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슬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슬라(Goslar)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고세 강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고 있다. 로마 시대부터 하르츠 산맥 지역의 주요 도시였으며, 10세기 말 오토 왕조 시대에 왕궁이 세워지면서 더욱 중요해졌다. 11세기에는 황제 거성이 건설되었고,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로서 황제들이 머물렀다.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 도시가 되었으며,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과의 갈등과 30년 전쟁으로 피해를 입었다. 19세기 초 프로이센에 합병되었고, 이후 여러 국가를 거쳐 1866년 다시 프로이센 통치하에 놓였다. 20세기 초 나치 정권 하에서 농업 중심지로 지정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역사적인 도시의 모습이 보존되었다. 1988년 람멜스베르크 광산이 폐쇄되었지만, 1992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고슬라는 관광 산업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현재 18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독일의 주요 도시와 도로 및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고슬라(Goslar)라는 지명은 오커 강의 지류인 고제(Gose) 강에서 유래했다.[23] 고제는 영어의 gush와 어원을 같이 하며 "분류"를 의미한다.[23] 지명의 뒷부분인 -lar는 울타리(가축의 울타리 혹은 제사의 성역 경계)의 의미를 지닌다.[24] 로마 제국 시대부터 하르츠 산맥 지역에서 철광석 채광이 활발했으며, 하르츠 광석으로 만들어진 고대 매장품이 잉글랜드 발굴 과정에서 발견되기도 했다.[25] 람멜스베르크 광산 기슭에 위치한 고슬라는 이미 로마 시대부터 하르츠 지방의 주요 도시였던 것으로 보이며, 런던 주차장의 지하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의 칼에서도 람멜스베르크 광산의 금속이 포함된 것이 확인되었다.
고슬라는 독일 중북부, 하르츠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하며, 브라운슈바이크에서 남쪽으로 약 40km, 주도인 하노버에서 남동쪽으로 약 70km 떨어져 있다. 샬케 산은 시 경계 내에서 해발 762m로 가장 높은 지점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175m로 오커 강 근처에 있다.
2. 역사
1166년에 사망한 아르놀트(Arnold, Abt von Berge)의 역사서 >Annalista Saxo<에 따르면, 동프랑크 왕 하인리히 1세는 이곳에 vicus(상업 정착지) 또는 venatorium(유렵지?)을 두었다고 한다.[25] 10세기 말, 오토 2세가 발행한 문서에 고세 개울가의 정착지가 처음 언급되었다.[25] 이곳은 오토 왕조의 작센 공국 고향에 위치했으며, 왕궁(Königspfalzde)이 이미 그 자리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근 람멜스베르크 광산에서 대규모 은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고슬라는 더욱 중요해졌다.
헨리 2세는 1000년경, 베를라에 있던 왕궁을 이곳으로 옮겼다. 이후 고슬라는 1252년/1253년까지 여러 차례 교회 회의, 제국 회의, 왕후 방문의 장소가 되었다. 11세기에는 황제의 색인 연보라색으로 장식된 황제 거성이 하인리히 3세에 의해 건설되었다. 고슬라는 은을 생산했기 때문에 황제 직할령이었다. 그 후 고슬라는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가 되어 황제나 왕이 머물렀다. 잘리어 왕조 (라인 프랑코니아) 황제들에 의해 베를라 왕궁을 대체하는 작센 지역의 중심 집회 장소로 발전했다. 콘라트 2세는 로마 왕으로 선출된 후, 1024년 크리스마스를 고슬라에서 기념했으며, 다음 해에 새로운 제국 궁전(Kaiserpfalz Goslarde)의 기초를 놓았다.
고슬라 대성당은 쾰른의 헤르만 2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1056년 사망 직전 헨리 3세 황제는 교회에서 교황 빅토르 2세를 만나 세속적 권력과 교회의 권력의 결합을 강조했다.[27]
헨리 4세 치하에서 고슬라는 제국 통치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지만, 1063년 오순절에 발생한 폭력적인 선행 분쟁과 같은 갈등이 격화되었다. 헨리는 람멜스베르크 은광에서 나오는 막대한 부를 왕실 직할령으로 확보하려 했지만, 지역 귀족들의 불만은 작센 반란 1073–1075로 격화되었다. 그 후 1077–1088년 작센 반란에서 고슬라 시민들은 반(反)왕 라인펠덴의 루돌프와 살름의 헤르만과 함께했으며, 고슬라에게 제국 자유 도시의 지위를 부여했다.
