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타노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타노보아는 약 6,000만~5,800만 년 전 팔레오세 시대에 살았던 뱀으로, 멸종된 보아과의 일종이다. 콜롬비아 세레혼 탄광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2009년 토론토 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티타노보아 세레호넨시스'로 명명되었다. 최대 14.5m까지 자라고 무게는 730~1130kg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생물학적 기록상 가장 큰 뱀으로 기록되었다. 당시 기후가 현재보다 따뜻했음을 시사하며, 어류를 주로 섭취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티타노보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Titanoboa cerrejonensis |
어원 | 티타닉 보아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진핵생물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뱀아목 |
과 | 왕뱀과 |
아과 | 보아아과 |
속 | 티타노보아속 |
시간 척도 | |
화석 범위 | 팔레오세 (중기-후기 팔레오세), ~ |
크기 | |
추정 길이 | 약 12.8 ~ 14.3 |
추정 무게 | 약 730 |
2. 발견과 명명
티타노보아의 화석은 2002년 콜롬비아 북동부 라과히라 주의 세레혼 탄광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2] 플로리다 대학교와 스미소니언 열대 연구소가 주최한 탐사에서[1][2] 커다란 흉추(thoracic vertebrae)와 늑골(Rib cage)이 발굴되었고,[3][4] 이후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30개체에서 186개의 화석이 발견되었다.[2] 2004년까지 이어진 탐사 과정에서, 티타노보아 화석은 한때 악어 화석으로 잘못 분류되기도 했다.[5]
이 화석들은 세레혼 지층에서 발견된 거대 파충류, 거북, 악어류 화석들과 함께 발견되었으며, 중-후기 팔레오세 (약 6000만-5800만 년 전)에 해당하며, 백악기-고제3기 대멸종 이후의 시기이다.[2] 이 발견 이전에는 남아메리카의 고대 열대 환경에서 팔레오세 시대의 척추동물 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6]
이후 화석들은 플로리다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2009년 토론토 대학교의 제이슨 J. 헤드가 이끄는 캐나다, 미국, 파나마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팀에 의해 연구되고 기술되었다.[2] 이들은 뱀의 뼈를 새로운 거대 보이드 뱀의 뼈로 묘사했으며, ''티타노보아 세레호넨시스''(Titanoboa cerrejonensis)라고 명명했다. 속명은 그리스어 "티탄"과 보아(Boa)를 합쳐서 만들어졌고, 종명은 발견 지역인 세레혼을 참조한 것이다. 모식표본은 UF/IGM 1로 분류된 단일 등쪽 척추이며, 헤드 등(2009)이 ''T. 세레호넨시스''의 초기 크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었다.[2]
2011년에는 세레혼에서 추가 탐사가 시작되어 ''티타노보아''의 화석이 더 발견되었다.[5] 특히, 이 그룹은 세 개의 분리된 ''티타노보아'' 두개골을 가지고 돌아왔는데, 이것은 두개골이 보존된 몇 안 되는 뱀 화석 중 하나였다. 두개골은 몸통 골격과 함께 발견되어 종의 분류를 확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16] 비록 두개골은 기술되지 않았지만, 2012년 BBC 기사[7]와 척추 고생물학회의 초록이 발표되었다.[16]
2. 1. 최초 발견
티타노보아의 화석은 2009년 콜롬비아 라과히라 주의 탄광의 세레존 지층에서 28개의 화석이 발견되었다.[40][43] 이 발견이 있기 전까지는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팔레오기의 척추동물 화석이 발견된 적이 거의 없었다.[41] 화석을 발견한 연구진은 플로리다 대학교의 고생물학자 조너선 블로흐와 파나마의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 소속의 고식물학자 카를로스 자라밀로가 이끄는 국제적인 과학자들로 이루어져 있었다.[42]
