펍메드 센트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펍메드 센트럴(PMC)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생의학 및 임상 연구 분야의 핵심 출판물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구축한 무료 웹 기반 아카이브이다. 1999년 해럴드 바머스의 E-biomed 제안에서 시작되었으며, NIH는 PMC를 통해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연구 성과의 가시성을 확대했다. 2007년에는 NIH 자금 지원 연구의 학술지 발표 후 1년 이내 PMC 등록을 의무화했으며, 2012년에는 명칭이 PubMed Central에서 PMC로 변경되었다. PMC는 NIH의 공공 접근 정책에 따라 연구비 지원을 받은 연구 성과 논문과 PMC 학술지 표준에 부합하는 학술지의 논문을 수집하며, 다양한 검색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한다. PMC는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 NLM 데이터베이스 연계,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유도 등 여러 요인들을 통해 성공을 거두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출판물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등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 데이터베이스 - 질병 데이터베이스
질병 데이터베이스는 질병, 약물, 증상 등 8,500여 개의 의학 관련 항목을 포함하며, 항목 간 관계 설정, 외부 웹 리소스 연결, 통합 의학 언어 시스템 매핑을 통해 구성된다. - 의학 데이터베이스 - 치료 표적 데이터베이스
치료 표적 데이터베이스는 약물 개발 표적인 단백질, 핵산, 기타 분자 정보를 제공하며, 표적 검증 과정, 임상 상태, 분자 유형별 분류, 변이 및 발현 프로필과 신약 개발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 미국 국립 보건원 -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은 세계 최대의 의학 도서관으로서, 다양한 생물학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시스템을 운영하며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대중 교육과 비상 상황 대응에도 기여한다. - 미국 국립 보건원 - 국립보건원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미국의 의학 연구 기관으로, 질병 연구 및 지식 보급을 통해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며, 20개의 연구소와 7개의 센터를 두고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100명이 넘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등 굵직한 연구 성과를 이루어냈다. - 생물정보학 데이터베이스 - 피시베이스
피시베이스는 다니엘 파울리가 고안하고 라이너 프로제와 협력하여 개발, 웹에서 출시된 전 세계 어류 정보를 제공하는 가장 크고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유생 단계 정보는 LarvalBase, 경골어류 외 수생 생물 정보는 SeaLifeBase를 통해 보완되며 어류 연구, 수산 자원 관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생물정보학 데이터베이스 - 질병 데이터베이스
질병 데이터베이스는 질병, 약물, 증상 등 8,500여 개의 의학 관련 항목을 포함하며, 항목 간 관계 설정, 외부 웹 리소스 연결, 통합 의학 언어 시스템 매핑을 통해 구성된다.
| 펍메드 센트럴 | |
|---|---|
| 기본 정보 | |
![]() | |
| 생산자 |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
| 국가 | 미국 |
| 역사 | 2000년–현재 |
| 비용 | 무료 |
| 학문 분야 | 의학 |
| 정보 깊이 | 색인, 초록 및 전체 텍스트 |
| 형식 | 학술지 논문 |
| 갱신 주기 | 알 수 없음 |
| ISSN | 알 수 없음 |
| 웹사이트 | 펍메드 센트럴 |
| 학술지 목록 | 펍메드 센트럴 학술지 목록 |
| 상세 정보 | |
| 설명 |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생물 의학 학술지 논문 저장소 |
2. 역사
wikitext
1999년 5월, 해럴드 바머스(Harold Varmus)는 인쇄 출판의 한계를 지적하며 미래 생의학 분야 연구 성과물 저장소인 E-biomed를 제안했다.[54] E-biomed는 연구자가 생의학 분야의 모든 연구 논문을 제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전 공개 형태로 논문 심사를 통과한 학술 논문뿐만 아니라 심사를 거치지 않은 연구 논문도 포함되었다.[54] arXiv의 초기 사전 공개 사용에 영감을 받은 이 제안은 모든 생의학 연구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10][8]
E-biomed에 제출된 논문은 즉시 사전 공개로 출판되거나 전통적인 동료 심사 과정을 거칠 수 있었다.[8] 동료 심사 과정은 외부 편집 위원회가 심사, 큐레이션 및 목록 작성 과정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현대의 오버레이 저널과 유사하게 진행될 예정이었다.[8] 바머스는 과학적 결과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함으로써 출판된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 버전 관리된 문서, 그리고 여러 수준의 세부 사항을 허용하는 풍부한 "계층화된" 형식을 가능하게 하고자 했다.[8]
그러나 기존 출판 규범에서 급격하게 벗어난 이 제안은 상업 출판사와 과학 단체들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1][12][14] 이들은 수익 손실을 우려하여 로비를 벌였고, 그 결과 NIH 관계자들은 1999년 8월에 수정된 펍메드 센트럴(PMC) 제안을 발표했다.[14] PMC는 E-biomed와 달리 저자가 아닌 출판사로부터 제출물을 받게 되었고, 출판물은 최대 1년까지 유료화에 대한 시간 제한이 허용되었으며,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만 허용하고 사전 공개는 허용하지 않았다.[15]
1999년 10월 STM 연례 프랑크푸르트 회의에서 스프링거-페어라그를 비롯한 여러 출판사들은 E-Biomed 제안에 대응하여 경쟁 프로토타입을 출시하기 위해 합의를 이루었다.[13] 이는 곧 CrossRef와 DOI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13]
2000년 2월, PMC는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PNAS)''와 ''세포 분자 생물학'' 지를 아카이브로 시작하여 공식 운영되었다.[54][38] NIH는 PMC를 펍메드 센트럴로 변경하면서 PMC 운영 방침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arXiv 사례를 검토하였다.[54] 미국국립의학도서관 생명기술정보센터에서 운영을 시작하여,[55] 현재는 NLM에서 보존 및 관리 책임을 맡아, 전 세계 연구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무제한적인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54] 펍메드 센트럴에 등재되면 Pubmed에도 자동으로 등재되므로 전 세계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다.[55]
2007년 6월에는 수록 논문 수가 100만 편을 넘어섰으며,[39] 2007년 말, 부시 행정부 시대에 NIH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의 성과는 학술지에 발표 후 1년 이내에 논문 전문을 대중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PMC에 등록하여 인터넷에서 무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었다.[40] 2012년 8월, 명칭이 PubMed Central에서 PMC로 변경되었다.[36]
2. 1. E-biomed 제안과 PMC의 탄생
1999년 5월, 해럴드 바머스 (Harold Varmus)는 인쇄 출판의 한계를 지적하며 미래 생의학 분야 연구 성과물 저장소인 E-biomed를 제안했다.[54] E-biomed는 연구자가 생의학 분야의 모든 연구 논문을 제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전 공개 형태로 논문 심사를 통과한 학술 논문뿐만 아니라 심사를 거치지 않은 연구 논문도 포함되었다.[54] arXiv의 초기 사전 공개 사용에 영감을 받은 이 제안은 모든 생의학 연구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10][8]E-biomed에 제출된 논문은 즉시 사전 공개로 출판되거나 전통적인 동료 심사 과정을 거칠 수 있었다.[8] 동료 심사 과정은 외부 편집 위원회가 심사, 큐레이션 및 목록 작성 과정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현대의 오버레이 저널과 유사하게 진행될 예정이었다.[8] 바머스는 과학적 결과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달함으로써 출판된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 버전 관리된 문서, 그리고 여러 수준의 세부 사항을 허용하는 풍부한 "계층화된" 형식을 가능하게 하고자 했다.[8]