1131년에는 civitas(도시)라고 불렸다. 프리드리히 2세는 포괄적인 특권을 부여했다. 1132년에는 도시법의 기록이 이루어졌지만, 고슬라가 작센-튀링겐 지역의 여러 도시의 상급 법원(Oberhof)임을 나타내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3세기 말 이후 한자 동맹에 가맹했다. 1290년 볼덴베르크 백작으로부터 제국 대관직(Reichsvogtei)을 획득했다. 1340년 루트비히 4세는 고슬라 시에 "헤어실트법"(Heerschildrecht)을 부여했고, 그 결과 시민은 봉토 · 채지(Lehen)를 수령하여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13세기 중반까지 왕의 대관(Vogt)에 의해 관리되었지만, 그 후, 참사회(Rat)가 형성되어 자치 도시로서의 성격을 강화해 갔다.
== 근세와 현대 ==
16세기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고슬라는 프로테스탄트 도시가 되었고,[22] 1528년에 프로테스탄트파로 개종하였다.[22] 1531년에는 신학자 니콜라우스 폰 암스도르프에 의해 최초의 교회 헌법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경제적 쇠퇴가 시작되었다.[22] 1530년부터 1657년 사이에는 마녀사냥으로 28명이 희생되기도 했다.[22]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고슬라는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과의 갈등, 30년 전쟁 등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1527년 람멜스베르크 광산을 점령하고 하르츠 숲을 확장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헨리 5세 공작과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고슬라 시민들은 Reichskammergerichtde에 성공적으로 항소했지만, 이후에도 갈등은 계속되었다. 1620년대 Kipper und Wipperde 금융 위기로 인해 여러 반란과 박해가 발생했으며, 브라운슈바이크의 크리스티안 젊은 공작의 공격에 직면한 시민들은 틸리 백작 요한 체르클라스와 발렌슈타인|italic=node으로부터 지원을 요청했다. 1632년부터 1635년까지는 스웨덴 제국의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왕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 1642년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아우구스투스 젊은 공작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람멜스베르크 광산을 되찾으려는 고슬라 시민들의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세기 초, 고슬라는 프로이센 왕국에 합병되었고(1802년),[22] 이듬해 독일 메디아티제이션에 의해 확정되었다. 이후 베스트팔렌 왕국(1807년),[22] 하노버 왕국 등에 차례로 편입되었다. 1866년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이후 다시 프로이센 통치하에 들어간 고슬라는 인기 있는 은퇴 거주지가 되었고, 프로이센 육군의 주둔지가 있는 도시가 되었다. 호엔촐레른 가문의 왕과 황제들은 헤르만 비슬리체누스의 벽화 그림을 포함하여 제국 궁전을 복원했다.
20세기 초, 고슬라는 나치 정권 하에서 농업 중심지로 지정되었으며, 1936년에는 Reichsbauernstadtde의 칭호를 획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재무장 과정에서 도시 북쪽에 Luftwaffede 공군 기지가 건설되었고,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와 노이엔감메 강제 수용소의 하위 수용소를 포함한 여러 전쟁 공급 업체가 인근에 위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인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전략 폭격을 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슬라는 연합군 점령 독일의 일부였으며 실향민 수용소가 설치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내부 독일 국경 근처에 위치하여 서독 군대와 연방 국경 경비대의 주요 주둔지였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병영은 비워졌고 주요 경제적 요인이 사라졌다. 1988년, 람멜스베르크 광산이 폐쇄되면서 고슬라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22] 관광 산업을 통해 다시 성장하고 있다. 1992년, 고슬라와 람멜스베르크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중세 시대
고슬라(Goslar)라는 지명은 오커 강의 지류인 고제(Gose) 강에서 유래했다.[23] 고제는 영어의 gush와 어원을 같이 하며 "분류"를 의미한다.[23] 지명의 뒷부분인 -lar는 울타리(가축의 울타리 혹은 제사의 성역 경계)의 의미를 지닌다.[24] 로마 제국 시대부터 하르츠 산맥 지역에서 철광석 채광이 활발했으며, 하르츠 광석으로 만들어진 고대 매장품이 잉글랜드 발굴 과정에서 발견되기도 했다.[25] 람멜스베르크 광산 기슭에 위치한 고슬라는 이미 로마 시대부터 하르츠 지방의 주요 도시였던 것으로 보이며, 런던 주차장의 지하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의 칼에서도 람멜스베르크 광산의 금속이 포함된 것이 확인되었다.