2002년 플로리다 대학교와 스미소니언 열대 연구소가 주최한 라 구아히라의 세레혼 탄광 탐사 중,[1][2] 커다란 흉추(thoracic vertebrae)와 늑골(Rib cage)이 발굴되었다.[3][4] 탐사 과정에서 더 많은 화석이 발굴되었고, 결국 30개체에서 186개의 화석이 나왔다.[2] 탐사는 2004년까지 이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티타노보아의 화석은 악어의 화석으로 잘못 분류되었다.[5] 이 화석들은 세레혼 지층에서 발견된 거대 파충류, 거북이, 악어류 화석들과 함께 발견되었으며, 중-후기 팔레오세 (약 6000만-5800만 년 전)에 해당하며, 백악기-고제3기 대멸종 이후의 시기이다.[2]
이후 이 화석들은 플로리다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겨졌고, 2009년 토론토 대학교의 제이슨 J. 헤드가 이끄는 캐나다, 미국, 파나마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팀에 의해 연구되고 기술되었다.[2] 뱀의 뼈들은 새로운 거대 보이드 뱀의 뼈로 묘사되었으며, 그들은 이를 ''티타노보아 세레호넨시스''(Titanoboa cerrejonensis)라고 명명했다. 속명은 그리스어 "티탄"과 보아(Boa)과의 기준 속을 합쳐서 만들어졌다. 종명은 알려진 지역인 세레혼을 참조한 것이다. 지정된 모식표본은 UF/IGM 1로 분류된 단일 등쪽 척추이며, 헤드 등이(2009) ''T. 세레호넨시스''의 초기 크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었다.[2]
2011년에 세레혼에서 또 다른 탐사가 시작되어 ''티타노보아''의 화석이 더 발견되었다.[5]
2. 2. 추가 발견 및 연구
2011년 세레혼에서 추가 탐사가 이루어져 티타노보아의 두개골 화석이 발견되었다.[5] 이 두개골 화석은 두개골 재료가 보존된 몇 안 되는 뱀 화석 중 하나로, 몸통 골격 재료와 함께 발견되어 티타노보아의 종 분류를 확정하는 데 기여했다.[16] 비록 두개골은 아직 정식으로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2012년 BBC 기사[7]와 척추 고생물학회의 초록을 통해 발표되었다.[16]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2012년에는 다큐멘터리 ''티타노보아: 몬스터 뱀''이 방영되었고,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순회 전시회가 열렸다.[8]2002년 플로리다 대학교와 스미소니언 열대 연구소가 주최한 라 구아히라의 세레혼 탄광 탐사[1][2]에서 2004년까지 30개체에서 186개의 화석이 나왔다.[2] 처음에는 악어뼈로 오인되기도 하였으나[5], 토론토 대학교의 제이슨 J. 헤드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에 의해 2009년에 연구되어 새로운 거대 보아과 뱀으로 확인되어 ''티타노보아 세레호넨시스''(Titanoboa cerrejonensis)로 명명되었다.[2]
2. 3. 학명
''티타노보아 세레호넨시스''(Titanoboa cerrejonensis)라는 학명은 그리스어 "티탄"(Titan)과 뱀의 한 종류인 보아(''Boa'')를 합쳐서 만들어졌으며, 종명은 발견 지역인 세레혼을 참조한 것이다.[2]3. 형태 및 크기
티타노보아의 화석화된 추절흔을 현존하는 뱀과 비교한 결과, 연구자들은 발견된 티타노보아 중 가장 큰 개체의 몸길이가 최대 14.5m까지 자라고, 체중은 약 730~1130kg 정도로 나간 것으로 추정치를 계산했다.[43]
척추의 크기를 기반으로, ''티타노보아''는 고생물학적 기록상 가장 큰 뱀이다. 보아와 비단뱀과 같은 현대의 수축 뱀에서, 증가된 몸 크기는 뼈의 수의 증가보다는 더 큰 척추를 통해 이루어지며, 개별 뼈를 기반으로 길이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왜곡되지 않은 ''티타노보아''의 척추와 현대 보아의 골격을 비교한 결과, Head와 그의 동료들은 분석된 표본이 첫 두 개의 목 척추에서 약 60~65% 뒤쪽인 전총배설강 척추 기둥의 후반부에 위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초기 크기 추정치는 전체 몸 길이가 약 12.82m (± 2.18m)일 것으로 제시되었다. 무게는 현존하는 녹색아나콘다와 남부 바위 비단뱀을 ''티타노보아''와 비교하여 결정되었으며, 652kg에서 1,819kg (평균 추정치 1,135kg) 사이의 무게가 나왔다. 이러한 추정치는 가장 큰 현대 뱀인 녹색아나콘다와 그물무늬비단뱀, 그리고 이전 기록 보유자인 마드소이드 ''기가토피스''를 훨씬 능가한다. 이러한 계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크기의 여덟 개의 추가 표본의 존재는 ''티타노보아''가 정기적으로 이러한 거대한 비율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2] 나중에 두개골 재료가 발견되면서 두개골 대 몸 길이 비율을 기반으로 크기를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40cm의 ''티타노보아'' 두개골에 아나콘다 비율을 적용하면 전체 몸 길이는 약 14.3m (± 1.28m)가 된다.[16]