그러나 기존 출판 규범에서 급격하게 벗어난 이 제안은 상업 출판사와 과학 단체들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11][12][14] 이들은 수익 손실을 우려하여 로비를 벌였고, 그 결과 NIH 관계자들은 1999년 8월에 수정된 펍메드 센트럴(PMC) 제안을 발표했다.[14] PMC는 E-biomed와 달리 저자가 아닌 출판사로부터 제출물을 받게 되었고, 출판물은 최대 1년까지 유료화에 대한 시간 제한이 허용되었으며,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만 허용하고 사전 공개는 허용하지 않았다.[15]
1999년 10월 STM 연례 프랑크푸르트 회의에서 스프링거-페어라그를 비롯한 여러 출판사들은 E-Biomed 제안에 대응하여 경쟁 프로토타입을 출시하기 위해 합의를 이루었다.[13] 이는 곧 CrossRef와 DOI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되었다.[13]
2000년 2월, PMC는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PNAS)''와 ''세포 분자 생물학'' 지를 아카이브로 시작하여 공식 운영되었다.[54][38] NIH는 PMC를 펍메드 센트럴로 변경하면서 PMC 운영 방침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arXiv 사례를 검토하였다.[54] 미국국립의학도서관 생명기술정보센터에서 운영을 시작하여,[55] 현재는 NLM에서 보존 및 관리 책임을 맡아, 전 세계 연구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무제한적인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54] 펍메드 센트럴에 등재되면 Pubmed에도 자동으로 등재되므로 전 세계에서 쉽게 검색할 수 있다.[55]
2007년 6월에는 수록 논문 수가 100만 편을 넘어섰으며,[39] 2007년 말, 부시 행정부 시대에 NIH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의 성과는 학술지에 발표 후 1년 이내에 논문 전문을 대중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PMC에 등록하여 인터넷에서 무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었다.[40] 2012년 8월, 명칭이 PubMed Central에서 PMC로 변경되었다.[36]
2. 2. 초기 논란과 수정
펍메드 센트럴(PMC)의 초기 계획은 생의학 정보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배포하여 출판 비용을 줄이고, 과학자들 간의 정보 공유를 강화하는 것이었다.[56] 이는 독자들이 기존 문헌 이용의 어려움을 완화하고, 과학자들이 인용 문헌과 Medline 검색 후 신속하게 전문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그러나 PMC 발족은 이상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동반하여, 논문 게재 심사 절차의 간소화와 300년 동안 유지된 출판 전통을 무너뜨린다는 우려를 낳았다.[56] 상업 출판사와 학회들은 구독료, 광고료, 별쇄본 판매 수입 감소를 걱정했다.[56] 개발도상국 과학자들은 대체로 이 계획을 환영했지만, 독점적이고 기술 지향적이며 생의학 출판 시장을 영어 중심의 주도권으로 변화시킨다는 우려를 표명했다.[56] 생물학자들은 사전 공개(Preprint) 개념에 익숙하지 않아 심사를 거치지 않은 정보가 범람할 것을 걱정했다.[56]
한편, 미국 주도의 PMC에 대응하여 유럽분자생화학회(EMBO)는 E-biosci를 제안하여 문헌과 단백질 DB 및 기타 생물 자원을 링크하고, 2001년 7월 중 오픈 예정으로 게재 심사를 거친 논문과 사전 공개(Preprint)를 제공할 계획이었다.[56] 독일의 MPS는 연구자들의 학술 저널 제도 불만과 무료 전자 아카이브에서 미국의 독주에 대한 우려로 마련된 시스템으로, 2001년 1월에 정보 센터를 열고 과학자들이 무료 전자 아카이브에 논문을 출판할 수 있도록 했다.[56]
펍메드 센트럴은 1999년 5월 당시 국립 보건원(NIH) 원장인 해럴드 바머스가 처음 제안한 E-biomed로 시작되었다.[8] 그는 1998년 12월 스탠퍼드 대학교의 팻 브라운과 국립 생물 정보 센터(NCBI)의 소장 데이비드 립먼의 발표를 통해 arXiv의 초기 사전 공개 사용에 영감을 받아 이 아이디어를 떠올렸다.[9][10] E-biomed의 목표는 모든 생의학 연구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8] 제출된 논문은 즉시 사전 공개로 출판되거나, 전통적인 동료 심사 과정을 거칠 수 있었다.[8]
생의학 연구의 중앙 색인을 만들자는 제안은 기존의 출판 규범에서 급격한 변화였다.[11][12] 주요 상업 출판사들은 1993년경부터 출판사 간에 공유되는 과학 논문에 대한 색인 시스템을 실험하기 시작했고, E-biomed 제안 이후 행동을 촉구받았다.[13] 1999년 10월 STM 연례 프랑크푸르트 회의에서 스프링거-페어라그를 비롯한 여러 출판사들은 경쟁 프로토타입을 출시하기 위해 합의를 이루었다.[13]
상업 출판사와 과학 단체들의 압력으로,[14] NIH 관계자들은 1999년 8월에 수정된 펍메드 센트럴 제안을 발표했다. PMC는 출판사로부터 제출물을 받고, 출판물은 최대 1년까지 유료화에 대한 시간 제한이 허용되었다. PMC는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만 허용하고 사전 공개는 허용하지 않았다.[15] 출판사 주도의 연결 시스템은 CrossRef가 되었고, 더 큰 DOI 시스템이 되었다. 바머스, 브라운, 그리고 마이클 아이젠을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2001년에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를 설립했다.[16] 2000년 2월,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PNAS)'' 지와 ''세포 분자 생물학'' 지를 아카이브로 시작했다.[38]
2. 3. 발전과 성장
펍메드 센트럴은 1999년 5월 당시 NIH 원장인 해럴드 바머스가 처음 제안한 E-biomed로 시작되었다.[8] 1998년 12월, 스탠퍼드 대학교의 팻 브라운과 NCBI의 소장 데이비드 립먼의 발표를 통해 arXiv의 초기 사전 공개 사용에 영감을 받아 "갑작스럽게" 이 아이디어를 떠올렸다.[9][10] E-biomed의 목표는 모든 생의학 연구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8]생의학 연구의 중앙 색인을 만들자는 제안은 기존의 출판 규범에서 급격한 탈피였다. 주요 상업 출판사들은 1993년경부터 출판사 간에 공유되는 과학 논문에 대한 색인 시스템을 실험하기 시작했고, E-biomed 제안 이후 행동을 촉구받았다. 1999년 10월 STM 연례 프랑크푸르트 회의에서 스프링거-페어라그를 비롯한 여러 출판사들은 경쟁 프로토타입을 출시하기 위해 서둘러 회의실에서 합의를 이루었다.[13]
상업 출판사와 과학 단체들이 수익 손실을 우려하며 강력한 로비를 벌인 압력으로,[14] NIH 관계자들은 1999년 8월에 수정된 펍메드 센트럴 제안을 발표했다. PMC는 출판물은 최대 1년까지 유료화에 대한 시간 제한이 허용되었다. PMC는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만 허용하며 사전 공개는 허용하지 않았다.[15]
2년전 NLM의 NCMI에 의해 개발되 2000년 2월 발족된 생명과학 분야의 저널에 대한 웹기반의 무료아카이브인 PMC는 현재 PNAS등 7종과 BMC(BioMed Central) 저널 42종을 포함하여 향후 11 종 이상의 저널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58][60] 2000년 2월,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PNAS) 지와 세포 분자 생물학 지를 아카이브로 시작했다.[38] 게재심사를 거친 논문과 미 게재심사 논문의 Preprint를 제공하는 PMC는 앞으로 포함 저널들이 계속 증가할 것이다.[58][60]
최근 NIH는 PMC의 지도적 역할을 NIH에서 학계로 이전하는 첫 작업으로 미국의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PMC 자문위 원 회 지명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PMC에 참여 한 출판사들은 그들의 full-text가 검색되거나 다루어질 수 있는 PMC 사이트에서 자유롭게 보이도록 허락해야만 했었다. 그러나 최근 PMC는 상업출판사를 비롯한 기존 인쇄출판시스템에 익숙한 과학자들의 반발에 부딪혀 full-text 접근에 대한 그들의 제한과 함께 출판사 사이트 에서만 볼 수 있도록 계약할 수 있다고 방침을 변경하게 되었다. 이제 PMC의 유일한 결론은 저널이 출판된지 1년 안에 (6개월이연 더 좋고) PMC나 출판사의 사이트에서 반드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58][60]
NIH 공공 접근 정책에 따라 2007년 말, 부시 행정부 시대에 NIH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의 성과는 학술지에 발표 후 1년 이내에 논문 전문을 대중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즉, PMC에 등록하여 인터넷에서 무료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었다.[40]
2007년 6월에는 수록 논문 수가 100만 편을 넘어섰다.[39]
영국 펍메드 센트럴 (UKPMC), PubMed Central 시스템의 영국 버전은 웰컴 트러스트와 대영 도서관에 의해 9개 영국 연구 기금 제공 기관 그룹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이 시스템은 2007년 1월에 시작되었다. 2012년 11월 1일, 유럽 펍메드 센트럴이 되었다. PubMed Central 국제 네트워크의 캐나다 회원인 PubMed Central Canada는 2009년 10월에 출시되었다.