1166년에 사망한 아르놀트(Arnold, Abt von Berge)의 역사서 >Annalista Saxo<에 따르면, 동프랑크 왕 하인리히 1세는 이곳에 vicus(상업 정착지) 또는 venatorium(유렵지?)을 두었다고 한다.[25] 10세기 말, 오토 2세가 발행한 문서에 고세 개울가의 정착지가 처음 언급되었다.[25] 이곳은 오토 왕조의 작센 공국 고향에 위치했으며, 왕궁(Königspfalzde)이 이미 그 자리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근 람멜스베르크 광산에서 대규모 은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고슬라는 더욱 중요해졌다.
헨리 2세는 1000년경, 베를라에 있던 왕궁을 이곳으로 옮겼다. 이후 고슬라는 1252년/1253년까지 여러 차례 교회 회의, 제국 회의, 왕후 방문의 장소가 되었다. 11세기에는 황제의 색인 연보라색으로 장식된 황제 거성이 하인리히 3세에 의해 건설되었다. 고슬라는 은을 생산했기 때문에 황제 직할령이었다. 그 후 고슬라는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도시가 되어 황제나 왕이 머물렀다. 잘리어 왕조 (라인 프랑코니아) 황제들에 의해 베를라 왕궁을 대체하는 작센 지역의 중심 집회 장소로 발전했다. 콘라트 2세는 로마 왕으로 선출된 후, 1024년 크리스마스를 고슬라에서 기념했으며, 다음 해에 새로운 제국 궁전(Kaiserpfalz Goslarde)의 기초를 놓았다.
고슬라 대성당은 쾰른의 헤르만 2세에 의해 봉헌되었다. 1056년 사망 직전 헨리 3세 황제는 교회에서 교황 빅토르 2세를 만나 세속적 권력과 교회의 권력의 결합을 강조했다.[27]
헨리 4세 치하에서 고슬라는 제국 통치의 중심지로 남아 있었지만, 1063년 오순절에 발생한 폭력적인 선행 분쟁과 같은 갈등이 격화되었다. 헨리는 람멜스베르크 은광에서 나오는 막대한 부를 왕실 직할령으로 확보하려 했지만, 지역 귀족들의 불만은 작센 반란 1073–1075로 격화되었다. 그 후 1077–1088년 작센 반란에서 고슬라 시민들은 반(反)왕 라인펠덴의 루돌프와 살름의 헤르만과 함께했으며, 고슬라에게 제국 자유 도시의 지위를 부여했다.
1131년에는 civitas(도시)라고 불렸다. 프리드리히 2세는 포괄적인 특권을 부여했다. 1132년에는 도시법의 기록이 이루어졌지만, 고슬라가 작센-튀링겐 지역의 여러 도시의 상급 법원(Oberhof)임을 나타내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13세기 말 이후 한자 동맹에 가맹했다. 1290년 볼덴베르크 백작으로부터 제국 대관직(Reichsvogtei)을 획득했다. 1340년 루트비히 4세는 고슬라 시에 "헤어실트법"(Heerschildrecht)을 부여했고, 그 결과 시민은 봉토 · 채지(Lehen)를 수령하여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13세기 중반까지 왕의 대관(Vogt)에 의해 관리되었지만, 그 후, 참사회(Rat)가 형성되어 자치 도시로서의 성격을 강화해 갔다.
2. 2. 근세와 현대
16세기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고슬라는 프로테스탄트 도시가 되었고,[22] 1528년에 프로테스탄트파로 개종하였다.[22] 1531년에는 신학자 니콜라우스 폰 암스도르프에 의해 최초의 교회 헌법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경제적 쇠퇴가 시작되었다.[22] 1530년부터 1657년 사이에는 마녀사냥으로 28명이 희생되기도 했다.[22]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고슬라는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과의 갈등, 30년 전쟁 등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1527년 람멜스베르크 광산을 점령하고 하르츠 숲을 확장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헨리 5세 공작과의 갈등이 격화되었다. 고슬라 시민들은 Reichskammergerichtde에 성공적으로 항소했지만, 이후에도 갈등은 계속되었다. 1620년대 Kipper und Wipperde 금융 위기로 인해 여러 반란과 박해가 발생했으며, 브라운슈바이크의 크리스티안 젊은 공작의 공격에 직면한 시민들은 틸리 백작 요한 체르클라스와 발렌슈타인|italic=node으로부터 지원을 요청했다. 1632년부터 1635년까지는 스웨덴 제국의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왕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 1642년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아우구스투스 젊은 공작 사이에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람멜스베르크 광산을 되찾으려는 고슬라 시민들의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세기 초, 고슬라는 프로이센 왕국에 합병되었고(1802년),[22] 이듬해 독일 메디아티제이션에 의해 확정되었다. 이후 베스트팔렌 왕국(1807년),[22] 하노버 왕국 등에 차례로 편입되었다. 1866년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 이후 다시 프로이센 통치하에 들어간 고슬라는 인기 있는 은퇴 거주지가 되었고, 프로이센 육군의 주둔지가 있는 도시가 되었다. 호엔촐레른 가문의 왕과 황제들은 헤르만 비슬리체누스의 벽화 그림을 포함하여 제국 궁전을 복원했다.
