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팬코스프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팬코스프레는 연예인을 모방하는 코스프레의 한 종류로, 초기에는 아이돌 코스프레로 불렸다. 팬코스프레는 애니메이션 코스프레와 대립하며 분리되었고, 한국에서는 주로 여성들이, 태국에서는 남성들의 참여율이 높다. 팬코스프레는 멤버, 백업, 스탭으로 구성된 동아리 형태를 띠며, 대규모 행사장에서 활동한다. 팬코스프레는 실존하는 연예인의 외모와 스타일을 모방하며,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태국의 팬코스프레는 한국 아이돌 가수를 코스프레하는 것이 특징이며, 규모가 확대되어 한국을 넘어선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명인 팬덤 - 아미 (팬덤)
    아미는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팬덤을 지칭하며, 응원봉은 아미밤으로 불리고, 팬미팅은 머스터라고 칭하며, 멤버들의 생일을 기념하여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유명인 팬덤 - 오빠부대
    오빠부대는 연예인이나 스포츠 선수 등 특정 인물을 열광적으로 추종하는 팬덤 현상으로, 과도한 팬심은 사생활 침해와 사회 문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 코스프레 - 성적 역할극
    성적 역할극은 심리학 치료에서 시작되어 성적 흥분을 위해 특정 역할을 연기하는 것으로, 망상 실현, 권력 관계 역전, 금기 깨기 등을 목적으로 하며 BDSM의 일부 또는 성행위 시 코스프레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코스프레 - 탈인형
    탈인형은 사람이 안에 들어가 연기하는 인형으로, 특촬 영화에서 시작하여 테마파크, 이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조수가 동행하고, 한국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키구루미 문화가 확산되었다.
팬코스프레
팬 코스프레
털옷을 입은 사람이 2014년 Further Confusion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4년 Further Confusion에서 털옷을 입은 사람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유형취미
관련 항목코스프레
털옷
팬덤
예술적인 허가

2. 초기

최초의 팬코스프레는 만화 축제 행사장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팬코스프레는 '''아이돌 코스프레'''라고 불렸다. 그러나 팬코스프레 문화 구성원이 급격히 늘어나고 팬덤 대상을 아이돌 스타로 국한시키지 않으려는 노력으로 '''아이돌 코스프레'''라는 말보다는 '''팬코스프레'''를 사용하도록 권장하여 왔으며 지금은 모두가 '''팬코스프레''' 또는 '''팬코스'''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3. 분열기

이후 급격히 증가한 팬코스퍼들은 그들 문화의 특수성으로 애니메이션 코스플레이어들과 마찰을 가져오게 되었고, 결국 '''팬코스프레'''와 '''애니코스프레'''가 대립되면서 분리되었다. 이 때문에 대다수의 만화 행사들은 팬코스프레 문화 구성원들의 활동을 전면적으로 금지시켰고, 결과적으로 팬코스프레와 애니코스프레는 서로 독립된 길을 걷게 되었다.

4. 구성원

한국의 팬코스프레 구성원은 대부분 여성이다. 이는 연예인에 대한 관심도가 남성보다 여성이 높기 때문이다.[1] 그러나 태국의 경우에는 남성의 팬코스프레 참여율이 여성보다 높은 편이다.

팬코스프레는 동아리 성격의 집단적 형태를 띤다. 그 구성원은 크게 멤버(Member), 백업(Dancer), 스탭(Staff)으로 구성된다. 스탭에는 총책임자, 매니저, 헤어 코디네이터, 메이크업 코디네이터, 의상 코디네이터, 사진기사 등이 있다.

멤버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특정 대중가수 하나만을 동일시하며 모방한다. 코스프레 대상이 그룹 가수일 경우 멤버는 여러 명이 된다. 스탭은 이들 멤버의 코스프레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조한다.[2]

5. 활동 공간

팬코스프레는 코스프레와 유사하게 대규모 행사장에서 활동한다.[3] 2013년 현재, 팬코스프레 문화는 청소년 수련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무대 공연과 인터뷰 형식으로 주말이나 방학에 주로 개최된다.[3] 서울에서 주로 개최되나, 참가자와 관람자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참여 인원이 줄어 규모와 기회가 줄고 있다.[3] 그러나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팬코스프레 행사 및 공연 활동은 지속되고 있으며, 대중음악 트렌드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3]

팬코스프레 구성원들은 컴퓨터를 매개로 문화 활동을 한다.[3] 초기에는 엔티카에서, 최근에는 싸이월드 클럽에서 주로 활동하며, 홈페이지를 통해 멤버 모집, 정기모임, 행사 후기 등을 공유한다.[3] 또한, 팬코스프레 구성원들 사이에는 생략, 합성, 축약된 형태의 언어가 통용되며, 여성 구성원 간에 남성 호칭(형, 삼촌, 오빠)과 여성 호칭(언니, 자매)이 함께 사용된다.[3]