국립 의학 도서관의 "NLM 저널 출판 태그 세트" 저널 논문 마크업 언어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18] 학습 및 전문 사회 출판사 협회는 "학술 콘텐츠를 책과 저널 모두에 맞게 준비하는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19] 관련 DTD는 책에 사용할 수 있다.[20] 미국 의회 도서관과 대영 도서관은 NLM DTD에 대한 지원을 발표했다.[21] 또한 저널 서비스 제공업체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높았다.[22]
2012년 8월, 명칭이 PubMed Central에서 PMC로 변경되었다.[36]
NIH 외에도 많은 기관에 대한 공공 접근 계획이 발표되면서 PMC는 더 광범위한 논문을 위한 저장소가 되는 과정에 있다.[23] 여기에는 "PubSpace"라는 인터페이스로 브랜드화된 NASA 콘텐츠도 포함된다.[24][25]
3. 목적
내셔널 라이브러리 오브 메디슨/National Library of Medicine영어(NLM)은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영어(NIH) 기금 지원으로 생산된 모든 연구 성과물에 대한 중앙 레파지토리를 구축함으로써 생의학 및 임상연구분야의 핵심 출판물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고자 한다.[53]
전세계 과학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의학 분야의 진보된 연구 출판물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정보원을 개발함과 동시에 NIH 연구비를 보다 잘 관리하고자 한다.[53]
NIH 연구비 지원에 의해 생성된 고품질의 연구 성과물을 인터넷을 통해 법적, 경제적, 기술적인 장벽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53]
4. 성공 요인
오픈 액세스 사업에 대한 NIH 최고 수장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의 직접적인 관심과 추진 의지가 있었다.[43] 또한, 국립의학도서관이 PMC의 실질적인 운영 기관으로서 신뢰성을 확보했다.[43] 정책 수립 과정에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쳤으며, 최고 경영층의 내부 직원 교육 및 연구자 대상 참여 독려 편지 발송도 이루어졌다.[43]
저작권 정책과 관련하여,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은 자료에 대해서는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적용한다.[43] PMC는 기본적으로 무료 이용을 허용하지만, 오픈 액세스를 위한 정보 공유 라이선스를 채택하지 않은 학술 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 정부 및 기타 국가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된다.[43]
NIH 기금 수혜에 대한 결과 보고서 제출 절차를 간소화하고, NLM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 통합을 통해 연구 성과의 인용 활성화를 추진했다.[43]
국가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 성과물은 공개해야 한다는 리버만 의원의 CURES 법안, 코닌 의원의 PRPAA와 같은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를 통한 공론화된 시대적 분위기가 펍메드 센트럴(PMC)의 성공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43]
펍메드 센트럴(PMC)는 콘텐츠 품질 관리를 위해 여러 요인을 고려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오픈 액세스 사업에 대한 NIH 최고 수장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와 국립의학도서관의 운영이 있었다. 정책 수립 과정에는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활용되었으며, 최고 경영층의 내부 직원 교육 및 연구자 대상 참여 독려 편지 발송도 이루어졌다. 저작권 정책은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와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병행하며, PMC는 무료 이용을 허용하면서도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를 채택하지 않은 학술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정부 및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한다.[43]
외부적으로는 국가 연구비 지원 연구 성과물의 공개를 요구하는 리버만 의원의 CURES 법안, 코닌 의원의 PRPAA와 같은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를 통해 공론화된 시대적 분위기가 PMC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콘텐츠 타깃팅 측면에서 PMC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학술지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학술지 및 NIH 연구 성과물 중에서도 논문 심사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아카이브하여 학술논문으로 한정하는 전략을 취했다. 관련 기관과의 협력 요인으로 PMC는 영국의 Wellcome Trust 재단과 협력하여 UK PubMed Central을 제공하고, 생의학 분야 학회 및 출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안정적인 정보기술 인프라 지원 요인으로 PMC는 NLM에서 제공하는 고품질 데이터베이스와 PMC 데이터와의 통합 검색을 제공하여 연구 성과물의 전 세계적인 가시성을 확대하고, 연구자 논문의 인용 및 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 저작권 요인에서 PMC는 아카이브에서 저작권을 양도받지 않고 학회, 출판사, 저자가 모두 보유하는 것을 허용한다.[44]
이용 활성화 요인으로 PMC는 오픈 액세스 취지를 공공 접근 정책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에 홍보하였다. 이해당사자들을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시키고 의견을 수렴하는 열린 정책을 통해 이들을 옹호자로 확보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학술지를 통한 논문 발표, 최고 경영층의 오픈 액세스 독려 편지 발송, 직원 교육 등의 활동도 적극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자 혜택 요인으로 PMC는 연구비 지원 과제 책임자가 NIH에 제출하는 최종 보고서를 학술지 발표 논문의 최종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 결과물 제출 프로세스를 간소화했다. 또한 PMC 제출 논문을 통해 연구 성과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속 과제 지원 가능성을 열어주었다.[44]
오픈 액세스 사업 추진에 NIH 최고 수장인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가 직접적인 관심과 의지를 보였고, 국립의학도서관이 PMC의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했다.[43] 정책 수립 과정에는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쳤으며, 최고 경영층의 내부 직원 교육, 연구자들에게 편지 발송을 통해 참여를 독려했다.[43] 저작권 정책으로는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은 자료에 대해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학술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정부 및 기타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43]
PMC는 NLM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PMC 데이터와의 통합검색을 제공하여 연구자의 연구성과물에 대한 전 세계적인 가시성을 확대하고, 연구자 논문의 인용 및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44]
오픈 액세스 사업에 대한 NIH 최고 수장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의 관심과 의지, 국립의학도서관의 운영,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한 홍보 전략이 펍메드 센트럴(PMC)의 성공에 기여했다.[43] 저작권 정책은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은 자료에 대해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적용하며, 미국 연방정부와 기타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다.[43]
PMC는 국가연구비 지원 연구성과의 공개를 요구하는 리버만 의원의 CURES 법안, 코닌 의원의 PRPAA와 같은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를 통한 공론화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성공했다.[43] PMC 가이드라인을 통한 학술지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논문심사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아카이브하여 콘텐츠 품질 관리에 힘썼다.[44] 영국의 Wellcome Trust 재단과 협력하여 UK PubMed Central을 제공하고, 생의학분야 학회 및 출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을 펼쳤다.[44]
PMC는 NL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PMC 데이터와의 통합검색을 제공하여 연구 성과물의 가시성을 확대하고 인용 및 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44] 저작권은 학회, 출판사, 저자가 모두 보유하도록 허용하며,[44] 오픈 액세스 취지를 다양한 미디어에 홍보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열린 정책을 펼쳤다.[44] 연구비 지원 과제 책임자가 NIH에 제출하는 최종 보고서를 학술지 발표 논문 최종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결과물 제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PMC 제출 논문을 통해 연구성과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속 과제 지원 가능성을 열어주었다.[44]
4. 1. 내부 요인
오픈 액세스 사업에 대한 NIH 최고 수장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의 직접적인 관심과 추진 의지가 있었다.[43] 또한, 국립의학도서관이 PMC의 실질적인 운영 기관으로서 신뢰성을 확보했다.[43] 정책 수립 과정에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쳤으며, 최고 경영층의 내부 직원 교육 및 연구자 대상 참여 독려 편지 발송도 이루어졌다.[43]저작권 정책과 관련하여,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은 자료에 대해서는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적용한다.[43] PMC는 기본적으로 무료 이용을 허용하지만, 오픈 액세스를 위한 정보 공유 라이선스를 채택하지 않은 학술 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 정부 및 기타 국가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된다.[43]
NIH 기금 수혜에 대한 결과 보고서 제출 절차를 간소화하고, NLM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 통합을 통해 연구 성과의 인용 활성화를 추진했다.[43]
4. 2. 외부 요인
국가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 성과물은 공개해야 한다는 리버만 의원의 CURES 법안, 코닌 의원의 PRPAA와 같은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를 통한 공론화된 시대적 분위기가 펍메드 센트럴(PMC)의 성공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43]4. 3. 콘텐츠 품질 관리