20세기 초, 고슬라는 나치 정권 하에서 농업 중심지로 지정되었으며, 1936년에는 Reichsbauernstadtde의 칭호를 획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재무장 과정에서 도시 북쪽에 Luftwaffede 공군 기지가 건설되었고, 부헨발트 강제 수용소와 노이엔감메 강제 수용소의 하위 수용소를 포함한 여러 전쟁 공급 업체가 인근에 위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인 도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전략 폭격을 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슬라는 연합군 점령 독일의 일부였으며 실향민 수용소가 설치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내부 독일 국경 근처에 위치하여 서독 군대와 연방 국경 경비대의 주요 주둔지였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병영은 비워졌고 주요 경제적 요인이 사라졌다. 1988년, 람멜스베르크 광산이 폐쇄되면서 고슬라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22] 관광 산업을 통해 다시 성장하고 있다. 1992년, 고슬라와 람멜스베르크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록되었다.
3. 지리
지리적으로 고슬라는 북독일 평원의 일부인 힐데스하임 뵈르데와 독일 중앙 고지의 가장 높고 북쪽으로 뻗어 있는 하르츠 산맥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힐데스하임 뵈르데는 평야가 특징이며, 점토 토양이 풍부하여 사탕무 농업에 농업적으로 사용되며, 흔히 힐데스하임 숲과 잘츠기터 언덕으로 알려진 여러 언덕 범위가 얽혀 있다. 북동쪽에는 하를리 숲이 오커 강까지 뻗어 있고, 동쪽에는 고슬라가 독일 작센안할트 주와 접해 있다.
바로 남쪽에는 람멜스베르크 산(636m)에서 역사적인 자치구 위로 하르츠 산맥이 솟아 있다. 넓은 숲이 풍경을 지배한다. 시 경계를 가로지르는 주요 강은 고세/압츠츠와 라도 지류가 있는 오커 강이다. 고세 강은 고슬라에서 남서쪽으로 약 9km 떨어진 아우어한 패스(638m)에서 발원하며, 복스베르크 산의 동쪽에 있다. 헤르츠베르크(632m) 북쪽 기슭에서 더 작은 압츠츠를 만나 오커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뙤르프케와 겔름케도 남쪽 하르츠 산기슭에서 고슬라 시 구역으로 흘러 들어 압츠츠로 흘러 들어간다.
3. 1. 위치와 자연환경
고슬라는 독일 중북부, 하르츠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하며, 브라운슈바이크에서 남쪽으로 약 40km, 주도인 하노버에서 남동쪽으로 약 70km 떨어져 있다. 샬케 산은 시 경계 내에서 해발 762m로 가장 높은 지점이다. 가장 낮은 지점은 175m로 오커 강 근처에 있다.
지리적으로 고슬라는 북독일 평원의 일부인 힐데스하임 뵈르데와 독일 중앙 고지의 가장 높고 북쪽으로 뻗어 있는 하르츠 산맥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 힐데스하임 뵈르데는 평야가 특징이며, 점토 토양이 풍부하여 사탕무 농업에 농업적으로 사용되며, 흔히 힐데스하임 숲과 잘츠기터 언덕으로 알려진 여러 언덕 범위가 얽혀 있다. 북동쪽에는 하를리 숲이 오커 강까지 뻗어 있고, 동쪽에는 고슬라가 독일 작센안할트 주와 접해 있다.
