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레만 헤수시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틸레만 헤수시우스는 16세기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이다. 필리프 멜란히톤의 제자였으며,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시대에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생활했다. 고슬라어, 로스토크, 하이델베르크, 브레멘, 마그데부르크 등 여러 도시에서 목사 및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성찬례, 크립토-칼빈주의 등의 문제로 논쟁을 벌였다. 그는 콘코르디아 신조에 서명했으나 이견을 제시했고, 아들들도 루터교 목사가 되어 그네시오-루터교와 연계되었다. 헤수시우스는 루터교 정통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칼뱅주의를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텐베르크 대학교 동문 - 악셀 옥센셰르나
악셀 옥센셰르나는 스웨덴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칼 9세,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크리스티나 여왕 시대를 거치며 스웨덴의 정치, 군사, 행정, 외교에 기여했으며, 덴마크와의 칼마르 전쟁 종식, 30년 전쟁에서의 스웨덴 지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쳤다. - 비텐베르크 대학교 동문 - 프리드리히 크리스토프 달만
프리드리히 크리스토프 달만은 독일의 역사가, 정치가, 저술가로서 킬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했고, 괴팅겐 7인 중 한 명으로 하노버 헌법 폐지에 항의했으며, 프랑크푸르트 국민 의회에서 독일 통일 운동에 참여했고, 《덴마크사》, 《영국 혁명사》, 《프랑스 혁명사》 등의 저서를 남겼다. - 1588년 사망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588년 사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1527년 출생 - 펠리페 2세
펠리페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아들로 태어나 스페인, 이탈리아, 아메리카 등 광대한 영토를 물려받아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며 종교 개혁 세력을 탄압하다가 1598년에 사망했다. - 1527년 출생 - 야규 무네요시
야규 무네요시는 신카게류 검술의 대가이자 야규 가문의 중흥조로, 무투도리라는 독자적인 무술을 개발하고 야규가헌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와의 인연으로 야규 가문이 재건되는 데 기여하며 일본 검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틸레만 헤수시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527년 11월 3일 |
출생지 | 베젤 |
사망일 | 1588년 9월 25일 |
사망지 | 헬름슈테트 |
국적 | 독일 |
직업 | 신학자 |
2. 생애
틸레만 헤수시우스는 베젤의 유력한 가문 출신으로, 필리프 멜란히톤의 비텐베르크 대학교 제자였으며 그와 가까운 관계였다.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시대에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공부했고, 1550년 석사 학위를 받고 철학부 평의회에 입학하여 수사학과 신학을 강의했다. 1553년 감독관(Superintendent (ecclesiastical))이 되어 고슬라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곧 고슬라어와 갈등을 겪고 1556년 로스토크 대학교로 옮겼다. 로스토크에서도 논쟁에 휘말려 추방된 후, 하이델베르크 교회 총감독관이 되었으나 1559년 성찬례 논쟁으로 해임되었다. 브레멘에서 또 다른 성찬례 논쟁을 벌이다 사임하고, 1560년 마그데부르크에서 목사 및 감독관 직책을 받았다. 하지만 크립토 칼뱅주의자 등에 대한 공개 증언으로 인해 1562년 강제로 도시 밖으로 쫓겨났다.
고향에서도 망명을 거부당했으나 팔츠 백작 볼프강이 받아들였다. 볼프강 사후 예나로 가서 순종이 교회의 표지가 되어야 한다는 신학적 입장을 옹호하며 여러 신학자들과 갈등했다. 1573년 작센의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에 쾨니히스베르크로 갔다가 삼란트 주교가 되었으나 곧 해임되었다. 마틴 케므니츠의 도움으로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자리를 얻었다.
