인의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곧 이 칭호의 사용이 정례화되었다.[7] 이 칭호는 톨레도 도시, 서고트족의 고대 수도를 점령하기 전, 그의 제국적 주장의 절정에 달했던 1079년부터 1081년까지 사용되었다. 1080년, 그는 ''ego Adefonsus Hispaniarum imperator''("나, 알폰소, 스페인의 황제")라는 형식을 도입했고, 1090년에 다시 사용했다. 그의 가장 화려한 제국 칭호는 ''ego Adefonsus imperator totius Castelle et Toleto necnon et Nazare seu Alave''("나, 알폰소, 모든 카스티야와 톨레도, 그리고 나헤라 또는 알라바의 황제")였다.[8]

오스만 제국발칸반도(Rumeli, 터키어로 "로마의 땅"을 의미)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한 후, 터키 통치자는 로마의 카이사르(''sultan-ı iklim-i Rûm'')라고 칭송받았다. 15세기 바예지드 2세는 일부 기독교 유럽 국가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폴란드 국왕에게 보낸 문서에서 ''Sultan Dei gratia Asie, Grecie etc. Imperator Maximus''("신의 은총으로, 아시아, 그리스 등의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그의 선임자처럼, 셀림 1세는 군사적 성공을 이유로 외교 서신에서 자신을 임페라토르라고 칭했다(''per la Divina favente clementia Grande Imperator di Constantinopoli, di Asia, Europa, Persia, Syria et Egypto et Arabia et de li mari etc.'').[9]

아우구스투스
그는 군사적 성공자에게 주어지는 명예로운 칭호였던 임페라토르를 이례적으로 개인명으로 사용했다

3. 1. 로마 공화정 시대

기원전 209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이베리아반도를 제압한 후 '임페라토르'로 불린 것이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지만, 확실한 기록은 기원전 189년 루키우스 아이밀리아누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부터이다.[20][30][31] 폼페이우스는 자신이 임페라토르로 불린 횟수를 중시했다.[31] 로마인들은 대외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선식을 거행하는 장군에게 '임페라토르'라고 환호했다.

공화정 시대 초기의 임페리움은 평시와 전시를 통틀어 포괄적인 권한이었지만, 점차 제약을 받아 특정 속주에서의 군사 지휘권으로 축소되었다.[26][27][28] 임페리움의 범위가 축소되자, 임페라토르도 실질적으로 로마군의 군 사령관을 의미하게 되었다.[22] 전쟁에서 승리한 임페라토르는 개선 시 시민들로부터 "임페라토르" 환호를 받았으며,[20][21][29] 개선 장군은 임기 중 임페리움 실효 후에도 "임페라토르"를 칭할 수 있었다.[20][29]

임페라토르는 군사 지휘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3]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종신 독재관이 되어 임페라토르를 영구적인 칭호 및 개인 이름으로 사용했다.[30][31][32]

공화정 시대 역사에는 군단이 지휘관을 ''임페라토르''라고 부르도록 매수된 경우가 많았다.[3] 다음은 임페라토르 칭호를 받은 주요 인물들이다.

연도인물비고
기원전 189년루키우스 아이밀리아누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4]
기원전 95년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5]
기원전 90년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6]
기원전 84년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6]
기원전 60년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6]
기원전 45년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6]
기원전 43년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6]
기원전 41년루키우스 안토니우스[6]



공화정 말기에는 술라, 폼페이우스, 카이사르와 같은 권력자들이 임페라토르를 즐겨 칭했다.[21]

3. 2. 로마 제정 시대

아우구스투스는 임페라토르를 개인 이름으로 사용했지만, 초기에는 '카이사르' 칭호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20]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는 '카이사르'를 칭하면서 '임페라토르'를 자칭했다.[20] 네로 시대에 임페라토르 칭호가 부활했고, 베스파시아누스 이후 황제 이름 앞에 놓이게 되었다.[21] 이후 임페라토르는 프린켑스의 칭호로 자리잡았고 '황제'를 의미하는 단어로 변화해 갔다.[21]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그리스어가 제국의 공용어가 되면서 그리스어로 같은 의미를 가진 '아우토크라토르(αυτοκράτωρ)'가 황제의 칭호로서 사용되었다.