6. 성격

대한민국 팬코스프레 집단은 실재하는 연예인, 특히 국내 대중가수를 코스프레한다. 멤버 선정에 있어서 재현하고자 하는 실제 인물과 외모가 닮는 것이 중요하지만, 닮지 않더라도 뛰어난 용모를 지닌 사람이라면 팬코스프레 멤버가 될 수 있다.[4] 조사자가 참여 관찰한 멤버들은 대부분 학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고 매력적인 미모를 소유하고 있었다.[4]

진한 메이크업에 염색하여 손질한 머리, 장식적인 액세서리 등을 한 남자 가수들의 앤드로지너스한 이미지는 20세기 후반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문화산업과 대중매체의 발달로 심화된 성에 대한 모호성을 보여준다. 한국에서 남자 가수를 코스프레하는 멤버들은 실제로 여성이기 때문에 완전한 남자로 보이기보다는 남성화 취향의 여자 혹은 예쁘고 여린 미소년의 이미지가 많이 보인다.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정치적 의미를 내포한 유니섹스나 캐주얼 모드와 같은 이분법적인 기존의 성관념을 해체하고, 여성의 성적 해방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다.[4] 이와 같이 전통적인 성관념을 해체한 팬코스퍼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양가치성을 내재하고 자유로운 감성을 표출하는 실제 연예계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대변한다.

애니코스프레는 일시적 모방인 반면, 팬코스프레는 일상 생활에도 대중가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자신이 코스프레하는 연예인은 단순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아닌 실존하는 인물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일반 코스프레보다 높은 퀄리티와 완벽한 모방을 추구하며, 그러한 그룹들이 인기가 있고 인정을 받는다. 팬코스프레는 가발을 쓰는 대신 실제 해당 연예인과 같게 염색을 하고 헤어스타일을 만들며, 감각적 욕구에 부합하는 현란한 이미지 때문에 팬코스프레의 일상 생활 속 침투는 사실상 불가피하다. 따라서 팬코스프레 문화는 코스프레 대상의 방송 이외의 모습에도 관심을 가지고 아이돌 연예인의 패션스타일이나 분위기 등을 분석하여 자신의 것으로 흡수하여 표현한다. 애니코스프레가 만화책을 통해 그 캐릭터를 분석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다만 팬코스프레 문화는 그 활동 범위가 무대로 국한되지 않고, 일상 생활에서도 현시대의 패션스타일을 반영하여 발현한다는 것이다.

아주 드문 예지만 팬코스프레의 외모 이미지가 문화산업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팬코스프레 구성원들 중에 지배문화 내로 편입된 구성원이 있는가 하면 스타로서 기질을 보유한 구성원들에게 문화산업이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국내의 유명 연예기획사에 소속된 몇몇의 아이돌 연예인은 팬코스프레 문화를 통해 스타로 발굴되기도 했다.[4]

7. 세계의 팬코스프레

7. 1. 태국

태국의 팬코스프레는 자국 연예인이 아닌 '''한국의 아이돌 가수''' 코스프레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5] 한류의 영향을 크게 받은 태국 청소년들은 동방신기, 샤이니, 슈퍼주니어, 빅뱅, 투피엠, 원더걸스, 소녀시대, 애프터스쿨, 포미닛, 방탄소년단 등 아이돌 그룹 코스프레를 즐기며, 남녀 구분 없이 참여한다.[5]

태국의 팬코스프레 규모는 점차 확대되어 2009년 현재 한국의 팬코스프레 규모를 역전하였다.[5] 다수의 연예기획사에서 1차 오디션을 통해 팀을 선별해 행사를 주최하고, LG와 같은 한국 대기업 및 일본 대기업의 협찬을 받으며, 무대가 방송에 편성될 정도로 크게 성행하고 있다.[5]

주요 대회로는 ''Hello! Korea'', ''J&K Idol contest'', ''K-Pop Kingdom'', ''J-Trends'', ''07 Show Korean Dance Fever'' 등이 있다.[5]

참조

[1] 논문 최우신, 김영희, 1999 ; Raviv et al., 1996
[2] 논문 우리나라 팬코스프레 문화에 나타난 대중가수 이미지 수용에 관한 연구 2002-04
[3] 문서 팬코스프레 집단의 중심가치 2002
[4] 논문 팬코스프레 문화에 나타난 대중가수 이미지 특성 2002
[5] 웹인용 :: 07 Show Korean Dance Fever:: https://web.archive.[...] 201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