콘코르디아 신조에 서명했지만, 인쇄본과 기록된 본문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만족하지 못했다.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우스 공작 역시 신조에 반대하여 그의 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틸레만 헤수시우스는 베젤의 유력한 가문 출신으로, 필리프 멜란히톤의 비텐베르크 대학교 제자였으며 그와 가까운 관계였다.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시대에 그는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공부했다. 1550년 석사 학위를 받고 철학부 평의회에 입학하여 수사학과 신학을 강의했다. 1553년에는 감독관(Superintendent (ecclesiastical))이 되어 고슬라어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 종교 개혁 활동과 논쟁
헤수시우스는 필리프 멜란히톤의 제자로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그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1]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기간 동안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생활했다.[1] 1550년 석사 학위를 받고 철학부 평의회에 입학하여 수사학과 신학을 강의했다.[1] 1553년 고슬라어의 감독관이 되었으나, 곧 갈등을 겪고 1556년 로스토크 대학교로 옮겼다.[1]로스토크에서도 그는 일요 결혼식과 로마 가톨릭 축제 참여 문제로 논쟁에 휘말려 도시 지도자 두 명을 파문하려다 추방되었다.[1] 멜란히톤의 주선으로 하이델베르크 교회 총감독관이 되었으나, 1559년 성찬례를 둘러싼 논쟁으로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에 의해 해임되었다.[1] 브레멘에서 알베르트 하르덴베르크, 야코프 프로브스트와 성찬례 논쟁을 벌이다 사임하고, 1560년 마그데부르크 성 요한 교회 목사, 1561년 감독관이 되었다.[1] 그러나 크립토 칼뱅주의자, 시너지스트 등에 대한 공개 증언을 멈추지 않아 시의회에 의해 금지당했다.[1] 금지에도 불구하고 설교를 계속하자 1562년 10월 21일 새벽, 무장 시민들에 의해 강제로 도시 밖으로 쫓겨났다.[2]
고향인 베젤에서도 망명을 거부당했으나, 팔츠 백작 볼프강이 받아들였다.[1] 볼프강 사후 예나로 가서 순종이 말씀과 성례전 외에 교회의 표지가 되어야 한다는 신학적 입장을 옹호하며 야코프 안드레아, 빅토리누스 스트리겔,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등과 갈등했다.[1]
1573년 작센의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 100명 가까운 목사들이 추방될 때 요한 비간트와 함께 쾨니히스베르크로 갔다.[1] 1573년 삼란트 주교가 되었으나 비간트의 반대로 해임되었다.[1] 마틴 케므니츠의 도움으로 헬름슈테트 대학교 신학부에서 자리를 얻었다.[1] 1578년 ''헤르츠베르거 컨벤션''에서 비간트에 대한 그의 주장이 정당화되었다.[1]
콘코르디아 신조에 서명했지만, 인쇄본과 기록된 본문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케므니츠의 설명에 만족하지 못했다.[1]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우스 공작 역시 신조에 반대하여 그의 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
2. 3. 후기 생애와 죽음
헤수시우스는 예나에서 말씀과 성례전 외에 순종이 교회의 정의로운 표지가 되어야 한다는 신학적 입장을 옹호했다 (대부분의 루터교인이 인정한 유일한 두 가지 "표지").[1] 그는 야코프 안드레아, 빅토리누스 스트리겔, 마티아스 플라키우스 등 루터교의 통일을 추구하는 모든 사람에게 도전했다.1573년 작센의 아우구스투스 선제후가 작센-바이마르를 통치하게 되면서, 100명에 가까운 목사들이 그 지역을 떠나야 했다.[1] 헤수시우스와 요한 비간트는 동프로이센 쾨니히스베르크로 갔다.[1] 1573년 헤수시우스는 삼란트의 주교가 되었지만, 비간트가 그를 반대하면서 직위에서 해임되었다.[1] 마틴 케므니츠는 그가 새로 설립된 헬름슈테트 대학교의 신학부에서 영향력 있는 자리를 얻도록 도왔다.[1] 1578년 비간트에 대한 그의 주장은 ''헤르츠베르거 컨벤션''에서 정당화되었다.[1]
그는 이전에 안드레아의 연합 노력에 반대했지만, 결국 콘코르디아 신조에 서명하도록 설득되었고,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에서 이를 도입하는 데 모든 장애물이 제거된 것처럼 보였다.[1] 그러나 헤수시우스는 인쇄된 사본과 기록된 본문을 비교하면서 상당한 수의 차이점을 발견했고, 케므니츠의 설명에 만족하지 못했다.[1]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우스 공작 역시 신조에 반대하여 그의 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따라서 일반적인 권위를 많이 잃었다.[1]
틸레만 헤수시우스의 아들인 고트프리트 헤수시우스(1554-1625)와 하인리히 헤수시우스(1556-1597)는 그의 뒤를 이어 목사가 되었고, 독일 땅에서 루터교 목사 및 감독관이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그네시오-루터교 원인 및 대학과 연계되었다.[3]
3. 신학 사상
틸레만 헤수시우스는 필리프 멜란히톤의 제자로,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멜란히톤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기간 동안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생활하기도 했다.[1] 1550년 석사 학위를 받고 철학부 평의회에 들어가 수사학과 신학을 가르쳤다. 1553년에는 고슬라어의 감독관이 되었고, 비텐베르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헤수시우스는 고슬라어에서 갈등을 겪고 로스토크 대학교로 옮겼다. 그곳에서도 일요 결혼식과 로마 가톨릭 축제 참여 문제로 논쟁에 휘말려 도시에서 추방되었다.[1] 멜란히톤의 주선으로 하이델베르크 교회의 총감독관이 되었으나, 1559년 성찬례 논쟁으로 인해 해임되었다.[1] 이후 브레멘에서 알베르트 하르덴베르크 등과 성찬례 논쟁을 벌이다 사임하고 마그데부르크로 이동, 성 요한 교회 목사와 감독관 직책을 맡았다.[1] 그러나 크립토 칼뱅주의자 등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다 시의회와 갈등을 빚었고, 결국 1562년 도시에서 추방되었다.[2]
츠바이브뤼켄의 볼프강 백작의 도움으로 피신했다가 볼프강 사후 예나로 갔다. 예나에서 헤수시우스는 순종이 말씀과 성례전 외에 교회의 표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야코프 안드레아 등과 대립했다.[1] 1573년 작센의 아우구스투스 선제후의 통치 하에 많은 목사들이 추방될 때, 헤수시우스는 쾨니히스베르크로 가서 삼란트의 주교가 되었으나 요한 비간트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1] 마틴 케므니츠의 도움으로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자리를 얻었고, 1578년 헤르츠베르거 컨벤션에서 비간트에 대한 그의 주장이 정당화되었다.
