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동 함수 붕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동 함수 붕괴는 양자역학에서 양자 상태가 측정 과정에서 특정 고유 상태로 갑작스럽게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양자계의 수학적 기술인 파동 함수가 가측량의 고유 상태들의 중첩으로 표현될 때, 측정을 통해 이 중 하나의 상태만 관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 파동 함수 붕괴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지 않으며, 측정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객관적 붕괴 이론, 양자 탈결맞음, 다세계 해석 등이 붕괴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을 제시하려 시도해왔다. 파동 함수 붕괴 개념은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이후 존 폰 노이만에 의해 양자역학의 수학적 공식화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 측정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슈테른-게를라흐 실험은 은 원자의 자기 모멘트가 양자화되어 있음을 증명하고, 전자의 스핀이 양자화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 - 양자 측정 - 국소적 숨은 변수 이론
국소적 숨은 변수 이론은 양자역학의 확률성을 측정 이전의 숨겨진 변수로 설명하려 하지만, 벨의 정리는 국소적 실재론 가정 하에 양자역학적 예측과 모순되는 벨 부등식을 유도하며, 실험 결과는 이 부등식 위반을 통해 국소적 실재론의 부정확성을 시사하고, 일부 얽힌 상태는 국소적 숨은 변수 모델로 설명 가능하다는 연구가 양자역학의 기초와 비국소성 이해에 기여한다. - 물리학 개념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물리학 개념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파동 함수 붕괴 | |
---|---|
파동 함수 붕괴 | |
개요 | |
정의 | 양자역학에서 양자 시스템가 여러 중첩 상태에서 단일한 고유 상태로 변하는 과정 |
다른 이름 | 파동 묶음 감소, 양자 붕괴 |
핵심 아이디어 | 측정 문제와 관련하여 관측으로 인해 파동 함수가 중첩 상태에서 특정 상태로 '붕괴'하는 현상 설명 |
초기 개념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1927년 논문에서 제시 |
설명 | |
비유 | 동전 던지기의 예시로 설명 (동전이 회전 중에는 앞면과 뒷면이 중첩된 상태지만, 바닥에 떨어져 관측될 때 둘 중 하나의 상태로 결정되는 것과 유사) |
발생 시점 | 일반적으로 측정 또는 관측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짐 |
슈뢰딩거 방정식과의 관계 | 슈뢰딩거 방정식은 시간에 따라 파동 함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하지만, 붕괴 과정은 설명하지 못함 |
폰 노이만 기술 | 폰 노이만은 1932년 저서에서 측정을 두 가지 과정으로 설명 (1. 시스템의 상태가 측정 연산자에 따라 변경되는 과정, 2. 실제 측정 결과가 나타나는 과정) |
이론적 문제 | 어떤 시점에서 파동 함수가 붕괴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 부족 (특히 거시적 관측 장비와의 상호작용은 양자 역학적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임) |
붕괴 메커니즘 | 양자 결맞음 깨짐 현상을 통해 붕괴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려는 시도가 존재 |
붕괴의 성질 | 확률적으로 발생하며, 파동 함수의 성질에 의해 결과의 확률이 결정됨 |
수학적 표현 | |ψ> = Σ_n c_n |Φ_n> (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 |ψ>는 고유 함수 |Φ_n>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됨. 여기서 c_n은 각 고유 함수의 계수이고, |c_n|²은 |Φ_n> 상태로 측정될 확률) |
상태 변화 | 측정 후, 시스템은 고유 함수 |Φ_k> 중 하나로 붕괴되며, 이때 붕괴된 상태는 확률에 따라 결정됨 |
관측 가능량 | 관측 가능량의 값이 명확해짐 |
양자 측정 이론 | 비파괴 측정의 원리 설명 |
해석 | |
코펜하겐 해석 | 파동 함수 붕괴가 실제 물리적 과정이라고 가정 (가장 일반적인 해석) |
다세계 해석 | 파동 함수가 붕괴하지 않고, 측정 결과에 따라 우주가 여러 갈래로 분기된다고 주장 |
기타 해석 | 일관된 역사 해석, 객관적 붕괴 이론, 결맞음 깨짐 해석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 |
결맞음 깨짐과의 관계 | 결맞음 깨짐이 붕괴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견이 있음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중첩 상태가 사라지고 특정 상태로 결정된다는 개념) |
양자 다윈주의 | 양자 다윈주의는 결맞음 깨짐을 통해 특정 양자 상태가 선택되고 관측 가능한 고전적 상태로 나타나는 과정을 설명 |
추가 정보 | |
폰 노이만 측정 과정 | 폰 노이만은 측정 과정을 두 가지로 나눔 (제1종 측정: 측정 연산자에 의한 상태 변화, 제2종 측정: 특정 결과가 나타나는 과정) |
측정 문제 | 파동 함수 붕괴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측정 문제가 발생 |
비국소성 | 붕괴 과정은 비국소적이며, 거리와 상관없이 즉시 발생할 수 있음 |
양자 얽힘과의 관계 | 양자 얽힘 상태에 있는 입자의 측정은 즉각적으로 다른 입자의 상태에 영향을 미침 |
2. 수학적 기술
양자역학에서 측정 가능한 물리량은 가측량이라고 하며, 위치(), 운동량(), 에너지(), 스핀의 성분() 등이 그 예이다. 가측량은 계의 상태에 대한 선형 함수로 작용하며, 그 고유 벡터는 고유 상태에 해당하고 고유값은 가측량의 가능한 값에 해당한다. 고유 상태/고유값 쌍의 집합은 가측량의 모든 가능한 값을 나타낸다. 고유 상태를 , 해당 관측 값을 로 표기하면, 양자계의 임의의 상태는 브라-켓 표기법을 사용하여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켓
6. 기타 해석
양자 베이지안주의에서는 파동 함수가 양자계에 대한 주관적인 신념의 정도를 나타내며, 정보에 기반하여 확률이 업데이트된다고 해석한다(파동 함수가 수축한다).