바로 남쪽에는 람멜스베르크 산(636m)에서 역사적인 자치구 위로 하르츠 산맥이 솟아 있다. 넓은 숲이 풍경을 지배한다. 시 경계를 가로지르는 주요 강은 고세/압츠츠와 라도 지류가 있는 오커 강이다. 고세 강은 고슬라에서 남서쪽으로 약 9km 떨어진 아우어한 패스(638m)에서 발원하며, 복스베르크 산의 동쪽에 있다. 헤르츠베르크(632m) 북쪽 기슭에서 더 작은 압츠츠를 만나 오커 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뙤르프케와 겔름케도 남쪽 하르츠 산기슭에서 고슬라 시 구역으로 흘러 들어 압츠츠로 흘러 들어간다.
3. 2. 기후
니더작센주 고슬라의 연평균 기온은 섭씨 11.5도이다.[28][5]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최고 기온 (°C) | 2 | 2 | 7 | 10 | 16 | 18 | 21 | 21 | 17 | 13 | 7 | 4 |
| 최저 기온 (°C) | -2 | -3 | 1 | 3 | 7 | 11 | 12 | 12 | 10 | 6 | 2 | 0 |
3. 3. 행정 구역
고슬라 시는 현재 18개의 구역(''Stadtteile'')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시가지 (상·하 보로와 시 중심지)
- 람멜스베르크(Rammelsberg) (지멘스 지구(Siemensviertel)와 로젠베르크(Rosenberg) 포함)
- 게오르겐베르크(Georgenberg) (카텐베르크(Kattenberg) 포함)
- 슈타인베르크(Steinberg)
- 주트머베르크
- 위르겐올(Jürgenohl) (크라머스빈켈(Kramerswinkel) 포함)
- 바스가이게(Baßgeige)
- 올호프(Ohlhof)
1972년에 편입된 구역은 다음과 같다.
- 한도르프(Hahndorf) (그라우호프(Grauhof) 포함)
- 하넨클레 (복스비제(Bockswiese) 포함)
- 예르슈테트(Jerstedt)
- 오커
2014년에 편입된 구역은 다음과 같다.
- 임멘로데(Immenrode)
- 렌게(Lengde)
- 로흐툼(Lochtum)
- 피넨부르크 (뵐팅거로데(Wöltingerode)와 베네로데(Wennerode) 포함)
- 베델린겐(Weddelingen)
- 비델라(Wiedelah)
4. 인구
19세기부터 21세기까지 고슬라의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 연도 | 인구 수 | 연도 | 인구 수 | 연도 | 인구 수 | 연도 | 인구 수 |
|---|---|---|---|---|---|---|---|
| 1821 | 7,547 | 1933 | 29,538 | 1961 | 54,151 | 1985 | 49,636 |
| 1848 | 9,748 | 1939 | 34,371 | 1968 | 53,819 | 1990 | 46,251 |
| 1871 | 11,900 | 1946 | 47,855 | 1970 | 52,649 | 1995 | 46,142 |
| 1885 | 15,997 | 1950 | 53,804 | 1975 | 53,963 | 2000 | 44,278 |
| 1905 | 23,640 | 1956 | 53,236 | 1980 | 52,556 | 2005 | 43,119 |
| 1925 | 27,881 | 2010 | 40,989 |
(매년 12월 31일 기준)
2020년 12월 31일 기준, 고슬라(피넨부르크 포함)의 인구는 50,184명이었다.[8]
5. 정치
고슬라 시의회는 2016년 선거 결과에 따라 구성되었다.[9][10] SPD 14석 (37.55%), CDU 10석 (26.10%), AfD 3석 (9.28%), FDP 3석 (6.95%), 녹색당 3석 (6.70%), 고슬라 좌파 2석 (5.36%), BGL 2석 (5.02%), AfG 1석 (1.69%)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9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올리버 융크 박사가 시장을 역임했다.[1] 2021년 11월부터는 우르테 슈베르트너(SPD)가 고슬라 시장을 맡고 있다. 유럽 의회, 독일 연방 의회, 니더작센 주 의회에 고슬라를 대표하는 의원들이 있다.
6. 문화와 관광
고슬라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유적을 잘 보존하고 있다. 특히 고슬라 제국 궁전과 람멜스베르크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고슬라에는 고딕 양식 시청사 박물관, 중세 후기 역사 박물관인 츠빙거 타워와 던전, 현대 및 근대 미술 ''뫼헨하우스 박물관'', 고슬라 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이 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1871년에 전사한 하노버 제10 소총대대 사병 기념비(현재 칸테이히 근처)와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년에 전사한 하노버 제10 소총대대 사병 기념비가 있다. 람멜스베르크 광산 박물관은 유럽 산업 유산 루트(ERIH)의 앵커 포인트이다.
