틴토 브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틴토 브라스는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으로, 본명은 조반니 틴토 브라스이며 'Il Maestro'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1933년 밀라노에서 태어났으며, 법학을 공부하다 영화에 흥미를 느껴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수학했다. 1958년 단편 영화로 데뷔하여,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작품에서 조감독을 맡기도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아방가르드 영화 감독으로 주목받았으며, 이후 에로틱 영화로 스타일을 전환하여 70대까지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76년 영화 《살롱 키티》와 1979년 영화 《칼리굴라》가 대표작이며, 2010년 뇌내출혈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계 이탈리아인 - 조르조 모로더
조르조 모로더는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프로듀서로, 신시사이저를 활용한 음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영화 음악으로 아카데미 음악상 등을 수상하고 다프트 펑크의 앨범에 참여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 오스트리아계 이탈리아인 - 타르치시오 부르니치
타르치시오 부르니치는 인테르나치오날레의 '위대한 인테르' 시대를 이끌며 수많은 우승을 차지하고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한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2021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마리오 모니첼리
마리오 모니첼리는 100편 이상의 각본과 60편 이상의 영화를 감독하며 이탈리아식 코미디 장르를 개척하는 데 기여한 이탈리아 거장 영화감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사회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밀라노 출신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밀라노 출신 - 발렌티나 코르테세
이탈리아 배우 발렌티나 코르테세는 1940년대 데뷔 후 《검은 마법》, 《아메리카의 밤》 등의 영화와 연극에서 활약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패션 아이콘으로도 알려졌다.
| 틴토 브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조반니 브라스 |
| 출생일 | 1933년 3월 26일 |
| 출생지 | 밀라노, 이탈리아 왕국 |
| 사망일 | 알려지지 않음 |
| 사망지 | 알려지지 않음 |
| 직업 | 영화 감독 및 각본가 |
| 활동 기간 | 1963년–현재 |
| 신장 | 1.73m (5피트 8인치) |
| 정당 | 이탈리아 급진당 |
| 배우자 | 카를라 치프리아니 (1957년 결혼, 2006년 사별) 카테리나 바르치 (2017년 결혼)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경력 | |
| 활동 내용 | 1958년 조각가 니콜라 셰페르와 공동 감독으로 프랑스에서 단편 영화 발표 1960년 요리스 이벤스와 타비아니 형제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각본 및 조감독으로 참여 1963년 장편 영화 감독 데뷔 |
| 수상 | |
| 베네치아 영화제 | 최고의 이탈리아 영화상 (1971년, 영화 《휴가》) |
| HRIFF | 엑설런스상 (2012년, 브라스의 초기 작품) |
| 주요 작품 | |
| 기타 이름 | |
| 별칭 | 일 마에스트로 (Il Maestro) |
2. 초기 생애 및 경력
틴토 브라스는 1933년 3월 26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 이탈리코 브라스는 유명 화가이자 무대 미술가였고, 부친은 변호사였다. 베네치아 명문가 출신으로, 아버지의 영향으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영화에 흥미를 느껴 파리의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수학했다.
프랑수아 트뤼포, 장 뤽 고다르 등과 교류하며 단편 영화를 촬영하기 시작했고, 1958년 25세에 앙리 랑글루아의 프로듀싱으로 니콜라 셰페르와 공동 감독한 단편 영화 '스파시오디나미슴'으로 데뷔했다. 이후 이탈리아로 돌아와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인디아(1959년), 로베레 장군(1959년) 등에서 조감독을 맡았다.
1963년, 자신의 오리지널 각본으로 장편 극영화 '일하는 자는 잃어버렸다'를 감독했으며, 1964년에는 세계의 동란 영상을 3년간 편집한 다큐멘터리 영화 '혁명의 강'을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1971년에는 '휴가'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이탈리아 영화 비평가상을 받았다.