펍메드 센트럴(PMC)는 콘텐츠 품질 관리를 위해 여러 요인을 고려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오픈 액세스 사업에 대한 NIH 최고 수장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와 국립의학도서관의 운영이 있었다. 정책 수립 과정에는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활용되었으며, 최고 경영층의 내부 직원 교육 및 연구자 대상 참여 독려 편지 발송도 이루어졌다. 저작권 정책은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와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병행하며, PMC는 무료 이용을 허용하면서도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를 채택하지 않은 학술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정부 및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한다.[43]외부적으로는 국가 연구비 지원 연구 성과물의 공개를 요구하는 리버만 의원의 CURES 법안, 코닌 의원의 PRPAA와 같은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를 통해 공론화된 시대적 분위기가 PMC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콘텐츠 타깃팅 측면에서 PMC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학술지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학술지 및 NIH 연구 성과물 중에서도 논문 심사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아카이브하여 학술논문으로 한정하는 전략을 취했다. 관련 기관과의 협력 요인으로 PMC는 영국의 Wellcome Trust 재단과 협력하여 UK PubMed Central을 제공하고, 생의학 분야 학회 및 출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안정적인 정보기술 인프라 지원 요인으로 PMC는 NLM에서 제공하는 고품질 데이터베이스와 PMC 데이터와의 통합 검색을 제공하여 연구 성과물의 전 세계적인 가시성을 확대하고, 연구자 논문의 인용 및 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 저작권 요인에서 PMC는 아카이브에서 저작권을 양도받지 않고 학회, 출판사, 저자가 모두 보유하는 것을 허용한다.[44]
이용 활성화 요인으로 PMC는 오픈 액세스 취지를 공공 접근 정책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에 홍보하였다. 이해당사자들을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시키고 의견을 수렴하는 열린 정책을 통해 이들을 옹호자로 확보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학술지를 통한 논문 발표, 최고 경영층의 오픈 액세스 독려 편지 발송, 직원 교육 등의 활동도 적극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자 혜택 요인으로 PMC는 연구비 지원 과제 책임자가 NIH에 제출하는 최종 보고서를 학술지 발표 논문의 최종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 결과물 제출 프로세스를 간소화했다. 또한 PMC 제출 논문을 통해 연구 성과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속 과제 지원 가능성을 열어주었다.[44]
4. 4. 정보 기술 인프라
오픈 액세스 사업 추진에 NIH 최고 수장인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가 직접적인 관심과 의지를 보였고, 국립의학도서관이 PMC의 실질적인 운영을 담당했다.[43] 정책 수립 과정에는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펼쳤으며, 최고 경영층의 내부 직원 교육, 연구자들에게 편지 발송을 통해 참여를 독려했다.[43] 저작권 정책으로는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은 자료에 대해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 학술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정부 및 기타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43]PMC는 NLM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PMC 데이터와의 통합검색을 제공하여 연구자의 연구성과물에 대한 전 세계적인 가시성을 확대하고, 연구자 논문의 인용 및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44] 출판사들은 다양한 논문 DTD를 사용하여 XML 또는 SGML 형식으로 논문을 펍메드 센트럴에 제출하며, 오래되고 규모가 큰 출판사는 자체 DTD를 사용하고, 많은 출판사들은 NLM 저널 출판 DTD를 사용한다.[26]
수신된 논문은 XSLT를 통해 NLM 아카이빙 및 교환 DTD로 변환되며, 이 과정에서 발견된 오류는 출판사에 보고되어 수정된다. 그래픽은 표준 형식과 크기로 변환되며, 원본과 변환된 형식은 모두 보관된다. 변환된 형식은 그래픽, 멀티미디어 또는 기타 관련 데이터와 함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이동된다. 많은 출판사들은 논문의 PDF를 제공하며, 이는 변경 없이 제공된다.[26]
서지 인용구는 구문 분석되어 펍메드의 관련 초록, 펍메드 센트럴의 논문, 출판사 웹사이트의 리소스로 자동 연결된다. 펍메드 링크는 펍메드 센트럴로 연결되며, 아직 해당 소스에서 사용할 수 없는 특정 논문에 대한 참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적되어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자동 실행된다. 내부 인덱싱 시스템은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의약품 이름 대 전매 특허 의약품 이름, 유기체, 질병 및 해부학적 부위의 대체 이름과 같은 생물학적 및 의학 용어를 인식한다.[26] 사용자가 저널 호에 접근하면 해당 호의 모든 논문, 서한, 사설 등을 검색하여 목차가 자동 생성된다. 논문과 같은 실제 항목에 도달하면 펍메드 센트럴은 NLM 마크업을 HTML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 객체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이는 다양한 수신 데이터가 표준 DTD 및 그래픽 형식으로 변환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26]
별도의 제출 스트림에서 NIH 자금 지원 저자는 NIH 원고 제출(NIHMS)을 사용하여 펍메드 센트럴에 논문을 제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출된 논문은 일반적으로 NLM DTD로 변환하기 위해 XML 마크업을 거친다.[26]
4. 5. 저작권 및 이용 활성화
오픈 액세스 사업에 대한 NIH 최고 수장 하놀드 바무스(Harold Vamus) 박사의 관심과 의지, 국립의학도서관의 운영, 연구자, 학계, 출판사 등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한 홍보 전략이 펍메드 센트럴(PMC)의 성공에 기여했다.[43] 저작권 정책은 오픈 액세스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은 자료에 대해 무료 이용(Free Access) 정책을 적용하며, 미국 연방정부와 기타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다.[43]PMC는 국가연구비 지원 연구성과의 공개를 요구하는 리버만 의원의 CURES 법안, 코닌 의원의 PRPAA와 같은 오픈 액세스 법안 발의를 통한 공론화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성공했다.[43] PMC 가이드라인을 통한 학술지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논문심사를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아카이브하여 콘텐츠 품질 관리에 힘썼다.[44] 영국의 Wellcome Trust 재단과 협력하여 UK PubMed Central을 제공하고, 생의학분야 학회 및 출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을 펼쳤다.[44]
PMC는 NLM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PMC 데이터와의 통합검색을 제공하여 연구 성과물의 가시성을 확대하고 인용 및 이용 활성화에 기여한다.[44] 저작권은 학회, 출판사, 저자가 모두 보유하도록 허용하며,[44] 오픈 액세스 취지를 다양한 미디어에 홍보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열린 정책을 펼쳤다.[44] 연구비 지원 과제 책임자가 NIH에 제출하는 최종 보고서를 학술지 발표 논문 최종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연구결과물 제출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PMC 제출 논문을 통해 연구성과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속 과제 지원 가능성을 열어주었다.[44]
5. 기탁 논문 종류
NIH 공공접근 정책에 따라 연구자들이 기탁하는 논문과 PMC 학술지를 위한 학술적 품질표준에 부합하는 학술지의 논문이 펍메드 센트럴에 기탁된다.[46] 스캐팅 프로젝트에 의하여 기탁되는 논문도 포함된다.[46] MEDLINE, Agricola, Biosis, Chemical Abstracts, EMBASE, PsycINFO, 또는 Science Citation Index 등과 같은 색인 및 초록데이터베이스에 망라되어 있는 저널 중 적어도 세 명의 편집위원을 둔 저널의 논문만을 수용한다.[45]
6. 펍메드 센트럴 저장소
바이오메드 센트럴(BMC) 저장소는 BMC 출판사에서 운영하는 오픈 액세스 아카이브이다. 2006년 1월 현재 BMC 아카이브에는 BMC 출판사의 학술지 145종과 그 외 5종 학술지의 논문 38237건이 저장되어 있다.[46] BMC 저장소에서 검색되는 논문이 모두 오픈 액세스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BMC 출판사 학술지 중 141종은 모든 논문이 공개되어 있지만, 나머지 4개 학술지는 연구논문만이 오픈 액세스 방식으로 제공된다. 각 학술지의 편집위원회는 연구 논문 이외의 기사에 대하여 각기 다른 접근 정책을 펴고 있으므로, 일부 학술지의 경우 BMC 저장소에서 연구논문 이외의 내용의 원문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학술지의 경우 구독을 해야만 원문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46]
The Scientist의 경우에는 뉴스 기사의 원문만 오픈 액세스 할 수 있다. BMC 저장소는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접근 형태를 세 가지 유형의 로고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또한 BMC 저장소는 펍메드와 연계되어 BMC 저장소에서 제공되는 학술지가 펍메드에 등재되어 있는 경우 상호링크를 통하여 검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펍메드에서 검색된 특정 논문이 BMC 저장소에 있을 경우 링크아웃 아이콘을 클릭하여 BMC 저장소로 곧바로 이동하여 원문을 볼 수 있다.[46]
출판사들은 다양한 논문 DTD를 사용하여 XML 또는 SGML 형식으로 논문을 펍메드 센트럴에 제출한다. 많은 출판사들은 NLM 저널 출판 DTD를 사용한다.[26]
수신된 논문은 XSLT를 통해 NLM 아카이빙 및 교환 DTD로 변환된다.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될 수 있으며, 오류는 수정을 위해 출판사로 다시 보고된다. 그래픽도 표준 형식과 크기로 변환된다. 원본과 변환된 형식은 보관된다. 변환된 형식은 그래픽, 멀티미디어 또는 기타 관련 데이터와 관련된 파일과 함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이동된다. 많은 출판사들은 또한 논문의 PDF를 제공하며, 이는 변경 없이 제공된다.[26]
서지 인용구는 구문 분석되어 펍메드의 관련 초록, 펍메드 센트럴의 논문, 출판사 웹사이트의 리소스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펍메드 링크는 또한 펍메드 센트럴로 연결된다. 저널 또는 아직 이러한 소스 중 하나에서 사용할 수 없는 특정 논문에 대한 해결할 수 없는 참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적되며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자동으로 "실행"된다.