3. 1. 척추 구조
티타노보아 화석은 대부분 불완전하며, 주로 항문 앞쪽 흉추로 구성되어 있다.[2] 척추뼈는 보아와 동일하게 짧고 뒤쪽을 향하는 전접합돌기를 갖는다.[2] 그러나 티타노보아는 매우 튼튼하고 독특한 T자형 신경극을 가지고 있어 다른 보아뱀과 구별된다.[2] 신경극은 확장된 후연과 얇고 칼날 모양의 앞쪽 돌기를 가지며, 중앙과 측면에 훨씬 작은 공(뼈의 작은 구멍)을 갖는다는 점도 다른 보아과 뱀과 다르다.[2]
3. 2. 두개골 특징
티타노보아의 두개골은 2013년 초록에서 간략하게 설명되었다.[16] 티타노보아는 다른 보아과 뱀에 비해 구개 및 변연 치아 위치가 많다.[16] 방형골은 낮은 각도로 향하고 있으며, 구개골에서 익상골로, 익상골에서 방형골로의 연결이 심하게 감소했는데, 이는 친척에게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징이다.[16] 치아 자체는 약하게 강직되어 턱뼈에 강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16] 이러한 두개골 특징은 티타노보아가 물고기를 주식으로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4. 분류
티타노보아는 "수축자"를 포함하는 뱀의 과인 보아과(Boidae)에 속하며, 이들은 현재의 아메리카 대륙에서 후기 백악기에 진화했다.[11] 이들은 널리 분포된 집단으로, 거의 모든 대륙에서 6개의 아과가 발견되며,[12] 티타노보아는 척추 형태학을 기반으로 보아아과(Boinae)에 속한다. 알려진 모든 보아류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되며, 멕시코와 안틸레스까지 북쪽으로,[13] 그리고 아르헨티나까지 남쪽으로 분포한다.[14] 티타노보아는 또한 알려진 유일한 멸종된 보아 속이며, 다른 모든 보아 속은 여전히 생존해 있다.[15][2]
두개골 재료는 티타노보아가 보아아과에 속한다는 최초의 위치를 확인했으며, 이제는 감소된 구개골 뒷콧구멍도 이를 뒷받침한다. 2013년 초록에서는 티타노보아가 태평양 제도와 마다가스카르의 분류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 구세계와 신세계 보아류를 연결하고 두 계통이 적어도 고신세까지 분화되었음을 시사했다.[16] 이는 티타노보아를 보아아과의 기저에 위치시키며, 이는 2015년 연구에서도 뒷받침되었다.[11]
2015년 계통 분석에 따르면 티타노보아는 보아아과에 속하며, 현존하는 보아뱀 중 태평양 제도와 마다가스카르의 분류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16]
5. 고생물학
5. 1. 식성
처음에, ''티타노보아''는 크기와 서식 환경을 고려할 때 현존하는 아나콘다와 유사하게 행동했을 것으로 여겨졌으며, 연구자들은 이 뱀이 당시 서식했던 악어류를 먹이로 삼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16] 그러나, 2013년 논문 초록에서 제이슨 헤드(Jason Head)와 그의 동료들은 이 뱀의 두개골이 어류를 주식으로 하는 식성에 적응한 여러 특징을 보인다고 언급했는데, 여기에는 입천장의 구조, 이빨의 개수, 그리고 이빨 자체의 구조가 포함되었다.[16] 이러한 적응은 다른 보아과 뱀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어식을 하는 현존하는 신뱀류와 매우 유사하다.[16] 이러한 식성은 고생대 팔레오세 콜롬비아의 광대한 강들과, 이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어류(폐어와 골설어목)의 존재에 의해 뒷받침된다.[16]5. 2. 서식 환경
티타노보아가 살았던 세레혼 지역은 고온 다습한 열대 우림 환경이었다. 이 지역은 큰 강 시스템을 갖춘 해안 평야였으며, 다양한 담수 생물이 서식했다.[17][18]세레혼 지층에서는 티타노보아 외에도 디로사우루스류 악어형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K-Pg 멸종 사건에서 살아남은 아케론티수쿠스, 안트라코수쿠스, 세레호니수쿠스 등이 티타노보아와 공존했다.[17][18] 또한, 세레호네미스[19]와 카르보네미스[20]와 같은 거북 화석도 발견되었다.