일본에서는 1974년 작 '나치 여비밀 경찰/SEX 친위대'(현 일본 제목 '살롱 키티')로 주목받기 시작했다.[1]
2. 1. 프로필
Giovanni Tinto Brassit는 1933년 3월 26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주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그의 별명은 Il Maestro이다. 그의 조부 이탈리코 브라스는 유명한 화가이자 무대 미술가였고, 부친은 변호사였다. 베네치아 명문가 출신으로, 아버지의 영향으로 처음에는 법학을 공부했지만, 영화에 흥미를 느껴 파리의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수학했다.[1]1958년 단편 영화 <Spatiodynamisme>로 데뷔했다. 1960년, 요리스 이벤스와 타비아니 형제의 다큐멘터리 영화 '이탈리아는 가난한 나라가 아니다'에 각본 및 조감독으로 참여하였다. 1970년,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금곰상 후보에 올랐으며, '신음'을 경쟁 부문에 상영했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다. 1972년에는 제2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의 심사위원을 맡았다.[1]
이후 1980년 펜트하우스와 제휴하여 할리우드에서 제작한 영화 '칼리굴라'는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다. 1983년에는 타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 '열쇠'를 영화화한 '열쇠'를 발표했다.[1]
그의 아내는 브라스의 데뷔작 '일하는 자는 잃어버렸다'에서 스크립터를 맡은 이후, 각본 및 조감독 등으로 브라스를 지원해 온 카를라 치프리아니였으나, 2006년에 사별했다. 카를라와의 사이에 2명의 자녀가 있다.[1]
2. 2. 영화계 입문
1933년 3월 26일, 롬바르디아 주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유명한 화가이자 무대 미술가인 이탈리코 브라스였고, 부친은 변호사였다.베네치아 명문가 출신으로, 아버지의 영향으로 처음에는 법학을 공부했지만, 영화에 흥미를 느껴 파리의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 다니게 된다. 거기서 프랑수아 트뤼포나 장 뤽 고다르 등과 알게 되어 단편 영화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1958년, 25세 무렵,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의 출자, 동관의 관장 앙리 랑글루아의 프로듀싱으로, 조각가 니콜라 셰페르와 공동 감독으로 단편 영화 '스파시오디나미슴'을 프랑스에서 발표하며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탈리아로 돌아와 로베르토 로셀리니 감독의 '인디아'(1959년)나 '로베레 장군'(같은 해) 등의 조감독을 맡았다.
1960년, 요리스 이벤스와 타비아니 형제의 다큐멘터리 영화 '이탈리아는 가난한 나라가 아니다'에 각본 및 조감독으로 참여한다. 1963년, 자신의 오리지널 각본으로 장편 극영화 '일하는 자는 잃어버렸다'를 첫 감독했다.
1964년, 다큐멘터리 영화 '혁명의 강'을 발표하며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는데, 이는 세계의 동란의 영상을 3년간 편집한 작품이다. 1970년,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금곰상 후보에 올랐으며, '신음'을 경쟁 부문에 상영했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다. 이듬해인 1971년,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 '휴가'를 경쟁 부문에 출품하여 이탈리아 영화 비평가상을 획득했다. 1972년에는 제2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의 심사위원을 맡았다.
이후 일본에서는 1974년 제작한 '나치 여비밀 경찰/SEX 친위대'(현 일본 제목 '살롱 키티')로 주목받았다. 미국의 펜트하우스와 제휴하여 할리우드에 초청되어 제작한 센세이션한 영화 '칼리굴라'를 1980년에 발표하여,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면서 그 이름이 세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역사 대작 포르노라고 불리는 이 영화는, 호화로운 캐스트와 스태프에도 불구하고 촬영은 문제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문제의 장면은 동 잡지의 오너이기도 한 밥 구치오네가 몰래 찍었다고 한다. 1983년에는 타니자키 준이치로의 소설 '열쇠'를 영화화한 '열쇠'를 발표했다.