내부 인덱싱 시스템은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의약품 이름 대 전매 특허 의약품 이름, 유기체, 질병 및 해부학적 부위의 대체 이름과 같은 생물학적 및 의학 용어를 인식한다.
사용자가 저널 호에 접근하면 해당 호의 모든 논문, 서한, 사설 등을 검색하여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논문과 같은 실제 항목에 도달하면 펍메드 센트럴은 NLM 마크업을 HTML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 객체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이는 다양한 수신 데이터가 먼저 표준 DTD 및 그래픽 형식으로 변환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별도의 제출 스트림에서 NIH 자금 지원 저자는 NIH 원고 제출(NIHMS)을 사용하여 펍메드 센트럴에 논문을 예치할 수 있다. 이렇게 제출된 논문은 일반적으로 NLM DTD로 변환하기 위해 XML 마크업을 거친다.
7. 펍메드 센트럴 학술지 등재 조건
BioMed Central,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Bentham Science Publishers, Hindawi Publishing Company,Frontiers Research Foundation, MedKnow Publication Company 등에서 발행하는 것과 같이 상업회사에서 처음부터 웹을 통한 공개 학술지로 발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47] Immunology(Blackwell and Science)와 같이 상업회사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하는 경우도 있다.[47]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에서 발행하는 Infection and Immunity, 모든 국내 의편협 회원단체 발행 학술지와 같이 학회에서 발행하여도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 작업가능한 곳도 PMC 등재 대상에 포함된다.[47]
펍메드 센트럴(PMC)에 등재시키기 위한 요건으로는 학술지 언어가 영어이어야 하며, 출판 내용으로 의생명과학 분야를 다루어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수집 목록에 있어야 하고, PMC/XML 파일의 기술 수준이 일정 기준에 맞아야 한다.[47]
8. 검색 및 출력 기능
PMC는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본검색은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에서 운영, 관리하는 여러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키워드, 저자명, 학술지명, 국제 표준 일련 번호 등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한 검색을 통해 검색 레코드 항목별로 제한하여 검색 할 수 있다.[49] 인용 문헌 검색 서비스에서는 찾고자하는 학술지내의 모든 논문명, 저자명, 서명, 일자별 검색, 학술지 권호 검색 등을 제공한다.[49]
인용 문헌 검색 서비스에서는 PMC의 전체 텍스트 정보가 펍메드에 내부적으로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펍메드의 초록 레코드에서 그 논문이 인용한 참고 문헌을 검색할 수 있고, PMC의 논문들이 인용하는 정보를 펍메드 레코드에 반영한 “Cited by PMC articles”기능을 활용하여 PMC의 다른 논문들이 인용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48]
내부 인덱싱 시스템은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의약품 이름 대 전매 특허 의약품 이름, 유기체, 질병 및 해부학적 부위의 대체 이름과 같은 생물학적 및 의학 용어를 인식한다.
PMC는 검색결과로 논문명, 저자명, 학술지명, 출처정보, 전자출판일자, 연계 URL, 연계원문을 제공한다. 원문을 클릭하면 저자의 이메일 정보와 소속기관정보, 라이센스 정보, 디지털 객체 식별자 정보, 출판 정보, 참고 문헌 수록 데이터베이스까지 모두 제공하고 있다. 검색결과 원문은 PMC 시스템에 의하여 변환된 XML/DTD문서와 PDF 형식, HTML 등으로 이용 가능하다.[49]
출판사들은 다양한 논문 DTD를 사용하여 XML 또는 SGML 형식으로 논문을 펍메드 센트럴에 제출한다. 오래되고 규모가 큰 출판사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DTD를 사용할 수 있지만, 많은 출판사들은 NLM 저널 출판 DTD를 사용한다. 수신된 논문은 XSLT를 통해 NLM 아카이빙 및 교환 DTD로 변환되며,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오류는 수정을 위해 출판사로 보고된다. 그래픽도 표준 형식과 크기로 변환된다. 원본과 변환된 형식은 보관되며, 변환된 형식은 그래픽, 멀티미디어 또는 기타 관련 데이터와 관련된 파일과 함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이동된다. 많은 출판사들은 논문의 PDF를 제공하며, 이는 변경 없이 제공된다.[26]
서지 인용구는 구문 분석되어 펍메드의 관련 초록, 펍메드 센트럴의 논문, 출판사 웹사이트의 리소스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펍메드 링크는 또한 펍메드 센트럴로 연결된다. 저널 또는 아직 이러한 소스 중 하나에서 사용할 수 없는 특정 논문에 대한 해결할 수 없는 참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적되며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자동으로 "실행"된다.
내부 인덱싱 시스템은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의약품 이름 대 전매 특허 의약품 이름, 유기체, 질병 및 해부학적 부위의 대체 이름과 같은 생물학적 및 의학 용어를 인식한다.
사용자가 저널 호에 접근하면 해당 호의 모든 논문, 서한, 사설 등을 검색하여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논문과 같은 실제 항목에 도달하면 펍메드 센트럴은 NLM 마크업을 HTML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 객체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별도의 제출 스트림에서 NIH 자금 지원 저자는 NIH 원고 제출(NIHMS)을 사용하여 펍메드 센트럴에 논문을 예치할 수 있다. 이렇게 제출된 논문은 일반적으로 NLM DTD로 변환하기 위해 XML 마크업을 거친다.
8. 1. 검색 기능
PMC는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본검색은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에서 운영, 관리하는 여러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키워드, 저자명, 학술지명, 국제 표준 일련 번호 등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한 검색을 통해 검색 레코드 항목별로 제한하여 검색 할 수 있다.[49] 인용 문헌 검색 서비스에서는 찾고자하는 학술지내의 모든 논문명, 저자명, 서명, 일자별 검색, 학술지 권호 검색 등을 제공한다.[49]인용 문헌 검색 서비스에서는 PMC의 전체 텍스트 정보가 펍메드에 내부적으로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펍메드의 초록 레코드에서 그 논문이 인용한 참고 문헌을 검색할 수 있고, PMC의 논문들이 인용하는 정보를 펍메드 레코드에 반영한 “Cited by PMC articles”기능을 활용하여 PMC의 다른 논문들이 인용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48]
내부 인덱싱 시스템은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의약품 이름 대 전매 특허 의약품 이름, 유기체, 질병 및 해부학적 부위의 대체 이름과 같은 생물학적 및 의학 용어를 인식한다.
