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워 유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워 유저는 일반 사용자보다 더 많은 기능과 효율성을 요구하는 사용자 집단을 의미한다. 이들은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기능과 단축키를 활용하여 작업 속도를 높이고, 매크로와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한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파워 유저의 복잡한 요구와 초보자의 단순한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며, 이를 위해 제품 변형, 작동 모드, 키보드 단축키 등을 활용한다. SAP, 오라클과 같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파워 유저 모델을 활용하며,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과거에 파워 유저 그룹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인터넷, 게임, 애니메이션, PC, 휴대 전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워 유저의 개념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용어 - 중앙 처리 장치
    중앙 처리 장치(CPU)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부품으로,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 컴퓨터 용어 - 운영체제 서비스 관리
파워 유저

2. 인터페이스 디자인

파워 유저를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일반 사용자와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초보자와 미니멀리스트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과 전문가 및 파워 유저의 복잡한 요구 사이에서 절충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피하게 되는 깜빡이는 열두 가지 문제와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기를 원하는 신규 사용자와, 강력한 기능과 유연성을 원하는 전문가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많은 기능에 대한 키보드 바인딩 및 단축키를 갖는 것은 '''파워 유저 중심의 소프트웨어 설계'''의 특징이다. 잘 설계되었지만 복잡해 "보이는" 인터페이스는 전문가가 많은 고급 기능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종종 프로그램의 "기술적"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효율적인 사용을 저해할 수 있다.

2. 1. 사용 강도

파워 유저는 일반 사용자나 사용 빈도가 낮은 사용자와 비교하여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는 파워 유저가 도움을 덜 받고 적은 단서를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8] 파워 유저는 일반 사용자나 가끔 사용하는 사용자와 비교하여 프로그램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유저를 위한 프로그램은 초보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전문가가 인터페이스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2. 2. 단축키

파워 유저는 빠른 작업 속도와 효율성을 위해 광범위한 키 바인딩과 단축키를 활용한다. Ctrl+F, Alt+Enter와 같은 키보드 바인딩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파워 유저 중심 소프트웨어 설계'''의 특징이다.[1] 이는 단축키를 배우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사용자가 키보드에서 손을 떼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빠르게 조작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1]

2. 3. 파워 유저 vs. 미니멀리스트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테스트는 종종 미숙련 사용자 또는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8] 파워 유저는 일반 사용자나 최소한의 사용자와 비교하여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필요로 할 수 있는데, 이는 파워 유저가 덜 도움을 받고 적은 단서를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파워 유저는 일반 사용자나 가끔 사용하는 사용자와 비교하여 프로그램을 풀타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유저를 위한 프로그램은 초보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전문가가 인터페이스를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초보자와 미니멀리스트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과 전문가 및 파워 유저의 복잡한 요구 사이에서 절충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피하게 되는 깜빡이는 열두 가지 문제와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기를 원하는 신규 사용자와, 강력한 기능과 유연성을 원하는 전문가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제품 변형
  • 작동 모드
  • 하위 메뉴에 논리적으로 분리된 더 발전된 기능, 옵션 및 설정.
  • 키보드 단축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복잡한 기능을 숨기면서도 사용자 잠재력을 유지한다(단축키를 알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또한 더닝-크루거 효과에 따라 완전히 유능하지 않으면서도 파워 유저라고 자신을 잘못 칭할 수 있으며,[9]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하는 소프트웨어를 설계하는 요구 사항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2. 4. 단순성 vs. 효율성

많은 기능에 대한 키보드 바인딩 및 단축키를 갖는 것은 '''파워 유저 중심의 소프트웨어 설계'''의 특징이다. 이는 단축키를 배우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사용자가 키보드에서 손을 떼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빠르게 조작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종종 프로그램의 "기술적"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효율적인 사용을 저해하는 반면, 잘 설계되었지만 복잡해 "보이는" 인터페이스는 전문가가 많은 고급 기능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고급 키보드 단축키가 있는 프로그램은 불필요하게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숙련된 파워 유저는 메뉴와 팝업을 탐색하기 위해 긴 마우스 클릭 시퀀스를 피하는 것이 더 쉽고 빠르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와 팝업은 새로운 사용자를 원하는 일련의 행동으로 "직관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지만, 초보자가 필요한 단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상 지나치게 단순한 경우가 많다. 두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은 옵션이지만 개발 시간이 대폭 늘어나므로 종종 절충이 이루어진다.