세레혼 지층의 열대 우림은 식생 구성면에서 현대 열대 우림과 유사하지만, 종 다양성은 낮았다.[21][22] 이러한 낮은 다양성은 백악기-고생대 대멸종의 영향으로 추정된다.[21][22] 이 고생대 숲에서는 부유 고사리인 살비니아[23]와 다양한 생강목, 천남성 식물이 발견되었다.[24]
5. 3. 기후 조건
티타노보아의 거대한 크기는 당시 기후가 현재보다 훨씬 따뜻했음을 시사하는 증거로 여겨진다.[37] 초기 연구에서는 티타노보아의 크기를 바탕으로 당시 평균 기온이 32~33°C였을 것으로 추정했다.[2] 그러나 이러한 기온 추정치는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이견이 제기되었다.[27][28][38][39]2009년 티타노보아 발견 당시, 헤드(Head)와 동료들은 변온동물인 티타노보아의 체온과 신진대사가 주변 온도에 크게 의존하며, 이는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25] 따라서 큰 외온 동물은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에서 발견되며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감소한다는 점을 들어, 현대 신열대 지역의 온도와 아나콘다의 최대 길이를 기반으로 고신세 남아메리카 적도 지역의 평균 연간 온도를 최소 32~33°C로 계산했다.[2] 이는 플랑크톤 유공충의 산소 동위원소에서 파생된 추정치보다 약간 높은 수치였다.[2][26]
하지만 J. M. 케일 스니더먼은 플라이스토세 왕도마뱀 ''바라누스 프리스쿠스''(Varanus priscus)''에 대해 헤드와 동료들과 동일한 방법론을 사용했을 때, 현대 열대 지방은 오늘날 관찰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도마뱀을 지원할 수 있거나, 그 반대로 ''바라누스 프리스쿠스''(Varanus priscus)는 서식지 주변 온도에서 암시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계산했다.[27] 즉 고신세 열대 우림이 오늘날보다 더 뜨거웠을 가능성이 없으며, 티타노보아의 거대한 크기는 포유류 경쟁이 없었던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27][38]
마크 W. 데니(Mark W. Denny) 등은 열 평형이 부피와 표면적의 관계를 통해 달성되므로, 티타노보아의 큰 크기와 헤드 등의 제안과 같은 높은 온도는 동물이 웅크린 상태에서 쉽게 과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28] 자세 변화, 일광욕 행동, 반수생 특성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거대 뱀의 특성이 고신세 기후에 대한 좋지 않은 지표를 만들며, 평균 연간 온도는 현재 추정치보다 4~6°C 더 낮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8][39]
헤드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반박하며, 자신들의 방법이 체격에 의해 발생하는 변동을 고려하고, 가장 큰 현존하는 뱀을 기반으로 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29] 또한 스니더먼의 주장은 코모도왕도마뱀이 섬에 지리적으로 제한되어 성장 크기가 제한되는 반면, 녹색 아나콘다와 티타노보아는 대륙 동물이기에 좋지 않은 비유이며, ''바라누스 프리스쿠스''(Varanus priscus)의 크기 추정치가 과대 평가되었다고 지적한다.[29]
결론적으로, 티타노보아의 거대증과 관련된 기후 논쟁은 고기후 연구에 중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참조
[1]
간행물
Mapa geológico del departamento de La Guajira
https://www.research[...]
INGEOMINAS
2017-05-22
[2]
논문
Giant boid snake from the Paleocene neotropics reveals hotter past equatorial temperatures
https://www.research[...]
[3]
논문
Scientists find world's biggest snake
http://www.nature.co[...]
2009-02-04
[4]
웹사이트
At 2,500 Pounds And 43 Feet, Prehistoric Snake Is Largest On Record
http://www.scienceda[...]
2009-02-06
[5]
웹사이트
How Titanoboa, the 40-Foot-Long Snake, Was Found
https://www.smithson[...]
2023-06-07
[6]
웹사이트
Fossil of 43-foot super snake Titanoboa found in Colombia
http://www.latimes.c[...]
2009-02-04
[7]
뉴스
The giant snake that stalked the Earth
https://www.bbc.co.u[...]
2017-05-22
[8]
웹사이트
Titanoboa: Monster Snake
https://www.sites.si[...]