8. 2. 출력 기능
PMC는 검색결과로 논문명, 저자명, 학술지명, 출처정보, 전자출판일자, 연계 URL, 연계원문을 제공한다. 원문을 클릭하면 저자의 이메일 정보와 소속기관정보, 라이센스 정보, 디지털 객체 식별자 정보, 출판 정보, 참고 문헌 수록 데이터베이스까지 모두 제공하고 있다. 검색결과 원문은 PMC 시스템에 의하여 변환된 XML/DTD문서와 PDF 형식, HTML 등으로 이용 가능하다.[49]출판사들은 다양한 논문 DTD를 사용하여 XML 또는 SGML 형식으로 논문을 펍메드 센트럴에 제출한다. 오래되고 규모가 큰 출판사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DTD를 사용할 수 있지만, 많은 출판사들은 NLM 저널 출판 DTD를 사용한다. 수신된 논문은 XSLT를 통해 NLM 아카이빙 및 교환 DTD로 변환되며,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오류는 수정을 위해 출판사로 보고된다. 그래픽도 표준 형식과 크기로 변환된다. 원본과 변환된 형식은 보관되며, 변환된 형식은 그래픽, 멀티미디어 또는 기타 관련 데이터와 관련된 파일과 함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이동된다. 많은 출판사들은 논문의 PDF를 제공하며, 이는 변경 없이 제공된다.[26]
서지 인용구는 구문 분석되어 펍메드의 관련 초록, 펍메드 센트럴의 논문, 출판사 웹사이트의 리소스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펍메드 링크는 또한 펍메드 센트럴로 연결된다. 저널 또는 아직 이러한 소스 중 하나에서 사용할 수 없는 특정 논문에 대한 해결할 수 없는 참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적되며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자동으로 "실행"된다.
내부 인덱싱 시스템은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일반 의약품 이름 대 전매 특허 의약품 이름, 유기체, 질병 및 해부학적 부위의 대체 이름과 같은 생물학적 및 의학 용어를 인식한다.
사용자가 저널 호에 접근하면 해당 호의 모든 논문, 서한, 사설 등을 검색하여 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논문과 같은 실제 항목에 도달하면 펍메드 센트럴은 NLM 마크업을 HTML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 객체에 대한 링크를 제공한다.
별도의 제출 스트림에서 NIH 자금 지원 저자는 NIH 원고 제출(NIHMS)을 사용하여 펍메드 센트럴에 논문을 예치할 수 있다. 이렇게 제출된 논문은 일반적으로 NLM DTD로 변환하기 위해 XML 마크업을 거친다.
9. 리포지터리의 접근성
PMC는 자체적인 검색 및 이용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제공하지 않지만, 검색된 전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뷰어 설치가 필요하다. NCBI를 통해 회원 가입 및 탈퇴가 가능하며,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원문을 이용할 수 있다.[50]
10. 자문 위원회 운영
미국 보건국(NIH) 산하 국립의학도서관(NLM)은 생의학 분야 레파지토리인 펍메드 센트럴(PMC)의 성장과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상시 자문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57] 자문 위원회는 미국 보건국 국장과 PMC 내용의 품질과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국가생명공학정보센터(NCBI)의 수장을 중심으로 구성된다.[57]
본 위원회는 매년 2회의 정기 회의를 개최하며, 미국 보건부(HHS) 국장이 생의학 및 정보 과학 분야 커뮤니티와 일반인 중에서 적합한 사람을 선별하여 임명한다.[57] 위원회의 역할은 PMC 정책을 확립하고 운영을 모니터링하며, 연구자, 사서, 출판사 및 일반 대중의 요구를 수렴하는 것이다.[57]
11. 저작권 정책
PMC의 모든 문헌과 학술지는 개별 저자, 출판사 및 기타 저작권 소유자에게 저작권리가 있다.[50] 제공되는 학술지 논문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오픈 액세스 논문으로 라이선스를 명시한 일부 저널을 제외하고는 이들 논문의 저작권은 미국 연방정부와 기타 해외 각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50]
PMC 운영의 기본이 되고 있는 공공접근정책에서는 학술논문의 기탁과 관련하여 명령(Requirement)이 아닌 자발적인 참여를 요청(Request)하는 것에 주목할 수 있다.[57]
12. 수집 정책
미국 보건부 공공접근 정책에 의해 연구비 지원을 받은 연구 성과 논문으로 학술지 편집위원의 논문 심사를 통과한 최종본과 펍메드 센트럴 학술지에 부합되는 것만을 수집하여 제공한다.[51]
13. PMC 학술지 기탁 및 접근 정책
2003년 6월, 펍메드 센트럴 자문위원회는 PMC 정책에 동의하는 출판사를 위한 학술지 기탁 및 접근 정책 가이드라인을 수립했다.[57]
14. PMC 유지 비용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웹 기반 미국 국립보건원 논문기탁시스템(NIHMS)을 개발하여 연구자의 논문을 펍메드 센트럴(PMC)을 통해 장기적으로 보존하고 안정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57] NIH 산하 PMC 운영 기관인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NLM)은 NIHMS 시스템 개발 비용, 직원 인건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타 유지보수, PMC 아카이빙을 위한 표준 포맷 변환에 소요되는 비용을 산정하였다.[57] 2005년 한 해 동안 소요 비용으로는 약 10억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연구자가 제출하는 최종본을 XML 마크업 언어로 태깅하여 PMC 레파지토리 포맷으로 변환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증가 비용은 매년 2억 달러에서 4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57] 이는 매년 연구자가 6만 5000여 편 이상의 논문을 제출한다는 가정 하에 산출한 비용이며, 2005년 PMC 과월호 디지털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20만 편 이상의 인쇄 형태 논문의 디지털화 비용이 포함된 것이다.[57] 본 정책 발표 이후 NIH는 연구자가 논문 투고료와 같이 논문 발표를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에 대하여 연구자를 지원할 것으로 발표하였다.[57] 매년 NIH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출판되는 학술 논문 투고에 소요되는 직접비를 약 300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자가 PMC에 최종 논문을 자발적으로 제출하든지 안 하든지 상관없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다.[57]
15. 대한민국 학술지 등재 현황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기관 영문 전자 학술지 '보건의료교육평가'가 대한민국 학술지 가운데서는 5번째로 펍메드 센트럴에 등재됐다.[52] 이번에 등재된 부분은 웹출판이 완료된 2006년 Volume 3부터 최근호까지의 전문 및 영문초록부분이며 2009년 2월 17일자로 등재되었다.[52] 2009년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총 6종의 학술지가 등재되어 있었다.[52]
16. PMC 활성화 전략
미국 국립보건원 (NIH)은 공공접근 정책에 따라 연구비 지원을 받아 출판된 학술 논문의 제출을 요청하고 있다. 이는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통해 이루어졌다.[57]
NIH는 다양한 미디어와 방법을 활용하여 공공접근정책을 홍보했다. 공공접근 정책을 여러 학술지에 발표하고 출판사에 공헌하였으며, NIH 직원 리더쉽 회의를 개최하여 정책에 대한 자세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NIH 원장 및 간부들은 연구자들에게 공공접근 정책에 동참할 것을 독려하는 편지를 발송하고, 각종 세미나 등을 개최하여 연구자, 연구기관, NIH 직원, 관련 출판사들이 정책 취지에 동참하도록 홍보와 교육을 실시하였다.[57]