3. 영화 경력
틴토 브라스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실험적이고 아방가르드 영화 감독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데뷔작 누가 일하는가, 잃어버린 것인가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고[1], 움베르토 에코의 의뢰로 단편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2] 초기에는 서부극, 범죄 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연출하며 실험적인 편집 및 카메라 스타일을 선보였다.[3] 워너 브라더스[4]는 그에게 시계태엽 오렌지의 연출을 제안했으나, 스케줄 문제로 무산되었다.[5] 1970년 영화 드롭아웃 촬영에 관한 기사에서 그는 "70년대의 안토니오니"라고 불렸다.[6] 그의 초기 작품들은 "반항적, 무정부적이며 실험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7] 울부짖음은 1970년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에 상영되었고,[8]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와 프랑코 네로가 출연한 La Vacanza는 1971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고의 이탈리아 영화로 영화 평론가상을 수상했다.[9]
살롱 키티(1976)와 칼리굴라(1979) 이후, 브라스의 영화 스타일은 에로틱 영화로 변화했다. 특히 《칼리굴라》는 제작자들에 의해 원래 의도와는 달리 포르노 드라마로 재편집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열쇠(1983), 센소 '45(2002) 등을 연출하며 에로틱 영화 감독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12]
브라스의 영화는 인상주의 스타일을 따르며, 패닝과 줌을 통해 주변 인물과 사물, 풍경의 조각들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텔레비전과 유사한 멀티캠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살롱 키티》부터 거울을 활용한 세트 디자인이 두드러지며, 반사된 장면을 통해 혼란스러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에로틱 영화에서는 여성의 풍만한 엉덩이와 음모, 겨드랑이 털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는 열쇠, 여관집 여주인, 카프리치오, 동명, 패니 힐, 관음증 환자, 센소 '45 등 에로틱 장르의 문학 작품을 각색한 영화를 주로 만들었다. 그의 많은 작품은 제2차 세계 대전, 남북 전쟁 이후 및 이전의 이탈리아, 1950년대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이다. 그는 거의 항상 친구 오시리데 페바렐로와 함께 카메오 출연을 하며, 에로틱 단편 영화 모음집의 진행자로 출연하기도 했다.
3. 1. 아방가르드 시네마 (1960년대 ~ 1970년대 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브라스는 유망한 실험적이고 아방가르드 영화 감독으로 여겨졌으며, 그의 데뷔작 누가 일하는가, 잃어버린 것인가는 1963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상영된 후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1] 1964년, 그는 움베르토 에코의 의뢰를 받아 제13회 밀라노 트리엔날레를 위해 시각 언어를 실험하는 두 편의 단편 영화 ''Tempo Libero''와 ''Tempo Lavorativo''를 제작했다.[2]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까지 브라스는 서부극 (양키)과 범죄 영화 (Col cuore in gola)를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모두 매우 실험적인 편집 및 카메라 스타일을 사용했다.[3] 1968년, 워너 브라더스[4]는 브라스에게 시계태엽 오렌지 연출을 제안했지만, 스케줄 문제로 무산되었다.[5] 1970년 영화 드롭아웃 촬영에 관한 기사에서 그는 "70년대의 안토니오니"라고 불렸다.