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베는 로마서 16장 1-2절에 언급된, 켄크레아 교회의 일꾼이자 바울의 후원자이다. 바울은 페베를 "집사"로 칭하며, 로마 교회에 그녀를 추천하는 편지를 썼다. 이름의 뜻은 "순수한", "빛나는" 또는 "밝은"이며, 일부 학자들은 페베가 바울의 서신을 로마 교회에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고 본다. 성경에서 집사로 언급된 유일한 여성이며, 여성 집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페베는 또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바울의 사도직을 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미국 성공회 등에서는 페베를 성인으로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인 - 척 피니
척 피니는 면세 쇼핑 그룹 DFS의 공동 창립자이자 "살아있는 동안 기부" 철학을 실천한 아일랜드계 미국인 자선가로, 애틀랜틱 자선재단을 통해 교육, 과학, 의료,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 익명으로 거액을 기부했다. - 기독교인 - 변중석
변중석은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의 부인으로, 7남 1녀를 낳고 남편의 사업을 내조하며 검소한 생활을 하였으며, 투병 생활 끝에 86세로 사망했다. - 성경의 인물 - 바르나바
바르나바는 '위로의 아들'이라는 뜻을 가진 별칭으로,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초기 기독교의 중요 인물이며 바울의 사도적 성장에 기여한 키프로스 출신의 레위인이다. - 성경의 인물 - 구속주
구속주는 구약과 신약성경에서 구원을 가져다주는 존재를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하는 중요한 칭호로, 헬라어 "소테르"는 '구원자'를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게만 적용되는 칭호로 여겨진다.
페베 | |
---|---|
기본 정보 | |
이름 (그리스어) | Φοίβη (포이베) |
직함 | 여집사, 신앙의 증인 |
기념일 | 9월 3일 (가톨릭 교회 및 정교회), 10월 25일 (루터교) |
숭배하는 교단 |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 성공회, 루터교 |
생애 | |
출생 시기 | 1세기 |
사망 시기 | 1세기 |
기타 정보 | |
별칭 | 사도 |
2. 성경에서의 언급
페베는 로마서 16장 1-2절에서 켄크레아 교회의 일꾼(디아코노스)이자 바울의 후원자(프로스타티스)로 언급된다.[3] 바울의 로마 신서는 스페인으로의 선교 여행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56년에서 58년 사이에 고린도에서 쓰여졌다.[2] 바울은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를 통해 로마 공동체와 그 상황에 익숙했을 것이다.[2]
페베라는 이름은 "순수한", "빛나는", 또는 "밝은"을 의미하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티탄의 이름이었다.[4] 일부 학자들은 페베가 바울의 로마 기독교 교회에 보낸 서신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고 믿는다.[5] 페베는 성경에서 집사(그리스어로 "종"을 의미)로 언급된 유일한 여성이다.[6]
2. 1. 바울의 추천사
2. 2. 켄크레아 교회
3. 명칭의 의미와 논쟁
3. 1. 디아코노스 (διάκονος)
사도 바울은 그리스어 디아코노스/διάκονοςgrc를 사용하여 페베를 집사로 지칭했다. "집사"는 그리스어를 음역한 것이며, 바울의 서신에서 때로는 교회의 감독들을 특별히 임명된 "조력자"로 섬기도록 지정된 기독교인을 지칭하고,[7] 다른 경우에는 일반적인 의미의 "봉사자"를 지칭한다. 로마서에서 페베의 논쟁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교회 직책과는 반대로 항상 일반적인 의미의 "봉사자"를 지칭한다.[8] 그러나 교회가 처음 형성되는 이 시점에서, 일부는 직책이 일관되거나 명확하게 정의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하며, 행동가 로살바 마네스는 바울이 "집사"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스테파노와 빌립보처럼 페베의 사역이 자선 활동을 넘어 설교와 복음 전파까지 확장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9][10]디모데전서 3장 11절에 언급된 여성들이 집사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11][12] 바울은 "집사"라고 불리는 직책자들이 갖춰야 할 자질을 설명하면서 구나이카스/γυναῖκαςgrc 호사우토스/ὡσαύτωςgrc를 썼는데, 이는 일부 번역에서 "마찬가지로 여성들"로 번역된다. "마찬가지로"라는 표현은 여성 집사들이 남성 집사들과 동일한 기준에 따라 생활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바울이 로마서 1장 27절, 고린도전서 7장 3, 4, 22절, 그리고 디도서 2장 3, 6절에서 "마찬가지로"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을 참조). 지배적인 견해는 이 구절이 여성 집사가 아닌, 집사들의 아내를 지칭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KJV 번역본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의 아내들도 이와 같이, 점잖고, 비방하지 않으며, 절제하며, 모든 일에 충실해야 한다."[13]