다세계 해석이나 일관된 역사 해석과 같이 파동 함수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는 양자역학 해석도 있다.
7. 역사
파동 함수 붕괴 개념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1927년 불확정성 원리에 관한 논문에서 처음 소개하였고, 존 폰 노이만이 1932년 저서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초''에서 양자역학의 수학적 공식화에 통합하였다.[1] 하이젠베르크는 파동 함수 붕괴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려 하지는 않았지만, 그것을 물리적 과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18] 닐스 보어는 파동 함수 붕괴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림 표현'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견해는 종종 코펜하겐 해석으로 묶여 다뤄진다.[19]
존 폰 노이만은 저서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초''에서 파동 함수의 변화를 다음 두 가지 과정으로 설명하였다.[20][21]
1. 관찰 및 측정에 의해 발생하는 확률적, 비유니터리, 비국소적, 불연속적인 변화.
2.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는 고립된 시스템의 결정론적, 유니터리, 연속적인 시간 진화.
1957년 휴 에버렛 3세는 폰 노이만의 첫 번째 가정을 버린 양자역학 모델(다세계 해석)을 제안하였다.[21] 1970년대부터 H. 디터 체와 보이치에흐 H. 주렉 등의 연구를 통해 양자 탈결맞음 개념이 발전하였다.[22][21]
참조
[1]
논문
On Gravity's role in Quantum State Reduction
http://link.springer[...]
1996-05-01
[2]
서적
Mathematische Grundlagen der Quantenmechanik
Springer
[2]
서적
Mathematical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논문
Quantum Darwinism
[4]
논문
Decoherence, the measurement problem, and interpretations of quantum mechanics
[5]
백과사전
The Role of Decoherence in Quantum Mechanics
https://plato.stanfo[...]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anford University website
2020-04-11
[6]
논문
Über den anschaulichen Inhalt der quantentheoretischen Kinematik und Mechanik
https://ntrs.nasa.go[...]
[7]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1-01
[8]
서적
Quantum theory for mathematicians
Springer
2013-01-01
[9]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2e
Pearson Prentice Hall
[10]
논문
Controlled double-slit electron diffraction
https://iopscience.i[...]
IOP Publishing
2013-03-13
[11]
서적
Quantum Mechanics
North Holland, John Wiley & Sons
1966-01-01
[12]
논문
Decoherence, einselection, and the quantum origins of the classical
https://link.aps.org[...]
2003-05-22
[13]
서적
Quantum mechanics: the theoretical minimum; [what you need to know to start doing physics]
Basic Books
2014-01-01
[14]
논문
Quantum Theory Needs No ‘Interpretation’
https://citeseerx.is[...]
2000-03-01
[15]
서적
Wave Function Collapse
https://link.spring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9-01-01
[16]
논문
Decoherence, einselection, and the quantum origins of the classical
2003-01-01
[17]
논문
On the interpretation of quantum theory—from Copenhagen to the present day
[18]
논문
"Wave-Packet Reduction" and the Quantum Character of the Actualization of Potentia
[19]
논문
Niels Bohr on the wave function and the classical/quantum divide
[20]
논문
The quantum mechanics of cosmology
https://arxiv.org/pd[...]
[21]
논문
Decoherence, the measurement problem, and interpretations of quantum mechanics
https://link.aps.org[...]
2005-02-23
[22]
논문
A history of entanglement: Decoherence and the interpretation problem
https://www.scienced[...]
2009-12-01
[23]
서적
Handbuch der Physik
Springer-Verlag
[24]
논문
Erweiterung des Unbestimmtheitsprinzips für die relativistische Quantentheorie
[25]
서적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25]
서적
Conceptual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W. A. Benjamin
[25]
서적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An Empiricist Approach
Kluwer Academic Publishers
[26]
서적
Mathematische Grundlagen der Quantenmechanik
Springer
[27]
서적
Mathematical 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논문
Decoherence, the measurement problem, and interpretations of quantum mechanics
2005-02-23
[29]
논문
On unitary evolution and collapse in quantum mechanics
http://quanta.ws/ojs[...]
[30]
논문
Quantum Darwinism
2009-03-02
[31]
백과사전
The Role of Decoherence in Quantum Mechanics
https://plato.stanfo[...]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anford University website
2020-04-11
[32]
논문
Über den anschaulichen Inhalt der quantentheoretischen Kinematik und Mechanik
http://ntrs.nasa.gov[...]
[33]
서적
Mathematische Grundlagen der Quantenmechanik
Springer
[34]
논문
On unitary evolution and collapse in quantum mechanics
[35]
논문
Quantum Darwinism
[36]
서적
Introduction to Quantum Mechanics, 2e
Pearson Prentice Hall
[37]
백과사전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anford University website
[38]
저널
Decoherence, the measurement problem, and interpretations of quantum mechanics
[39]
저널
Decoherence, einselection, and the quantum origins of the classical
2003
[40]
저널
Nondemolition Principle of Quantum Measurement Theory
199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