[6] 그의 초기 작품은 "반항적, 무정부적이며 실험적"이라고 불렸다.[7]울부짖음은 1970년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에 상영되었다.[8]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와 프랑코 네로가 출연한 La Vacanza는 1971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고의 이탈리아 영화로 영화 평론가상을 수상했다.[9] 1972년, 브라스는 제2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이었다.[10]
3. 2. 에로틱 시네마 (1970년대 중반 ~ 현재)
살롱 키티(1976)와 칼리굴라(1979) 이후, 틴토 브라스의 영화 스타일은 점차 에로틱 영화로 바뀌었다. 칼리굴라는 원래 에로틱 영화가 아닌 권력에 대한 풍자로 기획되었지만, 제작자들이 브라스의 동의 없이 영화를 완전히 바꾸고 재편집하여 많은 정치적이고 코믹한 장면을 삭제하고 성적으로 노골적인 장면을 촬영하여 포르노 드라마로 만들었다. 감독은 크레딧에서 자신의 이름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고, "주요 촬영"으로만 이름을 올렸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그의 가장 널리 시청된 작품이자 (미국에서 개봉된 이탈리아 영화 중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작품)으로 남아 있다. 브라스 후기 작품으로는 열쇠(1983)와 센소 '45(2002) 등이 있다. 그는 70대까지 영화를 만들었다.[12]3. 3. 연출 스타일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틴토 브라스는 실험적이고 아방가르드 영화 감독으로 주목받았다. 데뷔작 누가 일하는가, 잃어버린 것인가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1] 움베르토 에코의 의뢰로 단편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2] 초기에는 서부극, 범죄 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연출하며 실험적인 편집과 카메라 스타일을 선보였다.[3] 시계태엽 오렌지 연출 제안을 받았으나 무산되기도 했다.[5] 그의 초기 작품은 "반항적, 무정부적이며 실험적"이라고 평가받았다.[7]살롱 키티(1976)와 칼리굴라(1979) 이후, 그의 영화 스타일은 에로틱 영화로 변화했다. 특히 《칼리굴라》는 제작자들에 의해 원래 의도와 달리 포르노 드라마로 재편집되었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열쇠(1983), 센소 '45(2002) 등을 연출했다.[12]
브라스의 영화는 인상주의 스타일을 따르며, 패닝과 줌을 통해 주변 인물과 사물, 풍경의 조각들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텔레비전과 유사한 멀티캠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살롱 키티》부터 거울을 활용한 세트 디자인이 두드러진다. 반사된 장면을 통해 혼란스러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에로틱 영화에서는 여성의 풍만한 엉덩이와 음모, 겨드랑이 털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는 에로틱 장르의 문학 작품을 각색한 영화를 주로 만들었다. 《열쇠(La chiave)》, 《여관집 여주인 (Miranda)》, 《카프리치오]》, 《
4. 회고전
2012년, 할리우드 릴 인디펜던트 영화제는 브라스의 1960년대 초, 1970년대 영화에 대한 회고전을 열어 새로 복원된 버전들을 상영했다.[18] 복원은 최근 몇 년 동안 브라스의 1960년대/1970년대 작품을 연구해 "틴토 브라스에 대한 최고의 학문적 권위자"라고 불리는 알렉산더 투친스키와 협력하여 이루어졌다.[19]
5. 작품 목록
틴토 브라스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원제 | 국제 제목 | 비고 |
|---|---|---|---|
| 1963 | 치 라보라 에 페르두토 | 세상의 끝에서 | |
| 1964 | Ça ira - Il fiume della rivolta | 테르미도르 | 다큐멘터리 영화 |