''오데온 극장''은 이 도시의 주요 극장이다. 최근에 개조되었다. 여러 극단과 음악 그룹의 공연을 주최한다.
또 다른 극장인 ''문화 파워 스테이션 하르츠'' 또는 ''Kulturkraftwerk'' 하르츠는 사용하지 않는 발전소에 위치해 있다. 자원 봉사자들이 운영하며 현대 연극, 코미디, 그리고 대부분의 대안 문화 행사를 제작한다. 여기서 매년 6월 상반기에 고슬라 프린지 문화의 날이 열린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하노버이다. 하노버에서 차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며, 하노버 중앙역에서 2시간마다 직통 급행열차가 운행된다.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이다. 역에서 서쪽으로 걸어가면 몇 분 만에 구시가지에 들어선다. 관광 안내소는 마르크트 광장의 라트하우스(구 시청사) 맞은편에 있다.
구시가지는 상당히 넓고, 수로가 있어 변화가 있다. 독일 전통 목골 벽돌 구조의 민가가 늘어서 있고, 마을 곳곳에 미술관·박물관이 있다.
6. 1. 문화 유산
고슬라는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유적을 잘 보존하고 있다. 특히 고슬라 제국 궁전과 람멜스베르크 광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고슬라에는 고딕 양식 시청사 박물관, 중세 후기 역사 박물관인 츠빙거 타워와 던전, 현대 및 근대 미술 ''뫼헨하우스 박물관'', 고슬라 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이 있다.프랑스-프로이센 전쟁 1870/1871년에 전사한 하노버 제10 소총대대 사병 기념비(현재 칸테이히 근처)와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년에 전사한 하노버 제10 소총대대 사병 기념비가 있다. 람멜스베르크 광산 박물관은 유럽 산업 유산 루트(ERIH)의 앵커 포인트이다.
구시가지는 상당히 넓고, 수로가 있어 변화가 있다. 독일 전통 목골 벽돌 구조의 민가가 늘어서 있고, 마을 곳곳에 미술관·박물관이 있다.

6. 2. 축제와 행사
고슬라에서는 2006년에 잘리어 왕조 건국 1천 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1975년부터 매년 사회와 예술에 뛰어난 공헌을 한 인물에게 '황제의 반지'를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로는 헨리 무어, 요제프 보이스, 크리스토, 다니 카라반 등이 있다.8월 중순에서 말에는 고슬라 국제 협주곡의 날, 7월 초에서 중순에는 고슬라 박람회, 8월 초에는 구시가지에서 연례 장인 시장, 9월 중순에는 구시가지 축제, 봄(보통 부활절 연휴 기간)에는 한자 동맹의 날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6. 3. 스포츠
고슬라는 하르츠 산맥 기슭에 위치해 있어 수영, 암벽 등반, 모터 스포츠, 비행, 요트, 산악 자전거 등 다양한 야외 활동을 즐길 수 있다.1849년에 창립된 ''MTV 고슬라어''는 가장 오래되고 전통 있는 스포츠 클럽이다. 이 클럽의 주요 시설인 축구 경기장과 체육관은 골든 아우(Goldene Aue) 부지에 있다.
고슬라러 SC 08의 축구팀은 2009-10 시즌에 오버리가 니더작센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여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에 진출하였다.
7. 경제와 인프라
고슬라는 북부 하르츠 지역의 쇼핑 중심지이다. 백화점, 여러 슈퍼마켓, 고급 부티크, 레스토랑 등이 있으며, 일주일에 한 번씩 농산물 시장이 열린다. 또한, 이 자치구에는 여러 자동차 판매점이 있다.
관광 산업은 고슬라의 중요한 산업이다. 
고슬라는 컨퍼런스 장소로도 인기가 높다. ''아흐터만 호텔''과 ''카이저팔츠''는 독일 도로 및 교통 재판 날(도이처 페어케어스게리히츠탁/Deutscher Verkehrsgerichtstagde)을 개최하는 컨퍼런스 센터이다.
고슬라의 주요 기업으로는 H.C. 슈타르크(화학 회사)가 있으며, 관광 및 공무원도 주요 고용주이다. 많은 주민들이 잘츠기터로 통근한다.
''Dr-헤르베르트-니에퍼-크란켄하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 하르츠클리니켄'' 그룹의 사립 병원이다. 시내 곳곳에 여러 일반의, 치과 의사 및 전문의가 있으며, 응급 서비스가 제공된다.