3. 공인된 역할

SAP와 오라클은 전사적 시스템으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그리고 시스템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많은 회사들이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내에서 리더십을 갖도록 훈련시키는 "슈퍼 유저 모델"(파워 유저, 챔피언이라고도 함)을 만들었다.[10][11]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2000, 윈도우 XP Professional, 윈도우 서버 2003에는 일반 사용자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지만, 관리자 권한에는 미치지 못하는 "파워 유저" 그룹이 있었다. 파워 유저 그룹은 윈도우 비스타에서 사용자 계정 컨트롤 도입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3]

3. 1. SAP와 오라클

SAP와 오라클은 전사적 시스템으로, 전문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그리고 시스템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많은 회사들이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내에서 리더십을 갖도록 훈련시키는 "슈퍼 유저 모델"(파워 유저, 챔피언이라고도 함)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10][11]

  • 시스템을 옹호하고 기술 수용을 덜 어렵게 만드는 개인적 존재가 할당되므로 시스템 활용도가 높아진다.
  • 회사가 문서 작성, 교육 및 지원을 개발 및/또는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또는 임시 자원을 찾거나 고용하지 않으므로 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여 투자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ROI 또는 SAP 투자의 개념 증명이 더 쉽게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회사 전체에 이익이 된다.


SAP의 슈퍼 유저 모델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최종 사용자를 교육하고 지원하는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재 70% 이상의 SAP 관련 회사에서 슈퍼 유저 모델의 한 형태를 사용하고 있다.

3. 2. 윈도우 관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2000, 윈도우 XP Professional, 윈도우 서버 2003에는 일반 사용자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지만, 관리자 권한에는 미치지 못하는 "파워 유저" 그룹이 있었다. 파워 유저 그룹의 사용자는 일반 사용자보다 시스템이 악성 코드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악성 코드를 의도적으로 설치하여 자신의 계정을 관리자로 권한 상승시킬 수 있다.[12] 따라서 파워 유저 그룹은 신뢰할 수 있고 지식이 있는 사용자만 사용해야 하며, 신뢰할 수 없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파워 유저 그룹은 사용자 계정 컨트롤 도입으로 권한 상승 기능을 통합하면서 윈도우 비스타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3] 윈도우 비스타 비즈니스 이상 버전에서는 로컬 사용자 및 그룹을 통해 "파워 유저"를 생성할 수 있지만, 파일 시스템의 모든 ACL 항목이 완전히 제거되었기 때문에 표준 사용자와 차이가 없다.

4. 소프트웨어

파워 유저는 워크플로우를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다.


  • 윈도우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토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

4. 1.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토이즈

5. 기타 분야

(기타 분야의 파워 유저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5. 1. 인터넷

인터넷 중독

5. 2. 게임

게이머

5. 3. 애니메이션

오타쿠

5. 4. PC

5. 5. 휴대 전화

데이터 정액 요금제와 데이터 폭탄에 대한 내용이 휴대 전화 섹션과 관련하여 언급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pple's New Mac Pro Review: The Most Powerful Mac Ever http://mashable.com/[...] 2014-03-14
[2] 웹사이트 Mac Pro tower for power users redesigned and relaunched https://www.theguard[...] 2013-10-22
[3] 웹사이트 Mac Pro Competitors: 10 High-End Models Vying for Power Users' Favor http://www.eweek.com[...] 2013-06-18
[4] 웹사이트 Become a Mac OS X power user the easy way http://www.computerw[...] 2010-12-02
[5] 웹사이트 22 Hidden Facebook Features Only Power Users Know https://www.pcmag.co[...] 2016-08-20
[6] 웹사이트 Hands-on with Vivaldi, the new Web browser for power users https://arstechnica.[...] 2015-03-06
[7] 뉴스 How to master VLC, the ultimate Windows media player for power users http://www.pcworld.c[...] 2012-10-10
[8] 간행물 Testing for Power Usability http://homepages.cwi[...] SIGCHI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97-10
[9] 웹사이트 Maximizing Windows http://www.asktog.co[...] 1997
[10] 웹사이트 Power Users' Guide https://help.sap.com[...] 2015-01-14
[11] 웹사이트 Windows Confidential: Power to the Power User https://technet.micr[...] Microsoft 2012-02
[12] 웹사이트 A member of the Power Users group may be able to gain administrator rights and permissions in Windows Server 2003, Windows 2000, or Windows XP http://support.micro[...] Microsoft Corporation 2006-02-27
[13]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the Power Users group? http://windowshelp.m[...] Microsoft Corporation
[14] 문서 마이크로소프트 용어집 참조 http://support.mic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