연구자에게는 펍메드 센트럴(PMC)에 논문을 기탁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였다. NIH 연구지원비를 받은 연구자와 기관은 연구과제 진행보고서를 PMC 논문 기탁으로 대체하여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탁된 논문의 인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NLM)의 최신정보기술을 제공한다. NLM은 PUBMED, Genbank(DNA Sequences), Comlpete Genome MaPPPS, Protein Sequences and Structures, Taxonomy, PubCHem, MedinePlus, Clinical Trials, 참조링킹 정보서비스(Cross-linking information) 등을 제공하며, PMC 통합정보검색 서비스를 통해 학문영역 간의 깊이 있는 연구를 지원한다. 데이터마이닝과 정보 간의 상호 링킹 기법을 제공하여 연구자의 연구수행을 돕는다.[57]
과학자들은 연구 성과물에 대한 공공접근을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연구 성과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켰다.[57]
17. 정보 자원 범위 및 유형
PMC 정보자원은 미국 국립보건원(NIH) 공공접근정책에 따라 연구비를 받은 연구자들이 납본하는 학술논문의 최종본과 PMC 취지에 동참하는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학술지 원문이다.[57] 전자출판된 전자저널뿐만 아니라 인쇄 형태로 발간되었던 과거분 디지털화 프로젝트에 동참한 학술지도 포함된다.[57]
NIH 공공접근 정책이 효력을 발생한 2005년 5월 2일 이후에 연구비 지원을 받은 연구 프로젝트의 연구성과 논문과 그 이전에 연구비 지원을 받은 프로젝트 중 해당 날짜 이후 발표되는 학술논문이 해당된다. 단행본의 각 장(Chapter), 사설(Editorial), 리뷰, 학술회의 자료는 제외된다.[57] "연구비 지원"은 NIH의 직접적인 연구비 지원, NIH 협력기관, Ruth L. Kirschstein National Reasearch Service Award 등에서 수여하는 연구비도 포함된다.[57]
논문 본문에 포함되는 이미지, 사진, 그래픽 자료는 고해상도 TIFT, EPS, 혹은 JPEG, GIF 포맷으로 제출되며, 비디오, 오디오 파일, 각종 데이터셋 파일도 제출되어야 한다.[57] 제출된 자료는 NLM XML DTD 형식으로 재태깅될 수 있으며, 인쇄 가능한 형태로 PMC에서 변환 제공하고 있다.[57] NLM은 제출된 학술논문을 Medline, BIOSIS, Embase, 과학인용색인, PsychINFO, Agricola, Chemical Abstract 등에서 색인 초록하여 전 세계에 무료로 서비스한다.[57]
NLM은 PMC를 통해 학술논문을 무료로 제공하며, 해당 학술지의 정보와 함께 전자저널 사이트로의 링크 서비스도 제공한다.[57] NIH는 공공접근 정책에 의거, 연구비 지원을 받아 출판된 학술 논문 제출을 요청하며, 연구자와 기관이 제출해야 하는 연구과제 진행보고서를 PMC 논문 기탁으로 대체하여 편의를 도모했다.[57] NLM의 PUBMED, Genbank(DNA Sequences), Comlpete Genome MaPPPS, Protein Sequences and Structures, Taxonomy, PubCHem, MedinePlus, Clinical Trials, 참조링킹 정보서비스(Cross-linking information) 등을 제공하며, PMC 통합정보검색 서비스를 통해 학문영역 간의 깊이 있는 연구를 지원한다.[57]
18. PMC의 수정, 발전된 현재 모습
2000년 2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NCMI에 의해 개발되어 발족된 생명과학 분야 저널의 웹 기반 무료 아카이브인 펍메드 센트럴(PMC)은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PNAS)'' 등 7종과 BMC(BioMed Central) 저널 42종을 포함하며, 향후 11종 이상의 저널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8][60] 게재 심사를 거친 논문과 미게재 심사 논문의 프리프린트를 제공하며, 포함 저널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8][60]
미국 국립보건원은 PMC의 지도적 역할을 학계로 이전하기 위해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에 PMC 자문위원회 지명을 요청했다.[58][60] 초기에는 PMC에 참여하는 출판사들이 전문을 PMC 사이트에서 자유롭게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했다. 그러나 상업 출판사를 포함한 기존 인쇄 출판 시스템에 익숙한 과학자들의 반발로 인해, 전문 접근 제한과 함께 출판사 사이트에서만 볼 수 있도록 계약하는 방식으로 방침이 변경되었다.[58][60] 현재는 저널 출판 후 1년 이내(6개월 권장)에 PMC나 출판사 사이트에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 유일한 조건이다.[58][60]
PMC의 새로운 방향을 선택한 출판사는 전문을 아카이브의 완전성을 위한 PMC 표준에 맞춰 저널 기사와 고해상도 이미지 파일을 SGML이나 XML 파일 형태로 PMC에 제출한다.[58]
2007년 6월에는 수록 논문 수가 100만 편을 넘어섰다.[39] 2007년 말, 부시 행정부는 NIH 자금 지원 연구 성과를 학술지 발표 후 1년 이내에 PMC에 등록하여 무료 공개하도록 의무화했다.[40] 2012년 8월, 명칭이 PubMed Central에서 PMC로 변경되었다.[36]
19. 논문 개방 방식
펍메드 센트럴(PMC)은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이 2000년경부터 구축하기 시작한 데이터베이스로, 개방 또는 무료 학술지만 참여할 수 있다.[59] 일부 학술지는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논문을 공개하는 방식으로 참여한다.[59] 2009년부터는 미국 정부 기관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결과로 발표하는 모든 논문을 반드시 펍메드 센트럴에 납본하도록 의무화하여, 연간 약 88,000편의 미국 정부 지원 연구 논문의 초록 레코드가 자동 생성된다.[59]
20. PMC 학술지 표준
PMC 학술지 표준은 NLM이 펍메드 센트럴(PMC)에 아카이브되는 학술지를 선정하기 위해 만든 기준이다.[61] 이 표준에 따르면 PMC 학술지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해야 한다.[61]
첫째, 지원 대상 학술지가 MEDLINE에 색인되어야 한다.[61] 둘째, Agricola, Biosis, CINAHL, Chemical Abstracts, EMBASE, PsycINFO, SCI 등의 DB에 수록되어야 한다.[61] 셋째, 편집위원회 위원 중 적어도 세 명이 NIH 혹은 이와 동급의 미국 혹은 국외의 연구지원기관으로부터 연구기금을 활발히 받고 있는 연구책임자이어야 한다.[61]
이 세 가지 조건 중 첫째 조건을 충족할 경우 자동으로 PMC 학술지가 될 수 있으나, 둘째나 셋째 조건에만 충족될 경우 NLM의 자문그룹인 문헌선정기술검토위원회(LSTRC, Literature Selection Technical Review Commitee)의 검토를 한 번 더 거쳐야 한다.[61] 이 위원회는 학술지에서 다루는 연구 범위, 연구논문의 질, 편집 및 논문심사의 질 등을 검토한다.[61] 그러나 이 심사는 MEDSINE 학술지 선정보다 덜 엄격하게 이루어진다.[61]
이러한 심사 절차는 특히 오픈 액세스 아카이브에서의 질적 수준 유지를 강조하는 의학 분야 연구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NLM이 마련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61]
21. PMCID
PMCID(펍메드 센트럴 식별자)는 PMC 참조 번호라고도 하며, PubMed 데이터베이스의 PMID와 마찬가지로 펍메드 센트럴 공개 접근 데이터베이스의 서지 정보 식별자이다.[35] 두 식별자는 서로 다르다.[35] "PMC" 다음에 일련의 숫자가 붙는 형식이다.[35]
- PMCID: PMC1852221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지원을 신청하는 저자는 신청서에 PMCID를 포함해야 한다.