임페라토르는 '카이사르'와 함께 서구권에서 '황제'를 뜻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제정 시대에 황제를 지칭했던 '아우구스투스'라는 단어의 영향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것과 비교하면 대조적이다. (영어: emperor, 프랑스어: empereur)[36] 역사학에서는 임페라토르 칭호 자체보다는 원수정 초기 황제의 위치와 관련지어 논의하는 경향이 있다.

3. 3. 동로마 제국과 그 이후

동로마 제국에서는 '임페라토르' 대신 그리스어 번역인 "아우토크라토르"가 선호되었지만, '임페라토르'는 콘스탄티누스 4세의 7세기 중반 산타폴리나레 인 클라세 성당의 모자이크와 9세기 다양한 납인(lead seals)에 나타난다.[36] 그리스어가 공용어였던 동로마 제국에서는 "'''아우토크라토르'''(αυτοκράτωρ)"를 임페라토르의 번역어로 사용했다. 동방에서는 이 칭호가 비잔틴 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지만, 그 사용 빈도는 줄어들고, 훨씬 더 의례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4. 임페라트릭스 (Imperatrix)

''임페라트릭스''(Imperatrix)는 고대 로마 시대에 임페라토르 또는 후대 황제의 아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0] 로마 제국 초창기에는 황제의 아내를 위한 표준 칭호나 존칭이 없었으며, "아우구스타" 존칭도 예외적으로 수여되었다.

''임페라토르''의 라틴어 여성형이 언제 처음 생겨났고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통치하는'' 군주를 나타내며, 현대의 여제 칭호에 해당하는 라틴어 표현이다.

카르미나 부라나에서 포르투나가 "임페라트릭스 문디"로 묘사될 때, 이는 여신 포르투나 또는 그녀의 의인화를 "세계의 지배자"로 묘사한 것이다.

''임페라트릭스''는 기원전 56년 키케로가 클로디아를 위해 사용했으며, 서기 5세기에 이르러서야 풀케리아 아우구스타가 이 칭호를 얻었다.[10]

기독교 맥락에서 ''임페라트릭스''는 중세 시대부터 성모 마리아를 찬양하는 칭호로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임페라트릭스 안젤로룸"("천사의 지배자")이라고 불렸다.

참조

[1] 웹사이트 Rex.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John Murray, London, 1875. https://penelope.uch[...]
[2] 웹사이트 LacusCurtius • Roman Law — Auctor (Smith's Dictionary, 1875) https://penelope.uch[...]
[3] encyclopedia imperator 2012
[4] 문서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entry 'Imperator',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5] 문서 Ampelius 31 with Mackay (2000), pp. 178–93.
[6] 문서 Annals (Tacitus) Tacitus
[7] 문서 Reilly 1988, 137.
[8] 문서 García Gallo 1945, 214.
[9] book Universal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9-12
[10] book Faustina I and II: Imperial Women of the Golden 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2014
[11] 웹사이트 インペラトル https://kotobank.jp/[...]
[12] 웹사이트 インペラトル https://kotobank.jp/[...]
[13] 웹사이트 インペラトル https://kotobank.jp/[...]
[14] 웹사이트 imperator https://kotobank.jp/[...]
[15] 웹사이트 インペラトル https://kotobank.jp/[...]
[16] 웹사이트 インペリウム https://kotobank.jp/[...]
[17] 웹사이트 インペラトル https://kotobank.jp/[...]
[18] 웹사이트 帝国主義 https://kotobank.jp/[...]
[19] 웹사이트 imperator https://www.etymonli[...]
[20] 문서 インペラトル 教育出版
[21] 문서 インペラトル 平凡社
[22] 문서 インペラトル 小学館
[23] 문서 吉村2003
[24] 문서 吉村2003
[25] 문서 木村ら1998
[26] 문서 インペリウム TBSブリタニカ
[27] 문서 インペリウム 小学館
[28] 문서 インペリウム 小学館
[29] 문서 インペラトル TBSブリタニカ
[30] 문서 インペラトル 小学館
[31] 문서 木村ら1998
[32] 문서 インペラトル 平凡社
[33] 문서 木村ら1998
[34] 문서 スエトニウス1986
[35] 문서 インペラートル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0
[36] 문서 東ローマ帝国では、アウグストゥスの訳語にはセバストスが当てられたが、セバストスは称号としてではなく、爵位として用いられるようになった。東ローマ帝国においてはセバストスはカエサルより下位の爵位だった。カエサルはブルガリアやセルビア、ロシアの君主に採用され称号として用いられた([[ツァーリ]]を参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