헤수시우스는 처음에는 안드레아의 연합 노력에 반대했지만, 결국 콘코르디아 신조에 서명했다. 그러나 인쇄본과 기록된 본문을 비교하면서 차이점을 발견하고 케므니츠의 설명에 만족하지 못했다.[1]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우스 공작도 신조에 반대하여 그의 나라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의 아들 고트프리트 헤수시우스와 하인리히 헤수시우스도 목사가 되어 독일에서 루터교 목사 및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그네시오-루터교와 대학에 기여했다.[3]
4. 영향 및 평가
틸레만 헤수시우스는 필리프 멜란히톤의 제자로,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 기간 동안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생활했다. 그는 신학적 논쟁에 자주 휘말렸는데, 고슬라어, 로스토크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등에서 성찬례와 관련된 논쟁을 벌였다.[1] 특히 하이델베르크에서는 그의 부제 빌헬름 클레비츠와의 성찬례 논쟁으로 인해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에 의해 해임되기도 했다.[1] 브레멘에서도 알베르트 하르덴베르크 등과 성찬례 논쟁을 벌였다.[1]
마그데부르크에서는 크립토 칼뱅주의자 등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으로 인해 도시에서 추방당하기도 했다.[2] 예나에서는 순종이 말씀과 성례전 외에 교회의 정의로운 표지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옹호하며 야코프 안드레아 등과 대립했다.
쾨니히스베르크에서는 삼란트의 주교가 되었으나, 요한 비간트와의 갈등으로 해임되었다.[3] 이후 마틴 케므니츠의 도움으로 헬름슈테트 대학교에서 자리를 얻었다. 그는 콘코르디아 신조에 서명했지만, 이후 내용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우스 공작과 함께 신조에 반대했다.
그의 아들 고트프리트 헤수시우스와 하인리히 헤수시우스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루터교 목사이자 감독관이 되었으며, 그네시오-루터교의 입장을 지지했다.[3]
5. 저작
- Peter F. Bartonde, ''Um Luthers Erbe: Studien und Texte zur Spätreformation Tilemann Heshusius (1527-1559)'' (Witten, 1972).
- Michael J. Halvorson영어, ''Heinrich Heshusius and Confessional Polemic in Early Lutheran Orthodoxy'' (Farnham, Eng.: Ashgate, 2010).
- Thilo Krügerde, ''Empfangene Allmacht: die Christologie Tilemann Heshusens (1527-1588)'' (Forschungen zur Kirchen- und Dogmengeschichte )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0).
- Robert Rosin영어, "Tilemann Hesshus," ''Oxford Encyclopedia of the Reformation.'' (Oxford, 1996). vol. 2. pp. 237–8.
- David Steinmetz, “Calvin and his Lutheran Critics,” in ''Calvin in Contex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pp. 172–86
- K. v. Helmoltde, [https://books.google.com/books?id=DbMHAAAAQAAJ&dq=Tilemann%20Hesshus%20und%20seine%20sieben%20exilia&pg=PR1#v=onepage&q&f=false Tilemann Hesshus und seine sieben exilia] (Leipzig 1859).
- Cornelius August Wilkensde, [https://books.google.com/books?id=N-1XDxo4Fc4C&dq=Tilemann%20Hesshusius%3A%20Ein%20Streittheolog%20der%20Lutherskirche%20vornehmlich%20nach%20handschriftlichen%20Quellen&pg=PP7#v=onepage&q&f=false ''Tilemann Hesshusius: Ein Streittheolog der Lutherskirche vornehmlich nach handschriftlichen Quellen.''] (Leipzig 1860).
- ''[http://redbrickparsonage.wordpress.com/2016/06/03/raising-wings-like-the-eagles/ 독수리처럼 날개 치며: 이사야 40장 개요 및 이사야 40:30-31 주석]'', Nathaniel J. Biebert영어 번역 ([http://redbrickparsonage.wordpress.com/ Red Brick Parsonage], 2016).
- ''[http://redbrickparsonage.wordpress.com/2016/07/21/an-arduous-business/ 어려운 일: 디모데전서 개요]'', Nathaniel J. Biebert영어 번역 ([http://redbrickparsonage.wordpress.com/ Red Brick Parsonage], 2016).
참조
[1]
웹사이트
Life of Tilemann Heshusius
http://redbrickparso[...]
2016
[2]
서적
Historia Heshusiana oder Historische Nachricht von dem Leben, Bedienungen und Schrifften Tilemanni Heßhusii
https://books.google[...]
Quedlinburg and Aschersleben
1716
[3]
서적
Heinrich Heshusius and confessional polemic in early Lutheran orthodoxy
Ashgate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