| 1964 | 라 미아 시뇨라 | My Wife | "Luccellino", "Lautomobile" 세그먼트 |
| 1964 | Il disco volante | The Flying Saucer | |
| 1966 | 양키 | ||
| 1967 | Col cuore in gola | I Am What I Am | |
| 1968 | 'Lurlo'' | The Howl | |
| 1969 | Nerosubianco | Attraction | |
| 1970 | Dropout | Dropout | |
| 1971 | La vacanza | The vacation | 프로듀서 |
| 1972 | I Miss Sonia Henie | 단편 영화 | |
| 1976 | Salon Kitty | ||
| 1979 | 칼리굴라 | ||
| 1980 | 액션 | ||
| 1983 | 라 키아베 | The Key | |
| 1985 | 미란다 | The Mistress of the Inn | |
| 1987 | 카프리치오 | Love & Passion, Capri Remembered | |
| 1988 | Snack Bar Budapest | ||
| 1991 | 파프리카 | ||
| 1992 | 코지 판 투테 | All Ladies Do It | |
| 1994 | 'Luomo che guarda'' | The Voyeur | |
| 1995 | Fermo posta Tinto Brass | P.O. Box Tinto Brass | 배우 |
| 1998 | 모넬라 | Frivolous Lola | |
| 2000 | Trasgredire | Cheeky | |
| 2001 | SCTMV (Sono come tu mi vuoi) | Know what this is about? | 단편 영화; 프로듀서만 |
| 2002 | 'Senso 45'' | Black Angel | |
| 2003 | Fallo! | Do It!, Private | |
| 2006 | Monamour | ||
| 2008 | Kick the Cock | 단편 영화 | |
| 2009 | Hotel Courbet | 단편 영화; 프로듀서 | |
| 2022 | Chi ha ucciso Caligola | Who Killed Caligula? | 프리 프로덕션 |
- 『스파치오 디나미즘』(공동 감독 니콜라 세페르, 1958년)
- 『이탈리아는 가난한 나라가 아니다』(감독 요리스 이벤스 / 타비아니 형제 (1959년) - 각본・조감독
- 『일하는 자는 잃어버렸다』 - ''Chi lavora è perduto'' (1963년)
- 『혁명의 강』 - ''Ça ira Il fiume della rivolta'' (1964년)
- 『나는 우주인을 보았다』 - ''Il disco volante'' (1964년)
- 『SEX 백/흑』 - ''Nerosubianco'' (1969년)
- 『비명』 - ''L'urlo'' (1970년)
- 『휴가』 - ''La vacanza'' (1971년)
- 『살롱 키티』 - ''Salon Kitty'' (1976년)
- 『칼리굴라』 - ''Caligola'' (1979년) - 보스턴에서 금지
- 『열쇠』 - ''La chiave'' (1983년)
- 『미란다/악마의 향기』 - ''Miranda'' (1985년)
- 『러브 & 패션/정사의 포로들』 (1987년)
- 『스낵 바 부다페스트』 (1988년)
- 『파프리카』 - ''Paprika'' (1989년)
- 『배덕 소설 제2장』 - ''Così fan tutte'' (1992년) - 원작 『코지 판 투테』
- 『배덕 소설』 - ''L'uomo che guarda'' (1994년)
- 『우편 배달부』 - ''Fermo posta Tinto Brass '' (1995년)
- 『배덕 영애 II』 - ''Monella'' (1998년)
- 『이탈리안 피치/부정조한 복숭아들』 (2000년)
- 『이탈리아의 여자』 (2000년)
- 『인모랄 일기』 - ''What a Week-end'' (2000년)
- 『배덕 영애』 - ''Trasgredire'' (2000년)
- 『틴토 브라스 비밀』 - ''Senso '45'' (2002년)
- 『도색 화보』 - ''Fallo!'' (2003년)
- 『틴토 브라스의 백일몽』 - ''Monamour'' (2005년)
브라스는 거의 항상 친구 오시리데 페바렐로와 함께 카메오 출연을 한다. 1999년에는 4개의 볼륨으로 출시된 비디오 출시 에로틱 단편 영화 모음집 《틴토 브라스 프레젠타 코르티 치르쿠이티 에로티치》(Tinto Brass presenta Corti Circuiti Erotici)의 진행자로 출연했다.