7. 1. 경제
고슬라는 북부 하르츠 지역의 쇼핑 중심지이다. 백화점, 여러 슈퍼마켓, 고급 부티크, 레스토랑 등이 있으며, 일주일에 한 번씩 농산물 시장이 열린다. 또한, 이 자치구에는 여러 자동차 판매점이 있다.관광 산업은 고슬라의 중요한 산업이다. 여러 호텔과 B&B가 시내 또는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노인 휴양지로도 인기가 높아 요양원이 많다.
고슬라는 컨퍼런스 장소로도 인기가 높다. ''아흐터만 호텔''과 ''카이저팔츠''는 독일 도로 및 교통 재판 날(도이처 페어케어스게리히츠탁/Deutscher Verkehrsgerichtstagde)을 개최하는 컨퍼런스 센터이다.
고슬라의 주요 기업으로는 H.C. 슈타르크(화학 회사)가 있으며, 관광 및 공무원도 주요 고용주이다. 많은 주민들이 잘츠기터로 통근한다.
''Dr-헤르베르트-니에퍼-크란켄하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 하르츠클리니켄'' 그룹의 사립 병원이다. 시내 곳곳에 여러 일반의, 치과 의사 및 전문의가 있으며, 응급 서비스가 제공된다.
7. 2. 교통
고슬라는 독일의 주요 도시와 도로 및 철도로 잘 연결되어 있다. 고슬라에는 아우토반 A7, A395, 국도 B6, B82 등이 지나간다. A 7은 북쪽의 함부르크/하노버와 남쪽의 프랑크푸르트/뮌헨을 연결하며, A 395는 동서 방향의 주요 아우토반 A 2에서 브라운슈바이크로 분기되어 고슬라 동쪽 약 12km 지점인 피넨부르크에서 끝난다. A 2는 동쪽의 베를린과 서쪽의 루르 지역 및 네덜란드를 연결한다. 국도 B 6와 B 82는 고슬라에서 합류하며, 4차선 우회도로를 통해 시내를 지나간다. B 6은 대부분 4차선이며, 힐데스하임–잘츠기터 경로를 통해 고슬라에 접근한다.고슬라 중앙역에서는 독일 철도 네트워크의 하노버–고슬라–할레(작센안할트) 노선과 브라운슈바이크–고슬라–크라이엔젠 노선이 운행된다. 중앙 기차역은 시내 근처에 있으며, 브라운슈바이크와 하노버로 통근하는 사람들을 위한 환승 주차장 시스템이 있다. 기차역에는 하르츠 산맥의 다양한 목적지로 가는 정기 버스 서비스가 제공되는 중앙 버스 터미널이 있으며, 버스는 DB Stadtverkehr에 속한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하노버이다. 하노버에서 차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며, 하노버 중앙역에서 2시간마다 직통 급행열차가 운행된다. 소요 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이다. 역에서 서쪽으로 걸어가면 몇 분 만에 구시가지에 들어선다.
7. 3. 교육
고슬라 지역의 3단계 교육 시스템은 니더작센 주의 법률에 따른다. 모든 학교의 수업 언어는 독일어이다.[13][14][15] 9개의 초등학교는 시 전체와 관련된 촌락에 분포되어 있다. 두 개의 김나지움(5~12/13학년)이 있는데, 크리스티안 폰 돔 김나지움(Christian-von-Dohm-Gymnasium)과 더 전통적인 라츠김나지움(Ratsgymnasium)이며, 둘 다 학생들을 학문적인 진로로 준비시킨다. 세 개의 실과학교(5~10학년)인 안드레-무통 실과학교(Andre-Mouton Realschule), 호허 베크 실과학교(Realschule Hoher Weg), 골데네 아우에 실과학교(Realschule Goldene Aue)는 학생들을 전문적인 진로로 준비시킨다. 또한 두 개의 직업학교(5~9/10학년)인 하웁트슐레 오커(Hauptschule Oker)와 하웁트슐레 카이저팔츠(Hauptschule Kaiserpfalz)가 있다. 특수학교는 학습 장애와 특별한 필요가 있는 어린이를 위한 학교이다.보충 공립 발도르프 학교인 하르츠(Harz) – 고슬라 분교는 오스트리아 교육학자 루돌프 슈타이너의 가르침에 기반한 발도르프 교육이라는, 더 정신적인 노선에 따라 학생들을 교육한다.