3. 1. 1. 여성 디아코노스 논쟁
디모데전서 3장 11절에 언급된 여성들이 집사로 간주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11][12] 바울은 "집사"라고 불리는 직책자들이 갖춰야 할 자질을 설명하면서 ''구나이카스''(''γυναῖκας'') ''호사우토스''(''ὡσαύτως'')를 썼는데, 이는 일부 번역에서 "마찬가지로 여성들"로 번역된다. "마찬가지로"라는 표현은 여성 집사들이 남성 집사들과 동일한 기준에 따라 생활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바울이 로마서 1장 27절, 고린도전서 7장 3, 4, 22절, 그리고 디도서 2장 3, 6절에서 "마찬가지로"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을 참조). 지배적인 견해는 이 구절이 여성 집사가 아닌, 집사들의 아내를 지칭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KJV 번역본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의 아내들도 이와 같이, 점잖고, 비방하지 않으며, 절제하며, 모든 일에 충실해야 한다."[13]3. 2. 프로스타티스 (προστάτης)
고대 그리스어에서 '프로스타테스'(προστάτης) (여성형, '프로스타티스')는 지도자, 수장 또는 수호자, 보호자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종교적인 맥락에서 자주 사용되었다.[14] 나중에는 로마의 후원자 개념을 번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4]사도 바울의 사용례를 보면 신약 시대에도 그 의미가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페베가 재력이 있는 여성이었음을 시사하며, 무엇보다 바울의 사도직에 재정적 지원을 했고,[9] 겐그리아의 가정 교회를 자신의 집에서 열었으며, 그가 그 도시에 머무를 때 숙소와 환대를 제공했을 것이다.[10]
4. 역사적, 신학적 의의
4. 1. 페베와 로마서 전달
5. 기념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미국 성공회는 페베의 축일을 9월 3일로 기념한다.[15]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는 10월 25일에 페베를 기념하고,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두아디라의 루디아, 도르가와 함께 1월 27일에 페베를 기념한다. 이는 초기 남성 선교사 실라, 성 티모테오, 성 티투스 기념일 다음 날이며, 성 바울의 개종 축일 이틀 후이다.
참조
[1]
간행물
Phoebe: Helper or Leader?
http://www.cbeintern[...]
Arise, Christians for Biblical Equality
2013-03-14
[2]
서적
Phoebe: Patron and Emissar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5
[3]
성경
[4]
서적
Romans: A Commentary
Fortress Press
2007
[5]
서적
The First Paul: Reclaiming the radical visionary behind the church's conservative icon
SPCK
2009
[6]
웹사이트
John Nobili, SJ, Chair of Theology, Santa Clara University
https://www.ncronlin[...]
2020-05-17
[7]
기타
[8]
기타
[9]
뉴스
Phoebe a woman of luminous charity
http://www.osservato[...]
L'Osservatore Romano
2018-01-02
[10]
서적
Was Celsus Right? The Role of Women in the Expansion of Early Christianity
Eerdmans
2003
[11]
문서
Entry for 'Deacon, Deaconess'
1997
[12]
웹사이트
Deacon, Deaconess - Baker's Evangelical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Online
http://www.biblestud[...]
[13]
기타
[14]
사전
Lexicon
1882
[15]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