5. 1. 감독
틴토 브라스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실험적이고 아방가르드 영화 감독으로 주목받았다. 그의 데뷔작 ''누가 일하는가, 잃어버린 것인가''는 1963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1] 1964년에는 움베르토 에코의 의뢰로 밀라노 트리엔날레를 위한 단편 영화를 제작하기도 했다.[2]초기에는 서부극, 범죄 영화 등 다양한 장르를 연출하며 실험적인 편집과 카메라 스타일을 선보였다.[3] 1968년에는 워너 브라더스로부터 ''시계태엽 오렌지'' 연출 제안을 받았으나, 스케줄 문제로 무산되기도 했다.[4][5] 1970년에는 "70년대의 안토니오니"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6]
''울부짖음''은 1970년 베를린 영화제 경쟁 부문에 상영되었고,[8]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와 프랑코 네로가 출연한 ''La vacanza''는 1971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영화 평론가상을 수상했다.[9]
살롱 키티(1976)와 칼리굴라(1979) 이후에는 에로틱 영화로 스타일을 전환했다. 특히 《칼리굴라》는 제작자들에 의해 원래 의도와 다르게 재편집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11]
이후 작품으로는 열쇠(1983), 센소 '45(2002) 등이 있으며, 70대까지 영화를 만들었다.[12]
브라스의 영화는 인상주의 스타일을 따르며, 패닝과 줌을 통해 주변 인물과 사물, 풍경의 조각들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멀티캠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살롱 키티》부터는 거울을 활용한 장면이 자주 등장하며, 여성의 신체를 강조하는 묘사가 두드러진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에는 에로틱 장르의 문학 작품을 각색한 영화를 주로 만들었다. 대표적으로 《열쇠(La chiave)》, 《여관집 여주인 (Miranda)》, 마리오 솔다티의 소설 《Le lettere da Capri》(《카프리치오]》), 마르코 로돌리와 실비아 브레의 소설 《Snack Bar Budapest》(
5. 2. 배우
틴토 브라스는 1995년 영화 《모넬라 3》에 출연했다.[1] 1999년에는 안드레아 프란드스트랄러 감독의 《마지막 지하철》, 2009년에는 주세페 치릴로 감독의 《존재적 무능》에 출연했다.[2]| 연도 | 제목 |
|---|---|
| 1995 | 모넬라 3 |
| 1999 | 마지막 지하철 |
| 2009 | 존재적 무능 |
참조
[1]
간행물
"Few 'Quality' at Venice: Emphasis on Art via Austerity"
Variety
1963-09-11
[2]
웹사이트
Article about ''Tempo Libero'' and ''Tempo Lavorativo''
https://web.archive.[...]
2014-11-05
[3]
웹사이트
TINTO BRASS
https://web.archive.[...]
2015-04-22
[4]
웹사이트
A Clockwork Orange
https://www.imdb.com[...]
[5]
기타
Tinto Brass: Audio-commentary on the Cult Epics DVD of "Deadly Sweet" ("Col Cuore in Gola") DVD075
[6]
뉴스
"Director's Quest for Reality"
Los Angeles Times
1970-09-02
[7]
웹사이트
il periodo ribelle, anarchico e sperimentale
2014-11-05
[8]
기타
Tinto Brass: Audio-commentary on the Cult Epics DVD of "The Howl" ("L'Urlo") DVD072
[9]
웹사이트
List of awards that were awarded at the 1971 event
https://www.imdb.com[...]
[10]
웹사이트
Berlinale 1972: Juries
http://www.berlinale[...]
2010-03-15
[11]
Youtube
Tinto Brass discusses his original ideas for the film, plus talks about the style of the current film as it was released (video).
https://www.youtube.[...]
2014-11-05
[12]
인터뷰
"First, I check out the butt" Brass interview on the occasion of his 75th birthday
http://www.evolver.a[...]
Evolver
2008-05
[13]
웹사이트
Tinto Brass fan website - Italico Brass
http://rjbuffalo.com[...]
Rjbuffalo.com
2010-10-13
[14]
웹사이트
Locanda Cipriani
https://web.archive.[...]
2015-04-22
[15]
뉴스
Chi è Caterina Varzì, moglie di Tinto Brass
https://www.viaggine[...]
2010-07-10
[16]
뉴스
Tinto Brass candidato con i Radicali
http://www1.lastampa[...]
2010-01-22
[17]
뉴스
Cinema: Tinto Brass e' grave
http://www.ansa.it/w[...]
2011-04-18
[18]
웹사이트
Films in Review: Article about Nerosubianco, and about the retrospective.
https://archive.toda[...]
2014-08-29
[19]
웹사이트
Hollywood Reel Independent Film Festival: Article about Tinto Brass retrospective.
http://www.hollywood[...]
2014-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