10~12학년을 위해 고슬라 지역과 그 외 지역의 학생들을 위해 고슬라에 수공예, 경제, 노인 간호 분야에서 4개의 직업 훈련 대학이 있다. 독일 이원 직업 교육 시스템 내에서 파트타임 교육과 풀타임 교육을 제공하는 두 개의 주립 직업 학교가 있다. BBS 1 고슬라 -암 슈타트가르텐-(BBS 1 Goslar -Am Stadtgarten-)은 경영학, 경제학, 건강 서비스, 정보 통신 기술(ICT) 교육에 중점을 둔다. BBS 고슬라-바스게이게/제젠(BBS Goslar-Baßgeige/Seesen)은 기계, 전기, 섬유 공학, 자연 과학(화학, 물리학, 생물학), 식품 서비스, 가정 과학 및 산업 및 행정에 중점을 둔다.
고슬라에서 가장 가까운 대학교는 고슬라에서 남쪽으로 약 21km 떨어진 클라우스타탈-첼러펠트의 상부 하르츠 산맥에 위치한 유서 깊은 클라우스타탈 공과대학교이다. 남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곳에는 매우 유명한 괴팅겐 대학교(영국 왕 조지 2세)가 설립했다.
고슬라 지역의 성인 교육(평생 학습)은 ''Volkshochschule''에서 제공된다.
8. 자매 도시
고슬라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1]
- 아르카숑(Arcachon), 프랑스 (1965)
- 베로운(Beroun), 체코 (1989)
- 브제크(Brzeg), 폴란드 (2000)
- 포레스(Forres), 스코틀랜드, 영국 (1984)
- 라아나나(Ra'anana), 이스라엘 (2006)
- 윈저와 메이든헤드(Windsor and Maidenhead), 잉글랜드, 영국 (1969)
참조
[1]
웹사이트
Stichwahlen zu Direktwahlen in Niedersachsen vom 26. September 2021
https://wahlen.stati[...]
Landesamt für Statistik Niedersachsen
2021-10-13
[2]
웹사이트
Fachwerkhäuser und prominente Besucher: Goslar ist eine reale Filmkulisse - WELT
https://www.welt.de/[...]
2024-04-19
[3]
웹사이트
Mines of Rammelsberg, Historic Town of Goslar and Upper Harz Water Management System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2-06-25
[4]
웹사이트
Kaiserring {{!}} Mönchehaus Museum Goslar
http://www.moencheha[...]
2020-01-05
[5]
웹사이트
Goslar, Niedersachsen Monthly Climate Average, Germany
https://web.archive.[...]
2016-12-18
[6]
웹사이트
In Our Time
http://www.bbc.co.uk[...]
BBC Radio 4
2018-04-05
[7]
뉴스
A German roofer working on a cathedral found a message in bottle, written by his grandfather
https://www.washingt[...]
2018-09-19
[8]
웹사이트
Einwohner der Gemeinden und Ortsteile
https://web.archive.[...]
2019-04-11
[9]
뉴스
Bayreuther is OB in Goslar
Frankenpost
2011-11-13
[10]
웹사이트
Electionresult 2011 in Goslar
http://wahl.goslar.d[...]
2012-04-02
[11]
웹사이트
Partnerstädte und Patenschaften
https://www.goslar.d[...]
Goslar
2023-11-20
[12]
웹사이트
Goslar steigt in die Regionalliga auf – Erlebnisbericht: VfB Oldenburg – Goslarer SC 08
http://www.samstag15[...]
2009-06-12
[13]
웹사이트
www.landkreis-goslar.de - Schulen
https://www.landkrei[...]
2018-04-05
[14]
웹사이트
About – BBS 1 Goslar -Am Stadtgarten-
http://www.bbs1gosla[...]
2018-04-05
[15]
웹사이트
Englisch: Berufsbildende Schulen Goslar-Baßgeige/Seesen
http://www.bbs-bassg[...]
2018-04-05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문서
Research Library for the History of Education,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al Research, Berlin
[20]
웹사이트
Staff--International Scientific Center of Fertilizers(CIEC)
https://ciec.iae.ac.[...]
[21]
간행물
Population GER-NI
[22]
서적
Gerhard Köbler: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23]
서적
Dieter Berger: [[:de: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24]
서적
Dieter Berger: [[:de: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25]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26]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27]
서적
フリードリヒ・フォン・ラウマー『騎士の時代 ドイツ中世の王家の興亡』(柳井尚子訳)法政大学出版局 1992 (叢書・ウニベルシタス 386)(ISBN 4-588-00386-0)、88頁。
[28]
웹인용
Goslar, Niedersachsen Monthly Climate Average, Germany
https://www.worldwea[...]
2016-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