2023-06-10
[9]
논문
New record of aquatic snakes (Squamata, Palaeophiidae) from the Paleocene of South America
[10]
논문
Body sizes and diversification rates of lizards, snakes, amphisbaenians and the tuatara
[11]
논문
Fossil calibration dates for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snakes 1: Serpentes, Alethinophidia, Boidae, Pythonidae
2015
[12]
서적
リアルサイズ古生物図鑑 新生代編
기술評論社
2020-09-28
[13]
논문
Boa imperator: Montgomery, C.E. & da Cunha, O.
https://www.iucnredl[...]
2018-08-20
[14]
웹사이트
ITIS - Report: Epicrates cenchria
https://www.itis.gov[...]
2023-06-09
[15]
논문
Taxonomy and Description of ''Boa Constrictor''
1996
[16]
간행물
Cranial osteology, body size, systematics, and ecology of the giant Paleocene snake Titanoboa cerrejonensis
https://www.research[...]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17-05-22
[17]
논문
A new blunt-snouted dyrosaurid, Anthracosuchus balrogus gen. et sp. nov. (Crocodylomorpha, Mesoeucrocodylia), from the Palaeocene of Colombia
http://www.tandfonli[...]
2015-11-17
[18]
논문
A new longirostrine dyrosaurid (Crocodylomorpha, Mesoeucrocodylia) from the Paleocene of north-eastern Colombia: biogeographic and behavioural implications for New-World Dyrosauridae: SECOND NEW DYROSAURID FROM COLOMBIA
https://onlinelibrar[...]
2011
[19]
간행물
New Podocnemidid Turtle (Testudines: Pleurodira) from the Middle-Upper Paleocene of South America
http://www.bioone.or[...]
2017-05-22
[20]
간행물
New pelomedusoid turtles from the late Palaeocene Cerrejon Formation of Colombia and their implications for phylogeny and body size evolution
[21]
간행물
Late Paleocene fossils from the Cerrejón Formation, Colombia, are the earliest record of Neotropical rainforest
[22]
간행물
Paleogene Land Mammal Faunas of South America; a Response to Global Climatic Changes and Indigenous Floral Diversity
[23]
논문
Paleogene ''Salvinia'' (Salviniaceae) from Colombia and their paleobiogeographic implications
[24]
논문
Fossil Araceae from a Paleocene neotropical rainforest in Colombia
https://bsapubs.onli[...]
[25]
논문
Gigantism, temperature and metabolic rate in terrestrial poikilotherms
[26]
논문
Climate model sensitivity to atmospheric CO2 levels in the Early–Middle Paleogene
[27]
논문
Biased reptilian palaeothermometer?
https://www.academia[...]
[28]
논문
Can the giant snake predict palaeoclimate?
https://www.research[...]
[29]
논문
Head ''et al.'' reply
[30]
서적
リアルサイズ古生物図鑑 新生代編
技術評論社
2020-09-28
[31]
논문
Giant boid snake from the paleocene neotropics reveals hotter past equatorial temperatures
[32]
웹사이트
At 2,500 Pounds And 43 Feet, Prehistoric Snake Is Largest On Record
http://www.scienceda[...]
2009-02-06
[33]
논문
Scientists find world's biggest snake
http://www.nature.co[...]
2009-02-04
[34]
웹사이트
Fossil of 43-foot super snake Titanoboa found in Colombia
http://www.latimes.c[...]
2009-02-04
[35]
웹사이트
1-Ton Snakes Once Slithered In The Tropics
http://www.npr.org/t[...]
NPR
2009-02-05
[36]
논문
Climate model sensitivity to atmospheric CO2 levels in the Early–Middle Paleogene
[37]
논문
Gigantism, temperature and metabolic rate in terrestrial poikilotherms
[38]
논문
Biased reptilian palaeothermometer?
http://www.academia.[...]
[39]
논문
Can the giant snake predict palaeoclimate?
[40]
저널
Scientists find world's biggest snake
http://www.nature.co[...]
2009-02-04
[41]
웹인용
Fossil of 43-foot super snake Titanoboa found in Colombia
http://www.latimes.c[...]
2009-02-04
[42]
웹인용
At 2,500 Pounds And 43 Feet, Prehistoric Snake Is Largest On Record
http://www.scienceda[...]
2009-02-04
[43]
저널
Giant boid snake from the paleocene neotropics reveals hotter past equatorial temperatu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