22. 리셉션(Reception, 반응)
펍메드 센트럴(PMC)의 발표 당시 원래 계획은 생의학 정보의 신속하고 저렴하며 광범위한 배포를 통해 출판 비용을 감소시키고, 독자들이 기존 문헌 이용의 어려움을 덜고, 과학자들 간의 정보 제공을 강화하는 것이었다.[56] PMC는 과학자들이 인용 문헌과 Medline 탐색 후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전문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56]
그러나 PMC 발족은 이상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동반하여, 논문 게재 심사 및 출판 전통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56] 상업 출판사와 학회들은 구독료, 광고료, 별쇄본 판매 수입 감소를 걱정했다.[56] 개발도상국 과학자들은 이 계획이 독점적이고 기술 지향적이며, 생의학 출판 시장을 영어 중심의 주도권으로 변화시킨다는 우려를 나타냈다.[56] 생물학자들은 심사를 거치지 않은 정보의 범람을 걱정했다.[56]
한편, 유럽분자생화학회(EMBO)는 PMC의 유럽판인 E-biosci를 제안하여 2001년 7월 중 오픈 예정으로 게재 심사를 거친 논문과 프리프린트를 제공할 계획이었다.[56] 독일의 MPS는 연구자들의 학술 저널 제도 불만과 무료 전자 아카이브에서 미국의 독주에 대한 우려로 마련된 대안 시스템으로, 2001년 1월에 Garching에 정보 센터를 열고 과학자들이 무료 전자 아카이브에 논문을 출판할 수 있도록 했다.[56]
학계와 출판계의 펍메드 센트럴에 대한 반응은 다양했다.[27][28] 오픈 액세스 출판사들은 PMC를 환영했지만, 다른 이들은 트래픽 분산, 독자 수 감소, 학술 단체 내 학자 커뮤니티 유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우려했다.[29][30] 2013년 분석에 따르면, 공개 저장소가 저널 웹사이트에서 상당수의 독자를 빼앗아가고 있으며, PMC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30]
도서관, 대학교, 오픈 액세스 지지자, 소비자 건강 옹호 단체, 환자 권리 단체는 펍메드 센트럴을 환영하며, 다른 연방 정부 자금 지원 기관에서도 유사한 공개 액세스 저장소를 개발하기를 희망했다.[31] 오픈 액세스 논문은 철학, 정치학, 전기 및 전자 공학, 수학 분야에서 더 큰 연구 영향을 미쳤다.[32] 무작위 실험에서 오픈 액세스 논문의 다운로드가 증가했지만, 출판 1년 후 인용 이점은 없었다.[33]
NIH 정책 및 오픈 액세스 저장소 작업은 다른 연방 기관에서도 조치를 촉발한 2013년 대통령 지침에 영감을 주었다.
2020년 3월, 펍메드 센트럴은 코로나바이러스 출판물의 전체 텍스트 예치 절차를 가속화했다.[34] 이는 과학자, 의료 제공자, 데이터 마이닝 혁신가, AI 의료 연구자 및 일반 대중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였다.[34]
참조
[1]
서적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XML for the Long Haul: Issues in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XML
[2]
서적
PubMed Central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2017-09-08
[3]
웹사이트
MEDLINE, PubMed, and PMC (PubMed Central): How are they different?
https://www.nlm.nih.[...]
2020-01-29
[4]
간행물
Openness by Default
Inside Higher Ed
2017-01-16
[5]
웹사이트
NIHMS Statistics
http://nihms.nih.gov[...]
2014-02-07
[6]
웹사이트
Home - PMC
https://www.ncbi.nlm[...]
2017-09-08
[7]
웹사이트
Author rights: what's it all about
https://www.research[...]
2019-01-17
[8]
논문
E-Biomed: A Proposal for Electronic Publications in the Biomedical Sciences (Draft and Addendum)
http://resource.nlm.[...]
2023-10-19
[9]
논문
The real stakes of virtual publishing: The transformation of E-Biomed into PubMed central
https://onlinelibrar[...]
2023-10-20
[10]
서적
The Art and Politics of Science
http://www.ncbi.nlm.[...]
W.W. Norton & Company
2023-10-20
[11]
arXiv
Decentralized Infrastructure for (Neuro)science
2022-09-01
[12]
웹사이트
What the Semantic Web can represent
https://www.w3.org/D[...]
2023-10-20
[13]
서적
The Formation of CrossRef: A Short History
https://www.crossref[...]
CrossRef
2023-10-20
[14]
웹사이트
Public Library of Science post
https://profiles.nlm[...]
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10-20
[15]
웹사이트
The Scholars Rebellion Against Scholarly Publishing Practices: Varmus, Vitek, and Venting
https://www.infotoda[...]
2020-10-20
[16]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Public Library of Science [to signers of the PLoS open letter]
https://profiles.nlm[...]
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10-20
[17]
웹사이트
Public access to NIH research made law
http://www.scienceco[...]
2013-11-06
[18]
웹사이트
Journal Publishing Tag Set
http://dtd.nlm.nih.g[...]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3-11-06
[19]
웹사이트
ALPSP Technology Update: A Standard XML Document Format: The case for the adoption of NLM DTD
https://www.jiscmail[...]
ALPSP
2013-11-06
[20]
웹사이트
NCBI Book Tag Set
http://dtd.nlm.nih.g[...]
2006-09-27
[21]
웹사이트
News from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2013-11-06
[22]
웹사이트
Inera Inc. - NLM DTD Resources
http://www.inera.com[...]
2013-02-19
[23]
웹사이트
Public Access Plans of U.S. Federal Agencies
http://www.cendi.gov[...]
2016-08-19
[24]
웹사이트
Public Access to Results of NASA-Funded Research
http://www.nasa.gov/[...]
2016-07-22
[25]
웹사이트
NASA in PMC
http://preview.ncbi.[...]
2016-08-19
[26]
웹사이트
Journal Archiving and Interchange Tag Suite
https://dtd.nlm.nih.[...]
2023-10-17
[27]
웹사이트
PLOS Applauds Congress for Action on Open Access
http://www.plos.org/[...]
2014-02-07
[28]
웹사이트
ACS Submission to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quest for Information on Public Access to Peer-Reviewed Scholarly Publications Resulting from Federally Funded Research
https://obamawhiteho[...]
2014-02-07
[29]
논문
The effect of public deposit of scientific articles on readership
2012-10
[30]
논문
Public accessibility of biomedical articles from PubMed Central reduces journal readership--retrospective cohort analysis
2013-07
[31]
웹사이트
Autism Speaks Announces New Policy to Give Families Easy, Free Access to Key Research Findings - Press Release - Autism Speaks
http://www.autismspe[...]
2014-02-07
[32]
논문
Do Open-Access Articles Have a Greater Research Impact?
[33]
논문
Open access publishing, article downloads, and citation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2008-07
[34]
웹사이트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expands access to coronavirus literature through PubMed Central
https://www.nih.gov/[...]
2020-03-25
[35]
웹사이트
Include PMCID in Citations {{!}} publicaccess.nih.gov
https://publicaccess[...]
2017-07-01
[36]
뉴스
PubMed Centralの名称がPMCへと変更される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12-08-07
[37]
뉴스
PubMed CentralがPMCに改称 2012年08月07日
http://jipsti.jst.go[...]
科学技術振興機構
[38]
웹사이트
PMC FAQs: How long has PubMed Central been in existence?
http://www.ncbi.nlm.[...]
[39]
뉴스
PubMed Central、収録論文が100万を突破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2007-06-25
[40]
간행물
NIHのパブリックアクセス方針義務化等の内容を含んだ法案が成立
http://www.dap.ndl.g[...]
国立国会図書館
2007-12-27
[41]
논문
오픈 액세스 기반 기관리포지터리 성공에 미치는 요인 분석
2009
[42]
논문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2008
[43]
논문
오픈 액세스기반 기관리포지터리 성공에 미치는 요인 분석
2009
[44]
논문
오픈 액세스기반 기관리포지터리 성공에 미치는 요인 분석
2009
[45]
서적
오픈 액세스 환경에서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연구: 생물정보학 연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46]
논문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2006
[47]
논문
국내외 의학논문 데이터베이스 현황
2010
[48]
논문
의학논문 데이터 베이스 및 활용의 실제
2010-08
[49]
서적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
[50]
논문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2008
[51]
서적
오픈 액세스 리포지터리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
[52]
웹사이트
http://www.medipana.[...]
[53]
보고서
기초학문자료센터 오픈 액세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007
[54]
서적
기초학문자료센터 오픈 액세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7
[55]
논문
국내 의학학술지의 국제화 방안
2011
[56]
문서
과학논문의 전자출판과 무료 전자 아카이브, 그림출처
2002
[57]
보고서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오픈 액세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7
[58]
문서
과학논문의 전자출판과 무료 전자 아카이브, 그림출처
2002
[59]
논문
Medical Database Search
2010
[60]
학술대회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1-08-01
[61]
논문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